사실 많은 아이들이 가르쳐보면 잠재적인 영재성이 있습니다. 잘키우면 정말 빛을 볼 아이들이 너무 많죠. 문제는 경제력 있고 깨어있는 부모들만이 그걸 어케든 이끌어내는데 그 역할을 사교육이 하고 있습니다. 초롱초롱하던 많은 아이들이 수포자가 되는 과정이란.. 정말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약 7년전에 올라온 영상이라 이 영상을 보시는 분이 있을지 의문이지만 혹여나 보게 되시는 학부모님께 말씀드립니다. 현직 고등부 수학강사입니다. 초중학교때 절대 무리한 선행 하시면 안됩니다. 이 동영상에 속으시면 안됩니다. 초중학교 때 반드시 길러야 할 능력은 계산 능력이 아닙니다. 의심하고 추론하고 이를 식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초중학교때 손가락으로 하나 둘 세어가며 문제를 푸는 것은 나쁜것이 아닙니다. 초등학교 6학년이 x, y 문자를 두고 연립방정식을 푸는 게 더 나빠요. 고등학교에서 보게 될 대부분의 어려운 문제들은 계산이 복잡한 문제 보다는 습득한 개념을 가지고 추론하고 예상하며 이를 식으로 표현하는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고등학교 오면 추론능력 기를 시간이 없어요. 그 능력을 초중학교 때 충분히 길러야 하는데 이 시기에 무리한 선행을 하시면 추론능력이 충분히 배양되지 않아서 고등학교가서 분명히 망가질겁니다. 장사속에 속지 마세요.
별로 인정하기 어렵습니다. 함수를 끝내신다구여? 지금 하시는것에 함수개념이 없구여, 계산법 위주십니다. 고등학교 과정에서 엄청나게 고생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지금 하시는 대수학은 고등학교 초기까지만 적용가능합니다. 고등학교에서 개념정리 하려면 개고생 하게 되구여. 앞서 설명하셨듯,. 수학은 계산이 아닙니다. 삼각함수,지수함수,로그함수, 복소수, 백터, 수열,급수, 미적분, 행렬, 확율 ,통계, 해석기하학과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20*30)+{(2*30)+(20*6)}+(2*6)=600+180+12=792 = {(2*3)*(10*10)}+[{(2*3)+(2*6)}*10]+(2*6) =(6*100)+{(6+12)*10}+12 =600+(18*10)+12 =600+180+12 =792 검산 2+2=4, 3+6=9 4*9=36 3+6=((9)) 7+9+2=18 1+8=((9)) ((9))=((9)) 개념은 간단해요 22*36은 구조가 이렇게 분해됩니다 (20*30)+(20*6)+(2*30)+(2*6) 으로 분해되요 이걸 정식 교과 과정에서 배우는 직접 곱셈법이라고 하죠 이중 20*30 과 2*6은 값은 자리수가 겹치지 않습니다 그러니 따로 계산해서 내려써도 무방함 600 과 12, 600+12=612 그럼 나머지 20*6과 2*30만 값의 자리수가 겹쳐지지요 그런데 잘보시면 20*6과 2*30은 둘다 일의 자리로는 안내려가는 값이예요 그러니 둘을 더하면 됩니다 20*6+2*30=120+60= 180 = {(2*6)+(2*3)}*10 다 더하면 792 제가 구술한걸 계산식으로 보이게 써준다면 22 36 ---------------------------- (20*30)+(2*6)= 0612 (20*6)+(2*30)= 180 --------------------------- 792 어? 머가 보이시는지 보이시나요? 예! 내려서 곱셈해서 2*6=12, 2*3=6 그대로 내려썻고 크로스 곱하고 크로스 곱해서 서로 더해주는 2*3+2*6=18 을 일의 자리에서 한칸 앞에서 그대로 내려썼네요 검산은 인도수학 검산법 이 원리는 모르겠어요 다만 곱셈 자리수들은 같게 나온다고 하네요 22의 각 자리수는 2와 2 둘을 더하면 4이고 36의 각 자리수는 3과6 둘이 더해서 9이니 4*9는 36이고 이것또한 각 자리수 더하면 3+6이라서 9라는 결과값이 나옵니다 이게 답의 자리수 합산과 결과값이 같아요 7+9+2=18 1+8= 9 9=9 위에 설명하는 12*13도 똑같은 개념이예요 다만 저렇게 쉽게 생각할수 있는건 둘다 10의 자리수가 1이라서 그래요 생각을 해보시면 간단합니다 1*2=2 고 1*3=3 이되어서 그래요 이걸 이해하고 연습하면 암산도 어렵진 않아요 주산식 곱셈 방식이 이런식이예요 숫자는 관념이라서 1 2 3 4 5 이런게 애 한개이고 두개이고 세개이고 개념적으로 이해가 안되지만 주산은 시각적으로 확실히 한알 두알 세알이 이미지로 시각화로 보이기에 아이들이 수의 개념을 익히기 좋아요 이런 방식으로 세자리수도 가능하고 네자리 다섯자리도 가능해요 연습만 한다면 암산으로도 됩니다.. 주산식 곱셈이나 인도식 곱셈에서 이걸 잘 보여줘요
사실 많은 아이들이 가르쳐보면 잠재적인 영재성이 있습니다. 잘키우면 정말 빛을 볼 아이들이 너무 많죠. 문제는 경제력 있고 깨어있는 부모들만이 그걸 어케든 이끌어내는데 그 역할을 사교육이 하고 있습니다. 초롱초롱하던 많은 아이들이 수포자가 되는 과정이란.. 정말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공식만 외우고 적용이 안되서
수포자되었는데.
이거 보고 있으니 방정식도 쉽네~
이렇게 접근해보는것도 큰 도움이
되겠다
우리 아이는 포기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역시 수학도 개념 강의 멋집니다 어릴적 부터 수학을 이렇게 배우면 흥미 만점 수학일텐데
약 진짜 잘파시네 ㅋㅋㅋ 개념을끝낸다는게 아니고 문제풀이를 "외우게"시킨다는거 아냐 ㅋㅋㅋㅋㅋㅋ 진짜 대단하다
약 7년전에 올라온 영상이라 이 영상을 보시는 분이 있을지 의문이지만 혹여나 보게 되시는 학부모님께 말씀드립니다. 현직 고등부 수학강사입니다. 초중학교때 절대 무리한 선행 하시면 안됩니다. 이 동영상에 속으시면 안됩니다. 초중학교 때 반드시 길러야 할 능력은 계산 능력이 아닙니다. 의심하고 추론하고 이를 식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초중학교때 손가락으로 하나 둘 세어가며 문제를 푸는 것은 나쁜것이 아닙니다. 초등학교 6학년이 x, y 문자를 두고 연립방정식을 푸는 게 더 나빠요. 고등학교에서 보게 될 대부분의 어려운 문제들은 계산이 복잡한 문제 보다는 습득한 개념을 가지고 추론하고 예상하며 이를 식으로 표현하는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고등학교 오면 추론능력 기를 시간이 없어요. 그 능력을 초중학교 때 충분히 길러야 하는데 이 시기에 무리한 선행을 하시면 추론능력이 충분히 배양되지 않아서 고등학교가서 분명히 망가질겁니다. 장사속에 속지 마세요.
좋은 말씀이지만 계산능력이 안되는 아이들이 추론 능력을 가지기는 더 어렵습니다. 고등학생들을 가르치시면서 계산이 되는 아이들만 보셔서 그렇게 생각하시겠지만 추론 이전에 계산능력은 필수입니다~
그건 님이 이 영상만 보셔서 그럴수 있어요 이미 단계과정에서 사칙연산의 기본 개념을 체화시키고 그 기본이 있으면 자연스럽게 저 과정까지 이해가 되는 방향으로 갑니다
나초6인데 지금 수학의정석 푸는데?
멋있다
이때까지 육성회비. 공납금. 다 돌 려도
일케 간단한 것을 학교에서는. . .
교육은 100년지 대계라꼬 . . .
돌삐겠다
72세 할머니가 찾아낸 19단 을 외우다..배우는게 너무 재미있다..
아이디어 좋네요.
별로 인정하기 어렵습니다. 함수를 끝내신다구여? 지금 하시는것에 함수개념이 없구여, 계산법 위주십니다. 고등학교 과정에서 엄청나게 고생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지금 하시는 대수학은 고등학교 초기까지만 적용가능합니다. 고등학교에서 개념정리 하려면 개고생 하게 되구여. 앞서 설명하셨듯,. 수학은 계산이 아닙니다. 삼각함수,지수함수,로그함수, 복소수, 백터, 수열,급수, 미적분, 행렬, 확율 ,통계, 해석기하학과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이걸 초등학교때 끝낼수 있나요?
nickel chromium 인정
다비수도 수학적 머리가 빠른 아이만 받아들이는거 같아요.
하다 만 사람 너무많이 봤어요..
그럼 22×36은 어떻게 하는지도 알려주셔야죠 개념이 어떻게 되는건지 모르겠군요 암기식에 가깝다는....;;;;
(20*30)+{(2*30)+(20*6)}+(2*6)=600+180+12=792
= {(2*3)*(10*10)}+[{(2*3)+(2*6)}*10]+(2*6)
=(6*100)+{(6+12)*10}+12
=600+(18*10)+12
=600+180+12
=792
검산 2+2=4, 3+6=9 4*9=36 3+6=((9))
7+9+2=18 1+8=((9))
((9))=((9))
개념은 간단해요 22*36은 구조가 이렇게 분해됩니다
(20*30)+(20*6)+(2*30)+(2*6) 으로 분해되요
이걸 정식 교과 과정에서 배우는 직접 곱셈법이라고 하죠
이중 20*30 과 2*6은 값은 자리수가 겹치지 않습니다 그러니 따로 계산해서 내려써도 무방함 600 과 12, 600+12=612 그럼 나머지 20*6과 2*30만 값의 자리수가 겹쳐지지요 그런데 잘보시면 20*6과 2*30은 둘다 일의 자리로는 안내려가는 값이예요 그러니 둘을 더하면 됩니다 20*6+2*30=120+60= 180 = {(2*6)+(2*3)}*10
다 더하면 792
제가 구술한걸 계산식으로 보이게 써준다면
22
36
----------------------------
(20*30)+(2*6)= 0612
(20*6)+(2*30)= 180
---------------------------
792
어? 머가 보이시는지 보이시나요?
예! 내려서 곱셈해서 2*6=12, 2*3=6 그대로 내려썻고
크로스 곱하고 크로스 곱해서 서로 더해주는
2*3+2*6=18 을 일의 자리에서 한칸 앞에서 그대로 내려썼네요
검산은 인도수학 검산법 이 원리는 모르겠어요 다만 곱셈 자리수들은 같게 나온다고 하네요
22의 각 자리수는 2와 2 둘을 더하면 4이고 36의 각 자리수는 3과6 둘이 더해서 9이니 4*9는 36이고 이것또한 각 자리수 더하면 3+6이라서 9라는 결과값이 나옵니다 이게 답의 자리수 합산과 결과값이 같아요
7+9+2=18 1+8= 9 9=9
위에 설명하는 12*13도 똑같은 개념이예요 다만 저렇게 쉽게 생각할수 있는건 둘다 10의 자리수가 1이라서 그래요 생각을 해보시면 간단합니다 1*2=2 고 1*3=3 이되어서 그래요
이걸 이해하고 연습하면 암산도 어렵진 않아요 주산식 곱셈 방식이 이런식이예요
숫자는 관념이라서 1 2 3 4 5 이런게 애 한개이고 두개이고 세개이고 개념적으로 이해가 안되지만 주산은 시각적으로 확실히 한알 두알 세알이 이미지로 시각화로 보이기에 아이들이 수의 개념을 익히기 좋아요
이런 방식으로 세자리수도 가능하고 네자리 다섯자리도 가능해요 연습만 한다면 암산으로도 됩니다.. 주산식 곱셈이나 인도식 곱셈에서 이걸 잘 보여줘요
안녕하세요.
방정식을 4개월로 가능하면 그게 사람인가?
방정식을 꼬이면 무리수까지 나오는게 그게 가능한 것인가?
강석진 인정
4개월이나 하는데 못하는게 사람일까? 저능아 아닌이상 한다. 그리고 무리수 없는 계산만 할라면 평생 중학생할래.??
전 이런 암기식보다 천천히 다가갈레요 나누기 쉽게하는법 썼는데 이딴게 나와 미띤것이
저 초3인데 이 영상 없이 중등과정 수학 거의 다
끝내가는 걸요?
그럴듯한 말로 약 잘파시네..ㅋㅋ
말만 번지르하게 하시네요 전혀 공감이 안되요 저 곱하기 13*17 이런거 밖에 안되고 21*35이런건 안됩니다.
그리고 수학 선생님이 무리수를 저렇게 설명 하나요 나온 개념이 따로 있는데 약파시는거 같은데
z
개념만 끝내서 수학 잘하면 못할 사람 없어 그리고 외우는 건 수학이 아니야 공식은 외워야 하지만 그걸 문제에 적용하고 응용하는데는 수많은 문제를 풀어야되 어휴ㅉ
다비수는 정말 좋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