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치기 소굴이라는 아프리카 동네마트 가보기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 아프리카에선 항상 가이드나 보디가드를 동행하라는 선배님들의 조언을 받았습니다. 그렇게 새롭게 고용한 보디가드겸 운전기사님과 함께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탐방을 시작해 보았어요. 개인적으로 가장 궁금했던 게 동네 마트였는데 다행히도 멀지 않은 곳에 있다고 해서 방문해 보았습니다. 여기는 소매치기들도 득실댄다고 하더라고요. 영상에서 함께 하시죠!
항상 감사합니다. 정말 열심히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역학을 공부했던 사람입니다. 왜 에티오피아 물건들이 생각보다 비싸지라고 궁금해하셔하는것같아서 제 짤막한 지식으로 영알남님의 가려운부분을 조금이나마 긁어드릴수있을까하여 짧게 글 남기고가겠습니다. 에티오피아의 수입품 물건이 비쌀수밖에없는 이유가 지리적,역사적,정치적 이유를 모두 알게된다면 어느정도 이해가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첫째로 에티오피아는 지리상 바다를 코앞에두고 바다를 이용할수없는 억울한 나라중에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바다를 코앞에두고 외곽에 에리트레아,지부티,소말리아,케냐 라는 네 나라에게 가로막혀 바다를 이용할수없습니다. 쉽게말해 대한민국 부산항처럼 항구가없는 나라입니다. 바다를 통해 배를 활용하여 다른나라와 1:1 맞 트레이드 할수없는 나라라는 소리입니다. 즉, 에리트레아,지부티,소말리아,케냐 네나라에서 바다로 통해들어온 물자를 한번더 관세를 붙여 2중과세를 통해 물건을 들여올수밖에없는 억울한나라입니다. 그래서 해외기업들이 에티오피아에 투자진출을 하기가 애로사항이 많은이유가 수입관세,특별소비세,부가가치세,물품세,수입인지세 등 최소 5가지이상의 세금을 부과하고있고 세금종류가 많은것도 문제지만 그 세금조차도 비싸다는게 한몫하고 있습니다. 둘째로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지부티,소말리아,케냐 이 다섯나라의 관계가 중요한데 에티오피아를 기준으로 에리트레아와의 관계는 전쟁을했을정도로 앙숙관계여서 바다를 내어줄 건덕지가 1도없고, 소말리아 얘네들은 그냥 해적노답깡패로 익히 소문난 양아치라고 알고계시듯, 소말리아는 돈만주면 나쁜짓은 다하는놈들이라 뒤에 알카에다가 엮여있는데 소말리아 안에있는 이슬람반군하고 에티오피아군이랑 전투,교전해서 수십명이 죽는경우도 허다할정도로 좋지않은 상태입니다. 케냐와의 관계는 20세기들어서 영국에서 독립한 케냐와 정치적 외교관계를 맺었지만, 에티오피아에서 멩기투스가 쿠데타를 일으켜서 왕정이 무너지고 공산주의국가가되면서 정치적 갈등이생겨서 좋지않은상태입니다. 마지막으로 그나마 지부티라는 나라는 문화적교류도 많이하고 친밀한나라여서 에티오피아는 지부티의항구를 이용할정도로 친한나라여서 거의 모든물품은 지부티의항구를 통해서 들어온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그나마 지부티 라는 나라와 친하게지내서 저정도이지 아마 지부티랑도 관계가좋지않았다면 파스타봉지하나에 만원도 볼수있었겠네요 ㅎㅎ.. 한줄로 쉽게요약하자면 항구없는나라는 수입물품에대한 관세가 많이붙기 때문에 물건이 비싸다 이렇게 요약하면될것같습니다. 제 말이 조금이나마 도움이되었으면 좋겠네요. 수고하세요~!!
👍👍👍궁금증 해결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장문이라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재미있게 읽었네요 ㅎㅎ
내륙국이고 항구가 있는 국가하고 관계가 안 좋고 그나마 지부티인데 그래서 수입 물품이 들어오기 힘들다는 거네요
아프리카 여행 영상을 찍는 것이 매우 힘든 일인데 구독자 분들을 위해 결정하신 것 같네요. 안전하고 무탈하게 여행하시길 바랍니다.
예전에도 재밌게 봤지만, 몇 주 전에 처음으로 해외여행을 다녀온 뒤로 영알남 님 영상 보는 맛이 다르네요. 이제는 영상을 보면 다른 나라의 땅을 밟을 때의 그 신선한 기분이 온전하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제가 유일하게 구독하고 영상 다 챙겨보는 채널은 영알남 님이 유일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 너무 감사드리고 꼭 오래오래 영상 올려주세요!
열심히 하겠습니다!!!!
님 구라치지마세요 체널 가보니 6군대나 구독중이신대;
@@길동홍-h4k 유일하게 구독하고 영상 다 보는분이라잖아요 ..
@@sunyounglee4743 그니까요
"유일하게 구독"
@@길동홍-h4k 이분..ㅋㅋ 구독하고 유일하게 라고 바꿔서 생각하면 이해되실까요
인프라가 부족한 나라일수록 넓은 땅 또는 수입에 의존하는 경우라면 생필품값이 비쌀 수 밖에 없습니다. 생산비보다 유통비가 더 비싼것이죠
그렇군요
그렇군요
ㅋㅋ서부아프리카에 반년째 살고 있는데 제가 와서 몇달에 거쳐 느낀 것들을 며칠만에 바로 파악하셔서 반갑고 재밌네요😂
살아계심?
@@seungkyooPark네 어찌저찌 적응하면 또 살 만합니다 매일 조심해야 하지만요ㅎㅎ
영알남님 영상들은 리얼한 모습들을 담아서 좋아요! 재밌는 영상 감사해요. 항상 몸 조심 하세요😊
Shoa수퍼는 외국인이나 현지 상류층이 이용하는 수퍼마켓입니다. 에티오피아는 제조업이 발달하지 않아서 공산품이 매우 비쌉니다. 현지에서 잘 재배하지 않는 딸기, 사과도 비싸죠. 아디스아바바 날씨는 열대 고지대라 캘리포니아보다 더 좋습니다.
새로운 문화충격이네요
그래소 소매치기 안당한거네요ㅎㅎㅎ.
저 물건들 다 팔리기는 하나요? 외국에서 보다 비싸면 굳이 안사먹을거 같은데
@@거기-f6d 에티오피아는 물건 자체가 귀합니다. Shoa수퍼는 비싸기는 하지만 안전한 식품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일 수 있습니다. 일반 수퍼에서는 냉장, 냉동식품은 구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정전이 잦기 때문이죠. 에티오피아에서는 우유나 요구르트를 사기가 매우 힘듭니다. 간혹 있더라도 맛이 전혀 다릅니다.
물가 비싼것은 은행 공식 환율로 하면 비싸고 블렉마켓 환율로 하면 적당 하다고 들었습니다. 물가도 블렉마켓 환율로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식 환율과 블렉마켓 환율차가 거의 80% 더주고 많게는 100% 까지 할때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다시 한번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려요...리더 한 사람이 나라의 운명을 바꾸 수 있다는 걸 다시 한번 배운다
박정희 대통령님 존경합니다ㅠㅠ.
그분이 고 박정희 대통령 각하 이십니다
저도 존경합니다
답글 틀딱들 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ugust51890 20대인데?
아프리카 교민입니다
영일남님 바로 파악하시네요^^
현지 농산물이나 생산품 가격은
그런대로 상식적이지만
내륙으로 갈수록
수송료, 세금, 환율 마진으로인해
수입품 가격은 매우 비싸집니다 😢
그리고 같은 제품이어도 저런 큰 마켓가면 동네 슈퍼 보다 더 비싼 경우도 많지요.
먼 타지에서 고생하시는군요. 항상 몸 건강하시고, 무탈하시길 먼 고국에서 응원합니다.
가신 슈퍼마켓은 쇼아(SHOA )마켓이라고 고급에 속합니다. 에티오피아는 21년부터 북부지역(티그레이)과 내전이 있었습니다. 에티는 제조업도 약하고 항구도 없어서 공산품 식료품 등 수입 의존이 코고 내전영향으로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경제규모가 한국에 비할 바는 안되고 제조업도 매우 약합니다. 전 영상에서 노점의 커피(현지 말로 '분나')는 1잔에 10~30비르(250원~750원, 제가 있을때 환율기준) 정도 합니다. 동양인은 다 중국인으로 생각하지만 한국인에 대한 감정은 좋은 펀입니다. 중국이 30년 전부터 진출했으니...아디스아바바는 해발 2400~2500미터 정도에 위치해서 연중 10~30도 정도 기온 입니다. 70년전 한국전쟁 때 우리를 도와준 고마운 국가입니다. 트리니티 성당이라고 그곳 지하실(?) 한국인 참전군인들 유해를 모셨다고 합니다(저도 못봤습니다만). 마지막으로 에티는 아프리카국 중에 유일하거 자국의 문자가 있습니다. 암하릭이라고
에티오피아는 바다와 인접해 있지 않기 때문에 물류 비용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아프리카 연합 본부가 에티오피아 수도에 위치해 있어서 그 주변으로 백인들이 모여사는 부촌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동네 물가는 우리나라와 비슷합니다. 당연히 수입품은 두배정도 비싸지만 보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원하는 제품이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기도 중간유통업자가 엄청난 마진을..ㅋㅋㅋㅋㅋ
우리나라보다 비싼게 많네요. 놀랐어요
그게아니라 아직 내전이 오나전히 종식되지 못했어요,,,그래서 농사,공장 같은것도 제대로 못하죠
나라에서 내전을 진압 한다는건 엄청 중요합니다,,,,, 그래서 내전진압+전쟁으로국토지킨 이승만이 국부로 추앙받고
그뒤를이러 박정희가 산업기반 > 전두환이 그대로 이어받아서 발전 > 노태우,김영삼도 발전 시켜서,,,보수가 자랑하는거죠
지금6070이라는 노인데 수꼴들?
그들이 2030일때,,, 40년전에 은행이자가 15~25%였슴,,,
월급 10~15만원일때 수입의 2.5% 4만원씩2년 120만원 적금 넣으면,,, 이자만 25만원 받앗슴,,,
지금 수입에 70만원씩 2년 넣으면 1500만원인데,,,이자는 30만원임,,,,,
무슨말이냐면,,, 돈은 더많이 넣는데 40년전보다 이자가 얼마안되 ㅋㅋㅋ
그런2030이 나이먹어서 6070이되고,,,보수가 된거야,,, 이상하나?
서민이 돈 잘버는 시대가 좟같고,ㅡ,다시는 되돌리면 안되는 시대고,,
뒈질대까지 최저임금으로 평생 월세에 허덕이는 삶 지금의 엄청 서민이 살기 좋나?
아...아프리카는 긴장의 연속이네요~
긴장감 주는 음악이 없고 화면만 보는데도 긴장이 되는데
알남님은 얼마나 긴장 되겠어요~^^;;
암튼 안전하고 건강하게 돌아오세요~^^
열심히하겠습니다
구독자 만단위일때부터 봤는데 매번 댓글 달아주시는거 보면 대단한것같아요 응원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자주 오세영
이게 유튜브의 순기능이다!
이번 월드컵 한국 16강 경기끝나고
정확한 날짜는 기억은 안나는데
몇일 뒤 제가 도서관에 갔다가
도서관 4층 강당에서 저녁쯤에
강연을 하시더라구요!
대상이 중고등학생이어서 문 너머로
영알남님 목소리만 들었었는데
개인적으로 아쉬웠습니다😂
“후회없이 여행하자” 강연 연기하신것도 멋있었습니다👍
와 진짜 저렇게 빡센데 안전한곳 찾아서 자유 여행 하시는분들 진짜 존경스럽네
저 슈퍼에서 사진찍다가 폰 뺏길뻔 했어요............ 정말 아프리카는 아직은 다 조심조심이 맞는거 같애요. 너무 좋은데... 아직 여행은 아쉬운게 맞는거 같애요 😢
엥 저기 가셨었어요?
@@Youngalnam 저기 맞는거 같애요ㅎ 애매하게 지하 들어가는!!
@@제이나-v8w제가호주엥있는데에티오피아보단덜함
반짝반짝토토로가 아프리카엘 ㅠ
에티오피아도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 자본으로 공사가 한창이네요... 아프리카 사람들 중에 중국어 유창한 사람들 많고, 심지어 요리도 중국요리, 음악같은 문화 등등 여러 방면으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듯하더라고요. 안전한 여행되세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중국의 식민지가 되어가고 있네요,
중국 너무 시르네
당연히 자본이 있는 나라가 개척하는거 아닌가 ㅋㅋㅋ
@@quokka585 그 자본이 있는나라가 다른나라를 먹으려니 문제지 일대일로야 당장 파키스탄보면 답 나오지
영남님 이나라 저나라 여행다니시는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계속해서 올려주세요😂❤
아프리카는 왠만한 물건은 몽땅 수입이라 비싸다고 들었어요... 애들 학교 보내고 하려면 생활비 엄청든다고 살다온 사람이 그렇게 말하더라고요~! 집도 안전한 곳에 살려면 집세가 엄청 비싸답니다. 그래서 주재원들은 회사나 단체 차원에서 다 해주지 않음 진짜 힘들대요~
에티오피아는 식량난을 겪고있는 나라중 한 곳입니다.
20년 기준 인구의 24%정도가 굶주리고 있으며 20세기부터 지속된 사막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시기가 늘면서 식량자급률이 극악으로 떨어졌고
심지어 내륙국이라 수입해오는 식품 대부분이 홍해에 있는 국가인 지부티를 거쳐서 들어오기때문에 물가가 비싼편입니다
아 식량난이 있군요
와...인구 24프로가 굶다니...
북한저리가라네...
@@비둘기-q3x 북한은 더 굶을듯
@@비둘기-q3x 북한은 30프로 가 넘었넹ㅅ
6.25때 아프리카 유일 참전국.
알남님은 힘드셨겠지만 시청자의 입장으로서는 아프리카 영상 너무 꿀잼이었네요! 하하 항상 안전하고 몸 조심하시길 바랍니다!!ㅎㅎ
와 물가 차이가 엄청나네요. 덕분에 세계 곳곳 유용한 정보 재밌게 많이 알 수 있네요. 몸조심히 다니시길👍🏻🙏
달러가치 요동치면 저개발국일수록 화폐가치가 낮기때문에 더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국내 NGO에서 구호비를 송금해도 수령에 현지환율을 적용해서 재환전으로 받아야 하기때문에 실제 송금액보다 왕창 깎여 받아요. 한때는 닭값이 한국보다 비쌌지만 에티오피아, 케냐, 이집트 이 정도면 아프리카에서 선방하는 국가... 어렵기는 매한가지지만 다른국가는 더 처참합니다 전 영상에서 치노치노 거리는것도 못배워서 몰라서 그런것도 있는데 실제로 중국이 아프리카에서 깡패짓 하고 다녀서 그래요 구호명목으로 돈줘놓고 그 돈으로 아프리카 국가들 경제 장악하고 있어요 우리가 아는 구호랑은 다른 거(전 NGO근무자) 그리고 커피 수익률 안좋은 작물임 수동으로 돌리는 관람차 봄? 난 봤음...
아닌거같은뎅ㅋ
아마 구호가 아니라 일대일로 인거 같습니다. 이것때문에 채무 함정에 빠져있죠..
@@Schliemann.Heinrich 일대일로도 그렇고, 실제로 구호도 합니다. 댓에서는 보기쉽게 그냥 일대일로를 안썼네요. 여튼 하는 짓 때문에 아시안 인식도 안 좋고..
아.. 에티오피아가 아프리카에서 선방하는국가.. 이집트는 가장 북쪽 유럽과 가까워서 그런지.. 넘 인프라 후지거나 고 수입물가 이런거 못느꼇는데
가보기 힘든 신기한 아프리카군요~~영어도 너무 잘하시네요~ 게다가 물가가 왜저리 비싼건지..
항상 재밌고 신기한곳 여행하면서 영상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당!
안녕하세요~^^
영상 감사합니다.
즐건하루되세요~
맞아요, 아프리카 다들 물가 헐값인줄 아는데.. 아니에요 😂 정말, 진짜 비싸요. 지금 더 오르긴 했지만, 그 전에도 비쌌어요.
여긴 세네갈인데, 마트 가서 뭐 좀 담으면 10만원이에요.ㅋㅋㅋ
그래도 감자, 계란, 양파 등 기본적인 농작물이나 빵 중에서도 바게트 같은건 정부에서 일정 가격 이상 못 받게 정해놨어요.
나머지 생필품.. 휴지 샴푸 린스 이런거 정말 비싸고요. ㅠㅠ 감자칩 한봉지 4-5천원 정도 해요. 초콜릿도 진짜 비싸요~~
저도 일반적으로 여기 사는 사람들이 얼마 벌어서 어떻게 사는 건지 정말 궁금해요.
어우...덕분에 아직 여행을 못 가는 곳임을 깨달았네요
유럽도 저한테는 혼자서 힘들었는데 영알남님 대단하네요
평생 아프리카 갈 일 없을 거 같아 오늘도 대리만족 ㅎㅎㅎ
나도 여기 언제 또 다시오려나
@@Youngalnam 남아프리카 공화국이나 세이셸 정도는 괜찮을 듯요..
@@noir1910 No...더 위험 합니다. 특히나 아시안들은...
@@odero6331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관광객 많이 다니는 곳은 어느정도 안전하고요. 그 외에 도시나 구역은 매우 위험할 수도 있긴하고요. 세이셸은 세계 치안률 10위안에 드는 곳입니다. 두 번 다녀왔고요. 아프리카 치고 치안 매우 좋고 매우 안전한 나라입니다.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답을 다시다니…
@@noir1910 나 아프리카 1년살다왔는데 님처럼 말한사람 첨봄 남아공이 안전하다고? ㅋㅋ 나 딥슬루트 요하네스버그 많이다녔지만 전세계 가장 위험한 나라여
가보기 힘든 나라를 직접 전달해 주셔서 잘 보고 있습니다~~아프리카 물가 후덜덜 하네요....
아프리카 여행이라니.. 형님도 대단하십니다!! 항상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
개발도상국 특히 제조업이 없는 나라는 공장에서 찍어내는듯한 제품,가공품들 혹은 수입품(그 얼마 되지도 않는 자국 상품들 보호해야 하니까 엄청난 관세를 붙임)들은 절대 쌀 수가 없죠.
그렇군요..
친구가 이디오피아 식량난을 위해 미국에서 박사공부을 하고 있어요. 언젠가는 그 노력이 빛을 보는 날이 오길 바랍니다!! 정말 궁금한 나라였는데 재밌어요
우리 영알이형 항상 조심하세요 쓰리꾼들 너무많음 안전하게 여행잘하시기 바랍니다
항상 안전 최우선
유통이나 생산에서 마진이 주로 빠질텐데 아프리카의 경우는 두가지 문제가 다 산적해있다고 봐야겠네요
자체 생산하는 공장이나 유통라인이 잘 이뤄진게 아니다보니 더더욱 단가가 치솟는 듯..
심지어 포장재, 또는 음식의 원재료 등 자체 생산비율이 낮을테니..
매일 장보는 주부가 봤을땐 물가가 우리나라랑 비슷한것도 있는데 더 비싼것 같아요 ㅠㅠ. 오늘 에디오피아 원두 1키로 21천원주고 샀는데 현지인데 비싼 느낌이네요
수입품은 미쳐버렸어요ㅠㅠㅠㅠ
한국인들은 왜 아프리카 물가가
한국보다 압도적으로 쌀 거라고 생각을 할까요…
동남아시아보다 쌀거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의외로 많더라구요…
공산품들이 대체로 수입이고
공산품 가격은 한국의 두배 정도는 생각해야해요
그래도 영알남 님 덕분에 아프리카 물가를
사람들이 조금은 알게 되겠죠 😊
아프리카 여행 화이팅입니다!
와 빈부격차 심하네요 하루세끼 먹고 사는것도-후덜덜 아직-구걸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물가는 미쳤네요--잘봐습니다용
아프리카와 민주당당대표 이재명과의 영향이 있나요? 혹시?
최근 몇 년 동안 에티오피아 환율이 꽤 올랐습니다. 요즘에는 더욱 상승 중이네요. 역시 물가부터 치안까지 상황이 안 좋은 것 같네요.
그나마 외국인 입장에서 볼 때 상태가 좋은(?)마트인데...아마 현지인들에게 수입품은 더 후려쳐서 파는 것 같습니다. 보통 시민들은 가기 어렵죠.
게다가 2년 가까이 티그라이 전쟁(에티오피아 내전)이 끝난지 얼마 안 되기도 하는 등 내부적 불안이 있어 그런 악영향도 있는 것 같습니다. 주의하시고 좋은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건물외벽의 시설물은 높은곳에서 작업을 할수 있도록 설치하는 비계라고 하는 임시가설물입니다...보통은 철재비계를 설치 하지만 홍콩등 중국 일부지역은 대나무로 비계를 설치 하는곳도 있습니다...
이 나라도 물가 때문에 고생이네 ㅠ 형 오늘도 좋은 영상입니다 굿👍
ㅠㅠㅠㅠㅠㅠ
아프리카 물가 비싸더라구요.저도 2년전에 나이지리아 갔다왔는데 치안때문에 ikoyi 라는 부촌에 머물다왔는데 비싸더라구요.병원비도 비싸요.빈부격차심하고 진짜부자들은 어마어마하게 잘산답니다.
와 보고 있는데 물가 미쳔네... 근데 가셔서 사람들이 쳐다보는거 안불편하신가ㅋㅋㅋ큐ㅠㅠㅠ
옛날에 갔을 때 사람들이 엄청 쳐다봐서 끝까지 적응못하고 돌아왔던 기억이 있어서요,,,
괜찮아요 ㅋㅋㅋ 있다보면 별 생각 없이..
다른사람 눈치를 왜봅니까 어짜피 한번보고 말 사이인데요 우리나라 사람들 특 눈치를 너무많이 봄 나는나고 그사람들은 그사람들이고 그냥 얼굴과 귀에 철판까세요 그럼 편합니다
@@qpxndnffj6538 응 아니야 다 쳐다보면 신경쓸수도있지
먼 한국특이야ㅋㅋ 한두사람도아니고 지나가는 수많은 사람들이 다 널 힐끗거리면 신경안쓰일것같냐ㅋㅋ 다른 외국인들도 과하게 시선보내는거 불편해한단다 한국인이어서가 아니라ㅋㅋㅋ 당장 인도같은 나라 여행영상 하나만 찾아봐도 불쾌할정도로 노골적으로 쳐다보고 따라다니고 말거는 사람들 널렸거늘 이걸 눈치본다고 생각하다니
덕분에 아프리카 편하게 즐기네요!! 건강한 여정 되시기를 바랍니다!!
생산을 직접하지 않는 이상 공산품을 수입하는거면 당연히 비쌈. 특히 구매를 해외에서 해오는 경우 아프라카 국가들과 그 국가들의 수입사에 대체로 신용문제가 있기 때문에 엑스트라 피가 더 붙고 소비가 되는 수량도 한국이나 여타 선진국들에 비해서 안되기 때문에 단가가 높음. 수입되는 것도 소비가 많이 되는 아이템은 좀 더 싸고 소비가 잘 안되는건 겁나 비싸고 뭐 그런식ㅎ
형 영상 잘보고 있어. 10월에 에티오피아 혼자 여행하려고 하는데 최대한 조심하면 그래도 괜찮겠지?
으응.. 안가는걸 추천
궁금하고 알고 싶었던 아프리카 볼 수 있어서 좋네요~ 고생하셨을텐데 감사해요~
자주보여드릴게욤
아니 이제 이게 알파카로 보이넼ㅋㅋㅋㅋㅋㅋㅋ
역시 영알님씨야, 요런 현지 체감형 간접 컨텐츠 잘보고 있어요, 늘그렇듯 선추후감상댓
아프리카 사람들이 면역이 강해서 괜찮고 백신을 안맞기보단, 정부에서 통계를 제대로 내지 않고 소수가 사망해도 크게 문제삼지 않아 보도되지 않기 떄문이죠ㅋㅋㅋㅋㅋ
한국도 보통 99프로는 5일만 지나면 다 괜찮아집니다.
다른 나라에서 가져오는 비용이 꽤 엄청난가 봅니다.. 가격들이 너무 비싸서 저도 영상보면서 놀랬네요
Nice one,have you thought about visiting other countries in Africa,like South Africa,Kenya, Rwanda or Ghana,they are very safe....you know they are 54 countries in Africa..
Are you crazy? South Africa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countries in the world. Also it has one of the highest crime rates.
아프리카는 도심보단 자연경관 위주로 돌아보는게 좋아보이네요 물가도 그렇고 뭔가 도심에서 힐링 받긴 어려운 지역 같아요
아 공감이요
아프리카 도심에 볼게 뭐 있다고 아프리카는 대자연이죠, 동물들이고
@@MakuDonarudo. 우리나라도임 서울빼고 볼때없음
@@우왼인 자연경관만 치면 의외로 볼 거 많음 님이 한국인이라 익숙해서 그런 거지
@@했제와그랬제-u 자연경광은 ㅇㅈ 근데 그거빼고 외국인이 딱히올이유없는데?옆나라일본가서 애니도보고 후지산도가고 그러지
아프리카하면 옛 생각만 했는 데 덕분에 많은 걸 보고 갑니다~~^^
저도 여러국가를 다니며 느낀점은 우리가 생각하는 선진국이 생각보다 비싸지 않고 선진국에 속하지 않는 흔히 말하는 후진국이 물가가 생각보다 비쌌던 것으로 기억해요. 물론 모든 나라가 그렇다는 것은 아닙니다 ! 대부분의 후진국들은 이상한 경제구조 예를들면 임금은 한달에 20만원인데 아이폰과같은 제품들은 선진국들보다 더비싼 경우가 꽤나 많아서 개인뿐만 아니라 나라도 부익부 빈익빈이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던 적이 있어요 ㅎㅎ
영알남님이 알아서 하시겠지만, 댓글 중 어디 위험한 나라들 가 주세요 이런 건 그냥 개무시하세요. 저도 한 60개국 다녔는데, 후진국, 치안 나쁜 곳은 다 그런 이유가 있더라고요. 그런 나라들 굳이 위험 무릅쓰고 돈 들여가며 기분 더러운 경험하며 다닐 필요 없죠. 아마 에티오피아에서도 영상에서는 다 말하지 못했을 여러 기분나쁜 경험들 참 많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영상 재밌게 잘 보고 있어요.
ㅋㅋ 네네 전 안전 최우선주의고 제가 가고 싶은 나라 먼저 가보려구요
쇼와 수퍼마켓 가셨네요. 당연히 현지에서 고급 수퍼입니다. 보신 물건들이 대부분 수입식품들이어서 가격이 비싼겁니다. 공산품들은 오히려 한국보다 더 비싸기도 하니까요. 에티오피아가 바다가 없는 나라이다 보니, 지부티에서 하역해서 국경건너고 육로로 이송해서 아디스까지 와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에 비해서 야채, 과일 등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은 무척 저렴합니다. 비료, 농약 쓰지 않아 무척 맛있구요. 콜라는 아디스에 보틀링 공장이 있어 져럼하답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있을때 생각이 나네요. 지금 보니까 제 3국가는 사정이 다 비슷한것 같아요. 기후도 그렇구요. 인도네시아도 한번 비가 오면 정말 땅이 떠내려갈듯 (큰 우산이 필요없음) 오기도 하고, 공산품 물가가 한국보다 훨씬 더 비쌌던거 같군요. 10년전 이야기입니다.
아마 물가가 비쌀수 밖에 없는 구조지 않을까 싶음..
자체 생산라인이 부족한곳이 아프리카 국가에다..
자연적으로 국내 생산력이 없으면 수입에 의존하게 되고..
수출기업은 수입국에 원하는 가격대로 팔게 되겠죠..가격경쟁 자체가 일어나지 않는 구조랄까..
아마 에티오피아도 시장로컬 식자재들은 많이 싸지 않을까 싶네요.
우린 요즘 물가 엄청 비싸다고 하지만 대부분 공산품이 국산이고 적정 가격에 거의 대부분의 국산 제품을 공급 받을수 있는 우리 나라 너무 좋다. 이런 나라 많이 없을듯
외국 1번도 안가봄?
@@petersmith9434뭔 니같은 소리 하고 자빠졌노?
형 좋은영상 항상 고맙지만
항상 조심해..
그나저나 물가 장난없네.. 다들 사정이 있던거였어 ㅠ
중국에서도 5~10층 건물 건축할 때 대나무로 아시바(비계, 외벽 작업용지지대)를 만듭니다. 역시 비용 문제이겠죠~
대나무가 철못지않게 견고하다고하더군요
대나무 튼튼하죠 질기기도하고
일단 보면서 댓글~ㅋㅋㅋ 저흰 1시가 점심이라 근무시간에 보면 개꿀😂❤❤❤ 소소한 재미…건강하게 잘돌아오세용
자주 뵐게요 히히~~
아프리카 여행기 시리즈 재밌어요 😀
자주 올릴게요~!!
처음 나오는 택시기사양반 마네인줄ㅋㅋㅋㅋㅋㅋㅋ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ㅈ
시비 걸려는 건 아닌데 별로….
마네+ 윌스미스?
전혀다르구만 이것도 인종차별이다 외국인이 한국사람은 다 김정은 처럼생겼다라고 하는거랑 뭐가다름?
인프라는 안좋고 생필품 물가는 너무 높고 ... 참 힘들겠군요.
백신도 못맞는 것 같은데 의료서비스도 제대로 안 되어있겠죠?
일단 가신 마트는 상류층들이 이용한곳 맞고요
외국인들이 대부분 입니다.
그리고 현지 생산이 불가능해서 수입이 많아서 그렇구요.
케냐가 한달 인건비가 일반 회사원의 경우 우리 나라돈으로 15만원 이고 에티오피아가 케냐보다 결코 임금이 높지 않습니다.
현지인들은 대부분 현지. 시장에서 구매하기 때문에 로컬시장의 물가는 마트 물가보다 훨씬 쌉니다.
그리고 야채,과일은 엄청싸죠.
그러나아프리카는 외국인 프리미엄이 항상 따라다니기 때문에 외국인 입장에서 결코 저렴하지 않습니다.
집값도 그렇고요.
여튼 수입된 제품들은 어마어마하게 비싸고 현지에서 생산 되는건 저렴하다고 보시면됩니다.
그리고 내륙 운송이 어렵다보니 운송이 먼지역의 제품들도 비쌉니다. 가령 생선의 경우가 그런데 우리나라처럼 도로가 잘되어 있는것도 아니고 생선을 운반하는 차량도 없기 때문 입니다.
아프리카에 날생선은 절대 드시면 안됩니다.
가난한 나라일수록 마트에서 파는 수입 공산품,먹을거 많이 비쌈…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정부에서 사치품으로 택스를 높게 측정하고 어차피 저가격은 상류층 위주만 사먹어서 저거보다 더 비싸도 아무 문제 없이 팔림
‘후진국에서 한국과 같은 삶의 질을 누릴려면 한국보다 돈 더 든다’는 말을 다시 실감하네요.
최근 희철리즘 영상에서 나오듯이 스리랑카, 인도 상류층 가는 식당들은 서울과 가격차이 없거나 더 비쌌죠
물가가 싼걸 느낄려면 현지인처럼 사는 수밖에 없는데 한국인들은 설사 계속할것 같습니다ㅏ
항상 응원합나다
생산 제조시설이 없고 일차산업만 성행하고 모두 수입하고 일부 독점되어 관세가 엄청나지요.
전 세계 빈곤 국가는 어디나 공산품이 비쌉니다. 사치품인 자동차는 세금이 많이 비싸 한국보다 훨 비싸고요.
동남아시아서 자동차 가격이나 공산품 가격 보면 깜짝 놀라죠.
빈곤 국가에서 싼건 자국 내에서 생산되는 과일 야채 생선 주식은 빵 종류 등인데 그나마도
진짜 빈곤 국가는 이런 필수 식재재료도 임금에 비해서 굉장히 비싸죠. 엥겔 지수가 너무 높아서 먹는 것도 제대로
먹지 못하죠.
진짜.. 영프독 미국 상류층 백인 까진 아니더라도.. 아프리카 인도 중국이 아닌 코리아 그것도 남쪽에서 태어난거에 그나마 다행이다..😅
요즘 영국 보면 한국에서 태어난게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영국은 아이들 세명중 한명이 실제로 끼니를 걱정한다고 하더라구요.
이런 컨텐츠 좋다~
자주 뵐게요~
원래 공산품이 원활치 않은 나라들이 공산품 가격이 비쌉니다.사우디같은 산유국은 공산품을 저렴하게 공급하지만 저성장 국가들은 대체로 자체 생산 공산품이 많지 않기때문에
비쌀 수 밖에 없습니다. 남태평양 작은 섬국가들은 공산품 가격이 가히 무시무시 합니다
그 시계 쿠팡에서도 팔구만원예요. 올리브오일, 토마토캔, 견과류, 수입식품들 우리나라보다 십프로 싸요. 울나라에 기억하시는 금액 삼년전 가격예요.
좋은영상이네요~긴장되서 초집중해서 봤어요
근데 같이 다니던 형님 진짜 친절하다 !! 잘 안내해주고 !! 나같아도 저리 안내해주면 팁 주고싶네 !!
엄청 친절하게 잘 해주심
좋은인연이네요 😄
가봉에 1년간 체류했었는데, 당시에 그 나라에서 생산되는 식품은 맥주가 유일하다고 하더라구요. 거의 대부분 공산품, 가공식품은 수입이라 한국보다 많이 비싸더라구요. 저런 마트는 백인, 아시아인이나 돈 많은 흑인밖에 못 가요.
반대로 길거리 시장은 저렴합니다. 물론 물건은 다르고요
영알남 께서 느끼는 환율 계산이 맞습니다
닭고기 8천원 이탈리아 수입 멸균 우유1L1만원 돼지고기 1킬로13000원 사과 6개 8천원 키위6개 7천원이 넘고 물론 싼 재료도 많아요 양파 하지만 수입되는 공산품 고기등은 비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찰 월급 10만원대 고위 공무원 40만원 인것을 감아하면 물가가 비싸죠
월급 10만..
대형마트도 레이스나 러플스는 사오천원씩 해... 포카칩을 먹어야하나... 쓰읍.. 잘보고가 형!~
여기는 아프리카 가나입니다.
맞아요.
물가가 폭등한면도 있지만 원래 아프리카물가가 비쌉니다.
실제로 아프리카 자국에서 제조하는 공장이 없으니까 전부 수입이라 그럽니다.
자국에서 나오는 커피,망고,바나나 이런것은 한국에서는 상상할수없을 정도로 쌉니다.
참고로 소고기는 1킬로에 8천원에서 만원정도면 삽니다.
암튼..아프리카 물가는 대체로 비쌉니다.
그리고 집임대료도 엄청비쌉니다.
또한 차량렌트비도 하루에25만원정도한답니다.
외식비또한 엄청납니다.
현지인들은 한끼에 1천원정도하는 길거리 토속음식 사먹는데,저희들 같은경우 입맛에 맞지않아 레스토랑또는 일반식당가면 1인당2-3만원 든답니다
가나도 엄청 비싸네요 ㄷㄷ 옛날 한국 물가를 보는것 같습니다
@@lilliilill3589 네네그렇습니다.
그래서 현지인들의 생활수준을 보면 열악합니다
저긴 수입품점 입니다~
우리 나라 80년대 바나나 1개에 1000원이었죠ㅎ
저 곳을 현지물가라 생각하시면 안되죠 ㅎ
선진국 (공산품, 수입품이 쌈, 인건비(서비스)-농산물이 비쌈) 후진국 (인건비, 농산물이 쌈, 공산품- 수입품이 비쌈 ) 서로 반대로 생각하면 될 듯
아프리카도 한번 쯤은 가고 싶다... 물가를 보니까 일반 노동자들은 먹고 살기 힘들겠다,,
마트 물가가 이상하게 비싼듯
일반 노동자들이 가는 로컬시장은 또 저렴합니다.
우리가 가서 살게없어서 그게 문제죠
아 과일이나 야채는 확실히 저렴하게 구입할수 있지만
노상강도의 위험이 있어 외국인들은 싸도 잘안가게 됩니다.
아프리카 리얼로 보게되어 좋았어요. 힘든여행 조심하세요
자국에 제조업이 발달하지 않아서 대부분 수입해 오니 슈퍼 가격이 비싼거에요
중동국가도 제조업이 발달 하지 않은 나라가 많지만, 오일머니, 금융머니로 수입해 오니 자국에 싸게 생필품을 공급할 수 있구요
무역이 살 길인거죠
아 그렇군요...
제조업의 소중함을 다시 느끼고 갑니다
비닐봉투 상태에서 빵🤣🤣🤣터졌어요
잼있네요
콜라 천원싸보이죠?그것도 엄청비싼거에요 치토스 만원 이라 싸보이는거 ㅎ
에티오피아 한달 월급 10만원받는데~ 과일하나 몇십원하는게 현실에 맞죠 ㅎ
건물 외부에 설치 되어 있는 것은 시스템비계 또는 그냥 비계라고 하기도 하고 현장에서는 아직도 일본어가 남아 있어서
아시바 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7~80년대에는 나무로 했었는데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둥이나 내력벽이 아니라
주로 외벽 공사 배관이나 설비등의 공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설치 하거라 나무도 상관 없습니다만 설치해체 보관에서
불편하고 오래 사용을 못해서 요즘은 파이브로 하죠 ^^
혹시 Vaccination이 더 맞는표현 아닌가요? Injection 보다?
수입품이 대부분이거나 제조업이 약하면 후진국이라도 비싸요 / 극빈층은 아예 접근조차 못하고 중산층 이상을 타겟으로 잡고 영업하게 되지요. 더군더나 수도라면 더 그러지요.
가나 등 많은 아프리카는.. 공산품 제조가 거의 안되서.. 다 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수입합니다. 유럽이나 한국보다 당연히 훨씬 더 비싸죠.. 가나 코트디부아르에 있는 이마트 같은 수퍼는 1%국민들만 이용합니다. 슬프지만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부정부패로 인해 동남아시아에 비해서도 많이 열악합니다. 영알남님 유투브 항상 재밌게 잘 감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농업국가는 공장이 없어서 자체생산이 안되기 때문에 가공품이 거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 할 수 밖에 없고, 그래서 가격이 비싸집니다.
대신 로컬들 가는 시장가서 식자재 사면 상당히 싸죠...
동남아에 가서 현지인들 처럼 먹고 자고 하면 한달 생활비 얼마 안들지만, 한국수준으로 먹고살면 한국보다 더들어 가는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치토스 만원에 충격받고 갑니닫ㄷㄷ 에티오피아에선 과자도못먹겠네요😢😢
13년전에도 물가 비쌋어요. 저기 진짜 수입공산품 답없죠. ㅋㅋ
한국기업들어가면좋을듯요 유통쪽으로 몽골 동남아도 많이 진출했던데 아프리카는 인구도많고 발전가능성 큶 그래도 생각보다 많이발전했네요 좋네요 에티오피아 육이오참전국
We have to get an injection 보다 shot이 더 자연스러울것 같은데요...
인젝션은 왠지 뉘앙스가 마약에 가까운 느낌..
베트남도 보면 롯데슈퍼 같은 대형마트는 물건 가격이 엄청 싸지 않던데…그런 느낌인가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