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3년] 전기기능사 필기 이론 - 05강 전력과 전력량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2 окт 2022
  • 새로운 전기기능사필기 이론강의입니다.
    여러분의 자격증취득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산에듀는 항상 여러분과 함께하겠습니다.
    다산에듀의 홈페이지와 커뮤니티에 오시면 더 많은
    무료 공개자료와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에서는 이 영상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 교재구매 : 다산에듀 홈페이지
    www.e-dasan.net/
    ▶ 접속 ▶ 수강신청 ▶ 전기기능사필기
    www.e-dasan.net/shop-list.php...
    ■ 커뮤니티 : 네이버 다산에듀 공식카페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cafe.naver.com/dasanpass
    #전기기능사#전기기능사필기#다산에듀

Комментарии • 157

  • @user-su6st1bt4n
    @user-su6st1bt4n Год назад +5

    오늘 부터 시작 했습니다 . 열심히 하겠습니다.❤

  • @gorgeous9593
    @gorgeous959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강의 감사합니다

  • @Lottie9292
    @Lottie9292 Год назад +5

    감사합니다.
    1회째 강의완료

  • @jinlee3290
    @jinlee3290 Год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 @Jesuslovee709
    @Jesuslovee70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be4yz3vh2d
    @user-be4yz3vh2d Месяц назад

    감사합니다. 잘 배웠습니다.

  • @user-mh9ev3xp4f
    @user-mh9ev3xp4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4번문제
    V=PI 피상전럭 구하는 공식이므로 직렬에서는 전압이 분배된다.
    고로 전체전압을 공식에 대입하는 오류를 범하면 안된다.
    4번 문항은 '직렬'일 경우의 '소비전력'의 문제
    P=I^2R 사용

  • @jungbumlee7lee554
    @jungbumlee7lee55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는 이번에 공조냉동기능사 합격을 했는데 여기까지는 겹치는 부분이기도 하고 기초라 생각합니다. 수포였는데 애들한테 배워서 했습니다

  • @user-bk1fh5dx2o
    @user-bk1fh5dx2o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대부분의 댓글을 보면.. 문제가 어렵다고 하는데 1회독중인 저는 용어가 뇌로 가는 도중에 뇌가 용어를 단어로 인식을 안해서 그냥 머리가 띵해질 뿐입니다...
    특히 문제 나올 땐 그냥 저도 모르게 멍 때리게 되네요..
    비록 노력하면 나아진다지만
    지금의 저로써는 아직 까마득할 뿐이네요..😢

  • @user-mh9ev3xp4f
    @user-mh9ev3xp4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3회독중.. 6번문제
    P=I^2R 사용(전지와 외부저항R의 직렬연결)
    최대전력전달조건 r=R
    전지의 직렬접속 식 I= nE/nr+R 이용 I=4
    피상전력(전체RLC) 값이 아닌 최대전력(소비전력)W를 물어봤으므로
    P=I^2R, 4^2*15= 240W

    • @sssiii506
      @sssiii506 3 месяца назад

      최대 전력 구할때는
      P=VI 공식을 사용하면 안되는건가요?

    • @sssiii506
      @sssiii506 3 месяца назад

      왜 변환해서 구하는지 이해가 잘안되네요ㅠㅠ

    • @user-sj5ok8br2n
      @user-sj5ok8br2n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항이 두개라 부하저항 R에 걸리는 전압이라
      기전력 120을 P=VI에 쓰면 안되는거 같습니다.
      이 문제는 R에서 발생되는 전력 P를 구하는게 핵심이거 같구요.
      저항 R에서 발생하는 전력 P=I제곱xR=V제곱/R 중에서 쓸려면
      전체 전류 I를 구하거나
      저항 R에 걸리는 전압 V를 구해야 하는거죠.
      R에 걸리는 전압 V= IR인데 I가 없으니 전체 I를 구해야 해서
      I= V/R = E(기전력E가 하나라 V와 같다고 했응게)/R+r(직렬 이니까 저항 더해서)= 120/30=4
      R에 걸리는 전압 V=IxR=4x15=60
      전체 전류 I= 4, R에 걸리는 전압 V= 60, R=15
      저항 R에서 발생하는 전력 P=I제곱xR=V제곱/R 어느식을 써도
      답은 240이 나옵니다. 저도 까먹을까봐 여기다 메모해둡니다. ;;;

  • @user-ku8nx6kh9z
    @user-ku8nx6kh9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시간 단위를 공식마다 초,시 다르게 쓰니까 그게 가장 헷갈리네요

  • @heavenprinces
    @heavenprince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생의동반자가 있으면 얼마나 좋겠어요

  • @omaomagod01
    @omaomagod0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준비중인 중3입니다 파이팅합시다

    • @sunjun89041
      @sunjun89041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중3...🎉

    • @Gimozzi-meximum
      @Gimozzi-meximum 4 месяца назад

      중3이 왜 준비하니 ??

    • @namulnara
      @namulnara 3 месяца назад

      대단하네요 전 놀기바빴는데ㅎㅎ 파이팅입니다

    • @omaomagod01
      @omaomagod01 2 месяца назад

      @@namulnara 2개월만에 옵니다 전기기능사 80점 합격입니다 학생도 가능합니다

    • @Posadic_Playlist
      @Posadic_Playlist 2 дня назад

      ​@@omaomagod01 실기는 어떻게 되셨나요?

  • @user-dw4jp4gs8d
    @user-dw4jp4gs8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재는 따로 없어서 그런데 이론부분만듣는게 더이득일까요 아님풀이까지 봐야할까요? 비전공자고 산업기사 준비하려고 기본이론들어로 온거라 머가좋을지 책이 없으니 풀이는 머가먼지헷 갈려서요

  • @user-xc1re3ts9e
    @user-xc1re3ts9e Год назад +5

    본 동영상(5강)의 6번 문제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I 구할때 저항은 30인데 P 구할때 저항은 왜 15인가요?

  • @namulnara
    @namulnara 3 месяца назад

    6:49 앞에서 전력의 기호는 p 단위는 w라고 했는데 여기선 p×t가 w라서 햇갈리네요....?
    다시보고 왔는데 아직 잘 모르겠지만 이해한대로 적으면 전력은 p로 적고 단위는 w(와트), 전력은 w로 적고 단위는 wh(와트아워)로 쓰는건가요?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 @iiiiiii-sd9bd
    @iiiiiii-sd9bd 4 месяца назад +2

    1회독 하는 시간을 1주알로 잡으신게 시간이 지나면 앞부분 내용을 까먹게 되서 이해가 안되더라도 빨리 보라고 하신것같네요 지금 공부하는데 앞에서 배운 내용을 까먹어서 문제를 풀 수가 없어요 ㅋㅋㅋㅋ 특히 계산문제...ㅠ

  • @user-yw6zb7ky5s
    @user-yw6zb7ky5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다산에듀 서울지점 주말 강의 안오시나요?? 너무 팬입니다~~~ 어제 첫 수업 배웠는데 너무 재밌었습니다.

    • @elec7
      @elec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즐겁게 배우고 계신다니 좋은 기운이 듭니다. ^^*

  • @ji-wonchung
    @ji-wonchun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교수님 안녕하세요.
    6번 예제에서 질문드립니다.
    P = I 제곱 R, 여기서 전류를 구할 때는 저항값을 30 옴으로 헀는데, 전력을 구할 때는 어떤 이유로 15 옴으로 하여 계산하는건지 질문드립니다.

    • @user-ml4gm4lj9z
      @user-ml4gm4lj9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문제에서 물어보는 식은 와트는 몇이냐 여서
      P= v^2/R과 I^2*R로 구하는데 여기에 대입하는 R은 r+R이 아니고 그냥 R값을 원하는거같습니다 v^2으로 구하시려면 직렬연결이니까 v1 v2값 구하고 대입해보면 값이 일정하네요

  • @petery8920
    @petery8920 Год назад +14

    4:00에 100v x 5i면 500w인데 실수하셨네요 ㅎㅎ 이렇게 쉬운것만 알겠네요

    • @user-ei5of8km1d
      @user-ei5of8km1d 12 дней назад

      이런거 자막으로 정정해주셧으면 좋겠습니다..
      보면서 혼란스러웠어요
      제곱을 생략한건가? 루트가 생략된건가? 햇갈림..

  • @user-xc2nf8oj8b
    @user-xc2nf8oj8b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와~이번판 어렵다 어려워 ㅋㅋ

  • @k-utube
    @k-utube Год назад +17

    4:09 오타입니다. 100X5 = 500w인데 1000w로 판서되었습니다.

    • @0221kwg
      @0221kwg Год назад

      저도 이거보다 잉 뭐지 했는데 ㅋ

    • @user-sb1pg1sy6u
      @user-sb1pg1sy6u Год назад +1

      저도 뭔 소린지 몰랐음

    • @user-oz9fp1gl9t
      @user-oz9fp1gl9t Год назад

      오타 맞죠ㅜㅜㅜ 놀래라...

    • @user-ec8mc4bw2y
      @user-ec8mc4bw2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타 맞죠??? ㅠㅠ 제가 곱하기 못하는 줄 알았네요 계속ㅠ

  • @user-hq8eb7yd8g
    @user-hq8eb7yd8g Год назад

    가장이상적인 콘데서 설치방법에 정답인뭔가요?가장이상적인방법은 전부다 다 다는거지만 돈이많이든다는단점이있다고했는데 단점이있어서 답이 틀려지는가요?

  • @user-sj5ok8br2n
    @user-sj5ok8br2n 3 месяца назад

    2회독으로 하루에 5강씩 할려고 했는데 5강은 두번들어도 어렵네요. 전력에서 문제가 출제된다면 몇문제나 출제 될까요?

  • @user-cc6gg2pg2e
    @user-cc6gg2pg2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2회독 중입니다.
    8번문제 해설에 220V였던 전압이 왜 146V와 73V가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다른분이 똑같은 질문하셨는데 걸어두신 영상링크로는 직렬시에는 전력이 작은게 더 밝다. 병렬시에는 전력이 높은게 밝다는 결론은 알겠는데 해당 문제에서 전압이 왜 바뀌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원장님 도와주세요~

    • @user-ml4gm4lj9z
      @user-ml4gm4lj9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앞장에서 배우신 직렬병렬접속저항의 법칙을 아셔야됩니다.
      전구 직렬로 연결은 저항이 두개가 직렬로연결됬다는 뜻이여서
      전압은 직렬에서 v1 v2로 나뉘고 각각의 저항에 다른값으로 전압이 걸립니다
      전류는 동일 직류에선 반대!

  • @TheShawn96kr
    @TheShawn96kr Год назад +6

    안녕하세요 선생님
    책사서 수강하고 있습니다.
    3번 문제에서요,
    직렬일 때 P=I²×4r이고
    병렬일 때 P=I²×r/4니까
    이 식대로 하면 전력P는 직렬이 더 큰 거 아닌가요?
    P=V²/R=I²R

    • @jaegonlee4617
      @jaegonlee4617 Год назад

      맞아요..저도 이렇게 생각했는데 병렬접속이라고 하니 이해가 되질 않네요. 누구 아시는 분 답글 부탁드려요!

    • @user-tv6do6so4t
      @user-tv6do6so4t Год назад

      ​@@jaegonlee4617 소비 전력이 커질려면 저항이 낮아져야 합니다.
      소비전력이 크다 = 저항이 가장 작다
      저항을 낮게 가져가려면 전부 병렬로 연결 하여야 합니다

    • @user-ws2tq5rr1i
      @user-ws2tq5rr1i Год назад

      @@user-tv6do6so4t 직렬은 저항을 더하고 병렬은 저항을 곱하는데 병렬이 저항이 더 작나요??

    • @user-eo9gb9ee5q
      @user-eo9gb9ee5q Год назад

      병렬이 왜 저항을 곱하나요 합 분의 곱
      저항을 전부 10옴이라고 쳤을때 직렬 두개연결하면 10+10 해서 20이겠고
      병렬일때는 합분의 곱 20 분의 100 해서 5가 되겠네요 저항이 작아집니다

    • @koko22219
      @koko22219 Год назад +1

      해설이 설명이 잘안돼있어

  • @2insanea458
    @2insanea458 Год назад +3

    확실히 2회독째에는 좀 더 잘 들리네요

    • @elec7
      @elec7  Год назад +1

      네. 점점 더 편해지시는 것을 느끼실 것입니다.

  • @user-mk1hj2kk1r
    @user-mk1hj2kk1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우 재밌어요

  • @user-oi6ck7ci2p
    @user-oi6ck7ci2p 21 день назад

    3번문제) 직렬일 경우, 전압은 저항이
    4개이므로 4v가 되어서 (4v)^2으로 직렬과 병렬이 같아지는건 아닌가요?

  • @user-kv4sl8sv9l
    @user-kv4sl8sv9l 4 месяца назад

    53p 05번 문제에서 P=V*I 상태를 P=V^2/P로 고치지 않은 상태로 문제 풀이를 하면 답이 나오지 않나요?

  • @RainDrop12345
    @RainDrop1234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회독까지 이론만 빨리보고 넘기고 3회독부터 문제 풀어봤는데 겁나어렵네요.. 3주정도 남았는데 이거 가능할런지 4강까진 문제도 대부분 이해했는데 5강부턴 급 어려워지네

    • @elec7
      @elec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직 시간이 있습니다. 가급적 3회독을 한 후에 문제풀이를 권장드립니다.
      훨씬 큰 효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 @RainDrop12345
      @RainDrop1234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elec7선생님 문제풀이에서 R=P/I² 이런 공식이 나와서 뇌정지 왔는데 이런 공식은 무슨 영상을 봐야 알수있나요..
      일단 말씀대로 문제는 냅두고 빠르게 3회독 완강 할게요!

  • @user-ws2tq5rr1i
    @user-ws2tq5rr1i Год назад +2

    6번문제에서 I를 구할때 R은 외부저항15+내부저항15해서 30분의 120으로(I=R분의V) 4라는 숫자가 나왔는데
    그후에 P는 I제곱R을 구할때의 R은 왜 내부저항과 외부저항을 더한 30이 아닌 15인가요?

    • @mymelo_D
      @mymelo_D Год назад

      외부저항만의 전력을 구한 것 같습니다

  • @user-ju9jc1rq3f
    @user-ju9jc1rq3f 2 месяца назад

    15번 문제 영상해설이랑 교재해설이 다른데 어떤게 맞는건지요

  • @user-yx4iy2vv1o
    @user-yx4iy2vv1o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2:48전열기에서 저항을 올리는것보다 전류를 올리는게 제곱으로 효율적인거 아닌가요

    • @user-ug4bc5zy1u
      @user-ug4bc5zy1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력은 전압x전류라서 전류를 올리면 전력이 올라가고 전기세가 더 많이 나오겠네요. 그래서 저항을 올리는 게 장기적으로 효율적인거 같습니다.

  • @minajeong9962
    @minajeong9962 Год назад +2

    이번 강의보면서 난 안되는건가… 싶엇습니다.. 많이 노력해야될거같아요ㅜㅜ

    • @elec7
      @elec7  Год назад +1

      잘 해내실 수 있습니다.
      파이팅!!

    • @minajeong9962
      @minajeong9962 Год назад +1

      @@elec7 넵 세번봐서 안되면 네번다섯번 보겟습니다!!

  • @user-ig9yx3to7q
    @user-ig9yx3to7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식이 하나도 외워지지가 않아요 어떡하죠 문제푸는데 개념을 하나도 모르겠어서 스트레스 너무 받네요..

  • @user-es9hc9yj3v
    @user-es9hc9yj3v Год назад

    6번문제는 꼭 직렬로만 연결해야하나요?? 병렬로 연결하면 값 같은가요??

    • @woo_kong
      @woo_ko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부저항이 이미 전원과 직렬로 연결되어있어서 외부저항이 1개면 병렬은 불가능해요
      저항 하나 더 추가하면 병렬연결 하능해져요

  • @jinhan7795
    @jinhan7795 Год назад +1

    6번 문제에서 내부저항 15옴, 외부저항 15옴이면 저항합 30옴으로 계산을 하는게 아닌건가요??ㅠㅠ 모르겠습니다.

    • @shgdna332
      @shgdna332 Год назад

      2222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 @aee9028
      @aee9028 Год назад

      전체 전류 구할때는 저항을 더했지만 전력은 저 지점만 따지는 거라서 그런거 같네요

  • @abanghyun8342
    @abanghyun8342 Год назад

    5강은 심호흡 한번하고 들어야...

  • @user-pd3nm5iu8e
    @user-pd3nm5iu8e 3 месяца назад

    3번 문항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P를 구할 때 전압 부분에 IR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R곱하기I제곱이 됩니다. 그럼 소비전력은 저항과 전류 모두에 비례하고, 그렇다면 저항값과 전력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기에 직렬로 했는데 이렇게 푸니 오답입니다.

  • @user-sk5ql8zm2v
    @user-sk5ql8zm2v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문제풀때 t는 왜 다 초로 바꿔서 계산하나요?

  • @chu5810
    @chu581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력과 전력량 출제 예상문제 2번 전열선 저항 구하는 문제에서 P=V^2/R이 갑자기 왜 R=V^2/P가 되는거에요?😢 R 구하는 건 알겠는데 그 과정 없이 바로 나와서 모르겠습니다..😢

    • @user-ml4gm4lj9z
      @user-ml4gm4lj9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P=v*I 식에서 I= v/r을 넣어주면 p=v^2/R인데 여기값에서 R을 구하려면 옴의법칙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V^2=P*R이니 R= v2/P 원을 그리시고 위에는 v2 아래에는 반을갈라 p랑 R을 넣어서 생각하심됩니다

  • @studyingperson
    @studyingperso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42 전열기 전력

  • @user-ej8ph7kv6q
    @user-ej8ph7kv6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기능사 준비를 위해 강의 내용 정말 감사히 듣고 있습니다.
    그런데 4번부터 7번 문제 모두 P=V×I로 풀면 답이 안 나오는데
    문제의 어떤 문장을 보아야 P=I^2R 혹은 P=V^2/R을 써서 풀게 될까요?
    아니면 이전 강의에서 제가 어떤 부분을 놓쳐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인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woo_kong
      @woo_ko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항은 고정값이지만 전압, 전류는 계속 변하니깐요

    • @user-ym9cc9co2l
      @user-ym9cc9co2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ruclips.net/video/6O75pVy-Ie0/видео.html 이 내용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전병칠 선생님과 같은 학원의 선생님 영상입니다.

  • @cms8112
    @cms8112 Год назад +1

    이과긴 한데 생물 화학이 좋아 이과간 수포자입니다.
    여러분 공학용 계산기는 신이 만든 선물입니다.
    저같은 수포자도 공식과 대입능력
    그리고 아주 약간의 생각할 머리통으로도
    답을 찾아냅니다.
    그러니 여러분 다같이 힘냅시다.
    멍청한 저도 어떻게든 해냅니다.
    어떻게든 답이 나오니
    수학이 재미있기도 합니다.
    이리저리 답을 찾아볼려고 먼저 이것저것 시도해보는게 또 재미있습니다.
    그러다 선생님이 내가한것보다 너무나도 간단하게 답을 찾아내는걸 보고 또 신세계를 경험합니다.
    하루하루 사과가 왜 아래로 떨어지는지 증명해낸 뉴턴이 된 기분을 만끽합니다.
    여러분들도 이런 재미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 @elec7
      @elec7  Год назад +1

      즐거운 말씀 감사합니다.

  • @-_-6909
    @-_-6909 3 месяца назад

    4,5번 문제
    이거 그냥 p=iv 공식으로 풀면 안되는 이유가 어떻게 되죠?

  • @user-un8rk2my5n
    @user-un8rk2my5n Год назад +1

    3:57 왜 천와트에요?

  • @user-mk1hj2kk1r
    @user-mk1hj2kk1r Год назад

    열량은 0.24i제곱rt

  • @user-ps2sz7jp9c
    @user-ps2sz7jp9c 2 месяца назад

    에듀윌 2024버전에는 문제가 없는건가요.. 안보이네요

  • @dalpang846
    @dalpang846 Год назад +1

    문제를 너무 간단하게만 알려주시면데 2회차, 3회차에는 이해가 가능할까요?ㅠㅠ 정말 고민입니다.

  • @Tennis_GENTLE
    @Tennis_GENTLE Год назад +1

    2회독중 문제 슬슬 푸는데 어후.. 어렵습니다 ㅠ

    • @elec7
      @elec7  Год назад +2

      조금씩 나아지는 느낌을 받으면 됩니다.
      너무 심려치 마시고, 계속 나아가 주세요!

  • @user-jr3nh3mh4v
    @user-jr3nh3mh4v Год назад

    책갈피 17:30

  • @Lrjswn
    @Lrjswn Год назад +4

    04:53 4배인것 같아요!

    • @lip9847
      @lip9847 Год назад

      4배인거 같아요가 아니라 4배입니다.
      잠시 착각하신거 같아요.

    • @barnacle14
      @barnacle14 Год назад

      @@lip9847 왜 4배인지 설명 좀 해주시면 안되나요??

    • @97BJ
      @97BJ Год назад +1

      @@barnacle14 I,V가 2배가 되면 P는 2의 제곱인 4배가 됩니다!

  • @user-hv4zp5oq3w
    @user-hv4zp5oq3w 23 дня назад

    8:27 10:30

  • @user-hz6dq6ed5l
    @user-hz6dq6ed5l Год назад +7

    5번 문제에서 P=V²/R 에 대입하지말고
    P=VI에 대입해서 반으로 줄어서 500w가 왜안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 @koreanmachina
      @koreanmachina Год назад

      P=VI도 풀어보면 V곱I(I=V/R)이니까 I에도 대입해야 하는 V가 하나 더 들어가서 그런 것 같습니다

    • @user-yv9rf6dd1g
      @user-yv9rf6dd1g Год назад +2

      저항이 일정하다고 가정을하고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니면 R=V/I라서 V가 반이 될때 I가 반이 될지 R이 반이될지 모르는거 아닌가요 저항이 고정이고 전압이 반이 될때 전류가 반이된다고 생각하면 1/4배이고 전류가 고정이고 저항이 반이되면 1/2로 나오는거 같은데
      *교재보니까 전기를 사용하는 저항인 제품이 안바뀌니까 저항을 고정시킨거 같네요

    • @o-0-O_O-0-o
      @o-0-O_O-0-o Год назад

      @@user-yv9rf6dd1g감사합니다.

    • @Jiolv
      @Jiolv Год назад +1

      댓글에 3분간 뇌가 멈췄네요 ㄷㄷ 결국엔 VI=P가 성립할 수 있는 것도 옴의 법칙이 있기 때문인데 보이는대로 VI가 끝 해버리면 답이 없군요

  • @user-un8rk2my5n
    @user-un8rk2my5n Год назад +1

    14번 k면 10에 3승 아닌가요?

  • @user-qr1xz7hs9f
    @user-qr1xz7hs9f 17 дней назад +1

    3독중인데도 처음이랑 똑같이 뭔 소린지 모르는 중

  • @inframince80
    @inframince8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음.. t가 초였다가 hour였다가.. 식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건지.. 교재가 있어도 강의 중간중간 자꾸 물음표를 띄게 되네요.

  • @user-cn9mz7dd6e
    @user-cn9mz7dd6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04:20 100x10 아닙니까?

  • @user-ig4gu3kg6q
    @user-ig4gu3kg6q Год назад +1

    8번문제 해설에 v제곱이 146 ,73인데 어떻게 146 73이 되었을까요...부탁드립니다

    • @user-uu8pf2xp8b
      @user-uu8pf2xp8b Год назад +2

      직렬이여서 전압이 저항의 양에 비례해서 분배가 되니 그렇게 나눠진거 같아요

    • @user-zk5ui6cc9l
      @user-zk5ui6cc9l Год назад

      저도 이해가 않되네요~~좌절입니다....

    • @user-hm5di8xk9m
      @user-hm5di8xk9m Месяц назад

      저도 궁금해요

  • @user-hv4zp5oq3w
    @user-hv4zp5oq3w 23 дня назад

    23:11

  • @HTChoi-qo9ux
    @HTChoi-qo9u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회차
    단위변환하는데 조금 시간이 걸린다

  • @Posadic_Playlist
    @Posadic_Playlist 2 дня назад

    2024.05.30

  • @user-oz9fp1gl9t
    @user-oz9fp1gl9t Год назад +1

    5번 문제 p=vi로는 왜 풀수 없나요.
    .?

    • @elec7
      @elec7  Год назад +2

      이 영상을 참고하시면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ruclips.net/video/mbHqzAxA6rU/видео.html

  • @RainDrop12345
    @RainDrop1234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식이 변형되는게 있어서 좀 어렵네요

  • @user-wj9ho2cp5t
    @user-wj9ho2cp5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허....처음에는 t가 시라고 하셨는데 15번에서는 t가 초라고 하시고. 어허...제가 놓치고 있는게 뭘까요.ㅠ

  • @user-wu1ks9cx3s
    @user-wu1ks9cx3s 2 месяца назад

    240328 완료

  • @user-zk5ui6cc9l
    @user-zk5ui6cc9l Год назад

    8번 문제에서 왜 100W 전구의 V제곱이 146 제곱이 되고 200W 전구의 V제곱이 73제곱이 되는지 이해가 않됩니다. 제발 답 좀 주세요....😅😅😅

    • @elec7
      @elec7  Год назад

      아래 링크의 영상을 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ruclips.net/video/J1LG1vQXM-A/видео.html

    • @user-hm5di8xk9m
      @user-hm5di8xk9m Месяц назад

      146과 73을 설명에 넣었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참고영상은 P=I2R로 W의 크기로 이해 할 수 있는데 8번 해설은 P=V2/R로 W표시하니 이것을 해결하고픈 마음입니다.
      원장님 말씀대로 직관적으로 넘어갈 생가도 하지만 .. 146과 73이유를 ㅂ부탁합니다.

  • @RAFALE
    @RAFALE 2 месяца назад

    9:57

    • @Posadic_Playlist
      @Posadic_Playlist 2 дня назад

      니가 왜 여깄냐 노엘아

    • @RAFALE
      @RAFALE 2 дня назад

      @@Posadic_Playlist ㅋㅋㅋㅋ 쉿

  • @zamambo84
    @zamambo84 Год назад

    I 구할때 저항은 30인데 P 구할때 저항은 왜 15인가요?

    • @elec7
      @elec7  Год назад

      교재의 페이지와 문제번호를 알려주시면 조금 더 좋은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user-ei5of8km1d
    @user-ei5of8km1d 12 дней назад

    에듀윌로 갈아타야하나..

  • @heesunlee5859
    @heesunlee585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023-12-17 1회독

  • @Yootube0329
    @Yootube0329 Год назад

    뭔가계산식에서 조금씩 실수가 계속 있어서 집중이 잘 안돼요

  • @user-fx5qp4pm6l
    @user-fx5qp4pm6l Год назад +7

    요즘 MZ세대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는 신조어
    전병칠+아버지의 합성어로 전병칠 강사를 아버지처럼 자상하고 인자하게 느끼는 젊은이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는 것이다.
    , 참 재미있고 따뜻함이 묻어나는 신조어이다.

  • @user-nr3rr7vd2t
    @user-nr3rr7vd2t Год назад +1

    아이고 두야

  • @user-vy2dl2ng1y
    @user-vy2dl2ng1y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도대체 왜 22번 문제 해설에 왜 10의3제곱이있는거에요?
    하……..

  • @user-sb1pg1sy6u
    @user-sb1pg1sy6u Год назад +1

    어렵다 어려워

    • @elec7
      @elec7  Год назад +2

      처음에는 잘 안들리고, 안 읽히는 것이 정상입니다.
      그래도 회독이 지날수록 점점 밑그림이 그려지며
      귀가 트이고 눈이 밝아지는 경험을 하실테니,
      조금 어렵더라도 같이 힘내서 가보죠!
      파이팅!!

    • @user-sb1pg1sy6u
      @user-sb1pg1sy6u Год назад +1

      @@elec7 네 선생님 ㅠㅠㅠㅠ
      열심히 분발하겠습니다.

    • @user-sb1pg1sy6u
      @user-sb1pg1sy6u Год назад +2

      @@elec7 덕분에 합격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에 전기산업기사
      응시할 때, 또 도움을 빌리겠습니다.

    • @user-sb1pg1sy6u
      @user-sb1pg1sy6u Год назад +2

      @@user-bh6ry7hl8x 감사합니다 ㅎㅎ
      아직 시간 충분하시니 3회독 돌리시고 천천히 기출문제 푸시다 보면 시험 합격하실 수 있을 겁니다. 화이팅!!!

    • @YJ_DW1o42
      @YJ_DW1o42 Год назад +1

      ​@@user-sb1pg1sy6u 수포자도 포함인가요?ㅜㅜ 기초수학 전기용어집을 봐도 이거 이해가안되는데 걱정이네요ㅜㅜ

  • @user-yb8jz4ok6p
    @user-yb8jz4ok6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머리가 뜨거워요

  • @Fshdhu
    @Fshdhu Месяц назад

    내이름 한동규다

  • @zamambo84
    @zamambo84 Год назад

    6번문제 좀 이상한데...확인 부탁드립니다.

    • @elec7
      @elec7  Год назад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어떤 부분이 이상하거나 의문이 나시는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질문해주시면 관련내용을 검토해보겠습니다.

    • @zamambo84
      @zamambo84 Год назад

      @@elec7 문제가 잘못된것이 아니고 이해가 잘 안되었습니다. 다시 질문 드리자면... I 구할때 저항은 30인데 왜 P 구할때 저항은 15인거죠?

    • @user-jy3fb9yn5y
      @user-jy3fb9yn5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조금더 구체적으로 질문해달라면 머합니까? 답변을 안주시는데@@elec7

  • @user-qc5nh2mo5e
    @user-qc5nh2mo5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문제풀이 17:33

  • @user-yx4iy2vv1o
    @user-yx4iy2vv1o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실수나 글 실수가 몇개 있네요..

    • @heavenprinces
      @heavenprince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몇개실수하는지 찾으러 다니시는 이유가?

    • @user-oq8nm1zo2r
      @user-oq8nm1zo2r 4 месяца назад

      @@heavenprinces헷갈리잖아 교재랑 다르니까 자세 존1나 불편하게 앉아있네 ㅋㅋ

  • @user-lb8nq2ub3r
    @user-lb8nq2ub3r Год назад +1

    머가리가 너무 뜨거워요...

  • @user-fj3ze3fg6x
    @user-fj3ze3fg6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zamambo84
    @zamambo84 Год назад

    본 동영상(5강)의 6번 문제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I 구할때 저항은 30인데 P 구할때 저항은 왜 15인가요?

    • @user-fw4bc7ln2w
      @user-fw4bc7ln2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회로전체에 흐르는 전류값을 구하려고 두 저항값을 더해 30인겁니다. 문제에서 구하라는 p는 회로전체가 아니고 외부저항의 전력을 구하라고 해서 15입니다

  • @user-qv7kp3gv1u
    @user-qv7kp3gv1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력과 전력량 출제 예상문제 2번 전열선 저항 구하는 문제에서 P=V^2/R이 갑자기 왜 R=V^2/P가 되는거에요?😢 R 구하는 건 알겠는데 그 과정 없이 바로 나와서 모르겠습니다..😢

    • @user-ml4gm4lj9z
      @user-ml4gm4lj9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P=v*I 식에서 I= v/r을 넣어주면 p=v^2/R인데 여기값에서 R을 구하려면 옴의법칙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V^2=P*R이니 R= v2/P 원을 그리시고 위에는 v2 아래에는 반을갈라 p랑 R을 넣어서 생각하심됩니다

  • @zamambo84
    @zamambo84 Год назад +1

    본 동영상(5강)의 6번 문제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I 구할때 저항은 30인데 P 구할때 저항은 왜 15인가요?

    • @user-ek3mx4xi8g
      @user-ek3mx4xi8g Год назад

      최대전력전달조건이 내부저항=외부저항 이기때문입니다

    • @zamambo84
      @zamambo8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ek3mx4xi8g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씀해 주신 조건은 저도 인지하고 있습니다만... 22:42 여기서 두가지 방법으로 계산을 하는데 첫번째 계산에서는 R에 30을 넣고 두번째 계산에서는 R에 15를 넣어 계산하는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분명 두 식 모두 P를 구하는 식이고 맨앞에 등호도 있으며 같은 R 이라는 미지수를 사용하고 있는데 말이죠...

    • @user-ku8nx6kh9z
      @user-ku8nx6kh9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부하저항R을 연결했을때의 전력을 구하라는 문제인데,
      전체저항 30이라는 것은 내부저항(쉽게 말해 건전지 내부의 저항)과 외부저항을 모두 합친것이죠.
      하지만 문제에서 구하라는 전력은 건전지와는 관련없이, 따로 연결한 어떠한 외부저항에 대한 전력이죠.
      그래서 건전지를 제외한 외부저항 15옴만을 사용해 공식에 대입해야 합니다.
      최대한 풀어서 설명했는데 이해가 안되신다면 댓글 달아주세요

    • @zamambo84
      @zamambo8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ku8nx6kh9z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