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1 에 나온 내용은 틀린 내용입니다. 강의 중 응력의 크기가 에타(n)이고 값은 0.85fck라고 설명하는데, 값이 에타(n) x 0.85fck 입니다. 에타는 0.85fck앞에 곱해지는 값이지, 응력의 크기를 지칭하는 문자가 아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강의에 해놓았습니다. 저도 강의를 찍고 공부하다가 알았네요ㅠ.
추가 수정 내용) 2:55 '설계가정-1)' 에 기재된 (입실론)cu = 0.0033 입니다. 기존에는 0.003이 맞았으나 21년? 22년? 기준으로 0.0033으로 변경됐습니다. 또한 입실론cu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제가 언급한 0.0033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40MPa 이하일 때입니다. (대부분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그 이상에서는 10MPa 강도 증가시 0.0001씩 감소시키면 됩니다. e.g)콘크리트 압축강도 = 50MPa 라면 입실론cu = 0.0032
13:11 에 나온 내용은 틀린 내용입니다.
강의 중 응력의 크기가 에타(n)이고 값은 0.85fck라고 설명하는데, 값이 에타(n) x 0.85fck 입니다.
에타는 0.85fck앞에 곱해지는 값이지, 응력의 크기를 지칭하는 문자가 아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강의에 해놓았습니다.
저도 강의를 찍고 공부하다가 알았네요ㅠ.
추가 수정 내용)
2:55 '설계가정-1)' 에 기재된 (입실론)cu = 0.0033 입니다.
기존에는 0.003이 맞았으나 21년? 22년? 기준으로 0.0033으로 변경됐습니다.
또한 입실론cu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제가 언급한 0.0033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40MPa 이하일 때입니다. (대부분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그 이상에서는 10MPa 강도 증가시 0.0001씩 감소시키면 됩니다. e.g)콘크리트 압축강도 = 50MPa 라면 입실론cu = 0.0032
와... 진짜 내가 낸 등록금 여따가 쓰고싶네 뭔 교수님보다 이해가 훨씬 잘됨ㅋㅋㅋ 대박입니다 형님
ㄹㅇ ㅠㅠ혹시 건대세요? 저와 똑같네요
사랑합니다
잘보고갑니다!!! 설명 진짜 너무 잘하세요👍
지식나눔 훌륭하세요!
진짜 너무 감사합니다 진짜 이해가 너무 잘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좋아여.. 잘가르치고
너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