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적층수는 몇단까지 확대될까? 어떤 기술 난제가 있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июн 2024
  • HBM 적층수는 몇단까지 확대될까? 어떤 기술 난제가 있나?
    00:00 인트로
    00:38 - HBM 시장의 현재 상황과 향후 전망
    01:01 - 8단 및 12단 HBM 개발 현황
    01:24 - HBM의 속도와 용량 증가 필요성
    02:34 - 미세 구조 조정을 통한 효율성 증대 방안
    03:01 - 최종 고객과 메모리 회사 간의 기술 조율 과정
    03:39 - 표준화 단체의 역할과 중요성 강조
    04:05 - 12단 HBM의 양산 준비 상태와 특징
    06:10 - 범프 기술의 현황 및 미래 개발 방향
    09:22 - 언더필 재료와 열 관리 기술의 중요성 강조
    11:09 - TC 본딩 장비의 역할과 리플로우 과정의 장점
    12:00 - NCF 기술과 그 적용 가능성
    13:59 - 본딩 기술의 다양성과 장비 공급업체의 역할
    15:02 - 패키징 기술의 표준화와 하이닉스, 삼성의 기술 전략 비교
    18:30 - 생산성과 신뢰성이 패키징 기술 선택에 미치는 영향 평가
    20:00 - 기술적 한계와 그 극복 가능성에 대한 전망
    21:04 - HBM4의 새로운 두께 표준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
    25:03 - HBM 기술의 열관리 문제와 해결 전략
    28:03 -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의 가능성과 적용 분야
    32:36 - 고객사의 테스트 요구와 HBM 제품의 검사 문제
    33:25 - HBM 패키징의 검사 필요성 및 기술적 도전
    #김학성 #한양대학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HBM #MUF #NCF
    --------------------------------------------------------------------------------------------------
    AI반도체 시대, 패키징 강자가 시장을 주도한다
    : 디일렉 『2024 어드밴스드 반도체 패키지 혁신기술 콘퍼런스』
    2024년 04월 24일(수) 10:00 ~17:00 코엑스(COEX) 컨퍼런스룸 307호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513)
    (yelec.kr/product/thelecadvanc...)
    [오프라인 행사 개요]
    행사명 : 2024 어드밴스드 반도체 패키지 혁신기술 콘퍼런스
    일시 : 2024년 04월 24일(수) 10:00 ~17:00
    장소 : 코엑스 콘퍼런스룸 307호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513)
    주최/주관 : 디일렉 / 와이일렉
    규모 : 선착순 100명
    참가비용 : 사전등록 440,000원(VAT 포함)
    등록마감 : 2024년 4월 23일(화) 18시(조기마감시 현장등록 불가)
    행사문의 : 디일렉 김상수 국장 kss@thelec.kr 010 5278 5958
    [참고 사항]
    ◦ 세미나룸 인원 제한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현장 참석자, 9시부터 사전 입장 가능합니다.
    ◦ 발표자료는 공개를 허락한 연사에 한하여, 파일 형태로 제공합니다.
    ◦ 콘퍼런스 비용 입금 시, 회사명 또는 등록자명으로 입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은행 1005 - 803 - 563727 예금주 디일렉)
    *발표주제 및 연사자는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세금계산서 발행은 무통장 입금 결제만 가능합니다.
    ◦ 참가확인증 - 콘퍼런스 종료 후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취소안내 - 행사 2일전 까지 환불 신청 가능. 이후에는 환불 불가합니다.
    - 개인별 주차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
    ※ 디일렉 멤버십
    멤버십 안내 ( • 디일렉 유튜브 멤버십 개설했습니다. )
    멤버십 가입 ( / @theelec9812 )
    ※ 디일렉 멤버십 혜택
    [디일렉 영상 빨리 보기]
    디일렉 라이브 영상과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모두 '무료'이지만,
    라이브 다시보기는 멤버십 회원 전용으로 혜택을 드리고 있습니다.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46

  • @user-sv2pd1xu8p
    @user-sv2pd1xu8p Месяц назад +2

    영상 감사합니다

  • @hiview76
    @hiview76 Месяц назад +2

    자세한 정보 고맙습니다.

  • @freesouli7027
    @freesouli7027 Месяц назад +1

    너무 감사합니다!

  • @kwon-illee6362
    @kwon-illee6362 Месяц назад +9

    DDR 버젼이 올라가면서 같은 클럭당 데이터 전송량을 늘렸듯이 TSV 개수는 놔두고 데이터 보내는 속도를 높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홀이 늘어나면 면적에 손실이 오기 때문에 계속 두배씩 늘리는 식으로 나가진 않을 겁니다.

    • @user-zz5bc3ye7f
      @user-zz5bc3ye7f Месяц назад +1

      클럭을 높히면 신뢰성 문제+발열 있어 그냥 io 위주로 늘리는게 낫습니다.

  • @user-dj9rh7rq9m
    @user-dj9rh7rq9m Месяц назад +3

    팽팽한 긴장감 굿

  • @user-cg6mz3ol9u
    @user-cg6mz3ol9u 13 дней назад

    와 전공분야 석사들 수업에서나 나올만한 내용을 듣게되니 좋네요 리플로우시 셀프얼라인!! 신박하네요 에스티아이에서 플럭스리스 공법이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 @user-we5uu5bz2i
    @user-we5uu5bz2i Месяц назад +1

    삼성은 싱카와 본더아닌가요?

  • @user-ty4vf4tg5s
    @user-ty4vf4tg5s Месяц назад +2

    제덱에서 두께 유지(삼성 마이크론) 두께 줄여도됨(닉스) 누가 마진 더있나? 지금대로유지하면 닉스 현재공정으로 1위 유지가 더 쉬움

  • @user-kq9vi5yq6j
    @user-kq9vi5yq6j 26 дней назад

    MUF사용하면 공정이 많이 줄어든다고 하네요.. 원감 절감된다는 뜻이죠

  • @bmnmasterphysicaltherapist4087
    @bmnmasterphysicaltherapist4087 Месяц назад +1

    두께 해결을 위해서 유리기판이 필수죠 필옵틱스

  • @user-ty4vf4tg5s
    @user-ty4vf4tg5s Месяц назад +5

    성공해서 퀄 못받아본 삼성이 MRMUF 가 단수높아지면 힘들꺼다라고 하는게 웃김.

    • @user-gj4zm2pe5y
      @user-gj4zm2pe5y Месяц назад +2

      사실 뭐 이상할 건 없죠. 원래 기술에도 장단이 있으니까요

  • @user-nm1wp9wt4r
    @user-nm1wp9wt4r Месяц назад +4

    삼전은 HBM3 포기하고 HBM3E 가는데 테스트만 하다가 연말 넘김니다. 기술이 안됨. 안타까움, 1년 지나면 하닉은 HBM4 할테고,,

  • @user-jp1mg1qf7r
    @user-jp1mg1qf7r Месяц назад

    핏짜

  • @user-gj5xz9on3d
    @user-gj5xz9on3d Месяц назад +1

    엄청 조심스럽게 말하시네요. 행간을 잘 읽어야 할듯.

  • @mrwhy9124
    @mrwhy9124 Месяц назад

    얇아지만 눌러 붙일때 깨질거 같은데...

  • @user-tk5ox7pk5r
    @user-tk5ox7pk5r Месяц назад +2

    😂😂뭔소린인지 모르겠지만 한미반도체는 앞으로 20만원까지는 갈듯

  • @user-rk4jd7ev3g
    @user-rk4jd7ev3g 5 дней назад

    하이닉스 수성 가능한가??? ㅋㅋㅋ 마치 경쟁국 기업 얘기하듯 하는구만~ 차라리 마이크론 따라 잡는다고 얘기해라~ 시레기야~

  • @young1151
    @young1151 Месяц назад +4

    현직입니다 삼성주식사세요

    • @jtghfghusce
      @jtghfghusce Месяц назад

      평택공장에 용접 잘 되고있죠?

    • @LifeHistory287
      @LifeHistory287 Месяц назад

      그래서 Nvidia 퀄 받아서 납품한답니꽈?

    • @user-jv3bc7pt3z
      @user-jv3bc7pt3z Месяц назад

      많이사세요 님이나

    • @1634gj
      @1634gj 11 дней назад

      아직까지도 퀄 통과 못함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rk4jd7ev3g
      @user-rk4jd7ev3g 5 дней назад +1

      하이닉스 수성 가능한가??? ㅋㅋㅋ 마치 경쟁국 기업 얘기하듯 하는구만~ 차라리 마이크론 따라 잡는다고 얘기해라~ 시레기야~

  • @user-wz4cb2sw3u
    @user-wz4cb2sw3u Месяц назад +1

    전문적인 기술적인 것보다,시청자는 일반적인 것을바란다.

    • @hiview76
      @hiview76 Месяц назад +1

      공부를 하셔서 실력을 키우시면 됩니다

    • @jtghfghusce
      @jtghfghusce Месяц назад +2

      최대한 쉽게 잘 설명해 주시는데요? 피자, 박스, 오징어 굽기... 뭘 더 바라시는지

    • @user-qc8ff7en7d
      @user-qc8ff7en7d Месяц назад +1

      안보면 되지 않나 참

    • @user-rk4jd7ev3g
      @user-rk4jd7ev3g 5 дней назад

      하이닉스 수성 가능한가??? ㅋㅋㅋ 마치 경쟁국 기업 얘기하듯 하는구만~ 차라리 마이크론 따라 잡는다고 얘기해라~ 시레기야~

  • @user-fc9gw2bq5s
    @user-fc9gw2bq5s Месяц назад +1

    좋은 내용 설득력있는 대화 감사합니다 한가지 기자님들 턱좀 괴지 마셔요 설득력이 반감됩니다 보기에도 아름답지 않고요,

  • @user-jv3bc7pt3z
    @user-jv3bc7pt3z Месяц назад +2

    삼성 이재용 마이너스손 한미반도체나 sk기술 따라갈려면 수율잡으려면최고2-3은 간다

  • @user-cb9ss8do3o
    @user-cb9ss8do3o Месяц назад +9

    Hbm파이를 둘이서 나눠먹는다 쳐도 11조씩
    11조를 삼성 하이닉스 매출에 비교하면 삼성은 5%도 안되고 하에닉스는 15%조금 넘음
    심지어 매출이익이 최고점이었던 21년에 미치지도 못함
    결과는 알아서 판단하도록

    • @user-jp1mg1qf7r
      @user-jp1mg1qf7r Месяц назад

      하이닉스가 독식하지 않을까요? 50조 중에 10조 이상이 HBM이면.. 이익이 얼마나 될지 기대되는군요

    • @user-gj4zm2pe5y
      @user-gj4zm2pe5y Месяц назад +3

      @@user-jp1mg1qf7r 독식 못하죠. 지금도 삼성이 hbm시장 30~40%먹고 있어요. 에널리스트들도 삼성이 3과 3e 할거라고 생각중인데 올해내로 하면 케파가 많은건 삼성이에요. 나오기만 하면 시장 빠르게 따라갈 수 있어요.
      물론 지금 하닉이 비싸게 거의 다 해먹고 있는데, 어짜피 그 주가는 다 반영되었고 내년에 삼성이 해서 따라갈 수 있으냐를 봐야죠.
      그리고 hbm은 더 커질것이라 5%이정도에서 그치지 않고, 더 중요한 점은 hbm만들면 그만큼 디램 못만들어요. 공장케파 차지하니까요. 이미 하닉이 거의 절반가까이 공장케파 잠식합니다. 그 말은 디램가격 상승이 일어난단 말이고, 디램부족사태가 일어나면 가장 큰 수익은 공장이 하닉보다 2배가 넘는 삼성이죠.

    • @user-jv3bc7pt3z
      @user-jv3bc7pt3z Месяц назад

      수율이나보고 말씀하세요 처참한 삼성의수율을

    • @user-rk4jd7ev3g
      @user-rk4jd7ev3g 5 дней назад

      하이닉스 수성 가능한가??? ㅋㅋㅋ 마치 경쟁국 기업 얘기하듯 하는구만~ 차라리 마이크론 따라 잡는다고 얘기해라~ 시레기야~

  • @nznamchoi
    @nznamchoi Месяц назад +3

    세부기술에 대해 너무 자세히 물어보네요..보기에도 부담스럽네요

    • @user-gj5xz9on3d
      @user-gj5xz9on3d Месяц назад +4

      그게 중요한거니까요

    • @parkminjaee
      @parkminjaee Месяц назад +3

      독자들이 궁금한걸 물어보는게 당연한거인데 ㅋ

    • @jtghfghusce
      @jtghfghusce Месяц назад +2

      언론매체가 하는 일이 그건데

    • @rodion9603
      @rodion9603 Месяц назад +2

      자세하게 말해주는게 여기 강점인데 당연하죠. 아니면 삼프로 같은거 보고 말지

    • @user-rk4jd7ev3g
      @user-rk4jd7ev3g 5 дней назад +1

      하이닉스 수성 가능한가??? ㅋㅋㅋ 마치 경쟁국 기업 얘기하듯 하는구만~ 차라리 마이크론 따라 잡는다고 얘기해라~ 시레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