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보다가 궁금한게 하나 생겼습니다! 작은 면적을 a 로 놓고 큰면적을 b 라고 칭할때 pressure at a 하고 b 가 왜 똑같다는 가정을 하나요? 영상에서는 그이유를 액체는 어디에서 압을 가하든 모든곳에서 경험하는 pressure는 같다라고 하셨습니다. 배운것중에 물높이가 다르면 pressure 도 다르다고 배운게 기억이납니다 예를들자면 manometer 같은 경우요! a 와 b 에서으 액체높이가 다르니 pressure 가 다른거 아닌가 라고 생각햇엇는데 제가 어디서 헷갈리는걸까요. 이건 manometer하고는 다른 케이스일까요.....?
음.. 질문에서 늦겨지는 내공이 .. ^^ 나중에 캘리퍼에 대해서. 낱낱히 리뷰해볼게요. 픽스트 타입을 한국말로 대향식이라고 하는군요. ^^ 한국말 잘만들엇네요.. 픽스드는 여기 영상에서 보이듯이, 유압은 모든 곳에 골고루 동일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피스톤이 양쪽에 있는 픽스드 캘리퍼는 말씀하신데로 feedback 이 일정하여, 고급이나 스포츠카에 많이 쓰이구요. 플로팅은 피스톤이 비대칭이라. 늘 피스톤쪽 패드가 로터에 먼저.닿는 문제가 잇어요. 거기에.. 이건 제작사만 아는 문제지만.. 슬라이딩 핀이 제동시 슬라이딩이 원할하게 잘 될때만 디자인 성능이 나옵니다. 그래도 요즘 싸게(피스톤이 젤 비싸고 복잡해요) 아주 잘만드는 플로팅이 많아졌지요^^
브레이크에 관련해서 질문을 드리려 합니다. 예전에 타던 쌍용 코란도패밀리를 중고로 사서 탔는데 브레이크를 밟으면 우측 앞 캘리퍼가 먼저 잠겨서 우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있어서 매우 위험한 상황이 있었어요. 브레이킹시 핸들은 좌측으로 돌려야 했지요. 참고로 abs는 아니었어요. 캘리퍼도 바꾸고 부스터에서 캘리퍼간의 라인도 바꿔도 현상은 동일 했어요. 나중에는 후륜 브레이크 금속관이 터지기도 했어요. 원인을 센터에서도 모르겠다고 하더라구요. 답글로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지난주 라이브에서 논의됐던 BENZ차량 브레이크 센서에 관해서 다시 문의 드립니다.2014년 GL470모델에는 오른쪽 앞, 뒤로만 센서가 들어가고 캘리퍼에 센서 컨텍터가 있습니다.그리고 왼쪽은 아예 컨넥터 자체도 없고 패드에도 Indicator가 없는것을 확인했습니다.그렇다면 이 손님차는 왼쪽 앞이나 뒤에서 캘리퍼 이상으로 생긴 문제는 패드가 다 닳아서 디스크를 망가뜨리기 전에는 알 수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네요.단지 제조사에서 경비 절감 차원에서 이렇게 만든건가요?이렇게 고급차에서 그런거 같지는 않은데요.
LEO님 팔로업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L470 모델 찾아보니, 전륜은 조수석쪽 안쪽 패드에만 웨어센서가 있네요.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유를 찾아보니, 보통의 경우 (?^^), 좌우 바퀴의 브레이크가 비슷한 양으로 마모되기 때문에 비용절감으로 삭제했다네요. 그런데 이런 경우, 한쪽캘리퍼나 로터에 이상이 생겨 이상마모가 될 경우 경고등은 뜨지 않고. 느낌과 소리로만 감지해야하는 상황이 드물게 나타날수도 있겠습니다. 사진상으로 보니 PAD EAR부위에 기계식 마모 클립도 없는걸 보니, 패드의 이상마모시 감지가 어려운 일이 왕왕 벌어지지 않을까 추정은 되네요 ㅠㅠ
질문있어요. 브레이크 패드 릴리즈에 대한 메카니즘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압이 걸려서 마스터를 통해 캘리퍼 피스톤을 밀어내는 파스칼 법칙은 이해가 되는데, 부스터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로면 캘리퍼 쪽에서 마이너스 압력이 생기고 패드를 잡고 있던 패드가 릴리즈되어 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인데, 뒷바튀의 경우 나사선을 피스톤이 타고 돌면서 움직일때 전진/후진의 저항성이 커서 고착날 확율이 높은데 이런 구조를 쓰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실제 핸드브레이크를 당기면 볼트가 회전할거슈같지만 회전하지 않고 로터면 쪽으로 진출/후퇴만 합니다. 왜 이렇게 하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월요일부터 또 역주행 중입니다^^ 잘볼께요 ㅎㅎ
넵. 도움되시길 바래요~
3:35 면적 아니고 체적이요..
면적 : Area
체적 : Volume
이론에 기반한 유튜브라 이론이 틀리면 안될꺼 같아서요.
보충 설명 고맙습니다^^
덕분에 이 영상은 거릅니다!
역주행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 봤어요~~ 2부로 휘리릭~~~😁😁😁
노보스 통해서 들어왔습니다. 정말 좋은 정보 많이 만드셨네요. 앞으로도 관심가지고 보겠습니다. *구독합니다^^
노사장님 통해서 좋은 분들 많이 뵙게 되니 저도 기분이 좋네요^^ 자동차 관심있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공부에 도움이 된다면 더할나위없이 전 기분이 좋습니다 . 좋은 정보라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계속 좋은 영상 만들도록 노력해 보도록 할께요
요즘 영상이랑 같은분인건가요? 목소리가 비슷하면서도 다른거같아요
잘 보았습니다
도움이 좀 되셨나요^^ 곧 1편 마무리 영상인. 2부도 올려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저도 노보스 통해서 여길알게되어서 들어왔습니다. 저 역시 자동차를 좋아하는데 자동차 의 기계적인 부분(메커니즘)이 흥미로워서 좋아합니다. 구독과 따봉 눌렀습니다. 앞으로 좋은영상 기대하겠습니다. 열심히 성원하겠습니다.
따봉 !! 너무 좋습니다!! 좋은 영상으로 계속 보답하도록 하겠습니다 ^^ 열심히 성원해 주신다니 힘나네요. 감사합니다. 주위에도 많이 알려주세요
@@AutoMiseng 답글 감사합니다 ㅎㅎ 음성이 따듯하고, 발음이 분명해서 더욱 좋습니다. 다른 영상도 많이 봤습니다. 정말 수고가 많으십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g3sg123 와우.. 이렇게 칭찬을 받으니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 . 정말 진심으로 너무 감사합니다
오우~ 저도 풀시청했읍니다~ 유압을 이용한(?) 지렛대 원리?라고 얘기할 수 있겠네요? 오우~
역쉬 이해가 빠르심 ^^
파스칼의 원리 라고 합니다
@@MingGiZeok 오우. 맞습니다^^
현직 대학 강사입니다. 공학쪽은 아니지만 강의 너무 잘하시네요. ^^
잘 봤습니다. 브레이크 관련해서 수리비가 자주 들어 가는데, 잘 배워서 직접 replace 하면 좋을것 같은데요...
영상 보다가 궁금한게 하나 생겼습니다! 작은 면적을 a 로 놓고 큰면적을 b 라고 칭할때 pressure at a 하고 b 가 왜 똑같다는 가정을 하나요? 영상에서는 그이유를 액체는 어디에서 압을 가하든 모든곳에서 경험하는 pressure는 같다라고 하셨습니다. 배운것중에 물높이가 다르면 pressure 도 다르다고 배운게 기억이납니다 예를들자면 manometer 같은 경우요! a 와 b 에서으 액체높이가 다르니 pressure 가 다른거 아닌가 라고 생각햇엇는데 제가 어디서 헷갈리는걸까요. 이건 manometer하고는 다른 케이스일까요.....?
짧게 나눠서 올리시는것도 괜찮은거같네용 ㅎ
브레이크 얘기가 나와서... 예전에 미국에서 도요타 브레이크 고장문제 있었는데 자세히 기억은 안나네요.. 이런 이야기랑 연결해도 엄청 흥미로울거같아용~
아. 그 사건이요?^^ 그건 가속페달이었던 걸로^^ 좋은 의견 참고해서 영상 만들게요 . 전 오늘부터 캘리로 출장이라.. ㅎ 늘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플로팅 타입 브레이크랑 대향식 브레이크랑 차이가 많이 나나요? 대향식이 output linearity가 좀 더 좋을것 같은데.. 플로팅 타입의 구조적 한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음.. 질문에서 늦겨지는 내공이 .. ^^
나중에 캘리퍼에 대해서. 낱낱히 리뷰해볼게요. 픽스트 타입을 한국말로 대향식이라고 하는군요. ^^ 한국말 잘만들엇네요..
픽스드는 여기 영상에서 보이듯이, 유압은 모든 곳에 골고루 동일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피스톤이 양쪽에 있는 픽스드 캘리퍼는 말씀하신데로 feedback 이 일정하여, 고급이나 스포츠카에 많이 쓰이구요. 플로팅은 피스톤이 비대칭이라. 늘 피스톤쪽 패드가 로터에 먼저.닿는 문제가 잇어요. 거기에.. 이건 제작사만 아는 문제지만.. 슬라이딩 핀이 제동시 슬라이딩이 원할하게 잘 될때만 디자인 성능이 나옵니다. 그래도 요즘 싸게(피스톤이 젤 비싸고 복잡해요) 아주 잘만드는 플로팅이 많아졌지요^^
궁굼한게있습니다 좀있음 겨울이 다가오는데 눈길에서 브레이크를잡는것과 엔진브레이크쓰는것중 어떤게 더좋은효과가있나 궁굼합니다 타이어 마찰한계를넘는 엔진브레이크도 무쓸모될것 같고 차라리 각휠별로 자세제어잡는 abs가 효과적일것 같아 궁굼해서 질문드려요
브레이크에 관련해서 질문을 드리려 합니다.
예전에 타던 쌍용 코란도패밀리를 중고로 사서 탔는데 브레이크를 밟으면 우측 앞 캘리퍼가 먼저 잠겨서 우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있어서 매우 위험한 상황이
있었어요. 브레이킹시 핸들은 좌측으로 돌려야 했지요. 참고로 abs는 아니었어요. 캘리퍼도 바꾸고 부스터에서 캘리퍼간의 라인도 바꿔도 현상은 동일 했어요.
나중에는 후륜 브레이크 금속관이 터지기도 했어요. 원인을 센터에서도 모르겠다고 하더라구요. 답글로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얼마전 브레이크패드 교체했는데 ....뭔지도모루고!! ㅎㅎㅎ 그게 이거였다니 ㅋㅋ
시의 절적한 경험을 하셨네요. 시리즈 중에 하나는 날잡아서 브레이크 패드에 대해서도 해볼게요 ^^
안녕하세요.지난주 라이브에서 논의됐던 BENZ차량 브레이크 센서에 관해서 다시 문의 드립니다.2014년 GL470모델에는 오른쪽 앞, 뒤로만 센서가 들어가고 캘리퍼에 센서 컨텍터가 있습니다.그리고 왼쪽은 아예 컨넥터 자체도 없고 패드에도 Indicator가 없는것을 확인했습니다.그렇다면 이 손님차는 왼쪽 앞이나 뒤에서 캘리퍼 이상으로 생긴 문제는 패드가 다 닳아서 디스크를 망가뜨리기 전에는 알 수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네요.단지 제조사에서 경비 절감 차원에서 이렇게 만든건가요?이렇게 고급차에서 그런거 같지는 않은데요.
LEO님 팔로업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L470 모델 찾아보니, 전륜은 조수석쪽 안쪽 패드에만 웨어센서가 있네요.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유를 찾아보니, 보통의 경우 (?^^), 좌우 바퀴의 브레이크가 비슷한 양으로 마모되기 때문에 비용절감으로 삭제했다네요.
그런데 이런 경우, 한쪽캘리퍼나 로터에 이상이 생겨 이상마모가 될 경우 경고등은 뜨지 않고. 느낌과 소리로만 감지해야하는 상황이 드물게 나타날수도 있겠습니다. 사진상으로 보니 PAD EAR부위에 기계식 마모 클립도 없는걸 보니, 패드의 이상마모시 감지가 어려운 일이 왕왕 벌어지지 않을까 추정은 되네요 ㅠㅠ
질문있어요. 브레이크 패드 릴리즈에 대한 메카니즘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압이 걸려서 마스터를 통해 캘리퍼 피스톤을 밀어내는 파스칼 법칙은 이해가 되는데, 부스터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로면 캘리퍼 쪽에서 마이너스 압력이 생기고 패드를 잡고 있던 패드가 릴리즈되어 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인데, 뒷바튀의 경우 나사선을 피스톤이 타고 돌면서 움직일때 전진/후진의 저항성이 커서 고착날 확율이 높은데 이런 구조를 쓰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실제 핸드브레이크를 당기면 볼트가 회전할거슈같지만 회전하지 않고 로터면 쪽으로 진출/후퇴만 합니다. 왜 이렇게 하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좋은 질문이시네요. 시간될때 강의영상으로 만들어드릴게요^^ 일반적으론 씰의 후퇴와 로터의 터치로 밀리고 뒷측 바퀴는 설명이 좀더 복잡한데. 나중에 차차 설명 드릴게요^^
영상 잘 봤습니다. o^^o
2:00 상충이 아니라 상응 입니다
시소 원리는 영어로 뭐라고 하시나요? 못 알아들엿어요?
유체의 비압축성....학창시절 기억이 새록새록하네요...^^
정보 감사드립니다! 혹시 ppt자로도 공유 가능할가요!
브레이크 원리 자료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동차 공부가 필요없는 제가 이걸 왜 보고 있을까요??
파스칼의 원리 라고 하죠.
대학교에서 유체역학 배우면서 머리쥐어짜며 공부한 기억이 나네요....
공학자님 방문해 주셧네요^^ 맞습니다. 기초인 여기서 처음 원리 설명 드리고, 다음 영상부터는 모두 파스칼로 설명 드리고 있습니다.
유체역학ㅎㅎ 좀 깊이 들어가면 머리 쥐어짜게 만드는게 사실입니다 ^^
자동차 미생 Auto Engineer American Life
하하 전 공학자가 아닙니다 ㅎㅎ
현재 자동차 정비를 업으로 입문한 테크니션 입니다. 보다 자세하게 쉽게 설명 할 수 있음에 제 자신의 단가가 높게 올라가기에 대학을 나왔을 뿐 ㅎ 공학자는 아닙니다.
@@MingGiZeok 아 그러시군요. 자신의 가치를 아시는분 ! 멋집니다! 응원하겠습니다. 자주 오셔서, 필요 지식 있다면 마구마구 가져가 주세요^^
자동차 미생 Auto Engineer American Life
그저 어찌하면 더욱 쉽게 설명할 수 있을까 하다 연구차 들른 채널인데 아주 유용한 정보가 많네요 ㅎㅎ 구독은 이미 눌렀고 집에서 보면서 마저 좋아요 누르며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MingGiZeok 유용한 정보라니. 다행입니다^^ 네 많이 많이 봐주시고, 소문도 많이 내주세요 ㅎ 감사합니다
피스톤수 많은 것으로 튜닝해도, 마스터실린더가 받쳐주지 못하면, 헛돈 쓰는겁니다. 꼭 알아보시고 업글하세요^^
죄송한데요.. 클러치혹시 강의같은거 있을가요?
죄송하실 필욘없구요^^ 클러치는 아직 강의가 없네요 . 아이디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의 캘리퍼에 두개의 패드가 들어가는데 한쪽이 심하게 먼저 닳는이유를 설명해주실수 있는지요?
캘리퍼 디자인 때문인데요. 제가 브레이크 강의를 많이 올려놧는데 공부하시다 보면 이해가 좀 되실겁니다. 저도 어느 영상에서 설명드렸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 한데.. 아마 캘리퍼 가이드 핀 영상에서 좀 자세히 설명드리지 않앗을까 싶어요.
그이유는 브레이크를 꽉밟지 않고 살짝얹어 밟는 습관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