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CB 배선용차단기 특성곡선 한번도 안본 유튜버 차단기영상 올리지 말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сен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36

  • @nulk2668
    @nulk2668 Год назад +3

    차단기는 그저 정격용량 이상의 부하가 걸렸을때 차단한다는 알량한 지식 뿐이었는데
    명판에 이렇게 많은 정보가 들어 있는지는 몰랐네요. 감사합니다.

  • @user-fs9eg6fo8c
    @user-fs9eg6fo8c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지나가던 건축전기설비기술사입니다. 제목을 너무 자극적으로 올려놔서 들어와 봤는데..
    다른 분들을 위해 한마디 하고 가야겠네요..
    개략적인 내용들은 알고 계신 듯한데 본인이 알고 계시는 게 정답이라고 생각하지는 마시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하나 하나 해주고 싶은 말은 많으나 오지랖인 듯하여 대표적인 거 한마디만 하고 갑니다.
    AT/AF의 설명에 대해 본인의 의견과 다른 분들에 대하여 너무 폄훼하는 단어를 쓰는 것 같아 말씀 드립니다.
    AT(Ampere Trip?)/ AF(Ampere Frame?) 뭐..이 단어를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 용어는 정식 용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는 것입니다.
    차단기에 대한 규정 예를 들어 KS C 8321, IEC 60947 에는 규정되지 않은 용어입니다.
    즉, LS Electric 자체 형식 명칭에 적용된 구분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슈나이더, 미쓰비시 등의 외산 MCCB에는 AT/AF의 표기가 없을겁니다.
    현재 LS Electric에서 생산하는 MCCB중 AT 라는 용어가 표기된 차단기가 있던가요?
    AF의 경우에는 LS Electric 카달로그를 찬찬히 살펴보시면 Frame Size의 구분 용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여기서 Frame Size는 규정에서 정의하는 공식 용어입니다.
    AT는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구분하는 LS Electric의 구분용어로 보면 되겠고,
    AF는 차단기의 Frame Size를 구분하는 LS Electric의 구분용어로 보면 되겠습니다. (국산 MCCB는 대부분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 같더군요)
    LS Electric의 경우
    차단전류의 구분은 ABN, ABS, ABH, ABL 등으로 구분하는 것 같습니다.
    모두들 열심히 공부하시는 듯하여 즐겁습니다^^

    • @math460
      @math460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네 고맙습니다. 진심의 충고 겸허하게 받아 들이겠습니다. 귀하의 말씀 검토한 후에 틀린 부분은 바로 잡겠습니다. 다시 한 번 더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 @byeonTae
    @byeonTae Год назад +2

    아크제거 뭔가했는데 이거군요!
    정말 좋은 설명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tk9iv4nh6r
    @user-tk9iv4nh6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생님
    우선
    설명에 틀리다 아니다 모 그런 얘기를 하려고 그런게 아니라는 것을 먼저 말씀 드리고요
    저도 요즘 전기공부하는 중이라 AT/ AF가 궁금해서 선생님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요
    내용이 다른분과 달라서
    글을 씁니다
    제가 알아 본 것에 대해 말씀 드리면
    제 출처는 다산에듀 전병칠 원장님 글에서 퍼왔구요
    그리고 전기관련 기술사님 강의에서도 확인 한건데요
    내용은 이러 합니다
    AF은 차단기가 정격전류 이상의 고장전류에 대해서 몰드 케이스인 프레임 이 견디는 정격전류의 크기입니다
    차단기를 구성하는 다양한 재료중에서 전기가 통하는 도체(전원측 단자 부하단자 접점등)를 제외한 나머지 부도체 재질인 케이스(프레임)가 견딜수 있는 정격 전류용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AF은 AT보다 같거나 커야하며 작을수는 없으며 동일한 AF는 정격전류의 크기가 달라도 외형은 똑같습니다 ...........
    이렇게 기재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최상균 기술사님도
    차단기의 전기적 특성과는 무관한 물리적 외함의 크기 라고
    강의를 하심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시비거는거 아니고요
    공부하는 입장에서 헤깔려서
    말씀 드립니다
    수고하세요~^^;;

  • @user-qw7wf8yl1e
    @user-qw7wf8yl1e Год назад +2

    최고입니다. 이론이 완벽한 설명 잘배우고 갑니다.

    • @math460
      @math46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le4gq8yc7l
    @user-le4gq8yc7l Год назад +2

    아크없이 차단 할 수 있는 최대(극한)전류값 - 야호.....궁금중을 해소 했습니다.
    너무너무 감사 합니다.

    • @math460
      @math460  Год назад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y7zf8iz6t
    @user-by7zf8iz6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설명중에서 정격극한 차단용량 설명하실때 아크를 발생시키지 않게하는 용량이라고 하셨는데 이는mccb에서는 살짝 맞지 않는듯 합니다. Gcb나 vcb 같은경우 공기보다 절연파괴가 낮은 매질을 사용하여 아크를 발생시키지 않는것이나 mccb는 아크 챔버를 통해 이미 발생한 아크를 소호시키는 것으로 약간 다른듯 합니다.
    아무튼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 @math460
      @math46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귀하의 지적이 옳습니다. 그점을 제대로 살피지 못한 점 사과드리며, 한편 정확한 지적에 감사 드립니다.

  • @user-ff8wl6ij2s
    @user-ff8wl6ij2s Год назад +2

    AF가 차단기 내부 도체의 [A]의 용량을 말하는 것이라 하셨는데, 차단기 내부에 도체가 여러가지가 있는데 어떤 도체를 말씀하시는건가요??

    • @math460
      @math460  Год назад +2

      1.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2. 예를들어 3P 차단기라면, 1차측에 3개의 단자, 2차측에도 3개의 단자가 놓여있음은 귀하도 익히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 차단기가 OFF되어 있을 경우에는, 일단은 전기는 1차측까지만 도달되어 있을 것이고, 그 차단기를 ON하면, 1차측에 도달되어 있던 전기는 2차측 단자를 통하여 흘러갈 것입니다. 그찮아요? 그쵸? 그럴경우,
      전기가 1차측으로 유입되어 2차측으로 흘러나갈 때, 그 전기를 통하게 하는 차단기 내부의 접점(OFF하면 떨어지고, ON하면 붙음)을 포함한 도체를 일컫습니다

  • @최관철-d1e
    @최관철-d1e 3 месяца назад

    🙏 늦었지만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Lyan-pf8ej
    @Lyan-pf8e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ESS에서 DC MCCB를 사용할때 방향성 같은게 있을까요? ESS란 결국 충전과 방전을 하는 제품이니 MCCB는 당연히 양방향일 것 같기도 하지만, 혹시나 아닐 수 도 있을까 하여 여쭤봅니다.

    • @math460
      @math46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지금은 공사다망합니다. 내일이나 일요일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math460
      @math46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먼저 저의 영상에 관심 가져 주시어 고맙습니다.
      2.한국 제일의 MCCB제조업체인 LS산전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전원측과 부하측이 구분되어 있어서, 반드시 차단기 윗단자에 전원선을 접속하셔야 하고, 아랫단자에 부하로 가는 전선을 접속해야 합니다. 대륙전기에서 생산되는 MCCB 역시 전원측과 부하측이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그 외 타사의 MCCB는 사용해 본 적이 없습니다만, 이 글 쓰기 전에 몇 군데 타사 홈페이지 들어가 보니, 역시 마찬가지로 전원/부하측이 구분되어 있더군요. 따라서 당연히 제조사 제안대로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3.그런데 귀하가 언급하신 ESS설비에서 충전기에 밧데리가 연결되어 있기에, 밧데리로 전기를 충전할 때는 밧데리는 충전기의 부하가 되지만, 밧데리 전기를 방전해서 사용할 때는 충전기(실은 콘버터와 인버터가 함께 구성됨)를 비롯한 전등 모타는 밧데리의 부하가 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LS산전 차단기를 충전기와 밧데리 사이에 설치했을 때, 어떻게 그 차단기를 위치시켜야 하느냐 하는 고심점이 생깁니다. 현장에서 일반적으로는 밧데리를 차단기 부하측 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는데요. 여기저기 몇군데 지인한테 전화 해 보니, 해외에서 생산되는 전원/부하 구분 없는 차단기를 사용하기도 한다라는데, 다들 실물 관람은 못해 보았다라 하더군요.
      4.솔직히 내 나이도 연식이 좀 되다 보니 하루하루 변해가는 전력전기기의 새로운 모델에 대해 파악하기란 어렵습니다. 어째거나 내가 경험한 바로는 MCCB2차측에 밧데리를 접속하고 1차측에 충전기를 연결입니다. 또 어떤 이는 그 MCCB 2차측에 그 MCCB와 직열로 또 다른 MCCB를 연결하는데, 추가된 그 또 다른 MCCB 의 1차측에 밧데리를 연결하면, 밧데리 방전시 부하들에서 고장사고 발생하면 그 추가로 접속한 MCCB가 동작하기 때문에 그러한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하던데, 실물 경험이 없으니 확신있는 답변은 어렵습니다.
      5. 결론을 정리하면, LS산전과 대륙전기 생산 MCCB는 방향서을 가진다.
      밧데리는 그 MCCB 2차측에 접속시킨다
      입니다.

    • @Lyan-pf8ej
      @Lyan-pf8e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math460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최관철-d1e
    @최관철-d1e Год назад +1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math460
      @math460  Год назад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op4sx4lt1q
    @user-op4sx4lt1q Год назад +1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차단기 선정시(예:주택용 누전차단기) 형식에 c타입과 D타입 중에 어떤 형식을 어떤 기준으로 설계해야 하는지 알고싶습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 @math460
      @math460  Год назад

      요즘 바쁩니다. 가능한한 빠른 시일 내 답변 드리지요

    • @math460
      @math460  Год назад

      1. 일단 귀하께서 차단기 정격전류값(이하 In이라 칭함)을 선정하거나 선택하는 요령과 방법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리라 여기고, 그 요령과 방법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2.귀하가 언급하신 차단기의 C형 D형 이라는 것은, 차단기의 순시트립값을 구분하는 것인 것은 귀하께서도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즉, 차단기 2차측에 접속된 회로에서 과부하나 과전류가 흐를 경우, 그 차단기가 인정사정 볼 것 없이 곧바로, OFF되는 것을 순시트립이라고 하잖아요? 그쵸?
      그리고 C형이라는 것은 In의 5배와 10배사이의 전류가 그 차단기에 흐를 경우, 그 차단기는 곧 바로 OFF되어야 하고, D형은 In의 10배와 20배 사이의 전류값이 그 차단기에 흐를 경우, 곧 바로 OFF되는 것을 일컬음이므로
      3. 차단기 설치 전에, 그 차단기 2차측에 연결된 부하의 특성을 파악하여, C형을 설치할 지 D형을 설치할 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인 바, 예를 들어, 그 부하란 것이 전원 ON 하는 순간에, In의 5배~10배의 돌입전류가 흐르는 변압기라면, 그 변압기 1차측의 차단기는 D형을 선정하여야 할 것이고, 전원 ON시 In의 5배 이하의 돌입전류가 흐르는 일반적인 부하라면, C형을 선정하여야 할 것입니다.
      4.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 @math460
      @math460  Год назад

      아참! 부가하여 설명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차단기 2차측 회로라는 것은, 그 2차측 바로 앞에 연결된 전선도 포함하는 것입니다. 물론 그 전선을 쭈욱 따라가면서 연결되는 각종 부하기기도 그 2차측 회로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지사입니다. 근데 만일 C형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그리고 예를들어 그 차단기의 정격전류(In)가 30A라면, 그 어떤 이유로 그 2차측 전선에 30×5=150A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그 차단기는 인정사정 볼 것이 곧바로 OFF되어야 합니다. 근데 150A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라는 것은, 정상적인 경우가 있고, 비정상적인 경우 있을텐데요. 정상적인 경우란 것은 돌입전류가 흐르는 경우이지요. 돌입전류라는 것은 전원을 ON시키는 순간, 작든 크든 그 모든 전기설비나 기기에 흐르게 된다라는 것은 귀하도 익히 주지하고 계실텐데요, 그 돌입전류란 것은 지극히 어쩔 수 없게 정상상태에서 흐르는 것이라서, 그땐 차단기가 OFF되면 아니 되는 것이라서, 그 기기의 돌입전류가 만일 150A이상이라면, 차단기의 선정이 잘못된 것이지요. 비정상적인 경우란, 즉, 발생되어선 안 되는 과부하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를 일컬음이고, 그렇다고 과부하 과전류 시, 그 전류의 크기에 관계없이, 무조건 차단기가 다짜고짜 곧바로 OFF되면 아니 되는 것이고, In의 5배니 10배니 하는 전류가 흐를 때는 곧바로 OFF되어야 하는 것이죠. 따라서 C형의 경우에는, In의 5배 이하에선, 시간을 두고 OFF 되야 하는 것이죠. 따라서 그 차단기 2차측에 150A 미만이 흐를 경우에는, 차단기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차단기특성곡선에 따라서 시간을 두고 OFF되어야 하는 것이죠.

    • @user-op4sx4lt1q
      @user-op4sx4lt1q Год назад

      @@math460 깜박 잊고있었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 @pismomavic9128
    @pismomavic912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궁금한게 정격전류이상이면 떨어지는데 굳이 정격차단전류(kA)를 따로 표시하는 이유가 뭔지요?

    • @math460
      @math46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격차단전류라는 용어의 뜻을 귀하께서 알고 계신다라 하고, 귀하의 질문에 답하겠습니다. 메인차단기 2차측에 전선이나 부스바가 연결되어 있고, 그 전선이나 부스바를 따라가면, 분기차단기가 연결되어 있기도 하고, 그 분기차단기 2차측에 또 다른 전선이나, 부스바가 연결되기도 하고, 뭐 대충 그렀습니다. 어째든, 메인차단기 2차측에 접속된 그 모든 것들은 그 메인차단기의 부하가 되고, 2차측 선로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한 부하나 선로가 가지고 있는 임피던스 값을 개략적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면, 그 부하나 선로들 중, 그 어느 한 지점에서 합선(전문용어는 단락)이 발생했을 때, 그 메인차단기 에 흐르게 될 것으로 추정되는 전류값 또한 계산해 낼 수 있지요. 그렇게 계산해 낸 전류값이, 귀하가 표현한 정격차단전류값을 초과한다면, 그 차단기는 그러한 합선 시, 그 전류를 차단시키지 못하게 돼서 전기화재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그 계산해 놓은 전류값보다 크거나 같은 정격차단전류값을 가지는 차단기를 선정해야 하겠지요. 그래서 차단기 명판에 정격차단전류를 표기해 놓은 것이지요. 글솜씨가 부족하여 제대로 전달이 되었나 모르겠습니다. 나의 글를 제대로
      이해 못했다면, 또 다시 댓글 주십시오. 답변 늦어 미안하고요, 아무쪼록 건강하십시오.

  • @user-gy7fw6hj8p
    @user-gy7fw6hj8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user-tq4lm4mj4j
    @user-tq4lm4mj4j Год назад +1

    구독완료

    • @math460
      @math460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 @hopeomega5957
    @hopeomega595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설명이 잘못된 것 같습니다. AF은 도체의 용량이 아니라 Frame의 용량입니다. AF은 기하학적으로 외부 케이스 사이즈를 말하고 또 하나는 절연내력과 강도입니다. 예를들어 20A 정격 차단기의 AF이 50이면 50A까지 전류가 흘렀을 때 케이스가 절연과 폭발 등으로부터 안전하다는 뜻입니다.

    • @math460
      @math46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금은 직장 근무 중이니, 퇴근 후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 @math460
      @math46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LS산전에서 생산하는 모델명 ABS33b라는 MCCB가 있습니다. 이 차단기의 AF=30A로서, 정격전류를 뜻하는 AT가 30A짜리인 차단기, 20A인 차단기, 15A인 차단기, 10A
      인 차단기 등등이 시판되고 있습니다. 다시말해, 시중의 전기자재 가게에 가서, 모델명 ABS33b인데 정격전류는 15A인 차단기 둘개 주세요 라든 지, 모델명 ABS33b이고 정격전류 30A인 차단기 한나 주세요 하여, 구매 했을 때, 15A이든 30A이든, 모델명이 동일하기 때문에, 귀하께서 표현한 외부케이스도 서로 동일합니다. 물론 이러한 사실은 귀하께서도 익히 잘 알고 있을 터입니다. 그 외부케이스를 열어보면 내부에 전기가 흐르는 도체가 당연히 있겠죠? 그렇죠?? 그 도체 또한 서로 동일하단 것입니다. 그 도체도 전체 Frame의 한 일부분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절연체인 외부케이스에는 전혀 전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내부도체도 Frame의 일원이고, 외부케이스도 Frame의 일원이지만, 외부케이스에는 Ampere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AF값은 내부 도체에 적용되는 것이죠. 내부도체의 물리적 크기가 똑같기 때문에 당연히 외부케이스도 동일 크기 동일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죠. AF값이 커지면 내부도체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그에 따라 외부케이스의 부피도 당연히 커지는 것이죠. 귀하도 잘 알다시피, 모델명 ABS53b의 AF=50암페어이기 때문에, 모델명 ABS33b 보다는 ABS53b가 그 부피가 더 크지게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귀하께서 절연이라는 단어를 언급하셨는데요. 절연은 전압값에 따라 적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론, 저압 MCCB는 그 사용전압이 690볼트이하로서, AF값이 100A인 모델명 ABS103b를 사용하든, AF가 30A인 ABS33b를 사용하던, AF값의 크기와 상관없이, 그 차단기에 690볼트까지 걸어도 절연은 문제되지 않는 것이지요. 워낙이 글솜씨가 없어서, 귀하를 충분히 이해시킬 수 있을 지 걱정입니다. 나도 100% 모두 안다고 자부할 수 없으므로, 또 다른 의견이 있으면, 댓글 달아 주십시오. 끝까지 읽어 주시어 감사합니다.

    • @hopeomega5957
      @hopeomega595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math460 덕분에 한수 배웁니다. 저도 차단기 내부를 분해하여 내부 구조를 잘알고 있었지만 같은 AF 다른 AT의 제품을 비교해 보진 못했습니다. 말씀하신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는 충전부의 도체는 AF으로써 같을 것 같고 단지 AT에 따라 Bimetal의 두께 내지 간격이 다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도 궁금하면 끝까지 찾아보고 직접 분해해 보고 하는 성격인지라 AF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덕분에 제대로 알게 되어 고맙다는 말씀 전합니다.

  • @yoonkor3561
    @yoonkor3561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math460
      @math460  Год назад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