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의 그늘' 쪽방과 노숙인 경계에 있는 74세 어르신을 만났습니다 [심층 인터뷰]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서울역 인근에서 일흔네살의 어르신을 만났습니다.
그는 노숙인 친구들과 함께 무료급식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는 현재 쪽방촌에 살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시간을 밖에서 보내고 있다고 합니다.
그에게 있어 노숙생활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때론 숙식 제공을 목적으로 한 유혹도 있었다고 합니다.
자연인으로 자유롭게 산에서 여생을 마치고 싶다는 어르신을 컨션스9이 만나봤습니다.
컨션스9은 인터뷰한 김이준님(가명)에게 유튜브 등 영상 콘텐츠 촬영 동의 및 얼굴 공개 허락을 받았습니다.
컨션스9은 기성언론에서 다루지 않는 노숙인, 실종자, 유기동물, 성소수자, 인권, 빈곤, 사건, 환경, 고령화 분야를 심층적으로 추적 탐사하는 뉴미디어입니다.
*제보 및 문의: adsjyw@gmail.com
방세빼고
용돈 47만원
부럽습니다.
그렇지 못한사람 허다해요
시골 내려가면 빈집 버리는집 많아요
건강하세요
74세 할아버지도
돌아보면
74년 세월이 깜짝 찰나에
지나갔을겁니다
인생 허무한것 입니다
저두 큰일이에요
젊을때 절약을 안하고 대책을 안해놔서 저도 70넘으면 큰일이고 지금
미화원인대 학원장 하다가 빚더미 올라서 돈 71씩 갚고 있고 연금도 34밖에 안나오고 노령 합하면 54밖에 안되고
저노인보다 못하네요
70씩 받으시면
나보다 나은대
저62인대
날짜가 정말 빨리가요
@@송미혜-h2o ㅎㅎ 건강하세요 🙆🏻♂️🙇🏻♂️🙆🏻♀️🙇🏻♀️
@@송미혜-h2o
네 빨리 가네요
일을 못하고 있어서
더. 빨리 가네요
일을 해야하는데 참. 걱정이예요
인성이 좋은분이네 ! ,
남은인생 잘사시오 !
영상감독님감사합니다할아버지건강하세요
세상은ㆍ전쟁터,공감합니다,
산에 몇달있다 내려오면,상처도
자연스럽게 치유되고 힐링됨.
왜 글씨가 안써져요
저도 걱정으로 살아요
일을 해야하는데
이걸 나라에서 노숙자를 도와줘야하는데 나라마다 노숙자되게 내버려두면 나라가 아니죠 다 똑같은사람인데 관심을 가져야 하는데 나몰라라 하는 그건 좀 아니네요
사람 만나기 싫어서 자연에서
움막짓고 살고 싶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괜한 사람 뜬금없이
먹여주고 재워준다?
아마 신안에 데리고 가려는 사람들일듯🤔
요즘같은 시기에는 자연인 너무 부럽다.
물론 그전에도 부럽긴했지만ㅜㅜ
건강조심하시고.추석명절 잘보내시고..힘내세요.....💖💖💖
기초 생활 수급비 로 고시원방 얻는데는 문제가 없을겁니다... 쪽방보다도 월세는 오히려 싸고... 모든게 쪽방에 계시는것보다 훨씬 나으실겁니다. 쪽방에 계시지 마시고 숙소를 고시원으로 옮기세요...
그나마 노령연금 나오니 다행입니다. 그래도 건강하시니 하루종일 쪽방에서 죽는날만 기다리는 수급자들 보단 낮습니다. 한달 50만원 이면 용돈은 되실듯
늘 응원합니다 코로나 조심하세요 ♥
음지의환경에서 좋은 프로 감사드립니다. # 충청도 천안시 북구 입장면 하장리~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할아버지 는 비교적 양심가 이시네. 수급비도 나오고요. 수급비 않나오는 자들은 살인자등 전꽈자가 대부분 인데 말입니다. 수급비 양은 안차 더라도 감사히 여기며 절약하며 살아야 할것 입니다. 잘살고 못살고는 노력 속에서 맺어지는 것이라고 여기면서. 대한민국 노인분들 건강 하시고 만수무강 하시 옵소서. 화 이 팅 ~~~~
주거급여에70만원수급나오면충분하진않아도부족하지는않을것같네요건강하시길바랍니다
주거급여 합해서 원래 4-50 나오는거고..노인들만 노령연금 30만원이 있기에 저정도 나오는 겁니다.꽤 넉넉해 보이나 겨울철 난방비가 들어가기에 그렇지도 않습니다.
감사해야합니다, 그 수급비마저 못받는사람이 태반입니다, 나이가있으시니깐 그렇게 라도받는겁니다,
70이면 마니 받네요
전 노령연금하고 연금35
받으면 60도 안되는대
고시원이 나은대
밥 주니
고시원은 난방비도 안들어가고 따뜻한곳에 사니
여름엔 시원하고 티비 물 밥 김치 고시원에 특혜도 있어요
수고하셨습니다
저는건강및다양한어려움 에있으면서도복지의법적인사각지대에놓여꾸역꾸역인생을이어가는이들의어려움이더안타깝습니다저또한그러한사람이라더애가타고답답하네요
수급비 나오는데 오지에서 살고싶다?
서울의 기초수급자들 상당수 노숙자.
항상 수고 하십니다.
잘보고 갑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consciencenineI like your video. Your efforts to make the videos in everyday South Korean living will not be ignored. I think honest video like yours can draw more youtube audience than the one who post some made up stories. Anyway, the problems I would like to discuss with modern day South Korean housing have more to do with the architects and the builders but anyone at this point should know the following regarding this micro living in South Korea today. They call them 'Kyosho Jutaku' in Japan and literally have thousands of Japanese Architects seriously study these micro houses and the apartments everyday. Because in Japan, similar to the South Korea, land means everything since the Islands are small and every single square feet counts. But, all the pieces have fit together starting with the location and the size of the lot where you want to build them. Also, keeping the cost of these micro dwellings low is mandatory because if they're costly, no one would want to live in there. So the cost should be a lot lower than the average South Korean homes. Ergonomically speaking, understanding the locations of the windows and the front and back door along with how many floors can have for that specific space is very important. And how the home or the apartment looks like shouldn't destroy the nearby sceneries of the buildings or the homes in totality. After all, the most difficult thing to do is not building a micro homes or the micro apartments. The most difficult thing to do is city planning and therein lies the secret of creating peaceful neighborhood. The Kyosho Jutaku is not something the average Koreans or the Americans think at all. They are the final products of years and years of research and study focusing on strategic precision engineering and the ergonomics. If you are a builder with an architect, you must consider the height of the ceiling inside of these rooms. Because human beings do not feel small space small when the ceiling is high. There's day and night difference between being in a room with 3 meters high and 4 to 5 meters high and the architects must understand the feeling before they build it. That's a very helpful natural human response the Japanese had discovered while studying human behavior. This means the smaller the room is, the higher the ceiling has to be so that the dwellers doesn't feel cramped or claustrophobic. They had also discovered that the manipulation of the light helps you to overcome living in small spaces. Which means, plenty of natural lights will help you feel larger living in small spaces. That means the architects must understand where the sun rises and sets before they can build anything on that specific lot where the future homeowner wants to build. I hope the South Korea gets rid of the Goshiwon rooms with no windows, Zzok-bangs, Oak-top-bangs and low ceiling One Rooms because these are failed projects and can cause the renters and the college students to set up the fire where they live or sometimes even commit suicide because they feel their rooms are too small. Nobody would want to live in human habitats feeling like they're living in prison cells. And these are not even prison cells but legitimate human habitats where they spend their own money to live. Whenever the poor renters complain about their rooms being too small, the owners or the managers tell them that they're lucky to even find the places like theirs blaming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rooms as the problems of the society. Because if they haven't figured these out(heights and manipulation of lights), they haven't figured out anything as architects or the builders. Here are a few clips to help your understanding. ruclips.net/video/TYVJbupG3Xg/видео.html and ruclips.net/video/hOyM1DqZOuo/видео.html
@@FairScale-tx1qv Thanks for the good comment. The rooftop room, jjokbang and gosiwon are the hardest places to live in Korea. Consence 9 will continue to explore this area in the future.
난 이분이 70탄다고 했을때 노령연금 까지 합친 금액인지 알고 있었다,,피디님 내가 맞추엇네요 ㅎㅎㅎㅎ 기초수급자 지원이 지역마다 다다르고요,,가지고 있는 소득 재산에 따라 다릅니다,부양 가족이 있으면 안나오고요,,,피디님한테 아쉬운게,,많은 생각을 하시고 질문을 하셨으면 좋겠어여,,그럼 좀더 소통이 원활 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그리고 이분들이 일을 소일거리가 있어도 안하는 이유가,,알바라도
고정적으로 한달 얼마 타면 바로 기초수급자에서 탈락 됩니다,,그래서 따로 50만원 정도 일을 할바에 안하는 겁니다,,해봤자 몸만 상하고 의미가 없기에,, 오늘이,,기초수급및,노령 연금 국민 연금이 나오는
날이에여,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1인은 52만원.
그런이유로,50~80만원정도 수입은
인정해 줘야함,
앞으로 개선될것.
빙고
그연세에건강하시내요...힘내세요....
전라도 파밭 갈아엎는거 트럭으로 서울로 가져와서 저분들께 팔게 끔 하고 소정의 일당을
주면 소비자 좋구 저분들 보람찬 하루
제 말이 꿈같은 얘긴가요?
말처럼 그리 쉬운게 아닌게 세상이죠~
뽑는값 , 운송비가 더 나오죠.
화주들이 그냥 갈아 엎을까요?
덩달아서 대폭락 올수 있기에 산지폐기 하는겁니다.
어디서 파를 팔까요? 노상??
주변 마트고,, 슈퍼에서 신고하실거예요ㅠ
쉽지않아요..
70이면 전세에 살면 혼자살수있겟는데?
불안하고 의식주 해결 지침,여성과
다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