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프리셋을 껴놓고 녹음을 하는데 그 프리셋 껴놓은 상태에서 0vu가 넘지 않게 해야되나요 아니면 아무것도 껴놓지 않은 상태에서 0vu가 넘지 않게 해야되나요? 제가 프리셋 안낀 상태에서 0vu값을 설정하고 프리셋 껴놓은 상태에서 녹음을 하면 0vu가 훨씬넘어서요
일단은 들어오는 드라이 소스의 신호만 잘 맞춰주시면 되는데 프리셋을 끼고 녹음하신다는 점에서 녹음방법이 정석은 아닌것 같네요. ruclips.net/video/DlKuEvsRFWY/видео.html ruclips.net/video/syODqreKvOY/видео.html 이 영상들 순차적으로 시청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양쪽 모두 VU미터상 0을 넘지않게 해주시면 되는데 간혹 하이햇처럼 중저역 없이 고음역대에서 짧은 서스테인만을 가지고 있는 소리의 경우 VU미터상 0에 한참 못미치는데 피크를 쳐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적당히 피크미터상에서 여유공간을 남긴채로 가능한 큰 볼륨으로 게인을 맞춰주시면 됩니다.
보컬 - 0dBVU MR - 0dBVU로 맞출 경우 => 최종 아웃풋 단은 보컬과 MR이 같이 재생될텐데 이 경우 페이더 조절을 통해 stereo output 단에서 0dBVU를 넘지 않도록 보컬들과 mr의 볼륨 밸런싱이 이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 아웃풋 단에서 0dBVU를 맞추었는데, PEAK단에서 클리핑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을까요? 추가적으로 더블링 및 화음 같은 경우의 0db 기준 녹음이 궁금한데 1. 원음 기준 0dBVU 셋팅 할 경우 고음역대 화음 녹음 시 0dBVU 를 초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 경우 다시 화음용 게인스테이징을 하여 녹음을 해야할까요? 아니면 고음화음 기준으로 0dBVU 녹음 게인스테이징 설정 후 원음을 불러야할지 궁금합니다. 2. 저음 화음 녹음 시 음정이 낮아 0dBVU까지 입력이 안 되고 원음보다 작게 녹음이 될 텐데 이 경우도 게인스테이징을 다시 하는게 좋은지, 아니면 작게 녹음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영상 제작해 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
메인보컬과 MR의 클립게인을 0VU로 게인스테이징하셨다면 보통의 경우 두 채널을 합친 레벨도 0VU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질문주신 밸런스적인 내용은 이제 레코딩을 넘어 믹스(믹싱)로 접근해야합니다. 관련내용을 공부해보시면 될듯합니다. 최종 아웃풋단에서 MR과 보컬을 합친 레벨을 0VU로 맞추셨다면 그것 역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피크는 잘 뜨지 않습니다. 피크가 뜨는 특별한 경우라면 리얼드럼과 같은 타악기를 직접 녹음한 소스나, 국악현악기 등 크레스트 팩터가 넓은 소스를 레코딩하여 작업할때 등의 경우이지 보통 MR위에 보컬 홈레코딩하는 경우에서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백보컬 코러스의 경우에는 메인보컬 녹음이 모두 완료된 이후에 진행하시는걸 권장합니다. 메인보컬 녹음을 마친 상태의 게인값으로 백보컬을 녹음할 때 0VU를 넘는다면 좀 줄이시면 되구요. 너무 작은 파트라면 좀 키워서 받으셔도 됩니다. 메인보컬처럼 구간별 다이나믹 레인지를 온전히 보존할 필요까지는 없기 때문에 너무 작다면 조금 키워서, 너무 크다면 조금 줄여서 받는 정도로 게인값 수정하시면 될것 같네요. 다만 이렇게 게인값을 수정해야할 수도 있기 때문에 메인보컬 녹음이 모두 끝난뒤에 하시는걸 권합니다.
네 저는 그렇게 합니다 ㅎㅎ -18dBFS 기준으로 스피커 청취볼륨도 칼리브레이션 되어있어서요. 모든 작업이 -18dBFS로 맞춰져있어서 녹음 이후의 DAW에서 작업할 때에도 게인스테이징에 신경을 쓰는 편입니다 :) 그리고 뭐 마스터링도 제가 믹스한 곡은 제가 하는 편이기도 하고 별문제는 없습니다 ㅎㅎ 오히려 아날로그 모델링 플러그인을 사용할 땐 스윗스팟이 0VU(+4dBu, -18dBFS)로 되어있는 경우도 많아서 저는 이래저래 그렇게 맞추는게 편하더라구요. 다만 이건 제가 쓰는 방법이고 녹음 이후에 DAW로 넘어온 이상 어느 레벨로 맞추든 뭐 크게 문제될건 없으니 편하신대로 작업하시면 됩니다!!
우연히 알고리즘에 떠서 둘러보다가 댓글남깁니다 제시하신 그림 맨 앞에 +4dBu 관련하여서 나와있으니 얘기하자면 프로용 기기에서 +4dBu를 라인 레퍼런스레벨로 보기 때문에 +4dBu를 기준점으로 잡고 레코딩하는건 맞아요 그렇다고 +4dBu지점이 -18dBFS란건 도대체 어디서 나온거죠? ADC가 24dBu인 기기와 13dBu인 기기 둘다 +4dBu지점이 -18dBFS가 맞나요? 지금 상당히 잘못된 지식을 전파하시는거같습니다만
장비의 맥시멈 인풋 레벨 수치로부터 디지털 상에서 오디오신호의 크기인 dBFS와 장비 고유의 전기신호 크기인 dBu를 환산할수 있습니다. 맥시멈 인풋레벨이 +24dBu인 장비라면 해당 장비가 받아들일수 있는 최대 피크레벨이 +24dBu라는 뜻이므로, 이 값을 0dBFS라고 치환할수 있겠죠. 즉, 맥시멈인풋레벨(dBu) = 0dBFS라는 식이 성립됩니다. 여기서 맥스인풋레벨이 +24dBu인 장비는 smpte 기준 적정 헤드룸 20dB를 벌렸을때, 600옴 임피던스 아래서 100m 길이 케이블로 신호를 주고받아도 신호의 왜곡/손상이 없는 황금레벨인 +4dBu가 됩니다. 즉 맥스인풋레벨이 +24dBu인 장비는 헤드룸 20dB를 벌려서 -20dBFS = 0VU (=+4dBu)로 칼리브레이션 해서 쓰라는 장비입니다. 같은 원리로 aes/ebu에서 제시하는 헤드룸잉 18dB를 +4dBu에 맞춰쓸수 있는 장비는 맥스인풋이 +22dBu인 장비겠죠. 맥스인풋레벨이 +22dBu 이하인 장비들은 대부분 헤드룸 18dB를 벌려서 칼리브레이션을 합니다. 스칼렛의 경우 맥스인풋레벨이 +9dBu이니 헤드룸 18dB를 뺀 적정운용레벨이 -9dBu=-18dBFS=0vu가 되겠죠. 맥스인풋레벨이 몇 dBu이던간에 +22dBu를 넘지않는다면 -18dBFS를 적정운용레벨에 맞추는게 정석입니다. 다만 장비별로 가지는 고유의 전기신호는 프로라인레벨인 +4dBu와는 다를수도 있죠. 하지만 장비가 기록한 신호가 디지털단으로 들어왔을때 18dB의 헤드룸을 가질수 있도록 게인스테이징해야된다는 사실은 변함없습니다. (+22dBu를 넘지 않는다면) 영상의 그림에 나와있는 +4dBu는 이상적인 노미널 레벨의 지표를 제시한 것이고, 적정운용레벨을 +4dBu에 못맞추는 저렴한 장비들이 훨씬 많죠. 장비별로 적정운용레벨의 전기신호크기(dBu값)는 모두 다르므로 영상에서 굳이 설명하지 않은 것입니다. 장비 고유의 전기신호크기(dBu)에 관계없이 +22dBu를 넘는 장비가 아니라면 대부분 -18dBFS가 0vu가 되도록 녹음해야할테니 굳이 어려운 내용을 영상길이 늘려가면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저는 영상에서 +4dBu라는 말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구요. 괜히 시청자들이 어려워할만한 내용을 넣을 필요는 없으니까요. 녹음할때 게인을 vu미터를 보면서 맞추라는게 영상의 결론인데 굳이 어려운 이론을 설명하지 않는게 좋을것 같아서 관련내용을 생략했습니다.
@@문징 몇가지 혼동될수있는 부분이 좀 있어보이는데, 저는 설명을 못하겠군요.. 지식이 부족한 탓인거같습니다. 이렇게 영상 만들어주신부분에 대해 존경을 표합니다. 운용레벨이 -18dBfs이 되어야 한다는 부분에도 다른 방식을 제시하는내용이 있습니다. -6dBfs ~ -10dBfs의 값으로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24bit 디지털환경에서는 후 레벨작업도 쉬울뿐더러 노이즈도 적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이 내용을 알고계실수도 있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제가 주제넘게 댓글을 적은이유는 작성자님께서 말씀하신방법이 -18dBfs가 곧 법이다 라는 느낌이 글에 담겨있어 혹 몇몇분이 혼동하게 될것같아 댓글을 남겼습니다. 참고로 해당내용은 아래 서적에서 기재되어있습니다. Owsinski, Bobby. The Recording Engineer's Handbook 4th Edition (p. 96). BOMG Publishing. Kindle Edition.
항상 고민이었는데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좋은 개념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초보자들이 이해하기 쉽고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전달해주셔서 너무좋아요 감사합니다
이런 컨텐츠 너무 좋습니다 👏
와~ 역시 파고들면 어렵네요 😂 일단 개념은 알았으니 당장 오늘 작업중인곡에 적용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피크를 넘지 않도록 / 볼륨이 작기 때문에 마스터링에서 음압을 올려준다
유튜브는 영상 좋아요는 웬만하면 잘 안누르는데......이건 눌렀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프리셋을 껴놓고 녹음을 하는데 그 프리셋 껴놓은 상태에서 0vu가 넘지 않게 해야되나요 아니면 아무것도 껴놓지 않은 상태에서 0vu가 넘지 않게 해야되나요?
제가 프리셋 안낀 상태에서 0vu값을 설정하고 프리셋 껴놓은 상태에서 녹음을 하면 0vu가 훨씬넘어서요
일단은 들어오는 드라이 소스의 신호만 잘 맞춰주시면 되는데 프리셋을 끼고 녹음하신다는 점에서 녹음방법이 정석은 아닌것 같네요.
ruclips.net/video/DlKuEvsRFWY/видео.html
ruclips.net/video/syODqreKvOY/видео.html
이 영상들 순차적으로 시청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너무 좋은 정리 감사합니다!
VU 미터를 최종단에 걸어서 각 트랙을 0dBFS를 넘지 않게 녹음하고
다 함께 재생했을 때도 0dBFS가 넘지 않도록 믹싱을 진행하면 되는 게 맞을까요?
양쪽 모두 VU미터상 0을 넘지않게 해주시면 되는데 간혹 하이햇처럼 중저역 없이 고음역대에서 짧은 서스테인만을 가지고 있는 소리의 경우 VU미터상 0에 한참 못미치는데 피크를 쳐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적당히 피크미터상에서 여유공간을 남긴채로 가능한 큰 볼륨으로 게인을 맞춰주시면 됩니다.
@ 감사합니다!
보컬 - 0dBVU
MR - 0dBVU로 맞출 경우
=> 최종 아웃풋 단은 보컬과 MR이 같이 재생될텐데 이 경우 페이더 조절을 통해 stereo output 단에서 0dBVU를 넘지 않도록 보컬들과 mr의 볼륨 밸런싱이 이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 아웃풋 단에서 0dBVU를 맞추었는데, PEAK단에서 클리핑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을까요?
추가적으로 더블링 및 화음 같은 경우의 0db 기준 녹음이 궁금한데
1. 원음 기준 0dBVU 셋팅 할 경우 고음역대 화음 녹음 시 0dBVU 를 초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 경우 다시 화음용 게인스테이징을 하여 녹음을 해야할까요? 아니면 고음화음 기준으로 0dBVU 녹음 게인스테이징 설정 후 원음을 불러야할지 궁금합니다.
2. 저음 화음 녹음 시 음정이 낮아 0dBVU까지 입력이 안 되고 원음보다 작게 녹음이 될 텐데
이 경우도 게인스테이징을 다시 하는게 좋은지, 아니면 작게 녹음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영상 제작해 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
메인보컬과 MR의 클립게인을 0VU로 게인스테이징하셨다면 보통의 경우 두 채널을 합친 레벨도 0VU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질문주신 밸런스적인 내용은 이제 레코딩을 넘어 믹스(믹싱)로 접근해야합니다. 관련내용을 공부해보시면 될듯합니다. 최종 아웃풋단에서 MR과 보컬을 합친 레벨을 0VU로 맞추셨다면 그것 역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피크는 잘 뜨지 않습니다. 피크가 뜨는 특별한 경우라면 리얼드럼과 같은 타악기를 직접 녹음한 소스나, 국악현악기 등 크레스트 팩터가 넓은 소스를 레코딩하여 작업할때 등의 경우이지 보통 MR위에 보컬 홈레코딩하는 경우에서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백보컬 코러스의 경우에는 메인보컬 녹음이 모두 완료된 이후에 진행하시는걸 권장합니다. 메인보컬 녹음을 마친 상태의 게인값으로 백보컬을 녹음할 때 0VU를 넘는다면 좀 줄이시면 되구요. 너무 작은 파트라면 좀 키워서 받으셔도 됩니다. 메인보컬처럼 구간별 다이나믹 레인지를 온전히 보존할 필요까지는 없기 때문에 너무 작다면 조금 키워서, 너무 크다면 조금 줄여서 받는 정도로 게인값 수정하시면 될것 같네요. 다만 이렇게 게인값을 수정해야할 수도 있기 때문에 메인보컬 녹음이 모두 끝난뒤에 하시는걸 권합니다.
그럼 유튜버분은 믹스할때 헤드룸을 -18dBFS나 잡으시나요..? 마스터링 넘겨줄때?
네 저는 그렇게 합니다 ㅎㅎ -18dBFS 기준으로 스피커 청취볼륨도 칼리브레이션 되어있어서요. 모든 작업이 -18dBFS로 맞춰져있어서 녹음 이후의 DAW에서 작업할 때에도 게인스테이징에 신경을 쓰는 편입니다 :) 그리고 뭐 마스터링도 제가 믹스한 곡은 제가 하는 편이기도 하고 별문제는 없습니다 ㅎㅎ 오히려 아날로그 모델링 플러그인을 사용할 땐 스윗스팟이 0VU(+4dBu, -18dBFS)로 되어있는 경우도 많아서 저는 이래저래 그렇게 맞추는게 편하더라구요. 다만 이건 제가 쓰는 방법이고 녹음 이후에 DAW로 넘어온 이상 어느 레벨로 맞추든 뭐 크게 문제될건 없으니 편하신대로 작업하시면 됩니다!!
마스터링 후 레벨은 어느기준에 하는게 좋을까요?
이건 곡마다 취향마다 사람마다 상황마다 천차만별이라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ㅠ
ㅇㅋ
파열음이 너무 납니다..
근데 게인을 내려서 0db를 ㄹ맞추면 노래 부를때 모니터 사운드가 너무 작아요...
작은만큼 오인페의 헤드폰 볼륨을 충분히 키워서 들으시면 됩니다 :)
모니터가 너무 작아져서 녹음이 불가능...
제 채널에 녹음에 대한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설명한 영상들이 있습니다. 게인 스테이징과 모니터 벨런스 맞추는 법도 있으니 참고헤보시기 바랍니다.
@@문징 답변 감사합니다~
우연히 알고리즘에 떠서 둘러보다가 댓글남깁니다 제시하신 그림 맨 앞에 +4dBu 관련하여서 나와있으니 얘기하자면 프로용 기기에서 +4dBu를 라인 레퍼런스레벨로 보기 때문에 +4dBu를 기준점으로 잡고 레코딩하는건 맞아요 그렇다고 +4dBu지점이 -18dBFS란건 도대체 어디서 나온거죠? ADC가 24dBu인 기기와 13dBu인 기기 둘다 +4dBu지점이 -18dBFS가 맞나요? 지금 상당히 잘못된 지식을 전파하시는거같습니다만
장비의 맥시멈 인풋 레벨 수치로부터 디지털 상에서 오디오신호의 크기인 dBFS와 장비 고유의 전기신호 크기인 dBu를 환산할수 있습니다. 맥시멈 인풋레벨이 +24dBu인 장비라면 해당 장비가 받아들일수 있는 최대 피크레벨이 +24dBu라는 뜻이므로, 이 값을 0dBFS라고 치환할수 있겠죠. 즉, 맥시멈인풋레벨(dBu) = 0dBFS라는 식이 성립됩니다. 여기서 맥스인풋레벨이 +24dBu인 장비는 smpte 기준 적정 헤드룸 20dB를 벌렸을때, 600옴 임피던스 아래서 100m 길이 케이블로 신호를 주고받아도 신호의 왜곡/손상이 없는 황금레벨인 +4dBu가 됩니다. 즉 맥스인풋레벨이 +24dBu인 장비는 헤드룸 20dB를 벌려서 -20dBFS = 0VU (=+4dBu)로 칼리브레이션 해서 쓰라는 장비입니다. 같은 원리로 aes/ebu에서 제시하는 헤드룸잉 18dB를 +4dBu에 맞춰쓸수 있는 장비는 맥스인풋이 +22dBu인 장비겠죠. 맥스인풋레벨이 +22dBu 이하인 장비들은 대부분 헤드룸 18dB를 벌려서 칼리브레이션을 합니다. 스칼렛의 경우 맥스인풋레벨이 +9dBu이니 헤드룸 18dB를 뺀 적정운용레벨이 -9dBu=-18dBFS=0vu가 되겠죠.
맥스인풋레벨이 몇 dBu이던간에 +22dBu를 넘지않는다면 -18dBFS를 적정운용레벨에 맞추는게 정석입니다. 다만 장비별로 가지는 고유의 전기신호는 프로라인레벨인 +4dBu와는 다를수도 있죠. 하지만 장비가 기록한 신호가 디지털단으로 들어왔을때 18dB의 헤드룸을 가질수 있도록 게인스테이징해야된다는 사실은 변함없습니다. (+22dBu를 넘지 않는다면)
영상의 그림에 나와있는 +4dBu는 이상적인 노미널 레벨의 지표를 제시한 것이고, 적정운용레벨을 +4dBu에 못맞추는 저렴한 장비들이 훨씬 많죠. 장비별로 적정운용레벨의 전기신호크기(dBu값)는 모두 다르므로 영상에서 굳이 설명하지 않은 것입니다. 장비 고유의 전기신호크기(dBu)에 관계없이 +22dBu를 넘는 장비가 아니라면 대부분 -18dBFS가 0vu가 되도록 녹음해야할테니 굳이 어려운 내용을 영상길이 늘려가면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저는 영상에서 +4dBu라는 말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구요. 괜히 시청자들이 어려워할만한 내용을 넣을 필요는 없으니까요. 녹음할때 게인을 vu미터를 보면서 맞추라는게 영상의 결론인데 굳이 어려운 이론을 설명하지 않는게 좋을것 같아서 관련내용을 생략했습니다.
@@문징 영상에 +@ 내용이라 너무 좋네요 정독하고갑니다👍
@@문징 몇가지 혼동될수있는 부분이 좀 있어보이는데, 저는 설명을 못하겠군요.. 지식이 부족한 탓인거같습니다.
이렇게 영상 만들어주신부분에 대해 존경을 표합니다.
운용레벨이 -18dBfs이 되어야 한다는 부분에도 다른 방식을 제시하는내용이 있습니다.
-6dBfs ~ -10dBfs의 값으로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24bit 디지털환경에서는 후 레벨작업도 쉬울뿐더러 노이즈도 적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이 내용을 알고계실수도 있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제가 주제넘게 댓글을 적은이유는 작성자님께서 말씀하신방법이 -18dBfs가 곧 법이다 라는 느낌이 글에 담겨있어 혹 몇몇분이 혼동하게 될것같아 댓글을 남겼습니다.
참고로 해당내용은 아래 서적에서 기재되어있습니다.
Owsinski, Bobby. The Recording Engineer's Handbook 4th Edition (p. 96). BOMG Publishing. Kindle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