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절벽 속 다시 2%대 물가 상승…‘스태그플레이션’ 불안감 / KBS 2025.02.05.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 [앵커]
지난해 국내 소매판매액이 3년째 줄면서 소비 빙하기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보통 소비가 줄면 수요도 줄면서 가격은 안정되기 마련인데, 최근 국내 물가 움직임이 심상치 않습니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은 다섯 달만에 2%대에 재진입했습니다.
김진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값싼 한 끼의 대명사 편의점 도시락.
대부분 5천 원이 넘습니다.
김밥도 한 줄에 평균 3천 원대입니다.
지난달 도시락과 김밥 물가는 1년 전보다 8.4%, 4.7%씩 올랐습니다.
[안태경/인천시 서구 : "싸게 많이 먹을 수 있어서 편의점에 자주 갔었는데 이제 요즘에는 많이 비싸지다 보니까 편의점 말고 그냥 집에서 먹게 되는 것 같아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3년 반 만에 1%대로 내려왔지만, 슬금슬금 오르더니 지난달 2.2%, 다섯 달 만에 다시 2%대입니다.
유가와 환율이 '쌍끌이'한 결과입니다.
국제 유가에 좌우되는 '석유류'와 달러 값이 원재룟값에 직결되는 '가공식품군'이 10% 안팎씩 많이 뛰었습니다.
10년째 열리는 전국적 할인 행사 '코리아세일페스타'.
지난해는 역대 가장 길게 열렸지만 소비 진작 효과가 전례 없이 0%로 나왔습니다.
과거 북적이던 쇼핑 인파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습니다.
대신 '초저가' '특가'를 내세우는 할인 매장 등에만 이렇게 인파가 몰리는 요즘입니다.
경기만 생각하면 기준금리 인하나 추경 예산이 급하지만, 자칫 경기는 못 살리고 물가만 더 자극할 수도 있습니다.
억지로 눌러온 공공요금이나 대학 등록금 인상 등도 점차 가시화되는 분위기입니다.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겹치는 '스태그플레이션' 불안감마저 거론되는 상황입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 김한빈/영상편집:여동용/화면제공:무신사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기름 🛢 값도 리터당 3000원까지 올려라
🐕 🐄다 끌고다니는 나라는 큰거한방 터져야 한다
건설회사 부동산 받춰서 이모양 이꼴이다
전 국민이 근로소득 으로 일 안하고 부동산 코인등
투기판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