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스키장의 종말 - 최근 4년사이 3곳이나 스키장이 폐업한 현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스키와 보드를 즐기는 인구가 줄어들며 폐업이 이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스키장의 현실을 알아봤습니다.
    정보의 신과 함께 콘텐츠를 만들어 가실 분들의 문의 대환영 입니다.
    제휴/광고문의 : godjeongbo@gmail.com
    #스키장폐업 #스키장불경기 #하이원리조트

Комментарии • 1,2 тыс.

  • @gd9209
    @gd9209 5 дней назад +1069

    스키탈..젊은애들이없음😂😂😂😂😂😂😂한창 스키좋아하던..20대는..이젠 40~50대임..스키타다 넘어지면...골로감😢😢😢😢

    • @노진영-x9f
      @노진영-x9f 5 дней назад +37

      @@gd9209 십자인대 그냥 재활 노답임

    • @jayyoon7578
      @jayyoon7578 5 дней назад +15

      다들 옛날(!)을 추억하시는 듯.
      지난 추억 속 모습과 너무 달라서 충격이긴 하네요;;;

    • @tobewealth
      @tobewealth 5 дней назад +33

      30대 중반입니다.. 점점 몸을 사리게 되네요

    • @노진영-x9f
      @노진영-x9f 5 дней назад +1

      @@tobewealth ㅇㄱㄹㅇ

    • @K빈살만수르공식계정
      @K빈살만수르공식계정 5 дней назад +6

      서태지 덕에 인기끌었는데..
      방탄이 나서야하나

  • @williammin4867
    @williammin4867 5 дней назад +675

    20~30대엔 스키나 보드를 꽤나 즐겼던 사람인데 40대가 되니까 무릎에 부담도 되고 운동능력이 떨어지니까 위험하다고 생각해서 안하게 됨. 앞으로 젊은 인구가 점점 더 즐어드니 사양길로 갈 수밖에 없을 것 같음.

    • @koreafashionyoutube
      @koreafashionyoutube 4 дня назад +29

      관광지를 내수에 한정해서 생각하면 안되죠. 그냥 문재인때 코로나와 인건비 급상승으로 타격맞고 못일어나는겁니다.

    • @golf_korea
      @golf_korea 4 дня назад

      ​@@koreafashionyoutube대가리수준하고는 ㅉㅉ

    • @camilus_kim
      @camilus_kim 4 дня назад +37

      @@koreafashionyoutube 그건 비용증가고, 현재의 유저수 감소와는 관련없음.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고령화되었던 일본에서 골프와 스키는 모두 같은 전철을 밟았음. 골프도 베이비붐 세대가 골프를 활발히 즐길 나이이기 때문에 잘되는 것이지, 이들이 은퇴후 운동과 멀어지면 내리막길 걷게 될 겁니다. 고령화를 너무 안일하게 보는 것임

    • @슈터-n7k
      @슈터-n7k 4 дня назад +39

      @@koreafashionyoutube 문재인 타령 ㅎㅎㅎ 그 인건비 님 가족중에도 받는 사람 있을텐데? 그사람한테 물어보세요 월급 만족하냐고 본인들 주는것만 생각하고 본인 주변에 그 최저임금이 최고임금으로 받는 직종이 얼마나 많은데 생각이 없으시네요

    • @GnarleighYaps
      @GnarleighYaps 4 дня назад +10

      한국 스키장이랑 주변 부대시설 외국에 비해 한참 떨어짐 ㅋㅋㅋ 내국인 한정으로 보는게 타당함

  • @보조배터리-f4c
    @보조배터리-f4c 5 дней назад +275

    1. 당일치기는 해보면 너무 힘들어서 최소한 1박2일은 잡아야함
    2. 숙박예약, 자주타는 사람아니면 보드 or 스키 , 장구류, 의류 대여예약, 슬로프 예약 (시즌권 등)
    3. 식비또한 무시못할 가격
    여행에 가성비 따질순 없다지만 이정도 돈이면 외국한번 나갔다 오는게 낫다고 생각하는사람이 많기도 할듯

    • @KinCar-y8j
      @KinCar-y8j 4 дня назад +15

      십년전에는 더비쌌는데 사람많았어요
      가격문제가 아닌거같네요..

    • @운전꿀전자
      @운전꿀전자 4 дня назад +3

      스키장 사람 없다고 해서 가봤는데, 장비 렌탈하고 이것저것 먹으면 인당 10만원 넘게 나오더라고요..

    • @junholer8929
      @junholer8929 3 дня назад +1

      물가대비는 비슷하겠지만 가격자체는 예전보다 많이 비쌈
      숙박안하고 최소 금액이 인당10만원이고 1박포함하면 넉넉히 잡아 인당15~20만원 듬 사실 부담스럽간함

    • @southnaaya
      @southnaaya 3 дня назад +1

      @@junholer8929 20년전 최저임금 2~3천원할때도 숙박제외 1인당 최소4~5만원은 잡아야했는데 그땐 겨울만되면 다들 한번씩은 스키장 갔음

    • @bleedlee6544
      @bleedlee6544 День назад +7

      ​@@southnaaya
      20년전 얘기가 나와서 개인적으로 느낀 입장을 얘기하자면
      20대 초인 20여 년 전 국내 스키장과 해외여행 둘 다 비슷한 시기에 처음으로 접해본 입장에서 당시는 겨울 되면 스키장에 대한 낭만과 환상 같은 것이 있었던 것 같음
      하지만 스키장의 특성 상 지방 사람들은 마땅히 갈 만한 곳이 무주 밖에 없어고(에덴밸리가 생기기 전이었으므로) 시간과 경비 또한 매우 많이 들고 비싼게 사실이었음
      큰 맘 먹고 가더라도 스키 초보의 경우 강습을 받아야 했고 은근히 체력도 많이 소비했기에 큰 재미를 못 느끼는 사람들이 많고 부상의 위험이 존재하기에 나이가 들수록 많이 꺼려짐
      쉽게 얘기하면 스키는 재미를 붙이기까지 허들이 높은 것이 사실임
      당시 내 기억에 해외 여행도 80~90년대 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꽤나 많이 준비한 뒤 큰 마음 먹고 가야했던 곳임. 처음이 일본 그 다음이 중국, 호주 이렇게 갔었는데 스마트 폰이 출시 되기 전이지만 인터넷은 보급이 잘 되었기에 사전에 많은 자료를 찾아가야 했고 현지에서는 대부분 사전 준비 자료와 책에 의존해야 했음
      그런데도 새로운 것을 접한다는 느낌이 너무 좋았고 돈 쓸 만한 "가치"가 있는 행위로 느껴짐
      현 시점에 다시 비교해보면
      스키장
      전혀 개선된 것 없음
      여전히 접근성 나쁘고 몸으로 하는 것이기에 결국 가더라도 초보자는 배워야 함
      사람 많이 빠졌다고 해도 성수기 낮 시간에는 바글바글
      경비는 당시보다 훨씬 더 높아짐
      해외 여행
      스마트 폰 등장으로 난이도 너무 쉬워짐
      저가 항공(물론 요즘에 문제가 많다고 느끼긴 하지만)의 범람으로 티켓 싸게 구할 수 있는 방법 넘쳐남
      숙박 및 액티비티도 앱 이용하면 너무 쉬움
      마지막으로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현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너무 쉬워짐(유튭, 여행 커뮤니티 등)
      확실한 정보로 무장해서 가기에 만족도는 오히려 예전보다 더 높아짐
      결론은
      사람마다 취향차이가 갈리겠지만 같은 돈 같은 시간이 있다면 고생하는 스키장보다 해외여행의 선호도가 더 높아진게 아닐까 함
      (비슷한 이유로 국내 여행 갈 필요가 없다고 느껴 국내 여행지 관광객이 줄어드는 것 같음)

  • @poporocos
    @poporocos 5 дней назад +419

    비싸고 위험함 그리고 결정적으로 스키장말고 즐길것이 차고넘침.

    • @mylkh80
      @mylkh80 4 дня назад +11

      진심으로 궁금해서 그러는데 겨울에는 몰 해요?

    • @mobeomsang
      @mobeomsang 4 дня назад +2

      @@mylkh80 대부분 그냥 먹는거 하겠죠. 싼데서 먹고 비싼거 먹고..딸기 먹고..뭐 그런거만 주로 하는 시대같습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러...닝크루할라나? 아니면 테니스? 아니면 암벽등반...힙쟁이들이 우르르 몰려가서 깔짝대는 건 예나 지금이나 비슷합니다.

    • @jiho7011
      @jiho7011 4 дня назад +3

      썰매장만 가도 진짜 재밌음

    • @mobeomsang
      @mobeomsang 4 дня назад +1

      @ 맞음. 다만 이것저것 경험하고 나니 직업을 제외하고 준프로급으로 할 수 없는 건 결국 취미라고 할 수 없음. 시간 떼우기밖에 안됨. 그래서 결국 깊게 가는 애들은 애들데로 남을 것임. 예전에 다들 스키장갔다가 이제 몸집을 줄이는 것처럼. 그에 반해 러닝은...잘 모르겠네.

    • @dnrhsdl1
      @dnrhsdl1 4 дня назад +5

      @@mylkh80 요즘은 따듯한 나라로 여행 많이가죠 가족단위가 스키장에 쓸 돈 여행에다 쓰는거죠

  • @momomiy
    @momomiy 5 дней назад +240

    강습비가 너무비쌈.. 그래서 새로 들어오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것 같음. 비싼 스키장은 1대2 입문 강의 시간당 10만원이 넘어가는데 강습비 말고도 렌탈, 리프트, 교통비 다하면 돈겁나깨짐

    • @성이름-t3f1u
      @성이름-t3f1u 5 дней назад +2

      시간당 10만원이어딨음 강습비가 14만원정도인데

    • @momomiy
      @momomiy 5 дней назад +7

      @성이름-t3f1u 용평 렌탈샵들 싹다 담합해서 그따구임

    • @성이름-t3f1u
      @성이름-t3f1u 5 дней назад +6

      @@momomiy 용평 보고왔는데 9만원이네 시간당 비싸긴하네

    • @금별불
      @금별불 5 дней назад +6

      사설강습에선 일대일 두시간 15만원 수준입니다... 강사는 보통 레벨 2...

    • @성이름-t3f1u
      @성이름-t3f1u 5 дней назад

      @@금별불 제가 렙투에요

  • @제니훈-r5d
    @제니훈-r5d 5 дней назад +500

    스키장도 청년인구 많을때 흥했던거임... 나도 20대까지만 갔고 좀 위험하기도 해서 다른 취미 많음. 앞으론 사양산업이 아닐까 성장할거라 보긴 어렵지. 관광객이 많은 것도 아니고. 중년 접어들면 그냥 골프, 낚시, 등산, 캠핑 못 이김.

    • @노진영-x9f
      @노진영-x9f 5 дней назад +27

      ㄹㅇ
      그래서 중년인구들은 골프를 더 선호함

    • @ahyo7836
      @ahyo7836 5 дней назад +14

      인구 고령화에 따르는 자연스러운 형태ㅠ 10년전엔 재밌게 탔는데...아쉽네요

    • @노진영-x9f
      @노진영-x9f 5 дней назад +4

      @ahyo7836 ㄹㅇ

    • @-markshin-
      @-markshin- 5 дней назад +28

      내가 아무리 잘타도 남이 들이받으면 뼈부러지고.. 나이들면 잘 붙지도 않음

    • @user-yz8xk
      @user-yz8xk 5 дней назад +8

      맞아요. 젊은 사람들 놀이인데. 나라가 늙어가니.

  • @messileo8860
    @messileo8860 5 дней назад +264

    20대스포츠임 부모한테 용돈 수혈받고 낮에 스키타고 밤에는 술까지 먹을수있는 체력에 바로 담날 회복 가능한 체력까지 필요한 스포츠임 30대이상은 그돈씨 됨

    • @dlsxjspt007
      @dlsxjspt007 5 дней назад +1

      용돈 수혈받는다는 말은 굳이 안써도 될듯
      나도 내 주변도 용돈 안받고 자란 사람들 수두룩하고 돈 모아 삿포로 스키장 여러번 갔는데

    • @yjh4033
      @yjh4033 5 дней назад

      @@dlsxjspt007 그냥 젊음에 대한 시기질투임저건 ㅋㅋ 저렇게 표출하는거임

    • @SeeingSight
      @SeeingSight 4 дня назад

      ​​@@dlsxjspt007 너의 특별한 경험을 일반화시키지말기를. 난 살면서 20대에 용돈안받고 알바로 돈모아 삿포로로 스키타러 갔다온사람 들어본적도없다. 여러번은ㅋㅋㅋㅋㅋㅋ

    • @naseokpil
      @naseokpil 4 дня назад +3

      @@dlsxjspt007그냥 작성자 본인이 수혈받고 살았던터라 시야가 딱 거기서 멈춘 듯 싶습니다ㅋㅋ 뭐든 본인 경험이 전부니까요ㅋㅋㅋ

    • @asdfqwertt44
      @asdfqwertt44 20 часов назад

      ​@@naseokpil😂😂

  • @groove.groove1
    @groove.groove1 5 дней назад +192

    10년째 매시즌마다 가는 06년생 보더입니다. 이제 막 성인이 된 제가 체감한 스키장 인구감소의 이유는 일단 비용이 제일 커요. 특히 지속적으로 스키장에 취미를 가지기 위해 초반에 들어가는 비용이 너무 큽니다.
    두번째는 안전입니다. 기껏 비싼돈 들여서 강습받고 이제 혼자 좀 타보려니 하고 슬로프 올라갔는데 제대로 즐기지도 못하고 계속 넘어지니 온몸이 아프고 평소에 잘 쓰지도 않는 근육들 쓰고 특히 스키같은 경우엔 신발도 좀 아프고 이래서 한두시간 즐기다가 아프고 힘들어서 못타요.
    세번째는 요즘 젋은 애들 자체가 스키장에 관심이 그닥 없습니다. 요즘 비행기타고 먼 해외도 나갈 수 있는 시대인데 굳이 비싼 돈 내고 힘들고 무섭게 스키장을 왜가냐 라는 애들이 좀 많아요.
    10년째 매년 보드를 타는 저로썬 스키장인구가 줄어드는게 체감이 확 되고 한편으론 좀 씁습하네요..

    • @Geugler
      @Geugler 4 дня назад +9

      여기 적으신 내용은 스키장 인구감소의 이유라고 할 수 없습니다. 특히 1번과 2번은 처음 스키장이 생긴 1970년대에도 똑같이 적용됐던 문제입니다. 그걸 감수하고 갈 수 있는 사람들이 한 두번 정도 가서 넘어지고 구르며 함께 추억을 쌓고 오는 여행이었죠. 스키장은 저렴했던 적이 단 한번도 없었고, 언제나 위험한 운동이었으며, 그닥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온 운동도 아닙니다. 오히려 최근 들어서 마니아층이 더 두터워진 편이지요.

    • @jae-wp3rb
      @jae-wp3rb 4 дня назад +4

      경제적인 이유가 크지 않을까. 여름에 외국가서 해변 나가보면 서핑즐기는 사람이 죄다 삼십대 후반 사십의 고령자들이고, 십대, 이십대는 없어서 의아했었는데.. Ripcurl, Billabong, Quicksilver, O'Neil, Hurley.. 서퍼가 아니라도 외국 젊은이들이 좋아하고 비교적 가격이 비싼 서핑브랜드들 거의 유명무실, 맥을 못춤. 경제적인 이유 밖에 설명이 안됨.

    • @가즈아-s2o
      @가즈아-s2o 3 дня назад +1

      추울때 더운나라 가는게 메리트가 있어서 그런거 같음

    • @leohan6545
      @leohan6545 2 дня назад +2

      예전과 똑같이 위험한건 맞는데 ‘취미를 즐기기 위해서 이런 위험부담을 져야 하나’ 라는 가치관의 변화도 큰거같음. 나가서 구르고 다치고 하는거보다 실내에서 따뜻하게 즐길 거리가 많아졌으니

    • @뀨릉-u1t
      @뀨릉-u1t 2 дня назад

      06년생인데 말투가 왜이리 틀딱같노...

  • @juholee9600
    @juholee9600 5 дней назад +270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제일 많은 구간이 50대인데 누가 스키장을 갑니까 ㅋㅋ
    어르신들 다리 부러집니다

    • @박용훈-v4v
      @박용훈-v4v 5 дней назад +15

      추어 뼈 시려 도가니에 바람들면 무릅 아파 ㅜㅜ

    • @_dgloss358
      @_dgloss358 5 дней назад +6

      40-50대가 가장많아요 그리고 10대

    • @Rosa-gf9hr
      @Rosa-gf9hr 5 дней назад +4

      뭔슈라엥ㅎ
      할머니 할아버지도 꽤 있어요
      용평 가보셈

    • @boramlee7553
      @boramlee7553 5 дней назад +4

      그 4,50대가 한창시절 스키인구수 증가를 견인해서 스키장이 저렇게 늘어났는데 이제 몸사릴 나이다 보니 안감. 그러니 스키인구가 쪼그라 들어버림ㅎ

    • @CaptainHan23
      @CaptainHan23 5 дней назад +2

      당신 관점으로 다 쳐묶지말길. 50대 아마테니스선수, 복싱선수 수두룩함.

  • @stilltube
    @stilltube 5 дней назад +96

    스키대신 할게 무지 많은데 스키장 시설은 낙후되고 비싸고 장비에 옷에 이걸 빌린다고 해도 비싸고 이 가격이면 놀러갈곳이 아주 많다는

  • @김한울-y7y4x
    @김한울-y7y4x 5 дней назад +433

    곤쟘 지산 가면 사람 많음 수도권 기준 최대 맥시멈은 비발디임 그 이상은 당일이 불가하니 결국 스키+숙박+식비 이게 무시못할 가격임..

    • @deadmaninside
      @deadmaninside 5 дней назад

      한철장사라고 좆구린 모텔에 텀탱이 씌우고 10년전에 사놨었던 똥쓰레기 장비의류 렌탈 가격올려받고,
      지역 식당도 개쓰레기 노맛집들 동네에 있었으면 무조건 망할법한 식당에 비싼가격까지
      이게 다가 아니다! 스키장도 이상기온때매 문 여는 시즌이 적어지고, 돈이 안되니까 슬로프도 어거지로 초급만 열어놔서 학생,관광 스키어들 주구장창 몰려서 정작 좀 타는 사람은 사람에 치여서 못타니까 시즌권도 안삼, 관광으로 처음 온사람들은 사람에 치이니까 재미도 없어지고 유입도 안됨.
      스키인구 감소는 리조트랑 근처 업체들이 바가지 정상화만 하면 어느정도 회복할듯

    • @이름없음-o3v6x
      @이름없음-o3v6x 5 дней назад +42

      ㄹㅇ 뭔놈의 레져 한번 즐기는데 4인가족 가서 다 놀면 백만원 우습게 깨짐ㅋㅋ

    • @금별불
      @금별불 5 дней назад +10

      @@이름없음-o3v6x 스키를 자주 타면 비용이 줄어듭니다... 장비 중고로 30만원이면 좋은 것 사고, 리프트권은 카드할인 30%가 기본... 보통 한나절 타면 지치니까 반일권은 4만원 이하... 밥은 편의점에서 샌드위치 ... 맨몸으로 가도 한사람당 10만원이면 충분합니다...

    • @user-ok8g
      @user-ok8g 5 дней назад +12

      곤지암,지산대박많아요~~

    • @Hyungsuzi
      @Hyungsuzi 5 дней назад +13

      ​@@user-ok8g 저 이번시즌 곤지암 두번,휘팍 한번,하이원 여섯번 갔는데 다 사람 많았음ㅎㅎㅎ

  • @배진영-r2d
    @배진영-r2d 5 дней назад +200

    20살때 한번 가본 뒤로 스키장을 안가는 이유: 스피드를 즐기지 않아 큰 재미를 못 느끼겠고 내가 못타서 남을 다치게 하거나 못타는 누군가에게 타칠 위험도 있으며 한번 다치면 크게 다칠 우려가 있는 위험성 등 큰 매리트로 다가오지 않아 굳이 돈을 주고 갈 매력을 못느낌

    • @호호하하-b4n
      @호호하하-b4n 5 дней назад +4

      공감합니다.

    • @김병휘-y2b
      @김병휘-y2b 5 дней назад +6

      ㄹㅇ 너무 무서움ㅋㅋㅋ

    • @차니-t3w
      @차니-t3w 3 дня назад +2

      그쵸 그걸 타고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그돈으로 맛있는거 사먹는게 쵝오죠ㅎ

    • @guard3142
      @guard3142 День назад +1

      해 보지도 않고 미리 두려워 하고
      몸 쓰는 거 싫어하고 편한 거 좋아하는 요즘 세태가 드러나는
      예시같은 글이네.
      교통사고 날까봐 차는 어떻게 타고 다니나 ㅋㅋㅋㅋㅋ

  • @opchi8973
    @opchi8973 5 дней назад +264

    국내는 골프도 그렇고 스키도 그렇고 더럽게 비싸서 가기가 싫음

    • @윤순정-q2n
      @윤순정-q2n 5 дней назад +12

      맞아요 !!!등산화만 잘신고 걸으면! 건강에도 좋고 !!!느끼는건 마찬가지 입니다 가성비 👍 👍 👍 👍 👍

    • @뭡샺쯰줻
      @뭡샺쯰줻 5 дней назад +18

      @@윤순정-q2n 등산화에 스틱 다 합쳐서 15만원에 사서 몇년째 즐겁게 등산 잘하고있음
      스키는 닝기리 체감은 한번 타러갈때마다 150만원 깨지는 기분

    • @윤순정-q2n
      @윤순정-q2n 5 дней назад +8

      @뭡샺쯰줻 맞습니다 맞고요!!!대학졸업해도 취직안되고 취직해도 한달에 얼마를 버는데 거품바가지인 🎿 ⛳️ 🏌️‍♂️ 안치는게 현명한거죠

    • @halfmoonbears
      @halfmoonbears 5 дней назад +3

      프랑스에서 한국 워홀온 친구 있는데, 같이 용평 몇 번 다녀왔어요. 가격에 대해 물어봤는데, 한국 스키장은 싼거래요. 프랑스 알프스에 있는 스키장 가면 이거보다 배로 비싸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그 프랑스에 있는 스키장은 규모에서 한국이랑 비교가 안되긴 합니다 ;; 애초에 동계스포츠는 돈이 많이 드는게 어쩔 수 없는 것 같네요

    • @dummy-pt8bt
      @dummy-pt8bt 5 дней назад +3

      스키는 본인 장비만 있으면 절대 비싼 스포츠는 아닙니다. 초기 투자비용이 좀 드는 건 사실이지만 다른 운동들도 대관료 장비료 생각하면 비싼 운동들 많은데, 그 중에 특출나게 비싸다고 할 정도는 아니에요.

  • @신일호-b7q
    @신일호-b7q 5 дней назад +38

    하이원 이용하는 사람인데 뭔가 이상하내요
    주말에 미어터집니다.
    야간 첫타임은 줄이 스키 하우스까지 이어질 정도에요.
    저 날이 뭔가 특이한 날이었을겁니다.
    인구감소로 스키인구가 줄어든건 맞습니다.
    그러나 스키 인구는 줄었는데 폐장한 스키장이 더 많아서 기존 스키장에 사람이 더 몰리고 있어요.

    • @유니파파-t5s
      @유니파파-t5s 4 дня назад +5

      이말이 정답

    • @그레이트티처
      @그레이트티처 16 часов назад +3

      특이한 날 찍었거나 찐 막타임에 찍었거나...ㅎㅎ 좀 극단적이고 왜곡된 정보같아 아쉽네요 ㅠ ㅠ

    • @김아무개-h7n
      @김아무개-h7n 16 часов назад +1

      평일날은 직장인들 일을 하러가니 적은건 당연한거고 일반인들 일하고 주말에 즐기러 오면 어떤날은 초보 슬로프도 닫아버림 그렇다고 숙박을 하고 야간을 즐길려니 중 상급 슬로프 대부분 닫아버려서 한곳으로 몰려 두세번 타면 끝. 야간이라도 조금더 열어주면 잼나게 즐기겠는데 줄서는데 20분 타는데 10분 주말 진짜 최악입니다.

    • @성이름-c3y8z
      @성이름-c3y8z 10 часов назад +3

      영상 보니까 쥬피터 타고 올라가는데 원래 사람 없는 리프트.. 아폴로 환승용이잖음..

    • @mythdongwan
      @mythdongwan 4 часа назад

      제가 주말마다 하이원을 가는데..저런 적이 없었는디요..ㅡㅡㅋ

  • @sm-sr6bp
    @sm-sr6bp 5 дней назад +108

    초등생 감소...전업계 곳곳에 인구감소 직격....

  • @rachy968
    @rachy968 5 дней назад +87

    하이원 자주갔었는데 충격적이네요.. 이번 설날연휴에 하이원은 너무 멀어서 비발디 다녀왔는데 여긴 진짜 사람 너무 많더라구요ㅠ 태국인? 중국인 인도인 등등 다온듯요... 초보슬로프 30분~40분 기다려서 리프트 탔구요.. 지하 푸드코트 앉을자리 없어서 다들 하이에나처럼 자리찾구요.. 하이원이 서울에서 가깝기만 하더라도 사람 많을텐데 아쉽네요ㅠㅠ

    • @밀본-c8n
      @밀본-c8n 5 дней назад

      쓰레기 영상입니다 하이원 여전히 사람 많아요 쥬피터 ㅋㅋ

    • @ytigoss3625
      @ytigoss3625 4 дня назад +7

      설날 연휴에 하이원 다녀왔습니다. 연휴라서 마찬가지로 사람이 많아서 리트프 대기 시간이 길었습니다. 식당, 카페 자리가 없어서 바닥에 퍼질러서 먹었습니다. 동남아랑 중국인 단체 관광객도 많더군요. 연휴 기간 아닌 평소 주말 모습 보고 충격이네요.

    • @빌런2g
      @빌런2g 4 дня назад +11

      ㅈㄴ많은데 하이원ㅋㅋㅋ 걍 개소리들임 문닫은데 인기없거나 사고나서 닫은겈ㅋㅋ ㅈㄴ사람많다

    • @once3396
      @once3396 4 дня назад +1

      설날연휴인데 당연히 사람많지.. 휴가내거나 반차써서 평일에 가셈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4 дня назад +7

      설날연휴잖아요 ㅋㅋㅋㅋ 하이원 비발디는 항상 주말에도 붐비어요. 나머지가 문제..

  • @moon-jh-r4x
    @moon-jh-r4x 5 дней назад +54

    한국은 인구 주는 것도 있지만 설 연휴에 일본 가서 뉴스 보니 스키장에 서양인들도 너무 많이 와서 쓰레기 호텔 문제로 골머리 앓고 있던데 비싼 한국 스키장은 안오고 바가지 없는 일본으로 가고 있음 이제 동남아 관광객 중 특히 대만분들도 일본으로 가고 있음

    • @jinukcho5365
      @jinukcho5365 5 дней назад +7

      한국 스키장이 비싸서 안간다기보단 한국의 지리적 특성상 자연설이 안내리기 때문에 자연설이 많이 내리는 일본으로 가는겁니다! 일본의 자연설은 더운 바람과 급격히 온도가 낮아지는 산맥 지형 덕분에 전세계에서 가장 좋은 설질을 자랑합니다

    • @Rock-2
      @Rock-2 3 дня назад +1

      일본 겁내 비싸졌음 언제적 이야기

    • @tigertomson4563
      @tigertomson4563 3 дня назад +3

      이번에 홋카이도 다녀왓는데 스키장에 외국인 절반임. 설질. 시설 모든면에서 한국 압도함. 한국스키장 놀러오는 극소수의 외국인들은 이상한것임

    • @껍질씨앗
      @껍질씨앗 2 дня назад

      이제 설질로 일본과 경쟁하려면 통일 밖에 답없음😢

  • @Starwhale_
    @Starwhale_ 5 дней назад +52

    채널 운영자분 관찰력과 상황판단력, 순발력 뛰어나신 것 같아요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jeongseongmook
    @jeongseongmook 5 дней назад +145

    시즌권만 싼거지 하루 리프트권 할인해도 7-8만원. 밥값, 왕복 교통비 하면 한명이면 10만원도 넘고, 두명이상이면 하루에 20-30 쓰는게 우스운 지경인지라....
    신규유저 유입은 일일권, 시간권이 저렴해야함

    • @qIIIllIldj3h
      @qIIIllIldj3h 5 дней назад +16

      문제가,
      물가가 5060 부자들 기준에 맞춰져있다는거임.
      솔직히 요즘 스키든 워터파크든
      당일치기로 간다고치면,
      왕복 교통비 2만5천원+ 스키장비, 스키장비용 10만원+밥값 3만원+ 기타 잡비용 2만원 하면 거의 20만원 깨짐.
      20만원이면 그냥 조용히 집에서 놀면 일주일은 먹고사는 돈인데 ㄷㄷ

    • @금별불
      @금별불 5 дней назад

      시즌권이 리프트권입니다...
      혼자 가면 비용이 높습니다. 몇명이 함께 가면 기본 경비를 나눌 수 있죠...
      자주 가는 사람들은 장비가 있으니 렌탈비 없고, 가족 시즌권 끊으면 한사람당 25만원 수준이고 (1+1=50만원) 10번 가면 하루종일 2.5만원...
      저희는 주 1회 4인 가족이 당일로 갑니다.. 기름값+톨비 6만원 + 점심값 샌드위치나 햄버거 4만원 + 시즌권 10만원 = 20만원/회 (4인가족)

    • @뿅-i
      @뿅-i 5 дней назад +7

      ​@@금별불 시즌권(리프트)만 싸지 일일(리프트)는 비싸다. 그래서 자주타는 사람 아니면 너무 비싸다. 이 말 같아요.
      시즌권이 리프트권인지 모르는 댓글이 아님

    • @sheonlee9944
      @sheonlee9944 4 дня назад +3

      속초 중앙시장 갔다와보소 20만원 안드나..ㅎㅎ
      어딜 가나 비용은 비슷허요.
      걍 전세계적으로 스키장 이용 고객이 줄었음

  • @소닉-p9r
    @소닉-p9r 5 дней назад +30

    겨울은 이불안에 최고!! 이 나라는 나가면 바가지라

  • @카짱-f7f
    @카짱-f7f 5 дней назад +39

    스키를 배우려면 시간과 비용이 들고 이제는 겨울에 스키 안타고 편하게 집에서 넷플릭스, 유투브 보거나 해외로 여행가서 놀고 오는게 더 즐겁죠.
    즉 뭔가를 배우는것 자체가 리스크인데 이 리스크를 뛰어 넘을 의지, 의욕이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 @MUGUNJI
      @MUGUNJI 5 дней назад +3

      요즘 20대는 운전면허도 안 따는데 산골짜기 스키장을 갈리가…

    • @sagolgabijang8263
      @sagolgabijang8263 4 дня назад +3

      이 분석이 맞음... 제가 20대 때는 당일 치기 백야 스키 까지 타면서 스키에 대한 열정이 가득 했는데

    • @jae-wp3rb
      @jae-wp3rb 4 дня назад +1

      일본에선, 젊은이들도 오래전부터 해외여행 안가고 자동차 안산다고 정부에서 대책을 세우기도 했었는데.. 의욕이 사라진다는 말이 와닿음

  • @최호용-p7v
    @최호용-p7v 5 дней назад +36

    스키장에 사람이 없어 너무행복한 1인 입니다😊

  • @PPiyuyu
    @PPiyuyu 5 дней назад +57

    스키장 무료 셔틀 없어지니까. 그나마도 가던거 더 안 가는거 같더라. 차 있어도 무료 셔틀타고 주말에 당일치기 엄청 탔는데. 시즌권 가격도 오르고 무료셔틀 없어지니까, 체감가 너무 비싸졌다고 그만두더라. 뽐뿌에서도 셔틀도 없는데 가격도 올리니 체감가 미쳤다고, 핫딜 뜨면, 안 싸다고 평 받더니. 시즌권 핫딜 안 올라오기 시작함.

  • @브루스리-f6m
    @브루스리-f6m 5 дней назад +46

    젊은세대고객이 유입되야하는데 젊은친구들이 타기엔 너무비쌈
    수도권에서 거리가멀어 당일다녀오기는 힘들고 리조트 팬션숙박료까지하면 너무 부담스러움
    몇번 타보면 중독성있는데 시작부터가 너무 부담스러운게 현실

    • @tokkisusu
      @tokkisusu 4 дня назад

      맞아요 대여비도 너무 비싸고 근처 숙박업소는 완전 바가지고 1년에 한두번 가기에도 부담되는 가격임

    • @user-ugt7hjiyrr5e
      @user-ugt7hjiyrr5e 3 дня назад +1

      옛날에도 똑같이 비쌌고 바가지였음 새삼스레

  • @라이너787
    @라이너787 4 дня назад +49

    매년 시즌권끊어 겨울의 반은 하이원에서 사는데, 주말도 평일도 사람 미어터져요~ 영상속의 장면은 12월초, 구정연휴전날 또는 당일, 2월 막바지나 3월 평일 정도일듯합니다. 특히나 1,2월초까진 학단으로 리프트 대기줄 엄청나고 슬로프에도 바글바글합니다~

    • @무지는단무지-q3u
      @무지는단무지-q3u 4 дня назад

      네 채널주인이 자료 조사도 없이 걍 뇌절로 영상 만든거 같습니다.

    • @EulerNumber_e_2.7183
      @EulerNumber_e_2.7183 2 дня назад

      애쓴다~ ㅎㅎㅎ

    • @무지는단무지-q3u
      @무지는단무지-q3u 2 дня назад

      @EulerNumber_e_2.7183 뭔 뜻이에요?

    • @mr.p1163
      @mr.p1163 День назад +2

      @@EulerNumber_e_2.7183 하이원 사람 많은거 팩트인데 뭔 ㅋㅋㅋ 이번에 거기서 자격증시험이랑 기선전 있어서 사람 더더욱 많아서 짜증나는데 뭔 애쓴다..

    • @그레이트티처
      @그레이트티처 16 часов назад

      ⁠@@EulerNumber_e_2.7183어딜가든 이런사람 있죠 ㅎㅎ 실제로 경험해보지도 않고 비꼬기만 하는 ㅋㅋ

  • @문화소년-t8n
    @문화소년-t8n 3 дня назад +21

    20대에 스키를 즐겼던 그러니까 지금 40대 중반 이상이 된 남성들은(주로 1970년대생) 스키 말고도 유소년기때 골목이나 운동장에서 축구, 농구, 야구 등을 하며 자란 세대입니다. 그땐 놀거리가 부족하기도 했지만 보다 활발하고 심지어 거친 신체 활동이 흔했습니다. 잔디 구장이나 실내 코트라는 건 아주 드물었는데도 그랬죠. 그에 반해 요즘 20대들은 피지컬과 운동 신경은 더 좋아졌지만 아주 '곱게' 큰 사람들입니다. 그러니 위험천만한 스키에 큰 매력을 못 느끼죠. 그리고 젊은 여성들의 입장에서 보면 스키는 인스타그래머블하지 못한 스포츠입니다. 몸매가 안 나오니까요.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도 그저 먹고 보고 즐기는 취향이 대세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스키보다 훨씬 부상 위험도 적고 보여ㅇ주기 좋은 골프나 테니스에 사람들이 몰리는 건 다 이유가 있는 겁니다.

  • @중구-w9r
    @중구-w9r 5 дней назад +24

    옛날에는 다른 놀거리 선택지가 별로 없었는데 요새는 비슷한 가격대에 선택지가 너무 많음... 굳이 안가지

  • @sanghyukhan7965
    @sanghyukhan7965 5 дней назад +21

    줄었어도 아직 토욜 일욜 꽤 붐빔
    다른 이유로 스키가 자격증 위주로 돌아가면서 점점 일반인이 멀어지고 있는 현실도 있음

  • @sarakim1695
    @sarakim1695 4 дня назад +6

    제 주변 지인중에 보드 타다 안다친 사람이 없어서 안가게 됬었네요 오늘도 정보 감사합니다🙏🙏🙏🙏

  • @블루스타-사생팬22호
    @블루스타-사생팬22호 4 дня назад +8

    40중반 넘은 아재입니다.
    스키는 고등학교때 부터 타고 결혼뒤엔 쉬다가 아이들 5살되고 나서 부터 10년 넘게 시즌권 끊고 타는 사람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아이들이 그만타자 해서 접게된 경우인데..아이들이 말하길 비싸고, 위험하고, 피곤하다 이3문장에 모든게 다 포함되어 있다 봅니다.
    여기서 경제적인 이유가 제일 크다봅니다. 4인 가족 시즌권이랑, 장비 다 있다는 가정을 해도 1박 하면 최소 50만원 날라갑니다. 시즌권 있음 1번만 가는것도 아니고 분명 부담이 많이 되는건 사실이죠. 그러니 굳이 저 비용을 들여서 위험한 레포츠를 즐긴다?? 다른 선택지가 너무 많아요 이제는.

  • @나야나-g5d
    @나야나-g5d 5 дней назад +8

    40대 들어서야 스키 접했는데 너무 좋네요
    칠순 넘어서도 계속 즐기려고 합니다
    젊었을 땐 형편이 안돼서 못가봤어요

  • @jenny-jw8bb
    @jenny-jw8bb 5 дней назад +16

    고령화 + 물가상승
    코로나 이후로 회복세가 더딜수밖에...ㅠ

  • @keemzuno
    @keemzuno 5 дней назад +9

    다시 젊은 사람들 넘치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ㅠ ㅠ

  • @드래곤자라
    @드래곤자라 5 дней назад +47

    예전에는 겨울만 되면 스키타러 간다고 난리였는데
    최근에는 한명도 못봄
    골프도 비슷하게 되지 않을까 싶은데

    • @qIIIllIldj3h
      @qIIIllIldj3h 5 дней назад

      그리고 그때는
      스키장가면 여자꼬실수있다는 얘기때문에

    • @이름성-v1z3g
      @이름성-v1z3g 5 дней назад +5

      골프는 할아버지 할머니도 가능해서 롱런할 듯

    • @geny1
      @geny1 5 дней назад +2

      골프도 이미 동남아로 나가고 있죠

    • @김병휘-y2b
      @김병휘-y2b 4 дня назад

      골프는 부자 + 중장년 스포츠라 망할수가 없음
      이용객은 줄어도 시장규모는 커질거임

  • @jackyang8559
    @jackyang8559 5 дней назад +8

    젊은 사람들이 줄어서인 것도 있지만 그보다는 고인물만 남고 유행이 지난 것이 크죠

  • @sologogogo
    @sologogogo 5 дней назад +15

    초보자 입장에서 방문하려면 모든장비렌탈 + 리프트권 반나절까지 5만원쯤에 해결해야 한번쯤 가볼까하는 맘이 들지않나...
    근데 리프트권만 6~7만 이상이니 재미에 비해 가격이 부담스러워서 안가는거지 무슨 이유가 있나요...

  • @먼데이캠핑
    @먼데이캠핑 5 дней назад +49

    참....세월이 흘러가니 사람들의 놀이 문화도 변해가는 것 같네요...겨울스포츠인 스키 보드 말고도 여름에는 워터파크도 예전만 못한 거 같네요..소규모 스키장들은 이미 줄줄이 폐업이고
    이제는 다 해외로 다 나가는거 같습니다. 저가항공사가 출범하여 비행기가격도 싸고 국내보다 즐기고 볼것도 많으니까요..

    • @qIIIllIldj3h
      @qIIIllIldj3h 5 дней назад

      문제가,
      물가가 5060 부자들 기준에 맞춰져있다는거임.
      솔직히 요즘 스키든 워터파크든
      당일치기로 간다고치면,
      왕복 교통비 2만5천원+ 스키장비, 스키장비용 10만원+밥값 3만원+ 기타 잡비용 2만원 하면 거의 20만원 깨짐.
      20만원이면 그냥 조용히 집에서 놀면 일주일은 먹고사는 돈인데 ㄷㄷ

  • @리블레헬영
    @리블레헬영 5 дней назад +22

    10년만에 가봤는데 깜짝놀랬음 사람이없어서 예전엔 스키장 밑에도로부터 대여점 엄청 많았는데

  • @koleanan1001
    @koleanan1001 5 дней назад +6

    첨언합니다.
    경사면을 타고 내려오는 알파인스키는 평소에 운동을 꾸준히 안하면 입문자 슬로프에서도 계속 자빠집니다. 게다가 지금은 가면 갈 수록 줄어드는 청년들 조차도 입시와 취업 부담으로 인해 운동을 잘 안합니다. 그래서 이를 감안하면 평지나 완경사면 위주라서 중장년도 잘하면 무난히 탈 수 있는 노르딕스키 코스를 신설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우리나라 지형상 노르딕코스를 신설하기엔 많은 어려움이 따르겠지만 인구가 거의 없는 농촌의 토지를 매입하면 싼 값으로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 @TH-vk9rx
    @TH-vk9rx 5 дней назад +14

    모임이나 연인들이 많아야 어디든 활기가 넘치고 유행을 이끄는데 젊은 사람들은 줄어들기만하고 비합리적 연예문화로 남자들이 주도를 못하고 의욕 상실 거기다 그냥 쉬는 젊은 세대도 많아서 돈도 없고 여유도 안생기고 그런듯

  • @초코린이-u1f
    @초코린이-u1f 4 дня назад +8

    나이 30에 보드라는게 처음 생기면서 스키장 다녔는데 그때 통신사 할인을 엄청 해줘서 많이들 갔을꺼야 . 그대 사람 바글 바글 했는데... 지금50에 돈과 시간 여유가 생겼는데 안가는 이유 .
    이제겨우 살만한데 스키장 가서 빌런들한테 킬 당하기 싫다
    국내 스키장은 좌우앞뒤를 항시 살피면서 타야 목숨을 보존할수있다.
    설량이 적어서 준나 딱딱하다 푹신하고 두꺼운 자연설이 아니라 노잼
    이제는 목술걸고 탈만큼 재미를 느낄 나이가 아니다
    30초에 아는 형이 헬멧쓰고 보드 타다가 다른사람이 박고 넘어지면서 헬멧에 보드가 때렸는데 괜찮다고 툭툭 털고 일어섰음 나중에 오는길에 어지럽다고 하면서 잠든후 그렇게 떠나심.

  • @박준혁-z8f
    @박준혁-z8f 4 дня назад +21

    용평은 사람 바글바글해요..
    발왕산 설경보러 온 관광객까지 더해서 곤도라타는거 전쟁이에요

  • @임관용-r8t
    @임관용-r8t 5 дней назад +93

    비싸기도한데 저기까지가는것도힘들고 접근성도안좋고 외국갈래...

    • @naeiouy
      @naeiouy 5 дней назад +7

      ㄹㅇ 차없음 가기힘듦
      해외가는급

    • @노진영-x9f
      @노진영-x9f 5 дней назад +3

      외국이 더 멂ㅋㅋ

    • @GiSang-h6z
      @GiSang-h6z 5 дней назад +10

      비싸고, 접근성이 안좋은데 갑자기 외국갈래는 뭐냐

    • @임관용-r8t
      @임관용-r8t 5 дней назад +2

      @@GiSang-h6z 저기가는돈이나 시간 이런거생각하면 외국간다는뜻이었음ㅎㅎ

    • @zzoda1213
      @zzoda1213 5 дней назад +5

      외국은 뭐 옆동네냐 ㅋㅋ

  • @Owa-sg9sh
    @Owa-sg9sh 5 дней назад +18

    오늘 수요일 오후 무주 다녀 왔어요. 상급자 대기없이 리프트 탔습니다. 지난 주말에는 주차장 진입 3시간 걸렸습니다. ㅎㅎ

    • @치치아빠-w9l
      @치치아빠-w9l 5 дней назад +8

      다른곳이 망해서 갈곳이 줄어들었으니까요 ㅋㅋ 주말에만 그렇죠 옜날에는 겨울내내 방학시즌 내내 그랬을걸요

    • @바비-n5b
      @바비-n5b 5 дней назад +1

      @@치치아빠-w9l맞음 주말에만 그럼 10년대엔 평일이 지금주말이었음

  • @paris-u1t
    @paris-u1t 5 дней назад +6

    지금 20살 인구가 50대 절반인데..스키장 갈 인구도 줄었고 이런 위험한 스포츠 하다가 다치면 평생 고생함...

  • @허정민-q2c
    @허정민-q2c 9 часов назад +2

    주말에요? 없어요? 어디가?

  • @James_burn
    @James_burn 5 дней назад +5

    스키 뿐만 아니라 자전거 마져도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고 함. 일단 인구 자체가 젊은 애들 줄어들었고 무언가 사회 전반적으로 젊은 이들의 미래에 대한 성장 기대 이런게 이젠 없어보임.거기에 부모들 불경기도 한몫한다 봄. 이게 다 수도권 집중 및 부동산 정책등등 때문이라고 본다. 애도 안낳지. 빈부격차는 극대화 되고있지. 국가 전체가 90-00대의 활기가 없어보임.

  • @주먹왕랄프-s2i
    @주먹왕랄프-s2i День назад +3

    10~20대 스키장 쭉 살았는데- 30대부터 발도 아푸고 춥고 사람도 많고.. 걍 슬로프 바라보면서 콘도 리조트에서 노는게 좋아짐..

  • @이순-m6s
    @이순-m6s 5 дней назад +3

    정선 하이원 한산한 것 보니 맘이 아프네요. 50대 중반되어 무릎 아프고 추위에 약해져 최근 몇년 못가고 있네요. 다시 가고 싶네요. 젊은이들이 가득찬 스키장으로 회복되길 바랍니다.

    • @금별불
      @금별불 5 дней назад

      60대는 물론이고 70대들도 간간히 보입니다...
      등산보다는 무릎에 부담이 없고, 추위야 예전보다 옷 하나 더 입으면 되더군요..

  • @dotig84
    @dotig84 5 дней назад +5

    엊그제 에덴벨리 지나는데 텅텅비었더라구요 슬로프도 하나밖에 운영안하고 큰일입니다 나라가어째될런지 ....

  • @지상최고미남
    @지상최고미남 День назад +2

    근데 왜 백만대명에는 사람이 줄지를 않죠?? ㅜㅜ

  • @anonymous7537
    @anonymous7537 5 дней назад +13

    용평 가보니 차 댈곳도 없던데 ㄷ

    • @mellow_candy
      @mellow_candy 5 дней назад +5

      눈으로 보는게 맞는거임 ㅋ

    • @messileo8860
      @messileo8860 5 дней назад +1

      상위1프로는 머든 잘됨

    • @Cydergood
      @Cydergood 5 дней назад

      ㄹㅇ

  • @ililiiililil
    @ililiiililil 5 дней назад +5

    근래에 너무 갑자기 비싸짐. 기존 매니아들도 비싸서 떠나는데, 신규가 들어올 수가 없음.

  • @carlchoi-b9n
    @carlchoi-b9n 3 дня назад +3

    70년대생들이 50대가 되어감.. 갈 수 없음.. 몸도 아프고.. 스키나 보드탈 기운이 없음...ㅋ 게다가 너무 추워.. 아휴.. 너무 추워.. ㅎㅎㅎ 아니 지구온난화라며.. 개 추워.. 온천이나 만들면 좋겟다리~~ 골프도.. 힘들당.. 돈도 마니 들고.. 따땃하게 몸이나 지지고 뜨끈하게 물에 다 푹 녹이고 오면 좋겟당~ ㅋ

  • @carguykor_1
    @carguykor_1 5 дней назад +4

    일본같은 니세코의 럭셔리 리조트를 모를리가 없을텐데 아직도 문제를 모르나...?
    잘될때 돈 벌어서 새로운 투자로 지금을 준비하지 못했으니 당연한 문제인듯

  • @차우기-f1e
    @차우기-f1e 5 дней назад +3

    매 시즌마다 즐기는 보더로서 지금이 좋습니다.
    시간권 변화도 좋고 전체적으로 가성비가 좋아짐.

  • @꼬부기-z7d
    @꼬부기-z7d 5 дней назад +5

    스키 나이 먹고 타기는 위험하죠 가볍게 다쳐도 골절 입니다

  • @stratkimstratkim4686
    @stratkimstratkim4686 3 дня назад +1

    1.일단 젊은 인구가 감소
    2.스마트폰 시대가 15년간 지속되면서 각자 자신의 세상으로 들어감

  • @BK-bx7gc
    @BK-bx7gc 5 дней назад +12

    골프장도 곧 이렇게 될꺼임

    • @이수아르
      @이수아르 5 дней назад +1

      그건 아님 나이가 들어가니 뛰는건 못하고 결국 밖에 공기마시며 천천히 걷는 골프더라 아예고령은 파크골프로가고

  • @짱뚱어-t1n
    @짱뚱어-t1n 7 часов назад +1

    한창때는 퇴근하고 야간을 주 2~3회 갔는데..한두해 안가다 함 가보니
    부츠신다 힘들어 구경만하고 온뒤로
    안가게 됨 ㅠ

  • @_racoon725
    @_racoon725 5 дней назад +7

    이십대 때부터 사십 중반이 된 지금 까지 스키장은 계속 해서 찾지만... 매년 제약이 너무 많아짐
    놀러갈 생각이 뚝 떨어짐
    용평 - 올림픽 이후로 너무 비싸고 어린 친구들 강습으로 카페는 부모님의 대기 장소가 되서 쉴곳이 너무 부족하고 라면 하나에 만원이 넘어가고 식사 할 곳은 늘 자리도 없고 부담이 됨
    벽 타고 비밀 슬로프(?)도 타고 놀던 때 그리운데 줴다 막아 놓음
    휘팍 - 반절 뚝 때서 매각하고 난 이후로 주차장 부터가 지랄임...
    하이원 - 뚜껑 없음 입장도 못 하고...벽이던 어디든 기어 올라가고 놀만한 곳은 줴다 막아 놓음
    예전에는 각 스키장 마다 낭만이라도 있었는데...요즘은 그냥 기승전 돈...
    전국 스키장은 되도록 한번 씩은 놀러가는데...
    예전 알프스 스키장이나 다시 오픈 했음 좋겠다

    • @mr.p1163
      @mr.p1163 День назад +1

      뚜겅없으면 입장못하고 참 아쉬운데 안전을 위해서 어쩔수없죠 사고 나면 뭐만하면 다 리조트 죽일놈 되버리니 리조트 입장에선 방어적으로 운영할수밖에 없구요. 비인가 슬로프 간다고 일일이 서약서 받을것도 아니잖아요

    • @_racoon725
      @_racoon725 День назад

      @ 맞는 말씀이긴 해요..ㅠㅠ
      아쉽다라는 표현이 맞는데...너무 한쪽으로 결정 되어 버린 느낌이 큽니다...
      예전 생각이지만 패트롤 분들한테도 비인가 슬로프 가서 혼나던 것도 추억이라 적어봤습니다

    • @YongHyukChoi-q1d
      @YongHyukChoi-q1d 13 часов назад +1

      헬멧은 꼭 써야죠. 비니쓰고 타다가 머리 깨지면 본인도 문제고 상대방도 문제가 생김

  • @avarice2349
    @avarice2349 5 дней назад +5

    나도 옛날엔 시즌권 끈어서 타본 사람으로 장비 다 구매 했는데도 리프트권 비싸면 망설여짐 물가 상승 압박으로 가성비적으로 스키장이 마이너스 된 경향이 있죠... 올해 날이 따뜻해서 안갈려다가 요즘 추워져서 함 가볼라고 리프트권 검색 해 봤더니 올해 걍 포기하게 만드는 가격이던데..ㅋ

  • @hersy100
    @hersy100 4 дня назад +4

    자기 힘이 아닌 엔진,중력,바람등을 이용하는 운동은 가장 위험한 운동...자기가 버틸 수 있는 한계를 쉽게 넘는다... 윙숫이 극단적 예.

  • @carrot0204
    @carrot0204 5 дней назад +20

    노인들 많아질수록 스키장은 안될듯요 ㅠㅠ 이제 초고령화사회라서 게이트볼장이나 오픈해야 할듯요😂

    • @jeyongpark2486
      @jeyongpark2486 5 дней назад +2

      근데 골프 인구도 주는 걸 보면, 결국 비용의 요인이 큰 거 같아요

    • @conajang
      @conajang 5 дней назад +1

      게이트볼 개추

    • @bleedlee6544
      @bleedlee6544 День назад

      @@conajang
      요즘은 아니고 꽤 오래전부터 게이트볼이 아닌 파크골프로 모두 갈아탔습니다.

  • @다람좌
    @다람좌 5 дней назад +6

    가격도 비싸고.... 고령화 사회로 가는중일뿐더러 위험한 스포츠니까 잘 안타려고 하는 경향도 있고 저희집도 딱 고1정도까지만타고 20중후반까지 단 한번도 스키장은 안감...

  • @TPRpWPDLFEOVY
    @TPRpWPDLFEOVY 5 дней назад +4

    헤비스키어였는데 쇼츠보는게 더 재밋음

  • @이웃집또털어-j2j
    @이웃집또털어-j2j 4 дня назад +1

    따뜻해진 기후 여파로 예전에는 11월말이면 개장하던 스키장이 요즘은 12월말이 되어야 개장하고 있으니 시즌권 구매자들 입장에서는 연말 가장 연차를 많이 쓸 수 있는 시기에 못가게 되는 것이 외면하게 된 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되네요.

  • @비오는날좋아-c5h
    @비오는날좋아-c5h День назад +2

    30대에 딱한번 가보고 두번다시는 안갑니다.
    장거리 운전해서 갔는데 너무 춥고 배우기도 너무 어려운게 하루이틀 배워서는 도저히 습득이 안됩니다.
    장기숙박으로 꾸준히 연습해야 하는데 일반직장인이 그럴 시간이 없고 비용도 부담이 되더군요.

  • @azelk1309
    @azelk1309 4 дня назад +2

    베어스는 사고 후 안전점검때 문제로 폐업한거임..그리고 아무리 사람 없어도 영상 초반에 나온만큼 사람 적은건 거의 잠시고 점심쯤이나 오후부턴 사람 많음. 오히려 매번 초보만 많고 중급부턴 널널해짐 경험은 해보지만 그게 입문으로 이루어지지않음 결국 고인물들만 점점 더 고여짐. 초급도 거의 관광으로 온 사람들이 대부분…인구가 어마무시하게 줄고있는건 맞음.뭐 스키장들 배짱장사로 시설 노후화, 관리미흡도 심각함.

  • @GunMan966
    @GunMan966 День назад +1

    스키장 주말 마다 리프트 대기줄
    장난 아닙니다 🤣😂

  • @jaeyongcho2825
    @jaeyongcho2825 5 дней назад +7

    지산갔더니 중국인들 바글바글함
    하이원은 멀어서 잘 안 가지

    • @jinjupark9911
      @jinjupark9911 День назад

      하이원에도 지난 설날에 중국인들 바글바글 시끌시끌했어요 ㅠㅠ

  • @jason6009
    @jason6009 3 дня назад +2

    내수 시장 침체는 비단 스키장뿐만이 아닐것임. 츨산을 안하는 나라는 댓가응 치뤄야지..

  • @thenry7493
    @thenry7493 5 дней назад +3

    지금 가면 개꿀이겠네요 달려가야겠군여 ㅎㅎ

  • @leaf4974
    @leaf4974 День назад +2

    춥고 힘들고 멀고 비쌈

  • @jungjepark-t9h
    @jungjepark-t9h 5 дней назад +4

    에덴밸리는 왜?????????? 리스트에 없나요? 지금 운영중인디?

  • @준영아
    @준영아 5 дней назад +17

    뭐 제가 못타는 탓이겠지만 살면서 스키장 3번 갔는데 3번 다 무릎 아작나서 실려갔었습니다
    그 뒤로 바가지돈에 무릎까지 아작나는걸 왜 타나 싶어서 한번도 안갔습니다
    초보자들한테 제일 아량이 없는 스포츠가 아닌가 싶어요
    번지점프가 낫겠음 차라리

    • @너야-u5o
      @너야-u5o 3 дня назад

      그건 제대로 안배워서 그래요
      운동능력도 떨어지시는듯 하네요

    • @YongHyukChoi-q1d
      @YongHyukChoi-q1d 13 часов назад

      실력에 맞는 슬로프에서 타야지. 이건 니가 문제임

  • @themandalorian010
    @themandalorian010 5 дней назад +2

    모든 산업이 다 암울하네요 앞으로는 인구가 줄어서 더하면 더할거같네요

  • @raze87625
    @raze87625 5 дней назад +5

    명절이후 주말말고, 그냥 주말에 가면 제우스쪽 줄 엄청 긴데;;;;;

  • @juneseoklee9639
    @juneseoklee9639 13 часов назад +2

    어제 하이원 갔다왔는데 오후 되니깐 사람 많던데…

  • @DogunMaster
    @DogunMaster 5 дней назад +3

    저도 보드로 입문해서 한동안 엄청탔는데
    지금은 코로나 이전부터 안간지 몇년이네요

  • @미쁘다-s8j
    @미쁘다-s8j День назад +1

    하이원 근처 장비대여샆 월남스키 가지마요 여기 장난치는것 같다고 합리적 의심을 해봅니다 쌩초보자가 초보슬로프를 두번내리고 몇번넘어졌다해서 플레이트 앞쪽이 찢어지고 구부러지는게 이해가 되나요 십수만원 배상해주고 고2여학생이 생전처음 타는 스키가 즐거움 보단 짜증나는 추억이 되어버렸답니다 장비 대여할때 잘 살펴보고 대여하시길 바랍니다

  • @루시카-h8o
    @루시카-h8o 4 дня назад +9

    매주 하이원 갑니다만 영상에서 나오는 시간대에는 하이원 특성상 윗쪽으로 대부분 올라가 있는 시간대이며 절대 적지 않습니다.
    오히려 너무많아요 예전엔 야간 스키탈때 사람 그렇게 없었는데 너무 많아서 위험해서 몇번 안타고 내려옵니다.
    그리고 영상에 나오는 주피터 리프트는 원래 사람들이 즐겨타는 리프트가 아니에요
    정말 초보자거나 아니면 아폴로 리프트 타러가는거 아니면 저긴 원래 안탑니다
    중간에 헤라 리프트 까지가보시면 이야기가 틀려져요
    2010~2011년도에 즐겼던 스키 인구가 가족들을 데리고 옵니다
    느끼는바는 요즘 젊은 20-30초 인구는 없습니다 정말 현저하게 많이 줄었습니다.
    대신 초등-중등 많습니다.
    그래서 버스타고 오는 20대30대 인구가 많이 줄었으나 자차 인구가 엄청나게 많아졌습니다. 주차할곳이 없어요 .
    무료버스해주던 시절이 그립네요.

  • @esgymmmuser12
    @esgymmmuser12 4 дня назад +2

    다들 본질을 모르는데 스키장이 유행했던건 스키라는 스포츠를 좋아해서가아님 2000년대이전 스키장은 부유층의전유물이었는데 그게 2000년대 중산층 20대에게 내려온거임 가격은 좀 내려갔지만 마치 부유층인듯한 기분을 느끼러가는사람들이 많았음 그리고 스키를 능숙하게탈줄아는게 좀사는집에서 자란 상징같은거라 20대들의 허세도 곁들여졌었음 한때 호캉스나 명품백 골프레슨이 유행을 스쳐지나간거랑 비슷함 거기다 이동이번거롭고 위험한운동이기도하고

  • @타이슨이고르
    @타이슨이고르 5 дней назад +26

    안망하는데가 없다. 나라 자체가 문제

    • @초코음료수
      @초코음료수 5 дней назад +3

      인천공항, 신세계백화점강남점 가보면 잘되는데도 있습니다

    • @NuttyV2
      @NuttyV2 3 дня назад +1

      인천공항은 사람만 많지 질적으로는 썩어가고 있습니다.​ 백화점은 코로나 때 명품 붐이 오면서 활기가 돌다가 작년부터 매출 감소중입니다.@@초코음료수

  • @푸르리-r4m
    @푸르리-r4m 5 дней назад +3

    가격이 너무 비싸네요 할인 없을때 종일권이 10만원, 곤돌라가 2만원이면 안가겠네요

  • @jwsblue15
    @jwsblue15 5 дней назад +1

    X5는 신의 한수 저도 두 시즌째 이용중
    요즘 MZ들이 배우기 힘들고 열정이 필요한 스키 보드 안배울려고 해서 그래요. 오히려 60 70 80년대 생들이 열정으로 타고 있어요. 엘리시안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아서 버티는 중. 특히 겨울 온난화 때문에 스키장 이용일수가 너무 줄어들고 있고 12월에는 거의 스키 탈수가 없어서 한국에선 결국 20년 안에 스키 스노보드는 소멸될듯 합니다 한참 보드 재미 붙이고 있는데 넘 아쉬워요

  • @krt9878
    @krt9878 5 дней назад +6

    이유는 하나 너무비쌈

  • @kevinhwang2101
    @kevinhwang2101 День назад +2

    12년에 진짜 인간들 많았는데.줄이 너무 길어
    왕짜증

  • @광개토V
    @광개토V 5 дней назад +14

    언제 가셨던건지? 하이원에 최근 연휴 마지막날까지 슬로프에 사람이 많아서 ㅠㅠ.불황이란 말이 무색.
    그리고 스키는 입문시 비용이 좀 들긴하지만.
    입문뒤엔 시즌권 하나로 3개월정도 즐기니 괜찮은것 같고
    이런부분은 다른 스포츠,레저활동도 비슷한것 같습니다.

    • @Inosadi
      @Inosadi 4 дня назад +1

      맞아요 주말에도 사람 많아요. 용평은 너무 많음.

  • @tv-ng7qf
    @tv-ng7qf День назад +1

    내나이 오십대후반인데
    20대시절에 돈도 별로 없었지만
    죽으나 사나 주말이면 스키장에서 살았던 시절이 있었는데 ...
    젊다는게 그런거였지~
    똥차지만 스키를 캐리어 지붕위에 얺고 가는 기분은 이루말할수 없을저도로 최고였지~

  • @강만-o5c
    @강만-o5c 5 дней назад +4

    고령화 사회로 갈수록 스키장 폐업은 가속화됨

  • @쿠킹호
    @쿠킹호 5 дней назад +5

    옛날엔 체험정도의 느낌이면 돈이 그리 많이 안들었던거 같은데 요즘은 걍 비싸더라

    • @바비-n5b
      @바비-n5b 5 дней назад

      옛날에도 비쌌음 스키장은 싼적이없음

  • @kyungilcho9105
    @kyungilcho9105 5 дней назад +2

    이제는 스포츠 즐기는것도 가성비를 따져야죠.

  • @thatbirdmine236
    @thatbirdmine236 5 дней назад +2

    보드 참 좋아했었는대 나이드니 내가 예전에 그랬었나 할 정도로 ㅎㅎ 청춘을 돌려다오

  • @TV-uw7bd
    @TV-uw7bd 3 дня назад +1

    우리아들 초4때 잘못넘어져서 다른분 스키부츠에 무릎을 타격해서 십자인대파열...수술후 결국 한학기동안 발목짚고다님.
    순간이고 즐기기엔 이거 위험한 레포츠임.

  • @아미에라
    @아미에라 5 дней назад +3

    날 춘데 밖에서 뭔갈 한다는게... 걍 실내서 노는게 낫지.😮😊

  • @달구름-y9e
    @달구름-y9e 3 дня назад +1

    선수나 강사가 목적아닌이상..... 타다보면..... 어느때부터 딱질리네요 ........장비처박아둔지 오래됨......

  • @boydi_a4f4
    @boydi_a4f4 5 дней назад +3

    제우스가 열려있는데 주피터를 탈이유가있나

  • @roadmovie988
    @roadmovie988 День назад

    2003년 보드 입문해서 올해에 보드 처음으로 시즌권 안끊었습니다.
    매년 시즌권 끊고 다녔고 한창때는 3베이스까지 다닐정도로 마일리지가 상당했습니다. 서울 > 하이원 , 대명 ,휘팍 매번 자차로 이동하였고 퇴근후 가까운 대명 지산 휴무날에는 하이원을 다녔죠.
    지금처럼 눈보라가 내려도 여름용+사계절타이어로 다니던 시절이라 지금 생각하면 사고없이 잘다닌거에 감사해야죠.
    스키장을 점점 줄이게된 이유는 가장 큰부분이 교통 입니다.
    예전에는 지금처럼 구간단속이나 이런게 거의 없었는데 하나둘 생기더니 지금은 가는길 자체가 카메라단속과 함께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제한속도 변경 하이원 가다보면 민둥산? 그부근이 예전에는 80도로였는데 어느순간 60되고 단속카메라도 바뀌었더군여 티맵이나 이런곳도 80으로 안바뀐상태였었는데 같은 속도로 달렸다면 과태료 나왔을 그런 상황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예전에 3시간이면 가던곳을 4시간이 걸리는경우도 생기고 왕복2시간 추가되면 당일치기 타는 새벽보더는 땡보딩할시 거의 밤새듯이 자고 운전하고 와야하는데 이 한시간이 생각보다 큽니다.
    대명비발디파크 - 이곳은 사람이 많아도 시설도 좋고 셔틀운영도 잘되어있어서 사람들이 많이 찾았는데 셔틀 탑승장소도 축소하고 배차도 축소하고 점점 뚜벅이들을 위한 불편이 증가하였죠.
    이렇다보니 이 사람들은 자차를 이용하거나 렌트를해서 이동을 하는데 주말에 운전해보신분은 알겠지만 예전에는 서울(건대)->비발디파크 왕복 2~3시간이면 되었지만 지금은 4~5시간은 잡아야합니다 . 그만큼 차량이 많아졌고 길에서 버리는 시간이 많아진거죠.
    운영시간단축 - 심야스키 운영시간이 예전에 새벽5시까지 운영을 했었다면 지금은 10시반 1시? 이정도로 엄청나게 줄었습니다
    아마 스키장 이용객 감소로인한 단축운영일텐데 매년 이렇게 줄어들다보니 탈시간이 점점 줄어드는거죠.
    시즌권 및 락카비용 - 예전에는 시즌권 , 개인락카 따로 구매하는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같이 세트상품으로 구입하게끔 바뀌는곳이 많아졌고 어떤곳은 주차장까지 (입구가까운곳) 결제를 해야되는곳도 생겼습니다.
    예전에 시즌권 + 락카 비용이 (예)대명기준 = 30만원정도 였다면 지금은 40~50사이정도 됩니다.
    그냥 재미삼아 한두번 놀러가는 정도면 길에서 버리는 시간이나 안타고 구경만하고 온다고해도 상관없겠지만 실질적으로 타는 입장에서는 엄청나게 한숨나오는 상황으로 바뀐거죠.
    예전에 주말 땡보딩가면 8시 > 11시까진 최상급코스 사람이없어서 한적하게 타고오기 좋았으나 최근에는 오전운영시간 9시변경되고 사람몰리다보니 10시쯤되면 사람 바글바글 한시간 바짝타고 간식먹고 와야되는 수준입니다.
    1~2시간 타기위해서 새벽6시반 출발하고.. 12시출발 집오면 2~3시 ...
    이런현상이 매년 심해지다보니 가는 횟수가 줄어들게됨..

  • @mawangking8933
    @mawangking8933 3 дня назад +1

    비싸서 안 가지. 1인당 8만원 드는데 이 값이면 다른 거 한다고 하지. 사람 줄어들고 또 가격 올리고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