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차만 20년 탔습니다. 바로 시동거는거나 똑같습니다. 바로 시동키 눌러도 예열 후에 시동 켜져요. 구형 키타입은 예열해주고 켜주는게 맞지만 스마트키 차량은 바로 켜면 알아서 예열해서 켜줍니다. 시스템이 그렇게 되어 있어요. 두번 눌러서 세번째 시동 켜는 분들은 오히려 전기소모를 더 주는겁니다. 예얄을 두번하는 거니까. 느낌이 좋다? 플라시보죠.
자동차공학전공인데 저렇게 시동켜는게 좋아요. 성격이 다들 급해서 그렇지 또 자동차 업계에 최고봉으로 계셨던 분이 솔직히 내연기관 차량들이면 예열을 계기판의 수온계를 보면 중간 보다 조금 아래까지 정상 예열을 충분히 한후에 출발하는 것이 차에는 제일 좋다고 합니다. 근데 왜 안하냐고 여쭤 보니 환경부에서 공회전하지 말라는 환경부의 정책으로 인해 최적의 예열을 하지말라는 거죠. 원래는 내연기관 모든 차량은 예열 충분히하는게 차량 건강에 좋죠. 생각해보세요. 사람도 일어나자마자 바로 뛰면 나중에 건강에 좋진않아요. 선수분들도 몸을 충분히 풀고 경기에 뛰는 것 처럼요. 사람의 성향에 따라 갈리니까 뭐 본인차량 알아서 하세요.
@@Yes_you_뭘 처알고좀 말해라 거지냐? 그깟 공회전 3분 하는데 기름아깝다고 하는게? 그거 아까우면 차를 타지말아야지 디젤 운전해보긴했냐? 겨울에 시동걸자마자 출발하면 출력 딸리는게 바로 느껴지는데 환경 운운하면서 지하주차장 매연으로 징징댈꺼면 항공기 선박 공장에 비하면 예열 매연걱정이 얼마나 한심한지 알텐데 세상 자동차업계 전문가들이 예열해야 좋다고 말하는데 뭔 기본지식도없는 먼지같은 존재가 훈수질이야 ㅋㅋㅋㅋ 니는 바로 출발하렴
디젤 가솔린 다 떠나서 1번방식으로 하는게 좋습니다.요즘 차 들은 전자식으로 차가 나와서 메뉴얼대로 시동켜고 또 메뉴얼대로 시동 끄고 해야 됩니다.요즘 전자식 차는 메뉴얼대로 시동 끄는게 더 중요해요 끌때 메뉴얼은 D단에서➡️N➡️파킹브레이크버톤 활성화 ➡️AUTO HOLD 순으로 하고 시동버튼 눌러서 끄는게 좋아요 주행하고 D단에서 바로 시동 끄면 다음시동켤때 오작동시 D로 인식해서 차가 급발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시동을 켜고n단에서 디젤 가솔리 다 떠나 1분간 아이들링(공회전) 하고 운행하시면 더 좋고요 아이들링은 무조건 습관적으로 하시는게 차를 오래 탈수 있는 비결입니다 아이들링은 엔진 밋션에 굉장히 좋습니다.시동켜고 바로 주행할때랑 아이들링하고 주행하면 차가 확실이 나가는게 틀릴겁니다
급발진은 이런거 진짜 절대로 의미 없음.. 액세서리모드부터 천천히 시동 걸어도 되고, 브레이크 밟은 후 바로 걸고 드라이브 타도됨 그냥 급발진은 제조사, 차량마다 뽑기 운임 이게 팩트 이런 문제가 절대 절대 아님 그낭 최소한의 가능성을 두고 하는 행위일 뿐 급발진과 0.1의 관련 없음 안타깝게도 그냥 ‘뽑기 운’임
배터리 업체인데 차이가 존재합니다.. 전기가 순간적으로 차량전체에 퍼지는데 에어백 경고등 점등이 소거후에 시동을 걸어주시면 배터리가 덜힘들어해요. 전기가 회수 되는 시간을 조금 주시면 좋아요. 물론 배터리가 좋다면 차이가 없겟지만 3년쯤 지나면 확실히 차이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여기 영상은 맞는답입니다^^
영어 사용하는 외국인 운전 교육용 도 만들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미국 운전 면허 시험이 부실한 건지.. 운전 엉망으로 해서 사고 유발하는 운전자들 너무 많습니다. 올려 놓으신 영상 중 글로벌 교통법으로도 훌륭한 영상들이 정말 믾더라고요. 매번 잘 보고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은 바로 시동걸시 장기간 미시동시 연료라인 압력이 빠져 연료펌프가돌아 라인에 압력을 채울시간을 줘야됩니다. 연료압이 없더라도 스타트모터가 돌기때문에 배터리 소모 및 가솔린,lpg경우 점화플러그가 젖는 상황이 나올수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아니신듯 합니다.
차피 팔꺼다 걍 냅다 시동걸고 바로 드라이브 넣고 출발하면 되고 아낀다 팔생각 없다 하시는분은 시동걸린후 겨울철 3분후 출발 그외계절 1분후 출발 이것만 실천해도 차 많이 아끼는거고 더 아끼고 싶다하면 주차후 바로 p하지마시고 n에 넣고 브레이크 발뗀후 싸이드 브레이크 걸고 다음 p에 넣으세요 출발할때도 n다음 d
디젤도 겨울철 실외고 실내고 상관없이 브레이크 밟고 그냥 시동 바로 켜도 상관없어요. 돼지꼬리 없어질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어요. 20~30년전이나 그랬고.. 요즘차들은 알아서 겨울철이라도 돼지꼬리 없어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시동걸리는거라.. 그냥 브레이크 밟고 바로 시동켜면 됩니다. 여름과 비교하면 한 0.5초? 시간이 더 걸리는듯..
쌍팔년도 정비지식으로 그럴싸하게 뇌피셜 싸지르는사람임 맹신하지마세요. 그리고 00년대 초반까지만해도 ECU기능이 낮아서 오너가 체크해줘야하는 부분이 있었다고보는게 맞고 현재는 ECU가 많이 업그레이드되었고 전장도 많아진만큼 컴퓨터가 모든걸 체크 후 시동이 걸리는 로직입니다. 급발진 일어날 차는 당장 내일 출고된 차도 일어날 수 있는부분인데 ECU라는게 이런문제로 굉장히 보수적으로 생산절차가 까다롭습니다 일어나선 안되지만 급발진은 뽑기라고 보는게 맞음..
경험에서 이야기 하자면 한번에 시동켜시면 추운날이나 가끔 기계가 타이밍을 못잡는건지 경운기처럼 탈탈 거리거나 시동 실패 할때가 가끔 있더군요 점화 플러그에서 제대로 못넣을때가 있어서 한번에 시동 거는거 잘 안하게 되더군요 전기 넣고 시동하면 괜찮던데 단정지으시는거는 쫌 아닌듯 해요
기대하면서 댓글창을 켰다가 아무 상관 없다는 내용인걸 보고 시무룩해져버렸다..😢
디젤차만 20년 탔습니다. 바로 시동거는거나 똑같습니다. 바로 시동키 눌러도 예열 후에 시동 켜져요. 구형 키타입은 예열해주고 켜주는게 맞지만 스마트키 차량은 바로 켜면 알아서 예열해서 켜줍니다. 시스템이 그렇게 되어 있어요. 두번 눌러서 세번째 시동 켜는 분들은 오히려 전기소모를 더 주는겁니다. 예얄을 두번하는 거니까. 느낌이 좋다? 플라시보죠.
자동차공학전공인데 저렇게 시동켜는게 좋아요. 성격이 다들 급해서 그렇지 또 자동차 업계에 최고봉으로 계셨던 분이 솔직히 내연기관 차량들이면 예열을 계기판의 수온계를 보면 중간 보다 조금 아래까지 정상 예열을 충분히 한후에 출발하는 것이 차에는 제일 좋다고 합니다. 근데 왜 안하냐고 여쭤 보니 환경부에서 공회전하지 말라는 환경부의 정책으로 인해 최적의 예열을 하지말라는 거죠. 원래는 내연기관 모든 차량은 예열 충분히하는게 차량 건강에 좋죠. 생각해보세요. 사람도 일어나자마자 바로 뛰면 나중에 건강에 좋진않아요. 선수분들도 몸을 충분히 풀고 경기에 뛰는 것 처럼요.
사람의 성향에 따라 갈리니까 뭐 본인차량 알아서 하세요.
기름도 아깝고 환경에도 안좋고 지하주차장이면 매연으로 민폐도 끼치는데다 시간도 아까운데 굳이 몇분동안 예열하는 이득이 없어보여요
저희아버지 디젤 예열 후열없이 시동걸자마자 D넣고 악셀밟으면서 타도 39만까지 문제없이 타다 수출보냈거든요
그리고 운동선수 말씀하셨는데 몸 풀땐 오히려 가볍게 달리기하는게 좋지 않을까요ㅎㅎ
처음 운전 배울때 시동을 켜서 예열로 차를 좀 데워주고 떠나라고 배워서 항상 그렇게 해왔는데.. 요즘 공회전 하지 말라는 말들때문에 좀 헛갈렸는데.. 님의 조언대로 다시 예열하고 떠나는 것으로 갈께요~!
@@Yes_you_뭘 처알고좀 말해라 거지냐? 그깟 공회전 3분 하는데 기름아깝다고 하는게? 그거 아까우면 차를 타지말아야지 디젤 운전해보긴했냐? 겨울에 시동걸자마자 출발하면 출력 딸리는게 바로 느껴지는데 환경 운운하면서 지하주차장 매연으로 징징댈꺼면 항공기 선박 공장에 비하면 예열 매연걱정이 얼마나 한심한지 알텐데 세상 자동차업계 전문가들이 예열해야 좋다고 말하는데 뭔 기본지식도없는 먼지같은 존재가 훈수질이야 ㅋㅋㅋㅋ 니는 바로 출발하렴
@@jmc6952 정비사출신입니다. 내연기관 차량은 예열후 출발하는게 좋습니다. 다만 휘발유보다는 디젤차량은 최소 5분정도는 예열후 운행하시는게 좋고 운행후 시동끄기전 후열후 시동끄시는게 좋아요. 후열하는 이유는 터보차져 때문입니다.
@@Yes_you_ 정비사 출신입니다만 39만까지 예열없이 후열없이 탈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건 좋은차량 뽑기 잘했을때 얘기입니다. 그리고 운동선수도 몸풀기할때 가벼운 스트레칭부터 5분에서 10분정도 해주고 가벼운 달리기합니다. 안그러면 부상옵니다.
그 디젤차도 그냥 브레이크 밟고 바로 시동걸어도 됩니다. 디젤차는 돼지꼬리 모양인 예열이 끝나야 걸리게 되어있어요. 비슷한 예로 LPG차량의 경우도 LPI 등이 꺼지면 알아서 걸립니다.
무조건 두번 누르고 시동입니다
두번 누르는 이유가 자가점검도
포함입니다. 이동영상 아무것도 모르는인간이 올린거니 이거믿고 따라하면 전자제어계통 고장유발및 급발진 사고 유발입니다
😂😂😂
저거 on 2번하고 시동걸어서 급발진이 안난다면 급발진 날 이유가없죠.. 저걸 바로시동하는게아닌 on하고 키는이유가 사람 심리상 그러겠죠
메뉴얼에도 두번 눌러야 한다고 안나옴 그냥 바로 걸어도 어차피 점검됨요 에혀
@@rain22-22 급발진뿐만 아니라
어디가 문제인지 경고등 불들어오는거
확인하는거고 바로 시동걸면
점검 건너뜀니다
차 없으시죠?
돼지꼬리는 진짜 동물 돼지밖에 모르겠습니다
디젤 가솔린 다 떠나서 1번방식으로 하는게 좋습니다.요즘 차 들은 전자식으로 차가 나와서 메뉴얼대로 시동켜고 또 메뉴얼대로 시동 끄고 해야 됩니다.요즘 전자식 차는 메뉴얼대로 시동 끄는게 더 중요해요 끌때 메뉴얼은 D단에서➡️N➡️파킹브레이크버톤 활성화 ➡️AUTO HOLD 순으로 하고 시동버튼 눌러서 끄는게 좋아요 주행하고 D단에서 바로 시동 끄면 다음시동켤때 오작동시 D로 인식해서 차가
급발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시동을 켜고n단에서 디젤 가솔리 다 떠나 1분간 아이들링(공회전) 하고 운행하시면 더 좋고요 아이들링은 무조건 습관적으로 하시는게 차를 오래 탈수 있는 비결입니다 아이들링은 엔진 밋션에 굉장히 좋습니다.시동켜고 바로 주행할때랑 아이들링하고 주행하면 차가 확실이 나가는게 틀릴겁니다
요즘차는 D에서 시동 안꺼집니다 P단에서 놓고 끄라고 알림이 나옵니다
@@SsDgJin 그건 전기차가 그렇구요 아직 내연기관 신차도 D단에서 시동꺼집니다.g90 (rs4)도 마찬가지구요 시동꺼졌을때는 경고음이 나구요
@@SsDgJin반대로 D에서 시동도 안걸리더라구요 ㅋㅋ
급발진은 이런거 진짜 절대로 의미 없음..
액세서리모드부터 천천히 시동 걸어도 되고,
브레이크 밟은 후 바로 걸고 드라이브 타도됨
그냥 급발진은 제조사, 차량마다 뽑기 운임 이게 팩트
이런 문제가 절대 절대 아님
그낭 최소한의 가능성을 두고 하는 행위일 뿐
급발진과 0.1의 관련 없음
안타깝게도 그냥 ‘뽑기 운’임
급발진하고는 상관 없을지라도 전자기기에 전기상태가 준비된후 시동건게 차량내에 전기가 안정적으로 흘러가니 나쁠게 없음. 뭐 그리급해서 차에 앉자마자 시동걸고 바로출발 해요
급발진이 존재하긴 하는지 ㅋ
뽑기운 보다는 페달조작 잘못하고 우기는게 태반이지
급발진 당하는 자동차는 사람한테 잘못뽑혀서..
뽑기운임.
@@MsTrVaTe69WiThHiToMi74 실제로 몇번 봤어요
뒤에 짐 꺼내다 잘못 밟고 우긴사람
벌집매트 구부러져서 페달 걸린사람
박스깔아둔거 페달에 껴서 눌린사람...
배터리 업체인데 차이가 존재합니다..
전기가 순간적으로 차량전체에 퍼지는데
에어백 경고등 점등이 소거후에 시동을 걸어주시면
배터리가 덜힘들어해요. 전기가 회수 되는 시간을
조금 주시면 좋아요.
물론 배터리가 좋다면 차이가 없겟지만
3년쯤 지나면 확실히 차이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여기 영상은 맞는답입니다^^
전문가의 정보 공유 감사합니다 !
제가 디젤차 탈때 버튼 두번 눌러놓고 예열플러그 등 꺼지면 그때 시동 걸거든요, 그렇게 하면 추운 겨울날 시동 걸릴때 딜레이에 차이가 있어요 더 잘 걸리는 느낌
@@King_JaeHyeok당연하지... 바로 시동걸면 플러그예열하고 걸리니깐 늦는거임 결국 차이는 없음
@@King_JaeHyeok그야 바로걸면 예열하고 키는거라 딜레이 걸리고 키온 하면 예열도 되니까 딜레이가 없지ㅋㅋ 키온 시간에 딜레이가 들어간거
전 항상 그냥 바로 켯는데 두번 누르고 나서. 시동 키는게 낫다는건가요? 이해를 못하겠음..
상관있어요. 요즘차는 잔자부품들이 많고 오작동 가능성이 있어사 순차적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그냥 하다가 오작동에 급발진 나오면 그때서야 후회한들 소용없음.
급발진 안나니 안심하고 타셔요.
항상 궁금한데 진짜 전자계통 문제로 인해 급발진이 나온다고 치자. 근데 왜 브레이크는 안먹는다는거??
브레이크는 아직까지 순수 유압계통으로만 설계하고 있고 차량의 구동력은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이기지 못하도록 설계하는데?
급발진은 발컨을 조심해야함
뇌의오류와 발컨
배터리 교체때메 as 받을때도 버튼2번 브레이크 시동이 좋다고 들어서 그렇게 하고는 있는데 인터넷 영상들은 굳이 안그래도 된다니 혼란은 돼요
잘 아시는군요! 👏
영어 사용하는 외국인 운전 교육용 도 만들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미국 운전 면허 시험이 부실한 건지.. 운전 엉망으로 해서 사고 유발하는 운전자들 너무 많습니다.
올려 놓으신 영상 중 글로벌 교통법으로도 훌륭한 영상들이 정말 믾더라고요.
매번 잘 보고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디젤은 돼지꼬리 꺼지고 시동걸어야 걸립니다...돼지꼬리가 연료 예열해주는거라고 카센타 사장님이 알려줘서 겨울엔 돼지꼬리 꺼지면 시동켰음.....
솔직히 이야기 해보면, 차 사서 설명서 한번만 봐도 알수 있는 예열관련 내용을 모른다는거 자체가 얼마나 자동차 자체에 관심 없이 타고만 다니는지 알 수 있음.
전문가도 아니면서 상관없다는 단정 짓는 영상은 좀...
정상 부팅 시퀀스대로 전원 넣어서 나쁠건 없습니다.
H/W, S/W적으로 A전원 B전원 순서대로 들어가는게 바름직한 동작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선 귀찮을뿐이지.
ㄹㅇ ㅋㅋㅋ걍 틀린말인지도 모르고 정답이듯이 말하는거 어이가 없음
급발진 정확한 원인도 모르는데 아무상관없다는것은 선급한 판단인거 같습니다.전문가들은 급발진 대부분이 시동직후 발생된다고 합니다. 한박자 늦게 시동거는것도 나쁘지 않은거 같네요.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은 바로 시동걸시 장기간 미시동시 연료라인 압력이 빠져 연료펌프가돌아 라인에 압력을 채울시간을 줘야됩니다. 연료압이 없더라도 스타트모터가 돌기때문에 배터리 소모 및 가솔린,lpg경우 점화플러그가 젖는 상황이 나올수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아니신듯 합니다.
정확한 정보 맞습니다. 영상의 시동버튼 두번은 시동이 아니라 예열작업입니다. 디젤과 lpg는 겨울철 이렇게 시동걸어야 합니다.
@@AntonioCarlosJobim-p8t 시동 이전에 연료압이 먼저 체워지는 메커니즘은 이해하심?
@@AntonioCarlosJobim-p8t예열이 시동에 필요할정도로 주차를 해두었으면 예열플러그 예열이 끝났어도 뒷자리 시트중앙하단부에서나는 연료펌프소리가 끝난뒤에 시동거세요. 가솔린차량에 예열플러그가 없는 이유는 아실려나....
@@AntonioCarlosJobim-p8t이야 영상속 시동버튼 2번이 예열작업이면 전기차에도 예열버튼이있나요?ㅋㅋㅋ 헛소리 삑삑해샀노
영상의 시동버튼 두번이 예열작업이라는거보니까 지식이 전혀없으신거같은데 공부하세요
디젤을 언제 타 보신건지? 디젤만 올드카 수동부터 10년 이상 탄 사람인데, 요즘 차는 브레이크 밟고 시동 눌러도 알아서 예열하고 시동걸림. 여름엔 바로 걸려 돼지꼬리 보고 싶어도 못 보고, 겨울엔 진짜 한파가 온 날은 돼지꼬리 길면 2초 정도 보이다 시동 걸림.
현대 : 정말 의미없는 영상이군요 급발진은 없습니다
이 영상 보고 실천하고 있어요.
팁 고맙습니다 😂😂😂😂😂
근데 밟고 바로 누르는거랑 누르고 밟고 다시 누르는게 시동걸때 드르르릉 하면서 걸리는 떨림? 그게 차이남 ㅋㅋㅋㅋㅋ누르고 밟고 누르는게 확실히 부드럽게 시동걸림ㅋㅋㅋㅋ
급발진의 대다수는 김여사 + 노령운전자 + 개택시 15년이상 경력자들이다.
맞아요 아무상관없습니다. 저는 항상 3번에 시동을 겁니다.
디젤 예열시간에서 웃고 갑니다. 10년된 디젤차도 예열없이 바로 시동 걸리는데...20년된 디젤차라면 돼지꼬리 인정
키돌리면 그냥 키 완전히 걸리기 전에 놓고 우웅~ 하다 딱 하면 마저 돌려서 시동걸면 간단한데 버튼 시동은 오히려 더 까다롭네
키시동은 한번걸리고 시동이 걸리죠 전자계통에 전원이 들어오고 시동이 켜지도록 유도하죠 그런데 스마트키 버튼시동은 누르면 이 모든것을 점검하고 켜짐니다 자동개발하는 연구원들은 바보가 아닙니다 날고기는 사람들중에서도 날고기는 사람들입니다 차량매뉴얼대로 하는것이 가장오래타고 최상의 상태를 유지합니다
두번 누르는게 좋으면 매뉴얼에 제조사가 대문짝만하게 박아놨겠지 ㅋㅋ 걍 똑같은건데 말도안되는 소리를 해대네 다들
좀 연식된 차는 바로시동걸때 HUD같은 옵션에 전원이 공급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 차량들은 배터리 계통이 좋으니까 체감이 안되서 신경쓸필요가 거이 없는거지 차이가 없다는건 틀린말이지요ㅎ
전자계통이라 무조건 스타트 두번 누르고 시동 거세요...
차피 팔꺼다 걍 냅다 시동걸고 바로 드라이브 넣고 출발하면 되고
아낀다 팔생각 없다 하시는분은 시동걸린후 겨울철 3분후 출발 그외계절 1분후 출발
이것만 실천해도 차 많이 아끼는거고 더 아끼고 싶다하면 주차후 바로 p하지마시고 n에 넣고 브레이크 발뗀후 싸이드 브레이크 걸고 다음 p에 넣으세요 출발할때도 n다음 d
맞는말씀이죠
누가 그냥 시동걸면 급발진 난다고 그랬나보네요ㅋㅋㅋㅋㅋ
누군지 아시잖아여 ㅋ 자칭 달인 ㅎ
현기니까 조심스레 타래유
명장 아니던가여? @@Djwofnelam
기어가 파킹에 있는데 뭔 급발진?
@@317달리는등대 명장아저씨 영상좀보고 댓글달아라
모든전자 장비가 다꺼졌다가 걸리는게 아니고 일부만 꺼졌다가 걸립니다 릴레이 제어가 나눠져있어요
군대에서도 버스운행할때 키온하고 돼지꼬리 기다리고 꺼지면 시동걸라고 했죠
에휴...기술력차이에요. 일단 영상에서 말하는 그 텀은 싸구려 국산차들은 겨울철에도 텀이 일정하지만 플래그쉽 수입차의경우 그 텀을 알아서 길게 잡아줍니다. 저런 상황을 애초에 차가 알아서 판단하고 행동합니다. 돈이있으면 몰라도됨
디젤차 10년간 두번 누른후 시동걸었던 사람인데 결국 요즘차는 바로 누르고 있어도 돼지꼬리가 없어지지 않으면 안걸려요..한겨울 자기차를 아낀다면 시동걸고 1분후 출발 서행으로 또 1분 이러면 잔고장이 줄어요
가솔린도 최소 1분은 예열 해주는게 그나마 컨디션에 좋지않을까 생각됩니다.^^ 바로출발은 답이 아닌듯
가솔린 의미없는걸로 아는데 확실한 정보세요?
요즘차들은 별차이없는걸로아닌데 아닌가??
@@끼요어 확실하고 안확실하고 라기보다는 관련된영상자료참고또는 직접경험 해보시는게 제일 확실한게 아닌가싶네요...저는 현재는g803.3 오너입니다. 오전에 출근시 시동걸고 바로 소리들어보면 감히 출발할 엄두 못냅니다... 근데 시동걸고 바로 출발하는게과연 엔진에 무리가 없을까요..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는요? 아 그냥 예열해야된다고~ 이런거 말구여
@@_DimLy_ 그럼 님은 그냥 시동걸고 알피엠 오른상태에서 악셀밟고 출발하세요~헛소문...ㅋㅋ전문가들누가 그리결론낸건지 궁굼하네요~ 답은 모르겠지만 박병일 명장은 그런결론 안내던데요~
요즘 디젤은 돼지꼬리 사라지면 알아서 시동 걸어줍니다^^
오
돼지꼬리가 뭔가요?😂
모든 차는 시동을 한번에 거는것보다 버튼 한번 누루고 시동거는게 좋음
기계적인 문제는 상관없어요...
전기 전자쪽이 문제가 발생할수 있지요...
요즘 차에는 기계식이 아니라 전자식이라 순간 전류가 솟구치면 센서라든지 pcb 등에 소손이 일어날수가 잇어요...
요즘 AC가 아니라 DC 전자제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각각PCB안에는 보호회로 기본적으로 들어가잇기에 소손날 가능성은 제로입니다
급발진은 모르겟고 겨울에 깨스차는 한번에 걸면 힘들어함ㅋㅋㅋㅋ깨스 돌시간 줘이댐....한번에 걸면 헙뿌르르륵뜨듣드 하면서 걸림
급발진 발생할 확률이 몇퍼센트나 된다고...전자부품이 많아져서 재수없으면 고장나서 급발진 생기는거지
디젤은 겨울철
키온하고 예열플러그 점등후
키오프
다시 키온후 예열 점등후
시동걸면 좀 나음.
더좋은건 3~4년에
예열플러그 교체하면 좋음
예열플러그 4개 교체 비용 꽤 나오더라구요. 12만원인가?
키온넣었다빼고 시동거나 그냥 시동거나 똑같음.. 심리적인 차이일뿐임
ECU엔 이미 온도가 낮으면 예열플러그 켜지고 적정온도 도달되는시간만큼 딜레이 걸리고 시동걸으라고 로직이 짜여져있음
댓글들 맞는 말이니 뭐니 좋은 정보니 뭐니 ㅋㅋㅋㅋㅋ ㄹㅇ 국평오임?
저도 3번 눌러서 시동거는데 휘발유입니다.😂
혹시 지금 영상 제작자분은 전자계통 전문가이신가요? 제가 알고잇는 정보랑은 많이 다르네요.. 혹시 자세하게 설명 가능하신가요?
어느 유튜버가 급발진방지를 위해서 두번누르고 시동걸라고해서 ..... 급발진이 워낙 문제가 심하다보니 그렇게해왔는데........누구는 그렇게해야한다 누구는 아니다 그렇게 할필요없다....
자동차 명장님이 두번 누르고 시스템 정검하고 시동 걸어야 한다고 했죠
@@캡틴콩믿나요?
@@캡틴콩점검
그렇게 하는게 나쁠게 없음. 차량에 전기가 안정적으로 공급된후 시동거는게 나쁠게 없죠.
디젤엔진 되지꼬리 예열도 기다릴필요없이 시동걸면 바로 안걸리고 예열중입니다..나오고 예열 끝날때 자동으로 걸림
대신 스타트버튼이 아닌 일반 차키로 걸면은 돼지꼬리 있음에도 차 시동이 걸려요.
어찌아냐고요? 군대와서 강원도 자대배치받고 트럭 시동걸면서 올해 처음알았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쩝 열쇠로 돌릴때나 저랬지 요즘 스마트키 차량은 예열도 그냥 알아서 해주고 시동걸어서 저런 행위가 큰의미는 없어 보임
가스차는 키온 두번 누르고 시동걸면 바로 부릉하면서 걸리는데.. 그냥 바로 시동걸면 5초간 달달달 소리나면서 걸림.
K5 dl3 오토큐에 물어보니 키온 두번 누르고 걸으라고함.
사람마다 시동 거는 습관이 다르니깐 편하신대로 합시다
제어코드가 아무리 V&V한다고 해도 어디서 어떻게 꼬일지 모르니, 점검 끝나고 시동 거는게 좋음. 급발진하고 상관없다고 적힌 덧글도 있는데, 절대 아님.
요즘은디젤차 돼지꼬리꺼지면그때 자동으로걸려요 키온의미없음 .단 한파일때는 키온해서 돼지꼬리2~3번들어오게하는게좋고요
디젤도 겨울철 실외고 실내고 상관없이 브레이크 밟고 그냥 시동 바로 켜도 상관없어요.
돼지꼬리 없어질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어요. 20~30년전이나 그랬고..
요즘차들은 알아서 겨울철이라도 돼지꼬리 없어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시동걸리는거라.. 그냥 브레이크 밟고 바로 시동켜면 됩니다.
여름과 비교하면 한 0.5초? 시간이 더 걸리는듯..
박병일(?) 명장님이 급발진 방지하는 법으로 먼저 시동버튼 2번 누르고 시동 켜는게 좋다고 해서 나도 그렇게 하고 있는데..... 누구말이 맞는지....ㅡㅡ;;
박병일 명장 걸러들으세요 자동차 정비사지 자동차 개발, 설계하는 사람이 아니예요 쥐뿔도 모르고 헛소리한게 정말 많습니다
@@MINMIN-jq4og당신보다는 훨씬 대단한 사람이니까 함부로 지껄이지 마세요^^ 명장을 괜히 달아주나요? 기술사 이상의 직급인데? 개웃기네ㅋㅋㅋ 산업기사도 없어보이는데 명장을 까네ㅋㅋㅋㅋ
쌍팔년도 정비지식으로 그럴싸하게 뇌피셜 싸지르는사람임 맹신하지마세요.
그리고 00년대 초반까지만해도 ECU기능이 낮아서 오너가 체크해줘야하는 부분이 있었다고보는게 맞고 현재는 ECU가 많이 업그레이드되었고 전장도 많아진만큼 컴퓨터가 모든걸 체크 후 시동이 걸리는 로직입니다. 급발진 일어날 차는 당장 내일 출고된 차도 일어날 수 있는부분인데 ECU라는게 이런문제로 굉장히 보수적으로 생산절차가 까다롭습니다 일어나선 안되지만 급발진은 뽑기라고 보는게 맞음..
그 사람 진짜 틀린 거 개많음..
ㅋㅋㅋ명장이? ㅋㅋㅋ그인간 사기 아닌가
시동은 걸렸는데 경고등 뜨면 엔진이나 미션 고장날 수도 있어요.
그리고 뭐든 신경써서 사용한 물건은 시간이 지나면 티가 납니다.
?뭔소린지
@@W213_AMG-E63그르게 나도 이해못햇다
뭔소리임?
북조선인이신가요?
중국인이냐?
그냥 확률의 문제야. 바로 걸면 pc블루스크린 나듯이 졷됄 가능성이 크지. 매뉴얼 괜히 있는게 아님.
가솔린 차량은 그냥 브레이크 밟고 시동 켜도 상관없는건가요?? 유튜브 보니까 급발진 안하려면 시동버튼 2번누르고 시동 걸라고 해서 지금까지 계속 그래왔는데
시동걸자마자 바로 변속하지마시고 안전벨트 매세요.요즘차들은 그시간이면 점검끝납니다.차가 점검 끝나기도기도전에 바로 변속하면 좋진 않습니다.
@@모시기-i6s 점검은 시동 걸리기전에 이미 끝마치고 시동이 걸리는로직인데 뭔소리임.. 님이 말하는건 예열관련된건데 아는척 ㄴㄴ
기어가 파킹인데 급발진을 왜 해요?
왜 아무상관이없어요..........~~~~~네?????
전류가 각ic칩이나 센서류 한바퀴돌고 테스트하고 ㅇㅋ 하기까지 유예를 좀 ~~~더 줘야되지요 ㅠㅠㅠㅠ급발진이라는건 전자계통의 오류이거늘 전기장치의 집합체를 너무너무쉽게단정짓는 이 영상은 백해무익한영상입니다!!!!!! 쉽게말하지마쇼!!!!!
차량 카페보면 꼭 키온하고 시동 겨야된다고 강력주장하는데, 부모님 두분다 30년경력에 이런습관없었고, 나 또한 디젤 가솔린 하브 종류별로 12년타면서 고장문제 된적 한번도 없었음.. 그사람들은대체 차 한대를 뭔 몇십년간 탈 계획들인가봄...
자고 일어났을때 벌떡 일어나느냐 기지개 한번하고 일어나느냐 차이 판단은 개인이 알아서
터보차량 들은 30~1분 정도는 예열시키고 출발 하시는게.. 전 그렇게 합니다
디젤도 자동으로 예열되면서 돼지꼬리 엎어지면 시동걸림
박병일 명장이 버튼 두번 온하고 시동켜야 된다고 그래야 급발진 예방이라는데 왜 상관 없다는건가요?
그사람은 정비사지 엔지니어가 아님
제발 정비외에 하는 이상한소리까지 다 믿지 마셈
@@youolive_근거대봐!!!
차 안에 굴러다니는 자동차 매뉴얼보면 다 나옵니다. 브레이크 밟고 시동 버튼 한번만 누르면 됩니다
그냥 여유롭게 움직입시다~~
경험에서 이야기 하자면 한번에 시동켜시면 추운날이나 가끔 기계가 타이밍을 못잡는건지 경운기처럼 탈탈 거리거나 시동 실패 할때가 가끔 있더군요 점화 플러그에서 제대로 못넣을때가 있어서 한번에 시동 거는거 잘 안하게 되더군요 전기 넣고 시동하면 괜찮던데 단정지으시는거는 쫌 아닌듯 해요
그건 배터리문제요
그래서 디젤차 겨울철에 실외주차 했을때는 돼지꼬리 기다린 후 시동걸라는 얘긴가요? 얘기를 안끝내고 계속 하니까 하고 싶은 말이 뭔지..
그냥 브레이크 밟고 시동버튼눌러도 알아서 예열플러그 켜주고 온도도달되면 시동걸립니다.
에이... 아직 정확한 원인도 밝혀지지 않았는데 어떻게 확신하시는지..
요즘 디젤은 원격시동 걸면 예열하고 걸어서...스스로 걸때만 쓰는거죠 원격해보면 잠깐 대기합니다
요즘차들은 예열이 의미가없음
시동걸자마자 풀악셀밟지않는이상 걍 출발해도 무난함
그렇게 타다가 5년안에 차 바꾸면 상관없지만
5년 지나면 엔진 소리부터 달라짐
시동걸고 알피엠 1000이하 떨어지면 출발 하는게 젤 좋음
엔진소리, 주행질감, 진동 차컨디션이 확실히 다르다.. 예열해야돼
간단하다.
해서 나쁠게 없다면 그냥 하자.
안해도 되는건 없다.
그저 그 한번의 2,3초의 투자가 당신의 생명을 지켜줄수도 있으니까...
당장 이상이 없다고 느껴질뿐 데미지는 결국 쌓여지는거다.
2025년 신차인데, 브레이크 밟고 시동 누르면 안걸리고 저렇게 뜰 때 있는데 왜 그런거에요??
급발진이랑 이게 상관있는게 맞나요?
이건 엔진 관리 도움 팁인거 같고 급발진은 신호를 잘못주는 문제인디요...
틀린설명 입니다 절대 이렇게하면 전자계통 무리갑니다
요즘 터보차량 조심 해야됩니다
디젤 스마트키 차량은 브레이크 밟고 버튼 누르면 차가 알아서 예열하고 시동 걸어요.
차사면 사용설명서에
한번누르고 두번누르고
이후 브레이크 밟고 다시
누르라고 되어있는데..
어느 제조사 어느차량 몇년식인지 알려주세요.
도대체 어느 제조사임???
이게 맞지 ㅋㅋ 무승 조선시대도 아니고 2번 한 다음에 걸어
근데 어차피 디젤도 브레이크 밟고 바로 시동 켜도 돼지꼬리 꺼진다음에 시동 걸어줘요 요새는
에라이~~
그냥 브레이크 밟고 시동 켜면 됩니다.
그거 신경 쓸 시간에 저녁에 뭐 먹을지 생각하는게...
차타는데 급발진예방 생각하면서 타야한다는게 말이되나 ㅋ
힘든세상이네...스틱으로 바꿔야하나
그래서 누구신데요??
전 누구말을 믿으면 되는데요??
님은 믿을 만한 사람인가요??
일단... 춥고 졸려... 자볼게요
제 차는 시동버튼이 없는데...급발진이 안나는게 이상한거였군요!!! 그들 논리로...
수 천만원 짜리 차 구입하는데 각종 불량에 이제 급발진도 걱정해야 하나. 😂 수천만원이 누집 애 이름이야. 다들 뼈빠지게 일해서 번 돈 풀 할부로 밀어 넣을텐에
LPI 차도 마찬가지인가요?
귀찮아도 매일 두번 누른후 다시 한번 더 눌러서 시동켰는데.!
요즘 차는 그거까지 생각해서 예열되야 시동 걸려요.....
돼지꼬리 자동으로 대기한지 몇년인데 아직도 돼지꼬리얘기냐
유사과학의나라 ㅋㅋㅋㅋㅋㅋ
이 루머 나도 진짜 궁금했음.
근거를 기반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시험보러 가기전 기도하는것과 같은 행동 😂😂
버튼 두번 누르면 급발진 안날거야!! 🙏 😂😂
돼지꼬리켜져도 딜레이 주고 시동 걸리긴함
2009년식 디젤인데 그냥 브레이크 밟고 한방에 시동겁니다. 아직 잘 다님
나는 휘발유 차여도 두번 누르고 한숨 쉬고 시동 킵니다
디젤 다이렉트 인젝션이후로 돼지꼬리 사라지지 않았나요?
그냥 운전자가 한살이라도 어린게 급발진 확률 줄여줍니다
요즘 버튼시동 안누르죠 제조사 전용 어플로 원격시동
버튼시동 안한지 1년 된듯
가솔린 4년넘게 원격시동으로 매일3번씩 시동거는 데 문제 하나도 없습니다 급발진 문제있었으면 전 지금 글도 못쓰겠죠
가솔린인데 두번누르고 5초뒤에 시동을 킨지 3년됐는데 내일부터 안해도 되는건가요... 😢
댓글보니 다 전문가 이시네~ 결론은 2번 안하셔도 됩니다…차는 소모품이고 전자제어 시스템 이고 아끼다가 똥됩니다 천만킬로 타실꺼 아니시잔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