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 & 공시 합격에 최적화된 "3단계 공부법"! | 공부계획표 제대로 짜는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 수험은 '장기전' 입니다! 공부를 하는데 있어 완급 조절이 매우 중요합니다.
    1년 공부계획표에 따라 "3단계 공부법"을 따라한다면
    여러분은 1년 뒤에 반드시 원하는 시험에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2차(주관식 서술형) 유예 합격을 목표로 계획표를 짜게 된다면, 예비순환 & 1순환이 1단계에 해당하고, 2순환이 2단계, 3순환 이후를 3단계로 하는 계획표가 완성되어야 합니다.
    이때 2단계에서는 진도별 모강이 아닌, 사례집 풀이와 강평을 곁들인 모의고사(서술형)를 치르는게 되어야 할 테고요.
    아무래도 개개의 시험유형에 맞추어 모든 계획표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제가 보았던 “사시 1차(객관식)”를 그 기준으로 일종의 예시를 보여드린겁니다. 각자 준비하시는 시험에 변형 응용하실 수 밖에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3단계, #공부법, #공부계획표, #고시, #공시

Комментарии • 370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62

    01:50 1단계
    05:46 2단계
    07:28 3단계
    10:30 총정리
    수험은 '장기전' 입니다!
    공부를 하는데 있어 완급 조절이 매우 중요합니다.
    1년 공부계획표에 맞추어 "3단계 공부법"을 충실히 따라하신다면 여러분은 1년 뒤에 반드시 원하는 시험에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2차(주관식 서술형) 유예 합격"을 목표로 계획표를 짜게 된다면, 예비순환 & 1순환이 1단계에 해당하고, 2순환이 2단계, 3순환 이후를 3단계로 하는 계획표가 완성되어야 합니다.
    이때 2단계에서는 진도별 모강이 아닌, 사례집 풀이와 강평을 곁들인 모의고사(서술형)를 치르는게 되어야 할 테고요.
    아무래도 개개의 시험유형에 맞추어 모든 계획표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제가 보았던 “사시 1차(객관식)”를 그 기준으로 일종의 "예시"를 보여드린겁니다.
    각자 준비하시는 시험에 "변형 응용"하실 수 밖에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다만 모든 시험 공부가 "이해&정리", "입체화", "암기" 이렇게 3단계로 진행된다는 것만 캐치해 가시면 충분할 듯 합니다.

  • @코끼리아재-c8w
    @코끼리아재-c8w 5 лет назад +111

    밥상도 훌륭하게 차려주셨는데 수저로 직접 입에 떠넣어주시기 까지 해주시니까 먹기가 너무 편하고 좋아요. 잘먹고 힘내서 좋은결과 얻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9

      앗 제가 좋아하는 강의 스타일이 바로 "떠먹여주는 강의" 스타일입니다^^; 전 천재형 분들 강의는 뭔가 그분들 생각과 제 생각 사이에 간극이 느껴지더라고요 ㅎㅎ 도움되고 있다니 기쁘네요~

  • @hani780
    @hani780 5 лет назад +59

    변호사님 임용준비를 하고있는데
    지금 공부에 많이 지쳐있어요ㅠㅠ
    알고보니까 저렇게 장기전에 맞는 계획을 짜지않았던게 문제였던 것 같아요ㅠㅠ
    우연히 이 강의를 듣게되었는데
    정말정말 유익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3

      계획이 중간에 틀어질 수도 있어요. 그럴때 너무 자책하지 말고 다시 수정하면 된다는 것 잊지 마시구요~!

  • @수박수박-m3v
    @수박수박-m3v 5 лет назад +116

    제가 공부 시작할때 이영상이 있었다면 훨씬 수월하게 1년계획을 짰을텐데ㅠㅠㅠㅠㅠ
    그동안 일주일에 6일을 빡빡하게 짰더니 하루계획을 다 못마쳐서 매번 자책하고 밀려서 주말에는 못한것 하느라 제대로 쉬지도 못해서 지쳤었는데...ㅠㅠㅠ😭
    완전 꿀팁들이 가득하네요!ㅠㅠ이제라도 적용해서 공부해야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5

      네 체력과 정신력이 버틸 수 있는 계획을 짜시는게 꾸준히 버틸 수 있는 힘을 주는 것 같아요. 댓글 감사해요~^^

    • @수박수박-m3v
      @수박수박-m3v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정말 맞는 말 같네요ㅜㅜ요새 새삼 깨닫고 있습니다! 남과 비교해서 그만큼 따라가려하다가는 오히려 역효과가 나더라구요!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공부계획을 짜야 효율이 배로 오름을 다시한번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파인애플-s8o
      @파인애플-s8o 5 лет назад

      공감 되네요ㅠㅠㅠ

    • @30v19
      @30v19 4 года назад +2

      욕심이 앞서서 대부분의 사람이 그랬을거에요 저도 그랬구요 이제라도 알아서 참다행이네요ㅠㅠ

  • @솔솔-v2x
    @솔솔-v2x 5 лет назад +33

    언니 개멋져요 임고생이지만 참고해서 열심히 달려볼게요 당장 구독 누르겠습니다..♥️

  • @remixman209
    @remixman209 4 года назад +4

    변호사님 이 계획으로 공부계획 잡았다고
    댓글 달았던 사람입니다.
    오늘 행정사2차논술 최종합격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지돌이-t7s
      @지돌이-t7s 4 года назад

      축하드려요!!!!!

    • @remixman209
      @remixman209 4 года назад +1

      @@지돌이-t7s 자산관리사.공인중개사.행정사
      이제 법무사 하나 남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변호사님^.^

  • @gxhcubgxtog
    @gxhcubgxtog Год назад +3

    이거 보면서 진짜 궁금하고 답답했던 것이 해소가 됐네요
    감사합니다~

  • @wanawi3602
    @wanawi3602 3 года назад +1

    4:50 강의는 보조수단
    5:22 기출문제 교재 단권화
    기출문제가 여러파트에 걸쳐서 나오기 때문에 1주일단위로 끊어서 그 공부량에 해당하는 기출을 풀고 교재에 단권화 하는 식으로 했다,

  • @킬러조-t2x
    @킬러조-t2x 5 лет назад +41

    변호사님 영상 내리지 말아주세요.. 제대 후에 복학 안 하고 경찰 공무원 시험 볼 겁니다.. 이런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진짜

  • @lovebom2960
    @lovebom2960 5 лет назад +46

    최고에요 변호사언니!!!!
    정말 나긋나긋하고 자상하신 목소리 말투 뒤에 “더이상은 이해하는 시기가 아닙니다” 등 냉철한 모습까지도 보이네요... 제가 고객입장이라면 너무나 신뢰거 갈거같아요❤️

  • @yjjung3627
    @yjjung3627 4 года назад +56

    답글 모니터링 하고 계실지 모르겠네요~ 작년 이맘때 이 영상을 처음 접하게되어 굿와이프님 여러 영상을 보며 많은 도움이 되었고 준비하는 과목이 비록 4개 법이였지만 원하는 7급 군무원 목표를 이루게 되었네요. 늦었지만 정말 고맙습니다.

  • @지민-t2n
    @지민-t2n 5 лет назад +31

    설명을 정말 잘 하시네요...

  • @zeze9533
    @zeze9533 5 лет назад +22

    이렇게 짤수도있구나 막연히 월단위로만 오늘 단위로만 짰는데 우왕 자세해서 조아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네 큰 계획으로 전반적인 틀을 짜두고 다시 그동안 해오신 것처럼 세부적인 계획을 추가로 짜나가시면 좋을듯 해요~

  • @전현승-u2x
    @전현승-u2x 6 лет назад +56

    막연히 큰 틀로만 1년 단위를 생각했었는데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예시를 보여주셔서 정말 큰 도움이 됐어요..! 막막하고 까마득한 시간이라 느껴져서 불안함이 있었는데 계획을 짜고 한 걸음 한 걸음 내딛다 보면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한결 마음이 편해지네요. 감사합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6 лет назад +7

      맞아요! 계획이 중요한 이유를 정확히 느끼셨네요~ 계획은 생각보다 훨씬 세심하게 짤 필요가 있어요~ 그래야 중간중간 계획이 틀어졌을때 대비할 수 있거든요^^ 그리고 먼 “합격”이라는 큰 목표보다는 매일매일의 “작은 목표”를 통한 “성취감”을 자주 경험하시는 것이 슬럼프를 최소화하면서 좋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답니다. 좋은 댓글 감사해요!

  • @yc2981
    @yc2981 5 лет назад +32

    그리고 일을 하면서 병행하는 공부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ㅜㅜ!!(사법고시는 아니지만 장기전 시험 준비중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김도진-g9f
    @김도진-g9f 6 лет назад +13

    단권화하실때 지문을 원문 그대로 넣으셨나요 아니면 이해한 바를 넣으셨는지요
    교재에 의미는 같은데 기출지문(판례)와 상이한 부분들은 어떻게 처리하셨는지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6 лет назад +6

      의미가 일맥상통하는 경우라면 따로 단권화 작업을 하진 않았어요. 기출지문에서 변형 출제되는 경우라면, 어느 부분에서 주의를 해야하는지 그 포인트를 체크하여 두었고요.

  • @현이-m7w
    @현이-m7w 5 лет назад +12

    아니 이런 친절하신 분이 계시다니 ㅠ..

  • @1일1독-w9b
    @1일1독-w9b 5 лет назад +34

    다른 의대생 난잡한 공부법듣다가 딱 집중하게하는 글로 정리된 공부법과 깔끔한 설명을 보니 너무 이해가 잘갑니다. 감사해요!

  • @julialee4922
    @julialee4922 6 лет назад +10

    영상 감사합니다♡ 쉬는시간에 올려주시는 영상들 짬짬이 보고있어요! 목표로 하는 시험 합격 후 감사인사 드리고 싶네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6 лет назад

      애정하는 다솔님 또 찾아주셨네요~ 저도 다솔님 목표하는 시험 합격하고 찾아주시는 그날 고대하고 있을게요~^^

  • @kpo8237
    @kpo8237 5 лет назад +4

    안녕하세요 변호사님? 영상 잘 보고 구독했습니다!
    질문 좀 드리고 싶은데요..
    1. 단권화를 기본서에 해야 좋나요 아니면 기출에해야 좋나요?(이번에 막판에 볼 걸 정리해보려고했는데 뭘 어떻게해야될지 모르겠더라고요..)
    2. 공무원 법과목은 최신판례도 중요한데 재시를 한다면 기본서를 새로 사는게 좋을까요?(추록이 안 된다고하네요ㅠㅠ)
    (남들은 새로 나온 책으로 공부하는데 저는 작년 책으로 공부하면 부족하진 않을까 걱정이되서 질문드립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5

      질문에 번호 붙이기 저도 참 좋아하는데요~ 구독해주셔서 감사해요^^
      1. 사시의 경우 기출에 단권화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는데, 공시의 경우 많이들 물어보시는걸 보니 객관식으로만 출제되기에 그런 듯 하네요,,
      단권화는 결국 막판에 "짧은 시간내에 가장 많은 내용(단순 양이 아니라 이를 통해 시험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지식의 양)을 볼 수 있는 교재"를 선택해서 하셔야 한다고 생각해요.
      기본서에 단권화하는 경우, 그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문제들까지 커버(제 "단권화의 모든것" 영상의 도표 단권화 부분 참조하시면 알 수 있을듯해요)할 수 있기에 저를 비롯한 모든 사시 수험생들은 "기본서에 단권화"를 진행했어요. 다만, 이럴경우 반드시 (기출 또는 진도별모강)문제를 통해 이러한 기본개념을 입체적으로 보는 훈련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의 단권화(제 "불합격 이유 4가지"의 네번째 이유 보시면 제가 처음 1차 탈락한 이유가 이에 해당)가 진행되어야 해요.
      "기출에 단권화"를 하실 경우, 기본 개념 자체를 익히는데는 부족할 수 있으나 실제 시험에서 어떻게 응용 출제(입체화)되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기에 시험에서 실수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해요.
      정리해보자면, 공시의 경우 즉 "객관식으로만 출제되고 이후 주관식 시험이 없는 시험"의 경우에는, "기본서 또는 기출문제집 중 본인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시면 시험 합격 자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리라 생각돼요.
      그래도 선택기준을 제시해드리자면, 본인이 기본서를 읽고 문제를 풀었을때 응용 내지 변형, 함정을 파놓은("모든" ㅇㅇ은 어떠하다와 같은 유형) 문제들을 어느정도 잘 캐치해 내는 편이라면 기본서를, 그렇지 않다면 기출을 선택하시면 될 듯 합니다.
      2. 저는 형법 같은 경우 처음 산 교재(신호진 강사님의 형법요론)을 마지막까지 그대로 보았어요. 7년간 수많은 개정판이 나왔지만, 결국 추가되는 건 판례뿐이었기에, 그 부분은 최신 판례집(3개년, 5개년)을 통해 충분히 보완이 가능했어요. 만약 단순히 판례 추가로 고민이시라면 개인적으로는 다시 교재정리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 대비 효율은 떨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 @kpo8237
      @kpo8237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변호사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ㅎㅎ
      제가 불안했던 부분이 어느정도 해소된거 같아요..
      하다가 궁금한 거 생기면 추가 질문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다른 동영상도 지루하지 않아서 쭉 봤는데 너무 친근하셔서 누나 같은 느낌이 드네요ㅎㅎ
      앞으로 좋은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답변해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호야-n4v
    @호야-n4v Год назад

    변호사님 정말 감사해요 이 영상대로 계획 한 후 모든게 잘 되고 있어요 지혜 나눠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정말 스스로도 놀랐어요 부담없이 할수있다는게 너무 좋아요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 @박도현-j6z
    @박도현-j6z 5 лет назад +3

    영상 너무 잘 봤어요~
    영상 내용 중
    첫째! 기본강의 수강과 함께 이해&교재정리
    두번쨰! 기출 문제집 풀이& 교재에 단권화를 하라고 하셨는데요.
    첫번째 과정에서 강의 수강 후 기본서 내에 자신이 이해한 개념과 내용을 정리 하는건가요?
    두번째 과정에서 기출 문제집을 풀고 여기서 알게 된 개념과 내용도 첫번째 과정처럼 강의 기본서 내에 정리 하나요?
    따로 노트는 안 만들고 기본서에 포스트잇도 붙이고 구석 구석 적어 내용을 기본서에 정리 하셨나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2

      첫번째 과정에서는 가장 중요한 과정은 아무래도 밑줄치기가 될 테고요. 필요한 정도의 필기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고요. 그리고 강의 수강 후라기 보다는 "강의 수강시"가 맞을 것 같아요.
      그리고 네. 맞게 이해하셨어요. 따로 노트 만들지 않고 여백과 포스트잇 등을 통해 정리하고, 간혹 주교재에 내용이 완전히 빠져 있거나 한 경우에는 보충자료를 통째로 끼워넣기도 하고요.
      제 "단권화 튜토리얼" 영상 보시면 조금 더 잘 이해가 되지 않으실까 싶어요.

    • @박도현-j6z
      @박도현-j6z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아~ 영상이 있었군요ㅎㅎ 감사합니다~

  • @마이나써
    @마이나써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마지막이다 생각해보고 딴생각안하고 이것만 그대로 실천해보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족발당수-n1y
    @족발당수-n1y 3 года назад +2

    막막했는데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 꼭 이대로 해서 합격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당

  • @이연-y9n
    @이연-y9n 4 года назад +2

    정말 구체적이고 알아 듣기 쉬운 설명이네요 ㅠㅠ 말씀 너무 잘해주셔서 공부방법으로 고민하는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한가지 궁금한 것이 기본강의 수강할 때 한꺼번에 다섯과목 듣는게 좋은가요, 아니면 하나씩 끝내는 게 좋은가요? ㅠㅠ

  • @fififi-p9c
    @fififi-p9c 4 года назад +4

    1. 혹시 교재에 단권화 하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2. 1단계에서 인강, 기출문제집 풀이가 있는데 이건 같이 병행하면 좋나요? 아니면 인강, 정리 다한 후 기출문제집 풀이로 넘어가나요?

  • @호야-n4v
    @호야-n4v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저질체력인지라 큰도움되었어요

  • @김태욱-s5x
    @김태욱-s5x 3 года назад

    어마어마한 스케줄입니다. 분량으로 연계획을 짜는것은 처음입니다. 구체적으로 알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 @하하호호123
    @하하호호12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인강에 오랜시간을 투자해서 완전히 이해하고 정리하는데 남들은 안그런거 같아서 제가 잘못된건가 했는데(결과가 항상 좋긴 했어요) 굿와이프님 영상을 보니까 그동안 나에게 맞는 방법으로 잘해왔다는 생각이 드네요ㅜㅜ

  • @크런치초코-j5e
    @크런치초코-j5e 5 лет назад +2

    많은 분들이 계획표의 중요성을 많이들 강조하시는데 저는 계획짜는거에 익숙지 않아 어떻게해야 정말로 지킬 수 있는 현실적인 계획을 짤 수 있을까 고민 많이했거든요,,!
    그런데 이렇게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주셔서 계획의 큰 틀을 잡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슬럼프가 올때마다, 공부의 방향을 잡을때 1등공신이 되는 채널인것 같아요! 항상 감사드립니다ㅎㅎㅎ

  • @2020-l1u
    @2020-l1u 5 лет назад +11

    목소리가 라디오 dj분이신줄 알았어요! 잠 안 올 때 들어도 될정도로 좋아요ㅎㅎ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앗 전 강의는 하면 안되겠어요^^ 감사합니다~

    • @2020-l1u
      @2020-l1u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아니요! 강의해주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ㅠㅠ 목소리가 차분하시고 듣기 편해서 집중 잘돼요!ㅎㅎ
      제가 편한 소리 들으면서 자는걸 좋아해서 이렇게 말씀드렸어요ㅎㅎ
      구독 누르고 갈게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20 20 ㅎㅎ 이미 많은 분들이 제 목소리 수면유도 목소리라고 ASMR 요청 여럿 들어왔어요~^^ 구독도 감사해요~!

    • @황인혜-b7g
      @황인혜-b7g 3 года назад

      목소리가 정말 좋으세요. 변호사님 목소리를 들을수록 마음이 안정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 @pstachino
    @pstachino 4 месяца назад

    6개월 남았을 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공부라는걸 진지하기 해 본 적이 없고 늦깎이 초시생입미다… 공무원 9급목표로 하루하루 닥치는대로 하는데 너무 불안합니다.. ㅠㅠ 쉬는 것도 죄책감이 느껴지는 와중이었어요. 이 좋은 영상을 왜 이제 발견했을까요ㅠ 이제라도 발견해서 다행이고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쥬이-g7q
    @쥬이-g7q 5 лет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변호사님!
    저는 7급 공무원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1년정도 남부끄럽지않게 꾸준히 공부를 했는데
    좋지않은 결과를 받아 방황을 하다
    우연히 변호사님 영상을 발견해 어제오늘 쭉 정주행했습니다!!❤️
    (1년전에 변호사님영상을 보았더라면 더 좋았을텐데!!ㅠㅠ)
    저는 인강을 빨리 듣고 (복습x)
    기출문제를 많이 풀고 틀린문제만 반복해 보는 식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기본적인 내용은 소홀해진게 문제였던것 같습니다..
    * 제가 목표로 하는 시험은 약110일정도 남았는데요,
    남은 시간 동안
    기본서 정리(변호사님 단권화영상따라서)
    > 틀린 문제 단권화 > 문제풀면서 단권화& 틈틈이 기본서 회독
    이렇게 남은 시간을 보내면 알맞은 방법일까요?
    사실 기본서만 회독하면 집중력이 떨어져서
    문제를 많이 푸는게 저에게 더 맞는 방법인 것 같은데
    문제만 많이 풀다보니 정리가 잘안되고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게
    문제인것같아요ㅠㅠ
    변호사님 조언부탁드립니다..
    멘탈관리영상까지 지금시기 저에게 한줄기 빛같은 영상들
    올려주셔서 너무나감사드려요❤️
    지금부터라도 계획표짜서 다시 달리려구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2

      일단 수고 많으셨어요. 스스로 패인분석을 마치셨고, 말씀해주신 내용을 보니 잘 파악하신 듯 하네요.
      기출은 "지문 하나하나"를 공부해야 하고, 문제풀이의 대상으로 보시면 안됩니다. 가급적 기출의 경우도 저는 기본서 내용의 강약조절 및 단권화용으로 가져가시고, 마지막에는 기본서 자체를 돌리심이 말씀하신 그런 기본기를 놓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학원에서 내주는 문제들은 문제를 만들기 위한 문제들이 많기에 이것 자체에 매몰되면 오히려 기본서의 중요한 내용들을 놓치고 곁다리 내용들에 집착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항상 주는 "기본서 내용"이 되어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기본서만 읽는 방식이 영 안 맞는다고 느껴진다면, 학원 문제보다는 기출문제집 중심으로 각 지문을 "정지문"형태로 공부해나가는 방식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원두밀
    @원두밀 5 лет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그동안 올려주신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따스한 목소리에 힐링받고 있어요
    그 누구보다 정말 비기?를 상세하게 알려주셔서 너무 좋아요😽
    다른분에게 달아주신 댓글 보고 궁금해서 남깁니다.
    법 지문의 틀린 지문은 정지문으로 학습하라 하셨는데
    둘다 같이 보는기 좋을까요 아님 정지문만 보는기 좋을까요
    다른 합격자분등도 법 공부할때 틀린 지문만 모아서 정지문으로 타이핑해서 계속봤다고 하는데 막연하게 걍 정지문만 봐도 좋을지 모르겠어서 남깁니다 알려주세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2

      이유는 한가지입니다. 기억을 하는데 있어 왜곡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에요. 계속 정지문으로 공부를 하면 시험문제에서 틀린 지문을 바로 캐치해내기 쉽지만, 오엑스 지문을 함께 기억하면 뇌가 그것이 오였는지 엑스였는지를 다시 곱씹어야만 하고 그 자체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출문제를 풀때에도 오지문의 경우, 해설 부분에 나오는 정지문에 밑줄을 긋고 이를 공부하셔야 합니다.

  • @stsopie
    @stsopie 5 лет назад +11

    1단계와 2단계에서는 하루를 여유분으로 하루를 쉬는 날로 하셨는데 그럼 계획이 다 지켜져서 여유분 날에 할 일이 없으면 쉬셨는지 궁금해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5

      네~전 쉬었답니다. 제가 "쪼개기 공부법" 영상에서 소개해드린 책에서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놀기 먼저 계획표"를 세우라는 거였어요. 그래야만 미루는 습관을 없애고, 대신 공부를 해야하는 날에 집중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거죠.

  • @Sapwbxu
    @Sapwbxu 5 лет назад +2

    마지막 한달 회독수를 늘리는 기간 질문입니다. 중요한부분만 반복해서 빠르게 보는건가요. 중요한 부분 위주로 전체내용을 다 보는것인가요? 중요한 부분만 보려니 다른 내용을 잊어버릴것 같아 불안하고, 전체내용을 빠르게 속독하자니 회독수가 늘어나도 시간이 줄어들지 않아 효율이 떨어지는것 같습니다. 특히 민법이나 노동법 부속법령등 암기할 사항이 많은곳은 제가 멍청해서 너무 빨리 잊어버리는 것 같아 늘 회독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ㅠ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6

      객관식 준비중이신거죠? 그렇다면 저는 "다"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백점을 목표로 하지말고 일정부분 버리고 가야한다는 얘기를 들으시는 경우도 있을텐데요. 모두 보고 들어가도 틀리는 부분은 나오기 마련입니다. 그렇기에 공부할 때부터 일정부분을 버리고 가는 건 조금은 위험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주관식의 경우는 이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부분을 대충 보거나 스킵해버리면 사실상 그 부분은 단 한번도 공부하지 않은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보셔야 합니다.
      저도 회독수 돌리는 마지막 단계에서 생각만큼 한 회독당 시간이 짧아지지 않아 고민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꿋꿋이 다 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8-4-2-1 이런 회독법은 절대적인게 아닙니다. 저도 마지막 회독까지도 민법 하나 보는데 4일씩 걸리고 들어갔습니다. 그래도 괜찮습니다.
      부속법령 같이 정말 암기 위주로만 돌리는 부분들은 이동시간 잠자기 전 시간 등을 이용해 틈틈이 손에 잡고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지금까지 이해를 충분히 하면서 해오셨다면 시험장에서 분명히 다 기억이 날테니 걱정마세요. 우리는 컴퓨터와 경쟁하는게 아니라, 모두 다 같은 인간끼리의 경쟁이니 남도 나와 같다는 마음으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 @Sapwbxu
      @Sapwbxu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궁금했던 부분이 해소가 된것 같습니다.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변호사님!

  • @treue89
    @treue89 5 лет назад +2

    이번에 공무원 시험 떨어져서 정말 무엇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지 막막했는데, 좋은 방법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내년 국가직까진 대략 8개월, 지방직까지는 10개월 정도 남았는데, 다시 알려주신 방법 대로 계획을 짜서 일 년 후에는 기쁜 마음으로 다시 댓글을 남기겠습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네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기쁘고 감사하네요. 내년엔 꼭 좋은 결과 얻으실 수 있도록 차근차근 준비 잘 해나가시길 바래요.

  • @깡까망머리
    @깡까망머리 5 лет назад +13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저는 연구사 시험 준비할 때 책 늘리지 않고 기본서 한 권, 기출 한 권으로 공부한 기억이 나네요

  • @txbyu
    @txbyu 5 лет назад +2

    세무사 준비생입니다. 이 영상은 저한테 정말 오아시스같은 동영상이네요. 공부 잘하시는분들이 시간을 어떻게 쪼개는지 정말 잘봣어요. 여지껏 시간을 너무 무계획적으로 사용해서 반성하게 되네요 ㅎㅎ 변호사님 방법 참고해서 내년에 합격해서 댓글 남기겠습니다.

  • @user-qc8tj2qu9o
    @user-qc8tj2qu9o 4 года назад +2

    강의를 첨부터 끝까지 한번 쭉 본다음에 기출문제집에 들어가야하나요? 지금 강의+복습+단원별 기출을 병행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기출을 풀려다보니 꼼꼼히 외우게 돼고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립니다ㅠㅠ

  • @유불도
    @유불도 5 лет назад +1

    변호사선생님 감사합니다! 이 영상 보고 바로 구독 좋아요 눌렀습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정말 공부머리가 좋으신 것 같아요. 다른 영상들도 쭉 정독하듯이 봐야겠습니다ㅎㅎ
    하나 여쭙고 싶은 게 있는데요... 인강 포함해서 공부 시간은 하루에 보통 몇 시간이나 하셨나요? 쉬는 시간 등 제외한 순 집중 공부시간도 궁금합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전 하루 평균 10시간 반 정도 한듯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 "고시생 하루일과" 영상 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 @유불도
      @유불도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감사합니다^^

  • @kyr9853
    @kyr9853 4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실제 합격한 분의 공부법이라서 더 믿음이가고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보고 궁금한게 있어서요!! 18일 동안 3과목의 기출문제집을 풀기 위해선 그러면 남은 18일 동안 하루에 몇 페이지 이상은 풀어야하는지 계산해서 하루에 몇 시간이 소요되든 그 양을 끝내야하는걸까요?? 그리고 기출 문제집 회독은 따로 안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 @조영래-h8o
    @조영래-h8o 4 года назад

    쪼개기 계획표를 구체적으로 상세히 잘 설명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 @joyjoy2718
    @joyjoy2718 5 лет назад +218

    하루하루를 소중하게여기질않아서 큰일이예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60

      하루 일과를 간략하게 시간대별로 쭉 적어보시길 추천드려요. 그렇게 일주일 단위로 하루 중에 내가 언제 시간을 낭비했고 일주일 중에 언제쯤 늘어지는지 등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나면, 아~ 내가 뭘 조심해야 하는구나 이런 것들을 깨닫고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듯 해요. 작은 목표를 세우고 그걸 채워가는 과정을 눈으로 확인하는 공부법을 실천하시길 추천합니다. 제 "쪼개기 공부법" 실전편 영상 한번 참고하세요~

  • @jsdh23k28
    @jsdh23k28 5 лет назад +1

    비슷한 시기에 신림동에서 같은 공부하신 것 같은데. 시간 쪼개는 마인드도 비슷한 느낌이네요. 죽을 것 같던 고통과 압박도 다 지나가서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그 시절 생각나네요. 영상 재미있게 봤습니다.

  • @chilgununa
    @chilgununa 5 лет назад +1

    영상 감사합니다!
    제가 6개월 남은 시험을 요새 급하게 시험보기로 마음을 먹어서 계획짜는데 어려움이 있어요.
    6개월 남은 시험도 큰 틀은 영상에서 알려주신대로 (기본서/복습)-(기출)-(부족한부분암기와 회독) 순으로 적용해도 괜찮을까요?
    기본서 1회독 이제 시작했는데 시간이 부족한것같아 기출을 병행해야하나 고민 되어서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기출이 정말 중요한데, 이걸 어떻게 활용할 지 부분은 공부법 올려주시는 분들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기는 해요. 저의 경우는 기출이라는 것도 결국 기본서에 다 들어있는 내용이기에, 기본서를 위주로 전반적인 이해를 하고 기출을 통해 그 부분을 좀더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는(입체화) 과정을 진행하는 방식이었어요. 기출부터 시작해서 역으로 기본서를 들여다 보는 방식은 어느정도 기본 지식이 있는 분이라면 꽤 유효할 수 있는 방식인데, 입문자 입장에서는 따라하기 쉽지 않은 방식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해요.
      제 공부법 영상에서도 1단계에 기본서와 강의 병행 후에 기출을 토대로 한번더 다져주는 작업을 진행하시길 권해드리고 있어요. 시간이 부족하신 분들의 경우에는 2단계 입체화 과정을 다른 문제집들에 욕심을 내기보다는 기출 위주로 반복하셔서 시간을 버시는 방법을 추천드려요.
      이해와 정리 -> 문제를 통한 입체화 -> 회독을 통한 암기 이 과정만 잘 지켜나가주시면 구체적인 방법은 본인의 성향에 따라 조정하시면 된다고 생각해요.

    • @chilgununa
      @chilgununa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어떤 틀로 공부해야하나 막막하고 늦은거아닌가 불안하고 답답 했었거든요. 답변주신대로 계획 다시 짜서 열심히 공부해보려고요!
      감사합니다

  • @howard195
    @howard195 Год назад

    구독 완료 👍

  • @열심히최선
    @열심히최선 4 года назад

    변호사님 영상 잘보았습니다
    근데 혹시 공부하실때 하루하루 계획표 체크하면서 공부하셨나요?
    그리고 제가 공시준비생인데ㅜ 한국사같은경우는 기본서는 양이 너무 많고 그래서 기출문제를 기본서에 옮기는 단권화를 기본서대신 필기노트에 옮기거든요.. 가끔 이해안갈때는 기본서 읽고 사료는 기출문제 통해서 공부하구요 국사 단권화 필노로 해도 괜찮을까요?
    국어 같은경우도 기출문제 풀면 문법문제 하나하나 기본서에 옮겨야할 것들이 많은데 국어도 해야할까요..?

  • @김별-l1d
    @김별-l1d 5 лет назад

    추천영상에 떠서 차례대로 변호사님의 동영상들 다 봤네요..ㅎㅎ 사실 저는 변리사를 준비중인 학생이에요. 아무래도 대학까지 공대 공부를 하다가 법 공부(변리사는 법과목은 민법.특허법.상표법.디자인보호법을 봅니다!)를 하려니 막막했어요. 민법 인강이 3시간짜리라 하면 처음엔 복습하는데만 5시간 넘게 걸려서 제 머리가 안 좋은 건가 맥 빠지기도 했는데 변호사님도 복습하실때 그만큼의 시간이 걸리셨다니 조금 위로를 받고 가요.ㅎㅎ
    아 다름이 아니라 초반에는 민법을 들을때 노트에다가 다 정리하고 판례까지 모든 걸 적었는데 그러는데에 소비되는 시간이 너무 크더라구요. 변호사님은 강의노트를 따로 만드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요.
    또 현재는 학교와 병행하고 있다보니 변리사 공부에 상대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적어서 복습할 것들이 점점 쌓여가고 있는데 하루의 인강분량을 건너뛰고 그냥 그 시간에 복습을 할지 인강을 듣는 것이 나을지 고민이 됩니다..!ㅠㅜ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저보다 강의 듣는 속도가 빠른 편이신데요뭘^^
      강의노트는 물론 사시 시절에도 "서브노트"라는 이름으로 작성하는 친구들도 있었어요. 근데 포인트는 "서브" 즉 보조한다는 거에요. 만약 필요에 의해 필기노트를 만드신다면 이 내용은 복습을 통해 대부분 "필요한도의 최소필기"를 통해 주교재(단권화용)으로 넘기셔야 합니다.
      우선 제 "3단계 공부법" 영상을 통해서 전체적인 큰 틀을 짜보세요. 저도 진도별 모강때 매일 다 소화하지 못한 내용들로 많이 힘겨웠지만, "여유분 데이"를 같이 계획에 넣어서 어느정도 그 부담을 소화했던 것 같아요. 필요하다면 저는 인강 진도를 무작정 나가기보다는 복습을 어느 정도선에서 하고 넘어가시길 권해요. 복습을 해야만 자기것이 되거든요.

  • @럭키투스
    @럭키투스 5 лет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7급 공무원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과목이 국어,한국사,행정법,헌법,국제법,형소법 이렇게 보는데요.
    남들보다 늦게 시작하여 약 8개월의 기간을 잡고 시작했습니다.
    기본강의를 듣고, 당일날 해당범위 기출을 풀면서 문제유형이 어떻게 나오나 확인만 하고 따로 기본서에 단권화를 하지는 않았습니다. ( 일일이 찾아서 체크하는게 너무 시간이 오래걸려서요..)
    그래서 보통 하루에 6강을 듣는 가정으로, 1강 + 복습 +2강 + 복습 + 3강 + 복습 + 1~3강 범위 기출 / 4강 + 복습 + 5강 + 복습 + 6강 + 복습 + 4~6강 범위 기출 이렇게 2타임을 돌렸습니다.
    이렇게 현재 형소법을 마지막으로 강의가 끝이 나는 시점이 왔고, 시험은 4개월이 남았습니다.
    1과목씩 진행했기에 앞에 들었던 과목들은 기억이 잘 나지 않습니다.
    여기서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아서 공부법 유튜브들과 책을 헤매고 있는데 혼란만 가중된 상태입니다
    현재 생각으로는 기본강의를 끝냈으니 기출을 챕터 단위로 풀면서 기본서를 그에 맞춰 챕터 단위로 읽어나가는 방식으로 1회독 방식과 거꾸로 하면서 이 과정을 시험 1달전까지 반복하면서 어느정도 머리 속에 지식을 살리면서 암기를 할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단권화를 조금씩 진행해야 될거 같고요)
    그 다음, 마지막 1달 동안 최종정리 교재를 토대로 회독을 진행하면 되지 않을까 싶은데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중학교,고등학교 내신, 대학교 학점 같은 단기간에 스퍼트내는 과목들은 좋은 결과를 받아왔는데 수시로 오다보니 수능준비도 본격적으로 해본적이 없고, 그 이후에도 장기간 공부를 해본 적이 없어서 그런가 막막합니다.
    변호사님 영상 보다보니 다른 유튜버분들의 공부법도 언급하시면서 비교해주셔서 혼란이 조금은 해소되던 와중에 질문 올려봅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말씀해주신 과목들을 보니, 출입국관리직 준비 중이시군요.
      우선, 지금까지 잘해오신 것 같아요. 제가 공부하고 추천드리는 방식과 흡사하게 해오셨네요~
      1단계 기본강의 진행과정에서 교재 이해와 해당 교재 정리가 잘 이루어지셨다면, 다음으로 하셔야 할 일은 문제풀이를 통해 자신이 공부한 것을 입체화시키셔야 합니다. 제 "불합격이유 4가지" 보시면 마지막 4번째 이유가 바로 2단계 과정이 필요한 이유라고 보시면 돼요. 기본서 이론을 그냥 읽으면서 이해했다고 생각이 들어도, 막상 문제를 통해 접하면 풀지 못하거나 잘못된 답을 고르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이러한 부분을 문제풀기를 통해 찾아내고 보완, 수정하는 작업이 지금부터 진행되셔야 해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먼저 기출을 풀고 기본서를 읽어나가기 보다는, 우선 기본서를 하루 공부량만큼 읽으시고 그에 해당하는 기출을 푸시는게 제가 말씀드린 입체화 방식에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틀리거나 애매했던 모든 지문들을 꼼꼼히 기본서에 단권화 하시는 작업을 병행해주셔야 하고요.(단권화를 어찌 해야 하는지는 제 "단권화의 모든 것" 영상 보시면 어느정도 감이 잡히리라 보여요.
      이렇게 마치고 나면, 마지막 한달 시점에서는 얘기해주신 대로 회독을 최소 3회 가량 돌려주신다면 이를 통해 충분한 암기를 이끌어내시리라 봅니다.
      그동안 장기전은 안 해왔다고 하시지만, 충분히 공부의 감이 있으신 분 같으니, 꾸준함과 마지막까지 포기만 하지 않으신다면 좋은 결과 얻으실 수 있을 거에요!^^

    • @럭키투스
      @럭키투스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 변호사 -굿와이프 감사합니다! 답글 토대로 적용해보겠습니다. 질문 생기면 또 찾아올게요!

  • @박진희-q4c
    @박진희-q4c 3 года назад

    약 6개월정도 남았지만… 잘 짜보겠습니다 유용한 정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sunnus7
    @sunnus7 2 года наза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여쭤볼게 있어서요!!
    안다는전제가 책 없이 허공에 말할수 있을정도인건가요???
    뭐는 허공에 말할수있을정도로 해야하고
    뭐는 기출지문보고 기억하면되는이론이있던데 어떻게 처리해야할까요?..

  • @냥동-m2w
    @냥동-m2w 5 лет назад +1

    이 영상 예전에 한 번 보고 1차떨어진 지금 다시보니 영상이해도가 다르네요ㅋㅋ
    11개월도 아닌 14개월이나 남은 시점인데
    이 영상에서 말하듯이 생각보다 회복과 깊은 고민의 시간이 길어집니다. 한 달 채울듯요ㅋㅋ
    저는 12개월 시점까지는 교수저 읽고 예비순환 강의나 다시 차근차근 들어보려고 하는데요,
    이렇게 하면 1단계가 9개월?이 되는거같은데
    변호사님은 해걸이(?) 하셨을 때 이 기간 어떻게 보내셨나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2

      그러셨군요. 원래 아는 만큼 보이는 법이니까요. 이번엔 꼭 차근차근 잘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래요.
      해걸이라고 해봤자 사실 1차 떨어진 것과 시험 준비 측면에서는 다를게 없기에, 위 계획표와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 같아요.
      제 생각에 1차를 다시 준비할 때 경계해야 할 것은 '내가 이미 많은 것을 알고 있다'인 것 같아요. 저 같은 경우에는 1차 떨어졌을 당시, 1단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소모하는 민법 교재 정리를 새로이 했기에 1단계 기간이 절대로 여유가 있지 않았어요.
      남들보다 여유가 있다고 생각하시기보다는 좀더 촘촘히 잘 2단계를 준비해야지 하는 마음으로 해나가시길 바래요(작년에 놓친 단권화 작업이 있다면 미리 해두시는 게 좋아요). 2단계 이후부터는 굉장히 힘든 시간들이 이어지니까요.
      마음 잘 추스리고 차근차근 준비해나가셨음 해요.

  • @김갑순똥믈리에
    @김갑순똥믈리에 4 года назад +1

    소방 준비하고있는 고1 소시생입니다. 지금은 하루에 3~4시간씩 밖에 공부하지 않지만 고3 시점부터 이 영상대로 플래너 세우고 공부하겠습니다!!

  • @핑구-b6i
    @핑구-b6i 5 лет назад +1

    변호사님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행시 입문하는 초시생인데 변호사님께서 알려주신대로 오늘 계획 다 짰어요...! (뿌듯) 2021년에 합격해서 꼭 다시 댓글달러 오겠읍니다...^ㅅ^♡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2

      네.저도 꼭 그러시길 응원할게요^^ 중간에 계획 수정은 당연히 수반되는거니, 적절히 본인의 상황에 맞춰 진행하시길 바래요~

  • @조호연-i7g
    @조호연-i7g 5 лет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변호사님 저는 노무사 준비생인데요
    저같은 경우는 계획을 짜서 하다보면 하루 안에 못마쳐서 밀리는 경우도 있고, 또 그러다보면 계획을 짜는게 싫기도 하고 이렇게 시간 투자하며 짜는 것보다 대충 큰 틀을 생각하고요
    ex) 공부과목 순서와 하루일정(인강-복습-내일 시험범위 암기같은 ..)만 짜고 진행하는건 어떨지 고민입니다 . 그래서 쟁점은 플래너에 세부적인 계획을 짜지않고 개괄적인 계획만 짜고 공부해도 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제가 알려드린 계획표를 하루단위로 생각해보시면 답이 나올 것 같아요. 제 하루 계획표는 그저 "오늘 하루치 강의 듣고 복습하기" 이게 다인거잖아요^^ 계획표는 본인이 어떠한 과목을 어느 기간안에 끝낼지 정도의 큰 틀을 잡는게 가장 중요해요. 그리고 제 영상에서도 강조해드렸듯이, 여유분데이를 통해 흐트러진 계획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게 그러한 심리적 멘붕을 막을 수 있는 장치이기도 하고요. 전 참고로 플래너를 한번도 사용해본적이 없답니다.

  • @user-rk4jj4qi6n
    @user-rk4jj4qi6n 5 лет назад +14

    변호사님 안녕하세요!
    1단계에서 기출문제집 풀이 하실때는
    강의 완강 후에 18일 동안 오로지 기출문제만 계속 푸시면서 단권화 하셨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1단계 기간 중에 1주일 정도 강의 듣고 이후에 그 분량 만큼 기풀문제집 풀면서 교재에 단권화하고 이런식으로 하신건가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0

      후자가 맞아요.
      기출문제집을 해당 진도 나가고 바로 매일매일 풀 수도 있을테지만, 기출문제라는 것이 반드시 한 파트에 걸쳐서만 출제되지 않고 서로 연관된 파트를 엮어서 출제되는 경우가 많기에, 저는 어느 정도 진도를 뺀 뒤에 그 만큼의 기출을 풀고 단권화를 해주었어요.
      이렇게 하면, 기출을 처음 "풀어볼 때" 강의 들을 때는 잘 안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이 기억이 안 나거나 헷갈리는 것을 경험하시게 될 거에요. 그런데 그 답답함을 참고 풀고난 뒤에 해당 파트를 주교재에서 찾아보면 답답함이 풀리면서 궁금증의 해소로 인해 해당 내용이 머릿속에 깊이 박히게 되는 효과가 나요. 그리고 자신이 헷갈리거나 기억이 안 나던 내용에 형광펜이나 주의할 내용들을 표시(단권화)해 주면 교재가 입체적으로 읽히게 될 거에요.
      이러한 1단계 과정을 잘 진행해주시면 이후 2,3단계까지 공부가 차근차근 잘 쌓일 수 있게 될거에요.

    • @user-rk4jj4qi6n
      @user-rk4jj4qi6n 5 лет назад +1

      @@길라잡이변호사-굿와 답장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ㅠㅠ
      다른 영상에서는 강의는 기본강의 한번으로 족하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번 영상에서는 진모 강의를 듣는걸 추천하셔서 고민중인게 있는데요.
      학원 커리큘럼 중에 진모 문제를 풀고 기출문제집을 주교재로 기출강의를 하거든요. 이걸 수강할지 아니면 이미 제가 개념강의는 1순환 2순환 들었고 나름 복습도 밀리지 않고 했다고 생각하는데 혼자 독학하면서 나중에 전범위 모의고사만 강의를 수강할지 고민이에요. ㅠㅠ 결론은 기출강의를 꼭 들어야할지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3

      타카키 우선 답부터 드리자면, 기출강의를 꼭 들으실 필요는 없어요. 기출이라는 것이 새로운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잖아요. 결국 기본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주교재에 나와있는 내용을 어떻게 "입체화"해서 공부할 지를 알려주는 것이 기출이기에 스스로 문제집을 풀어보고 주교재에 단권화 해주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강의 듣는 것은 혼자 공부하는 것에 비해 시간이 더 들기 마련이거든요(제 "극약처방! 진도 나가야 하는데 공부가 안될때" 영상 참고).
      같은 이유에서 진도별 모강의 문풀 강의도 절대적으로 필수는 아니에요. 그런데 저의 경우 진도별 모강 문제를 해당 문풀 강의 시간 내에 복습을 마치겠다는 생각으로 진행했어요. 강사님은 모든 문제를 풀이해주시지 않기에, 저는 저대로 모든 문제를 검토하면서 스스로 복습을 진행하고 중간에 해설을 보고도 이해 안되는 경우에는 강사님 설명을 들으면서 이해를 하는 식으로요.

    • @user-rk4jj4qi6n
      @user-rk4jj4qi6n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답변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ㅠㅠ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 @user-rk4jj4qi6n
      @user-rk4jj4qi6n Год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변호사님 2년 전에 합격해서 현직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이 영상이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estherchoi3218
    @estherchoi3218 4 года назад

    변호사님 ~ 공시 준비하는 초시생 입니다. 변호사님 계획표 대로 계획하되, 공시는 총 5과목을 준비해야 하는데 나머지 두 과목은 어찌 배정을 하는게 좋을까요...? 저 공시 준비를 고민하다...변호사님 계획표 작성법 보고 도전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결과가 어찌되었던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이왕 공부하는거 합격을 목표로 해야 겠지요 .. 변호사님께서 저를 자극 시켜 주셨습니다...ㅎㅎ 쭉..유튜버로 제 슈퍼바이저가 되어 주세요 ....!!! (+ 나머지 두과목은 어찌 배정해 봐야 할까요...?)

  • @뚜뚜-e7w
    @뚜뚜-e7w 4 года назад

    굿와이프님~전문직시험 준비하는 입장으로서 굿와이프님 영상으로 힐링도 받고 좋은 정보도 많이 얻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준비하는 시험은 3단계에서 모의고사를 실시하는데 혹시 2단계에서 어떤 부분을 보강하면 좋을까요?

  • @Hsp3085
    @Hsp3085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공시준비중인사람입니다.
    학원 모의고사는
    기출에서 너무 벗어나는 내용이 많지 않나요? 공부 범위에서 너무 벗어나는 공부를 하게 될까 염려스럽습니다. 2단계를 하지않고 1,3단계를 시간을 좀더 주는 방향은 어떤가요~?

  • @eunhuiseo4038
    @eunhuiseo4038 3 года назад

    백수지만 뭔가 자격증을 준비할 때 적용하려고 강의 잘 들었습니다.

  • @함석호-l4x
    @함석호-l4x 3 года назад +1

    과외식 인강 듣기.?
    1시간짜리 2시간이 걸려도 꼭 이해하는거
    인강듣는 방법 정말 공감합니다

  • @바람만
    @바람만 5 лет назад +1

    지금 공무원시험 50일정도 남았는데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할지 정말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ㅠㅠ (국영 한국사 행정법 사회)기출을 여러번 봐야된다는 얘기가 있어서 다시보자니 양이 너무 많은데 틀린부분? 옳은 부분만 보는게 나을까요?
    제가 일단 기출내용을 무엇무엇x 이렇게 기본서에 단권화 해놓기는 했는데요.. 그럼 이제 기출안보고 기본서만 봐도 되는지요
    모의고사를 안풀어봤는데 답체크해서 빠르게 보는게 좋을지 너무 혼란스럽고 불안합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5

      먼저 질문을 드려볼게요,, 그동안 1,2단계 공부를 해오시면서 단권화를 해오셨다고 하는데요. 그 단권화된 내용을 보면 해당 기출문제의 지문이 나왔을때 답을 고르실 수 있을 정도로 단권화가 충분히 되어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단권화된 기본서만 보셔도 됩니다.
      만약 그렇지 않고 기본서 내용을 보는 것만으로는 해당 기출지문의 정오를 맞추기 어려운 상태라면 기본서만 보시는 것으로는 실제 시험에서 답 고르는데 어려우실 수 있어요. 공무원 시험이라고 하니 "객관식 시험"일텐데, 이럴 경우에는 만약 기본서가 제대로 단권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면 기출문제집을 잡고 마지막까지 최대한 돌리시는 것이 나을듯합니다.
      단권화가 필요하고 가장 핵심이 되는 근간은 마지막에 "이것만" 보면 그동안 공부한 내용이 모두 들어가 있다는게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 @persu2099
    @persu2099 4 года назад

    1차시험이 미뤄진 현상태에서 1차와 2차중 가장난이도가높은과목과 병행예정입니다.
    1차가 끝나면 약12개월이 안되는 시간동안 2차를 공략해야하는데 그 때 참고하여 계획 짤 수 있겠어요 감사해요.

  • @littleblackCS
    @littleblackCS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구름낀게 정리되는 느낌이에요

  • @서연이다아
    @서연이다아 5 лет назад +3

    혹시 자기보상날에는 뭐하시나요? 아예 공부안하고 하고싶은거 하시나요? 하루 통으로 놀아도되나 걱정돼서요!! 어떻게하셨는지 궁금해욥!!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8

      네 그냥 하루 통으로 놀았어요. 보통 친구들 약속을 토요일 저녁에 많이 잡은 것 같아요. 늦어도 일요일 점심. 그리고 가급적 일요일 저녁타임부터는 다시 공부모드 워밍업 해주었어요.

  • @hycho-b9d
    @hycho-b9d 5 лет назад +3

    공부와 관련된 어떤 목표를 추구하던 도움이 되는 방법 같습니다! 경험 통해서 찾아내신 소중한 요령이고 자산이실텐데 이렇게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youngjuharry
    @youngjuharry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덕분에 내년 수험 1년 계획을 작성하였습니다:) 1년 뒤 !! 반드시 합격할게요!!!^^

  • @wbl8100
    @wbl8100 5 лет назад +1

    이번에 소개해하신 3단계 계획은 객관식 시험 (공시) 위한 계획인가요? 혹시 준비하는 시험이 서술형이라면 써보기 연습 혹은 흔히 말하는 output 연습은 3단계 이후에 하면 되나요? 감사합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3

      네 기본적으로 "객관식 시험"을 위한 계획의 예시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관식 시험의 경우 어찌해야 하는지는 제 영상 아래 댓글("1년 뒤 합격이라는 것은...") 질문에 제가 자세히 답변 달아놓았어요~
      쓰는 연습은 1단계(최소 1순환)부터 함께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제 "주관식 시험에 맞는 효율적인 암기방법" 영상으로 다루었으니 한번 보심 좋을듯해요.

  • @효진김-c2o
    @효진김-c2o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다시 도전!

  • @마적신
    @마적신 5 лет назад

    공부를 하면서 많이 답답했던게 제가 너무 남들에 비해 느린것같다였어요
    남들은 한번 보면 다 되는것같은데
    난 인강봐도 잘 모르겠고 책을 한번 더 보는것도 인강의 시간만큼 소요되고
    좀더 여러과목을 할라면 이러면 안되는데 하면서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조급했어요
    근데 오늘 이 영상을 보면서 위로가 많이
    되었어요 포기하고싶을때가 많았거든요
    앞으로 저 자신을 믿고
    꾸준히 해나갈라구요 ~^^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맞아요. 수험생활하면서 자기의 페이스를 잃지 않고 꾸준히 해나가는게 매우 중요해요.

  • @Airforce15307
    @Airforce15307 3 года назад

    으아니 말씀을 진짜 잘 하세요.

  • @생갈치1호의행방불명00
    @생갈치1호의행방불명00 5 лет назад

    안녕하세요 변호사님 ! 저는 현재 경찰공무원 시험 준비 중인 이제 막 시작한 초시생이에요 :) 대략 한 달 반 뒤 8월 말에 시험이 있는데 그때까지 국사와 법과목들 1회독씩 다 하고 시험을 볼 생각이고 내년을 합격 목표로 공부하고있습니당 보통은 기본수업 2회독 정도 하고 심화반으로 넘어가라들 그러는데 제가 이해하는 속도도 좀 낮고 인강으로 공부 중이라 인강 들을때 마다 이해 안 되면 돌리고 돌리고 해서 1시간 반 짜리 인강 들으면 세시간이 그래요 지금 당장 앞에 시험을 경험삼아 보는 거긴하지만 그때까지 1회독 끝내려고 전전긍긍 듣고있거든요 정장 제일 저에게 필요한 영어를 많이 못하고있네요,, 그래서 원래 이번 시험까지 1회독 끝내고 올해 남은 4개월 안에 2달에 1회독씩 총 기본 3회독을 끝내려 했는데 빡세게 3회독을 끝낼까요,, 아니면 이해 하고 천천히 정확하게 2회독 하고 내년 초에 심화반 올라가는 게 맞을까요 ,, ? (당장 눈 앞에 시험을 중심을 두지 않고 시험때 까지 1회독들을 다 진도 못 끝내도 천천히 할까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현재 시점에서 이번 시험이 노려볼 만한 상태가 아니라면 어차피 시험장에 가는 것은 현장 분위기를 익혀보는 정도로 생각하시는 것이 좋아요.
      인강 들으시는 스타일 들어보니 저랑 비슷한 스타일이신 것 같은데, 그럴경우 급하게 넘어가려 하면 본인이 오히려 스트레스만 받고 지식은 쌓이지 않을 수 있어요. 본인이 충분히 이해가 될 정도의 페이스로 공부 이어나가시는 것이 전 맞다고 생각합니다.

  • @희영-l8x
    @희영-l8x 5 лет назад +2

    첫 기본강의 수강하실때 한과목 43일 잡으셨으면 43일동안 그 과목만 공부만 하셨나요? 다른과목은 안하구 정말 단권화에만 초점을 뒀다는 뜻인가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네. 정확히는 "이해"가 전제된 "단권화"의 시작이죠. 단권화는 2단계까지도 꾸준히 해주어야 하는 작업이니까요.
      공시 같은 경우는 여러과목을 동시에 진행하는 실강 스케쥴 때문에 많이들 고민하시는 것 같더라고요. 제 "하루 한과목 vs 여러과목?" 영상 참고하시면 계획 세우시는 데 조금더 방향이 잡히실 것 같아요.

  • @user-SS9
    @user-SS9 5 лет назад

    오늘처음봤는데 2년정도 계획없이 되는대로 공부하다 지쳐서 솔직히 반쯤놨는데 계획세워서 다시 해봐야겠어요...ㅠ
    + 궁금한게 있어요! 맨처음 1단계에서 과목별 날짜로 나누셨던데 매주 3과목을 다 들으셨나요? 아니면 1과목씩 나눠서(1과목 완강후 다른 과목으로 넘어가는 식으로..) 강의를 들으셨나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네. 제 다른 영상 (1,4,7,14 또는 회독법) 보시면 아시듯이, 전 법학과목이었기에 후자의 방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 @kang7803
    @kang7803 5 лет назад

    정말 유익한 내용 필기하며 들었습니다..궁금한점은 변호사님은 공부하실때 그룹스터디는 따로 하지 않으셨나요? 주변에서 스터디를 꼭 해야한다 는 말이 많아서 혼란스럽네요.전 참고로 임용시험을 준비하고 있어요.ㅜ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출첵 스터디나 밥터디도 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성향에 맞추어 진행하시면 될뿐, 절대라는건 없는 것 같습니다.

  • @일찍일찍-q9s
    @일찍일찍-q9s 6 лет назад +2

    변호사님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노무사 수험생인데 민소법 꿀팁있을까요?? ㅠㅠ 민소법 너무어려워요 단문위주로 일정한 목차틀을 잡아놓고 키워드위주로 외워나가면될까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6 лет назад

      노무사 시험준비 경험이 없어 찾아보니 기본적으로 사시처럼 2차 주관식으로 보는 과목이군요. 2차 주관식 서술형의 경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정확한 개념 이해”와 이를 출제된 “사례에 제대로 응용”하는 것입니다.
      “개념 이해”는 기본강의 수강을 통해 잡으시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민소법 결코 만만치 않죠,, 저도 책만 보고 이해하라면 절대 못할듯 싶습니다 ㅠㅠ
      “사례에 제대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사례집을 푸시면서 그 전체 목차를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본인이 직접 생각의 흐름에 따른 “쟁점”을 잡아보시고 이를 논리정연하게 대목차로 잡으실 줄 알아야 합니다.(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개념 이해”가 선행되어야 되겠죠?
      단, 하나의 쟁점(대목차) 안에서 기술해야할 1. 문제의 소재 2. 학설 3. 판례 이러한 틀 자체는 “암기”를 통해 바로 바로 현출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놓아야 하고요. 4. 사안의 적용 내지 해결 부분은 암기를 통해서는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사례집의 반복학습을 통해 최대한 출제된 사례와 결부시켜서 쟁점의 결론을 이끌어내는 기술이 중요합니다! 이 부분에서 교수님들은 한눈에 이 사람이 알고 쓴 것인지, 그냥 암기한 것을 쏟아놓은 것인지 파악이 가능하기에 합격의 당락과 고득점 여하가 여기에 달려있다고 보셔도 됩니다.
      첨언하자면, 교수님들도 사람인지라 무작정 많이 쓴다고 좋아하지 않으세요,, 오히려 정말 핵심 키워드 위주로 간략하게 서술된 답안지가 더 돋보인다는 점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 @일찍일찍-q9s
      @일찍일찍-q9s 6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아.. 상세하고 친절한 답변감사합니다!! 제가 이해하기로 우선 정확한 개념 이해,암기와 그를 바탕으로 한 사안 포섭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씀 맞을까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6 лет назад

      네 저보다 핵심 요약 정리를 더 잘하셨네요^^

    • @일찍일찍-q9s
      @일찍일찍-q9s 6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감사합니다!!! 열심히 구독할게용

  • @wldnro206
    @wldnro206 4 года назад

    변호사님 안냥하세요! 이번 코로나때문에 시험이 늦춰줘서 예정대로 내년 4월에시험을 보게된다면 약 8개월 정도가 남은 건데 개월수를 하나씩 줄여서 시행하면 될까요~?

  • @형돈아형돈좀-p6h
    @형돈아형돈좀-p6h 4 года назад

    잘 읽고 가요☺️ 감사합니다!

  • @전헬렌
    @전헬렌 5 лет назад

    작년엔 최종에서 0.3점 올해는 1차에서 0.3점 탈락으로 멘탈이 나간 임고생입니다. 우연히 동영상 보게 되었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금 당장은 공부 다시하기 싫고 죽고만 싶었는데 동영상을 보고 다시 공부하고 싶은 동기를 얻고 갑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리셋된 기분 얼마나 힘든지 알아요,, 그런데 결국 내자리로 돌아오게 되더라고요. 이번이 정말 마지막이란 각오로 임해서 꼭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래요~

  • @사점
    @사점 5 лет назад

    변호사님 안녕하세요 암기법 등 영상보며 도움받았습니다 먼저 감사말씀드립니다.
    저는 임용고시 수학전공으로 시험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근데 보통 지금 시점에서 임용고시생들은 일반적으로 강사님들이 예상문제로 만든 모의고사를 푸는 과정을 거치던데요. 마지막 공부시기엔 했던 것을 묶는 과정이라하셨잖아요. 근데 어떻게보면 모의고사를 계속 풀고 피드백하는 건 일을 벌리는 게 아닌가 싶어서요. 변호사님의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제가 임용고시 일정을 정확히 몰라, 지금 시험까지 얼마나 남은 시기인지 모르겠네요. 기본적으로 객관식이나 주관식이나, 마지막 단계에서는 새로운 공부내용을 추가하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고 생각하는 입장이에요. 사시 2차의 경우에도, 3단계의 아주 초창기 까지는 그 해에 이슈가 되는 예상문제의 파악을 위해 학원 모의고사 문제를 살펴볼 필요는 있지만, 결국 진짜 마지막 단계에는 지난 1년간 공부해온 것들을 다져주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학원 일정이 그렇다면, 교재에 나와있지 않은 예상문제 정도만 답안지 내용을 확인해주시고, 그 이외에 교재에 들어있는 내용들은 그 답안지 자체를 공부하기 보다는, 본인이 해당 답안의 핵심 쟁점을 잡아낼 수 있는지 정도를 확인하고, 해당 파트를 교재에서 찾아 공부하는게 더 낫지 않을까 싶네요.

  • @30v19
    @30v19 4 года назад

    친절하고 상세하게 설명주셔서 감사해요ㅠㅠ 여유분 개념 너무 좋네요
    자기보상 시간에는 하고싶은거 하면서 푹 쉬면되나요?

  • @hyunjulee3228
    @hyunjulee3228 4 года назад

    4단계 문제풀이 강의를 들으며 복습과 단권화를 강의 시간 내에 하신다고 하셨는데, 중간에 강의 일시정지 안하시고 1.0배속 정속도로 들으면서 하시는 건가요?
    그렇지 않으면 강의시간 내에 못마치고 늘어질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ㅠㅠ

  • @minkkk66
    @minkkk66 5 лет назад

    우선 상세한 플랜 감사드립니다! 이전 영상들에서 처럼 단권화를 지금 실시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이게 맞는건지 모르겠지만... 제 강사님 기본서에다가 타 강사님 기본서를 보면서 없는 내용은 복사해서 붙이기도 하고 타이핑을 치기도 하기도 합니다. 하루 웬종일해서 한 5개 소단원 정도밖에 못합니다... 특히 노동법은 양이... 아 맞다 저는 노무사 수험생입니다! 타 강사님 책을 보면서 이해의 폭은 넓어지는 거 같은데... 이렇게 굼벵이처럼 하는게 맞는건지... 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걱정이네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2

      단권화라는 부분이 분명 품이 든 만큼 나중에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지만, 수험기간이 무한정이 아니기에 분명 집중과 선택이 필요한 작업이에요.
      일단 주교재를 하나 선택하셨으면 예를 들어 교수님 저인데 해당 교수님이 소수설인데 오로지 본인 견해만 적어놓으셨다거나 한 정도가 아니라면, 굳이 다른 교재를 들추어 가며 비교해서 겹치지 않는 모든 내용을 옮기려 하는 건 너무 시간 대비 얻는 게 적을것 같아요.
      기본적으로 수험서는 각각 그 자체로 그 안의 내용만 모두 소화해내고 합격을 할 수 있는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어요. 그러하니 주교재를 기준으로 제가 "단권화 튜토리얼"에 보여드린 것처럼 밑줄을 통해 이후 반복해서 보아야 할 부분들을 추리는데(더하는 작업이라기보다는 우선 줄여가는 작업인거죠) 집중하시길 바래요.
      그리고 문제풀이에 중점을 두는 2단계에서는 본인이 기본서 내용을 읽었음에도 문제풀이에서 놓치거나 기출에 나왔거나 모의고사에 나왔는데 기본서에 없는 내용들 위주로 더해가는 작업 내지 강조하는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완벽한 백과사전을 만들려 하지 마세요. 처음엔 뭐가 중요하고 뭐가 덜 중요한지 잘 보이지 않지만, 회독수가 늘어감에 따라 분명 중요한 부분들이 눈에 들어오게 될거에요. 그건 처음부터 한번에 알 수 없는 것이니, 각 단계에서 필요한 작업 위주로 선택과 집중 잊지 마세요.

    • @minkkk66
      @minkkk66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넵 정말 감사합니다!!!

  • @Hooka-o3r
    @Hooka-o3r 5 лет назад

    주관식 행정법을 처음 접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백지상태에서 인강을 수강하고 있는데 솔직히 하루에 3강 듣고 복습하는데만 해도 시간이 너무 걸리고 있습니다.
    단문과 사례들을 전부 이해하고 달달외워야 한다는 압박감이 심해서인지 아직 1달 가량 지난 시점에서도 너무 부담감이 크네요ㅜ
    꾸준히 성실히 한다면 정말 방대한 양들을 소화가능할지 걱정입니다ㅜ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주관식의 경우 처음 공부할 때부터 쓰면서 암기연습을 해주시는 게 중요해요. 물론 암기 부담이 클 수밖에 없지만, 특히 사례의 경우 단순암기로는 실제 시험에서 해결이 안되는 경우가 많아요. 초반에 이해 위주로 꾸준히 해주시면 시험에서 충분히 쓰실 수 있을테니 본인에 대한 믿음을 갖고 해나가시길 바래요.

    • @Hooka-o3r
      @Hooka-o3r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정말 감사합니다~!!^^

  • @santaro0129
    @santaro0129 5 лет назад

    변호사님은 스케줄러를 어떤 종류로 사용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다이어리 형태 쓰셨는지 아니면 공책 혹은 a4 용지에 장기적 플랜 위주로 사용하셨는지 알려주세요! : )
    아 - 그리고 여유분 1일과 자기보상 1일을 넣는건 참 현명하셨던 것 같아요. 전 왜 그런 생각을 못해서 항상 플랜 뒤틀릴때마다 다시 짠다고 고통받던 시간이 생각나네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아 전 요새 유행하는 그런 스케쥴러는 사용해 본 적이 없어요^^ 전 그냥 탁상달력을 선호(제 "쪼개기 공부법" 실전편에도 등장합니다)하기에, 그 위에 대략적인 공부 스케쥴을 표기하고 이를 지워나가는 방식을 썼습니다.
      만약 하루 공부 과목이 여러개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노트에 직접 일주일 단위 달력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엑셀을 이용하여 프린트하기도 했습니다~

  • @persu2099
    @persu2099 4 года назад

    약3주뒤 1차 후 남은 11개월을 2차에 전념해야합니다. 그 때 반드시 참고하여 합격까지 버텨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말차-j1m
    @말차-j1m 5 лет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영상 잘 봤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 영상대로 하루에 3강(1강에 90분 기준)씩 들으면 1년동안 강의만 들어야 하는 일이 생겨서요ㅠㅠ..기본 개념 강의를 다 합치면 600개 정도 됩니다..(회계사 1차)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까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시험이 1년에 한번 있는 시험이라면, 본인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먼저 계산하고, 그에 맞는 계획을 세우셔야겠지요.
      학원이 1년 뒤 합격을 목표로 하는 강의 스케쥴을 제시하지 않는 경우는 없으니, 일응 그 스케쥴을 기준으로 잡고 하루 공부 목표량을 세우시길 바래요. 제가 보여드린 스케쥴 역시 특별한 스케쥴이라기보다는, 제가 공부할 당시 사시 1차 강의 스케쥴과 거의 대동소이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각 단계에 소화해주어야 할 그리고 포인트를 두어야 할 부분들을 잘 알고 가는게 중요하겠죠.

  • @미소천사-z7g
    @미소천사-z7g 4 года назад

    변호사님 영상감사해여~~~~~ 합격으로 보답하고싶습니다 ㅜㅜ

  • @안녕-m2k1u
    @안녕-m2k1u 4 года наза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지금부터 일년동안의 계획을 세워 꼭 합격이 아니더라도 제자신이 얼마나 달라져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성이름-d5l
    @성이름-d5l 5 лет назад

    각 챕터별로 이론과 해당 기출이 있는 과목이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회독(다독)을 하려면 챕터1부터 28(끝)까지 이론 읽고 문제 풀고 해야하는건가요? 아니면 3챕터씩 끊어서 1~3을 공부한다고 하면 이론+기출 후에 다시 1챕터로 돌아와서 이론 다시 읽고 1회독때 풀었던 기출에 대해 정리를 해야할까요?
    저도 기본서를 나만의 노트로 정리하려니까 시간도 엄청 오래걸리고 손도 너무 아프더라구요
    보신다면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 아아 그리고 다음날 공부전에 전날 복습은 정말 핵심키워드나 진짜 중요했던 내용들을 따로 적어놓고 전날 공부했던 내용들을 흐름적으로 30분 안으로 되새김 할 수 있게 하면 될까요?
    소중한 답변 기다려봅니다...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제 영상과 제 경험을 토대로 말씀드리면, 1-3 챕터를 하루에 나갈 분량이라고 본다면, 저의 경우 대략 일주일치 공부량 정도의 이론이 나간 이후에 해당 기출을 풀어서 공부 내용을 점검하고 이어서 기출 중 틀리거나 중요한 부분들을 정리하는 방식을 취했어요.
      기출을 푸는 시기는 본인이 원하는 시기에 적절히 넣으시면 되지만, 기출을 풀고 이를 정리하는것은 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고 기억에 오래 남을 거에요.
      저는 단권화를 추천드리고 서브노트는 해본적이 없어요. 단권화는 제 "단권화 튜토리얼" 영상 참고하세요.
      복습은 말씀드림 정도로만 한다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적어놓기 보다는 목차와 핵심 키워드 정도로 큰 쟁점들이 무엇이었는지 떠올릴 정도면 해당 내용의 암기여부와 무관하게 1회독 복습으로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 @성이름-d5l
      @성이름-d5l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정말 소중한 답변 감사합니다. 1주일 진도(이론 정독)를 진행한 후에 그에 따른 기출을 풀고 바로 해당 이론들을 포스트잇으로 덧붙여 정리하는 방향으로 정해봐야겠네요
      방향성을 제안해주신 점 정말 감사드립니다.
      요즘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는데 손 잘씻으시고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erikssen2182
    @erikssen2182 5 лет назад

    선생님 저는공무원준비생인데요 법과목 판서를 쓰면서 설명해주잔아요 그게 한눈에 들어오고 중요한부분인데 기본서는 아무래도 설명을 자세히 적어둔거잔아요 그러면 책정리를 할시 판서내용을 기본서에 단권화 해서 필기한 노트를 없이는게 맞나요 판서내용을 암기하고 기본서로 설명들을 읽어보는게 낫나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사법시험의 경우도 강의 판서를 적은 "서브노트"가 있었어요. 대부분 테이프 강의를 들었기에, 실강을 들은 학생이 판서를 받아적은 서브노트를 함께 구매해서 음성강의와 함께 들으며 공부를 하게 되는데요.
      서브노트에 있는 판서 내용 중
      1. 강사님이 반드시 적으라고 하시는 내용,
      2. 기본서(주교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표와 같은 것들은 기본서의 여백이나, 포스트잇에 적어 붙이는 방법을 활용하시면 돼요.
      그 외에 강사님이 기본서의 내용들을 판서하시는 경우는, 그 해당 내용을 찾아 밑줄 등을 통해 표시해 두는 것이 맞는 방법이 되겠죠.
      결국 판서 내용은 다양한 방법(밑줄 긋기, 여백에 필기, 포스트잇에 정리하기 등)을 통해 주교재에 단권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원2-q4x
    @원2-q4x 5 лет назад

    9급 준비하는 초시생인데 막막한 1년치 계획짜는법을 따라하니 어느정도 명확해졌어요 근데 1단계에서 인강+ 단권화작업을 한다고 하셨는데, 복습시간은 따로 안두셨나요? 여유분에 몰아서 1주일치 단권화를 복습하신건지..? 궁금해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제 "단권화 튜토리얼" 이나 "인강 사용설면서" 보시면 아실테지만, 복습 및 단권화는 강의를 들으면서 함께 진행했다고 보시면 돼요.
      실강을 듣는 분들의 경우에는 강의 시간 내에 단권화할 시간이 아무래도 부족하기에 수업 이후 혼자 복습하며 단권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하지만, 저의 경우는 인강을 대부분 이용했기에 강의 듣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대신에 따로 복습 시간은 두지 않았어요.

  • @박보리-l8g
    @박보리-l8g 4 года назад +2

    임고생들 공시생들 화이팅되는 영상입니다♡👊🥰

  • @김문성-h5y
    @김문성-h5y 5 лет назад

    좋은 정보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오늘부터 실천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nhyeonlee6633
    @nhyeonlee6633 5 лет назад +9

    대박 ♡상세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천해볼게요!!

  • @b1uewhale
    @b1uewhale 5 лет назад +1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김현수-b9g
    @김현수-b9g 5 лет назад

    변호사님 경찰준비하고있는 23살 남자입니다 경찰같은경우 형법 형소법 경찰학개론 및 한국사 영어시험으로 총5과목인데 3-4월동안 3법과목 기본강의는다들었는데 들으면서 이해안되는 부분들은 기본이론한번더들어야지하고 넘겼거든요ㅠㅠㅠ 이런경우에도 기본강의한번더듣는게나을까요? 제선택을 변호사님께물어보는게 이상하지만 그래도 전문가분께물어보고싶습니다 그리고 하루에 법1과목 한국사or영어 1과목씩 하면될까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강의 들으시면서 강의 교재에 이해를 위한 밑줄긋기와 강사님이 말씀해주신 중요도 표시 같은 것은 모두 진행하셨나요?(제 "인강 사용설명서" 영상 참조) 만약 그러셨다면 시간적인 측면에서는 혼자 책을 읽으시면서 이해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반면, 기본강의를 들으면서 밑줄 긋기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혼자 책을 읽으면서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면 같은 기본강의를 다시 한번 들으셔도 괜찮습니다. 제 "극약처방! 공부가 너무 안될때" 영상 보시면 아시듯이 저 역시 강의를 두번씩 들은 경우도 있습니다.
      2. 이건 제가 최근에 올려드린 "하루에 한과목 vs 여러과목?"영상에 나오듯이, 저라면 영어는 매일 일정시간 해주고, 나머지 시간에 형법과 형소법은 한과목씩 끝내는 것으로, 한국사와 경찰학 같은 단순암기에 가까운 과목들은 원하시는대로 하루에 같이 진행하셔도 괜찮을 듯 합니다.
      법학의 경우는 가급적 한과목씩 쭉 공부하는 것이 이해측면에서 장점이 있기에 이를 추천드립니다.(제 "1,4,7,14 또는 회독법" 영상 참고)

  • @erikssen2182
    @erikssen2182 5 лет назад

    선생님 저궁금한게 있는데요 1단계에서 선생님께서 기출문제는 1주일단위로푸신다고하셨고
    18일동안 기출문제집풀이및 교재에단권화라고 하셨는데 여유분 자기보상시간에 기출을 푸신건가요?
    그리고 기출문제 교재에단권화과정은 18일 동안 이루어져야하는 과정인건가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1. 아니에요. 영상 다시 한번 자세히 보시면 아실 수 있는데요. 이미 처음 공부할 수 있는 날짜를 정할때 여유분과 자기보상데이는 빼고 계산했어요.
      2. 역시 아니에요. 이건 제가 준비하던 사시1차를 기준으로 대략적인 "예시"를 보여드린 것이기에, 절대로 저 날짜로 맞추실 필요도 없고, 맞추셔도 안돼요.

  • @wake8539
    @wake8539 5 лет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저는 경찰공무원 준비하는 사람이에요ㅎㅎ좋은 공부법 너무 감사 드립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막판에 8 4 2 1 공부법을 할때 한 과목씩 8일에 1회독 이런식으로 하는거라 하셨는데
    공부기간이 되어서 8일보다 더 빨리 회독을 끝낸다면 어떤식으로 시간을 보내야 할까요? 남는시간에 기출문제나 모의고사를 돌린다던가 그런식으로 시간을 활용하는게 좋을까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개인적으로 막판에 문제풀이를 하는 것은 비추하는 입장이에요. 시험은 심리전이기도 하기에, 모의고사 결과에 일희일비될 수 있는 막판 모의고사 풀이는 멘탈관리 측면에서도 그다지 도움이 안된다 생각해요.
      계획을 짜실 때 8일보다 빨리 끝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면, 그거에 맞춰 계획을 수정하시면 돼요. 마지막 단계의 계획표는 거꾸로 계획을 세우시는게 좋아요. 즉 d-day를 기준으로 1-2-4-8 을 거꾸로 세워오고 그 이전까지의 계획을 세우시면 좋아요.

    • @wake8539
      @wake8539 5 лет назад

      아하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남는시간에 문제풀이는 비추 하시는군요. 그렇다면 꼭 8 4 2 1 이 아닌 6 4 2 1 도 괜찮은건가요?? 그 전 까지의 계획은 변호사님이 말씀하신 모의고사를 풀 계획이거든요..

    • @길라잡이변호사-굿와
      @길라잡이변호사-굿와  5 лет назад

      네. 제 "막판 회독법" 영상 보시면 아실 수 있듯이, 절대적인 8-4-2-1은 없어요. 언제나 본인에게 맞는 계획이 가장 좋은 계획입니다.

    • @wake8539
      @wake8539 5 лет назад

      @@길라잡이변호사-굿와 정말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