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말라카 해협"..50조 투자하며 아시아 무역 강국 야망 드러낸 태국과 말레이시아 ㄷㄷ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지식세포
    비즈니스메일 : jisikcell@gmail.com
    욕설, 혐오, 가짜뉴스, 억측, 공격성 발언, 무허가 링크 등이 포함된 댓글은 삭제됩니다.
    자료출처 : docs.google.co...

Комментарии • 352

  • @Abcde-s1k
    @Abcde-s1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28

    영상 길이 늘리려고 같은말을 너무 너무 너무 많이 반복함. 같은 의미의 문장을 계속 넣는데 좀 줄여주면 좋겠네요. 실상 큰 내용도 없는데 15분이라니

    • @maidum1
      @maidum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8

      공감~

    • @saintone00
      @saintone0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ㄹㅇ

    • @LEEkyouho
      @LEEkyouh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미성년자용 영상 위키백과 느낌임.

    • @buffettwarrant7416
      @buffettwarrant741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몇분까지만 보면 되는 영상인가요 ?

    • @20rt95
      @20rt9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잘 몰라서 그러는데 영상길이에 따라 유투브 수익이 큰 차이가 날수 있나요? 설명 좀 부탁합니다.

  • @CharlieJeon-pu1lo
    @CharlieJeon-pu1l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랜드브릿지로 물류이동하면 말라카 해협을 통과하는것 보다도,하역및 이동시간 뿐만아니라 하역비가 더 많이 나오겠다.

  • @kurumi8039
    @kurumi803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2

    종사자가 아닐테니 모르는 게 당연하지만 한국에서 출발 해 뱅골만까지, 그러니까 필리핀을 지나 남지나해에서 말라카 통과, 인도양으로 이어지는 수마트라 섬 북단까지는 사흘이면 충분하며 나흘은 안 걸립니다. 영상에 말라카 해협이 좁다고 설명하면서 300m급 VLCC 사이즈를 언급했는데, VLCC라 해도 폭은 100m가 되지 않습니다.. 체증으로 인해 속도가 느려질 뿐이죠. 근데 랜드브릿지로 6일을 단축한다? 말이 안되는 거죠..애초에 6일이 걸릴 거리가 아니니까. 아마 시행사에서 뿌린 과대광고로 사료됩니다. kra canal이 아니고선 말라카를 대체할 수단이 못 됩니다. 또한 kra canal역시 개통된다 해도 운하 토목 비용을 뽑아야 합니다. 수에즈나 파나마에 비해 단축 시간이 크게 잡아도 겨우 3~4일 밖에 안되니 비싼 통행료를 내고 배를 돌릴 이유가 없어지며, 결정적으로 중국 자본으로 건설된다는 문제도 있죠. 뭐가 됐건 돈과 기술이 넘쳐나는 시대가 되지 않고선 사업성이 없습니다.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런데 그 사업성 없다는 계획을 멕시코가 하고 있습니다. 파나마 운하 대체 수단으로.

    • @공평화
      @공평화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공감합니다 ㅡ

    • @kurumi8039
      @kurumi803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humanplusscience4449 파나마를 대체하는 건 어마어마한 사업성이 있습니다.. 인도차이나 반도를 도는 것과 남아메리카 대륙을 도는 건 차원이 다르죠. 파나마의 경우 지리적 한계를 안고 있어 무제한적인 통관이 어려운 반면 운임효율성을 위해 선박의 크기는 커지는 추세입니다. 그러니 새 운하는 어느 시점에서건 필요해 질 겁니다. 니콰라과가 됐건 어디가 됐건 파나마를 대체할 제2 중앙아메라카 관통운하가 뚫리긴 할 겁니다. 당장 그 파나마도 제2 운하고 뚫린 지 오랩니다. 어쩌면 제 3 파나마운하도 가능하겠죠.

    • @user-ss432
      @user-ss43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00m는 선박 간의 공간까지 포함한 숫자일 듯

    • @전성운-l2p
      @전성운-l2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파나마운하하고는 비교불가의 저가치 저수익 운하이겠지만 해협안전이나 지역불안정을 대비한 운하는 언젠가는 필요할듯하군요. 철도이동은 좀 현실성 없어보이네요. 초광궤 레일에 의한 배자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이라면 모를까.

  • @선비짓은그만
    @선비짓은그만 9 дней назад +1

    컨테이너 바뀌거나 또는 분실하면 어떻게 하나. 비행기도 수화물 문제 생기는데.

  • @saintone00
    @saintone0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9

    1.말라카 해협 물동량 많음
    2.좁은 지형과 해적으로 문제 발생
    3.우회루트 중 태국 운하건설 기대
    4.비용과 국내정치 문제로 랜드브릿지로 대체, 말레이시아도 랜드브릿지 계획
    이 내용밖에 없는데 15분으로 만드는것도 대단하다ㅋㅋㅋㅋ

    • @hallawkim7245
      @hallawkim724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유투버를 할 게 아니라 엿장수를 했어야 하는 데
      엉뚱한 직업을 택한 거죠

    • @나홀로할베-f2d
      @나홀로할베-f2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냥은 못해도 쪽빡은 깨지말거라 잉

    • @vaughansung
      @vaughansung 6 месяцев назад

      @@hallawkim7245 ,아마 코로나 휴유증을 앓고 있지 않나 싶어요, 엿장수도 부지른해야 하는데 젊은 사람이 참 안됬네요..

  • @garimbi05091
    @garimbi0509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2

    랜드 브릿지를 이용하면서 드는 시간지체와 운송비용추가를 생각하면 전혀 대체수단이 못됩니다. 그럴바에야 선박회사들이 그냥 기존 말라카 해협 이용하고 말죠..... 태국이 모험을 감행해서 끄라운하를 건설하는게 더 획기적인 선박의 물류비용절약과 운하수익이 크죠.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런데 그 사업성 없다는 계획을 멕시코가 하고 있습니다. 파나마 운하 대체 수단으로.

  • @정의구현-x8e
    @정의구현-x8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1

    문제는 파나마나 수에즈만큼 높은 통과금액을 받기에는 우회거리가 길지않아서~~

    • @0lsc2866
      @0lsc286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선 산맥이 가로막혀있어서 힘듬

    • @vaughansung
      @vaughansung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마, 방송하는 자가 코로나때 코로나 바이러스 후유증을 앓고 있지 않나 싶네요,

  • @forresterfinding4676
    @forresterfinding467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사실 중간에 해상으로 가다가 철송하고 다시 해상으로 운행단다는 점은 경제성이 없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미국 서부에서 동부로 배송하는 겁니다. 많은 해운업체가 서부에서 철송 안하고 파나마를 통해 동부로 갑니다. 파나마를 통해서 가는 길이 말레이반도를 우회하는 것의 몇배는 멀겁니다. 그런데 왜 철송 안하고 파나마를 통해 갈까요? 비용면이나 시간면에서 큰 이익이 아니라는거죠.

    • @bryantjackson6617
      @bryantjackson661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참 지식이 짧으면 모든걸 지가 아는것 마냥 글을 쓰는구나 미국은 원래 동-서부 화물 수송은 철송으로 진행되고 요즘 파나마운하 통항량이 줄고 통항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니 해송 - 철송 - 해송 루트를 많이 용하고 있다. 뭔 니 논리다 맞는거마냥 써놨는데 경제에 답이 있냐? 상황에따라 시시각각 변하는게 물류고 경제인데 ㅋㅋㅋㅋㅋ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요즘 파나마 운하 명줄이 간당간당하면서, 그 대안으로 멕시코가 항구-철도-항구 방식을 제시하고 있지요. 물론 1) 그래도 며칠 더 기다렸다가 파마나 운하를 이용한다, 2) 파나마 운하를 포기하고 돈이 더 들더라도 멕시코 철도를 이용한다, 둘 가운데 어느 게 더 효과적일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달라질 수 있지 않을까요.

  • @chy9821
    @chy982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진짜 지루하다..반복..질질끌고..

  • @Meister19
    @Meister1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5

    랜드브릿지의 이점은 해당국가에만 이득이 있고 운송사에는 큰 이점이 있다고 보긴 힘드네요.
    배로 운송하는건 한번에 대량운송을 위한것인데 도착지도 아니고 중간기착지에서 운송비용을 내고 다른배로 갈아타는것 자체가
    비용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느껴지네요.
    차라리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우회경로로 가는게 더 비용절감효과가 있을것 같네요.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런데 그 비슷한 계획을 멕시코가 하고 있습니다. 파나마 운하 대체 수단으로. 대체 수단이 여러 개 있으면 비상시에는 쓸모가 있지 않을까요.

    •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 Месяц назад

      수리와 환전이 쉽게 이루아 지면 멋할 갓도 없지요.

  • @수색꾼-f4q
    @수색꾼-f4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7

    끄라지협 통과 말고는 큰 메리트가 없군요

  • @exit8ext
    @exit8ex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3

    무슨 15분영상에서 8분이 서론이야;;

    • @권태수-c2x
      @권태수-c2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래서 8분부터 봤습니다.

  • @MrRhea84
    @MrRhea8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멀지않은 미래에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북동항로가 열리면 말라카 해협의 물동량이 자연스럽게 분산될겁니다 특히 한중일 3국과 유럽간의 물동량이 마라카 해협 수에즈 운하를 지나 네덜란드까지 가는것보다 북동항로를 이용해서 네덜란드까지 가면 거리도 더 짧고 안전하고(해적도 없고) 북극 인접지역의 자원 미개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 크기 때문입니다

  • @San-gr3vl
    @San-gr3v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영상을 5~7분짜리로 컴팩트하게 만들어야 채널 성장에 좋을 것 같습니다.

  • @SejongYoo-z4z
    @SejongYoo-z4z 6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속터지니까 2배속으로 보세요.

  • @댓글-t6w
    @댓글-t6w 13 дней назад +1

    서두가 진짜 기네요. 뭘 들으려던 것인지 잊을정도입니다.

  • @Giger803
    @Giger803 Месяц назад +1

    운하 건설된다고 태국 남과 북으로 더 분열된다는 생각은 너무 나갔는데. 태국 남부 핫야이에 살고 있습니다. 소득격차는 있지만 지금은 더 이상 분리독립 움직임은 없습니다. 내용 늘릴려고 없는 내용 붙이지 말고 차라리 내용을 컴팩트하게 하면 좋을 것 같은데

  • @sunlee1295
    @sunlee129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수마트라를 돌아 보르네오 쪽으로 가면 거리 차이도 크지 않은데 그걸 누가 만드나

  • @TaleCraft0120
    @TaleCraft0120 Месяц назад

    태국, 말레이시아가 랜드브릿지 프로젝트가 계속 나오는 이유는 부패해서입니다.
    대형프로젝트하면 수많은 브로커와 정치인들이 뒷돈 챙기기 때문에 랜드브릿지해서 운영이익이 안 나도, 그냥 여기저기서 제안하면서 만들자고 계속 끊임없이 나오는거죠. 보통 외국인과 어느 정치인이나 은퇴한 정치인이 앉아서 합작법인 만들어서 여기저기 정치권에서 랜드브릿지 프로젝트 제안하는거죠. 성공만 되면 뒷돈 받고, 그 뒤에 일어날 운영이익이 적자든 뭐 개판든 알 필요가 없는거죠.
    실현가능성은 부패해서 누군가 실현할것 같고,(뒷돈줘서 실현합니다.) 그 뒤의 운영이익은 개판될듯.

  • @좋아요댓글용
    @좋아요댓글용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8:38 안단만이 아니라 안다만 해입니다..

  • @무지공포종교
    @무지공포종교 Месяц назад +2

    신중을 가해야 --> 신중을 기해야

  • @MrKimje
    @MrKimje Месяц назад +2

    랜드브릿지는 그 많은 상품을 내렸다고 다시 싣는다면 낭비가 무척 크겠네...

  • @San-gr3vl
    @San-gr3v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말라카 해협 설명에 상하이가 나오네요

  • @보라별-j4b
    @보라별-j4b Месяц назад

    운하 통과비를 싸게 책정하면야 이용은 하겠지만 건설투자비용을 뽑아내려면 싸게 책정할수가 없을텐데~

  • @Beazoog
    @Beazoog 13 дней назад

    랜드브릿지는 페리화물 환적정도는 감당이 가능하겠는데 그 이상 가능하겠나. 그냥 대안이 하나 더 생긴다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

  • @CHOI원배
    @CHOI원배 Месяц назад +1

    태국이 운하 건설 하면 엄청난 이익과 발전이 올 것이다! 빨리 운하 건설 빕니다! 한국도 이익이고...^^

  • @민종92
    @민종9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물건 내렸다 실었다하면 그닥... 흠...

  • @우리는한국인
    @우리는한국인 Месяц назад

    빨리 남북통일 이루고 러시아 횡단철도를 이용하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 @푸른산-m9e
    @푸른산-m9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요즘은 해적발생량이 현저히 줄어 안전합니다 그리고 태국과 말레이시아 운하건설은 중국이 계획하고 주도하는것임 왜냐하면 싱가폴 말라카해협은 미국이 꽉 잡고있어 유사시 중국으로 가는 물자를 막을 수 있기때문이지 이런사실을 중국도 알기때문에 막대한 돈을 투자해서 운하를 만들려고 함

    • @autofixup
      @autofixu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차라리 이게 핵심이겠네요....
      이번 설명은 많이 실망스러움

    • @rojoem4091
      @rojoem409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맞습니다. 그 비용으로 해적 전담 군대를 만드는 것이.

  • @cosmos_mkj
    @cosmos_mk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차라리 말라카 해역으로 가는게 좋지 배에서 자동차나기차로 그리고 다시 선박으로 더군다나 석유나 가스는 기존대로 말라카로 가야되고 ᆢ

  • @thejoonyoun
    @thejoonyoun Месяц назад

    렌드 브릿지 하는 순간 부터 빚더미에 앉을 것이다. 그 많은 짐을 옳겨 싣는다는 것이 말이 되냐?

  • @whiteswan6061
    @whiteswan606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건설비용대비 걍제적 혀과사 미비해서.. 안뚫릴것으로 보임.

  • @SKCCP
    @SKCCP 12 дней назад

    폭풍이 잦은것도 문제 입니다.

  • @anjwl1941
    @anjwl1941 Месяц назад

    한중일베와 EU,태국이 공동지분을 출자해 국제적 안전성도 보장하고 건설자금부담 줄이고,운하규모를 더 키우면 실행 될 확률이 훨씬 높아지겠네요

  • @세계사지식
    @세계사지식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세계 패권국이었던 중국 명나라가 정화의 함대를 이끌고 세계 대양들로 모험했는데 그때 주로 이동했던 통로가 바로 말라카 해협이기도 했음.
    말라카 해협은 원래 전통적으로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로 중국 상인들과 중동 아랍 상인들이 무역선을 타고 거래했던 무역 장소이기도 했음.
    이렇듯 현재까지도 세계 해상 무역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말라카 해협이기에 이 말라카 해협에 집중하는듯.

  • @띠아-k8e
    @띠아-k8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연 운하 만드는게 쉬울까요?
    해운사들이 단축된 코스로 인한 이익보다 더 적은 금액을 청구해야 운하를 이용 할텐데 단축되는 항로 길이가 너무 작아 운하 이용료를 비싸게 청구 할수가 없습니다
    그에 비해 수에즈 운하보다도 더 큰 공사비가 들어가고 그만큼 높은 유지비가 꾸준히 들어갈텐데 수에즈나 파나마 처럼 운하이용료를 비싸게 책정 못하니 수익성 확보가 쉽지는 않겠죠

  • @Sapwbxu
    @Sapwbx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좋다. 재밋게 잘 봤습니다. 확실히 랜드브릿지 같은 내륙운송은 절차만 추가된거지 큰 실익이 없어 보이네요

  • @블루드래곤-q2o
    @블루드래곤-q2o Месяц назад

    차량으로 옮기는 방식은 경제성이 안되죠? 말도 안되는 계산이라고 본다 ㅎㅎㅎ

  • @jay-124
    @jay-124 Месяц назад +2

    10분 넘어가면 무조건 안본다///////////////////////////////////////////////////

  • @현세대복지위하여미래
    @현세대복지위하여미래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영원한것은 없다 !!.......... 대한민국 & 러시아 북극항로들 열어라 !!.

  • @AlpaAndromeda
    @AlpaAndromeda Месяц назад

    10:52 '랜드 브릿지' 될 지 궁금하네.
    첫번째 큰 선박은 이용하는 것은 큰 손해일 것 같은데.
    보통 컨테이너 실고 내리는 하루가 넘게 걸린다.
    단 작은 배들은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한쪽에서 작은배로 와서 실고 내리고 반대쪽에서 큰배로 실고 내리다면 가능.
    환적화물로서 가능성이 있다.
    큰 화물선은 환적화물이 아닌 이상 그냥 가는 것이 답일 것 같은데,

  • @은희박-k5o
    @은희박-k5o Месяц назад

    화물이 컨테이너만이면 그럴만하겠는데 원유나 유류 화학제이면 개선 효과가 그닥 있을 것 같지도 않고, 화물을 내려다가 다시 실고 하는 비용이 발생할텐데 손실 당할 것 같다. 그래서 다른 TBM(Tunnel Boring Machine)공법으로 해저에 터널을 여럿 뚫고 이어서 동시에 폭파시켜 지표를 침몰시켜버리는 거다.

  • @테토는미쿠친구
    @테토는미쿠친구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11 은 동방명주가 있는 황푸쟝인디유..

  • @kimkunhee
    @kimkunhee Месяц назад

    해상무역의 원칙이라고 할 수 있는 게 절대로 내륙을 통하는 운동은 불가하다입니다. 이유는 항해 운송사 입장에서 이득은 없고 또한 여러가지 컨테이너 내용물 유출 같은 게 빈번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국제 운송이 내륙이 아닌 해양을 이용하는 이유 중 하나가 보안 때문입니다.

  • @문호이-w1q
    @문호이-w1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수에즈운하의 길이보다 짧은 새로운 운하가 태국과 미얀마 국경을 직선으로 가로지르면 가능하긴한데 두 나라 사이에 원만한 합의가 가능할지 모르겠네.

  • @California-AK
    @California-A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북한이랑 사이가 좋아져 남북철도 연결되어 유럽까지 기차로 이어지게 되면.. 참 좋을텐데.. 아쉽..

  • @관용이-x4q
    @관용이-x4q Месяц назад

    양분이 된다고 하면 오버 브릿지를 여러군데 설치하면 강이 설치되는것이나 마찬가지일텐데 말입니다.ㅡ
    즉 몇군데 다리를 설치하면 해결될것이 아닌가 싶다.ㅡ

  • @홍승헙
    @홍승헙 12 дней назад

    글을 읽을 때, 숨을 쉬면서 읽어라
    뒤에서 누가 쫓아오는 것도 아닌데 왜 이리 숨가쁘게 글을 읽냐?

  • @greenvilla6191
    @greenvilla6191 Месяц назад

    와... 절대 성공할일이 없어보이네요

  • @romantic_tiger7
    @romantic_tiger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제적 손실이 더 크다!
    그 이유는 현재도 대체 에너지 즉 친환경 에너지로 운송을 하는 추세이며 한국, 일본 또한 석유 의존도를 낮추려 연구 개발 중이다.
    그리고 중국의 저비용 생산을 대처할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등 국가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고 나머지 작고 고부가가치 제품들은 항공기로 삐르게 운송 하는게 이득이며 이 생산 또한 미국, 유럽등지에 투자하여 생산 하고 있다.

  • @pine9152
    @pine915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원유가 컨테이너로 옮겨져요?

  • @rock1564_naver_
    @rock1564_naver_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다 좋은데 영상이 너무 쉬는 구간 없이 음성들이 바로바로 편집으로 붙여 이어지는 것이
    부담스러움 바로바로 음성이 이어지는 것보다 여유감 있게 반 정도는 살짝 쉬는 구간도 있어야
    청자가 힘들지 않아 보입니다.
    영상 항상 잘보고 있어요!.

  • @joonkim4869
    @joonkim486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가장 좁은 3km 구간의 양쪽 육지를 파서 해협을 넓히면 해결되지 않을까? 공사비는 수혜를 받는 싱가폴이 부담하고..

  •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말라카 해협에 해적? 처음 듣는 얘기네

  • @dp7263
    @dp726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거 공사 시작하는 놈이 범인이다... 내가 봐도 전혀 쓸 데없는 짓거리...

  • @yckim4901
    @yckim4901 Месяц назад

    필요성이 싱가포르의 서비스와 정박성이 좋아서 굳이 태국운하를 이용할 이유가 없지요 운항거리 절감시간이 그리 많지도 않고

  • @kwangyeolpak2157
    @kwangyeolpak215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일이라는 시간을 줄여주는대신 운송비가 더 든다면 장점이 있을까?

  • @jackjacky9150
    @jackjacky9150 16 дней назад +1

    ㆍ말라카로 돌아 다니는게 파나마와 같은가? 비교도 안되는 비효율적 생각이느니라

  • @wkrkfcl
    @wkrkfc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태국 개발지역 동서 바다가 엄청 아름다운데 제발 개발안했으면 좋겠어요 ㅠㅠ

  • @나무젓가락-v8o
    @나무젓가락-v8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 해적들은 어느나라 사람인가요?

  • @manrico736
    @manrico736 Месяц назад

    광고를 더 추가해도 됩니다...돈이라는 건 목숨보다 소중하다. .....도박묵시록 카이지..

  • @bagan08
    @bagan08 Месяц назад

    랜드브릿지?........닭머리 태국에서나 가능한 프로젝트!
    해상운송은 비용과 속도인데.......누가 그짓을 하고 있을까 태국만 좋을 사업임.

  • @만고강산-n1w
    @만고강산-n1w 4 месяца назад

    운송시간 늘어나고 운송비용이 상승을 하죠

  • @isquare777
    @isquare77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처음엔 경제적으로 별 이득이 없는데 왜 하냐라고 생각했는데 이게 중국이 태국 지원 하는거면 의미가 커요. 친미성향의 싱가폴과 말레이를 완전히 죽일 수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특히 싱가폴은 경유할 이유가 없게 되니 국가 하나가 망할 수 있어요. 중국경제가 현재 빈사상태라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게 다행입니다

  • @ho-wonjeong835
    @ho-wonjeong83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2

    태국이 왜 운하 안만드는 지 예전부터 궁금했는데...
    태국이 저거 만들면 싱가폴이 난리겠군..
    전부터 싱가폴 항구에 새까맣게 떠 있는 배들 보면 참 부러웠는데...

    • @Pawpawdaddy
      @Pawpawdadd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어차피 못만듬 만들어도 적자일듯 굳이 우회해도 차이 별로 안나서 수에즈나 파나마는 아예 한 대륙을 돌아가야 할 거리고

    • @oldboy7611
      @oldboy761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태국은 싱가폴의 방해 때문에 어렵습니다. 쥐약이 잘먹히는 곳...

    • @0lsc2866
      @0lsc286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ㅎㅎ 뚫는곳에 호수가 있지만 나머진 산맥이에요 현실성 없습니다

  • @活貧黨
    @活貧黨 13 дней назад

    약 30조원이 들어간다는 카라운하를 만들려고 한다고 함. 끝.

  • @SherlockLee
    @SherlockLe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해적이나 교통체증이 문제라면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과 자바섬 사이로 우회하면 될 것 같은데 여기는 배가 못 다니나요? 막힌 곳을 뚫는 운하 공사보다 이쪽 주변 암초 좀 제거해 주면 훨씬 싸게 먹힐 것 같은데...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실제로 문제가 생기면 다른 해협들로 우회하기도 합니다. 문제 풀릴 때까지 기다렸다가 짧은 길로 갈 거냐, 돌아가더라도 안 막히는 길로 갈 거냐. 우리가 자동차 운전하는 것과 똑같습니다. 심하면 호주 근처까지도 우회합니다.

    • @SherlockLee
      @SherlockLe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humanplusscience4449 그럼 태국 운하든 철로수송이든 완벽한 헛짓으로 보이는군요 역시 ㅋㅋㅋㅋ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SherlockLee 근데 또 그렇게만 보기도 뭐한 게, 요즘 파나마 운하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니카라과 운하를 파는 프로젝트, 멕시코 철도를 이용하는 프로젝트 등이 추진되고 있어서... 이용자 입장에서야 교통수단이 다양해지면 좋겠죠.

    • @SherlockLee
      @SherlockLe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humanplusscience4449 파나마 운하는 우회하려면 남아메리카를 돌아야 하니 저도 대체 수단의 필요성에 공감합니다! 하지만 말라카 해협은 그런 경우가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수마트라섬만 우회하면 되는 거라면...

  • @jariamaria116
    @jariamaria11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말라카 해협 폭을 얘기하면서 왜 선박 길이로 지나갈 수 있는 선박 수를 얘기하는 거여... 선박 폭으로 계산해야지... 바보여?

  • @마음은콩밭-s3u
    @마음은콩밭-s3u Месяц назад

    언제 그많은걸 내리고 싣고하냐. 걔네들 육상운송 시스템도 신뢰도 꽝이고. 패스. 차라리. 천검 몇발만 싣고 다님 되지

  • @thankslee3148
    @thankslee314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Land bridge의 이상향/ 사전적의미로 현실을 접근하려는 태국의 제시안이 현실성이 애매합니다.
    말라카해협 통과 컨테이너 화물의 대부분은 Far east asia to/fm Euro 향으로 태국의 사회간접자본으로 할수있는 기능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 @혁민권-x8b
    @혁민권-x8b 3 дня назад

    말라카 해협이 쇠퇴하면 싱가폴도 같이....그러면 우리나라 남쪽 도시들을 홍콩과 싱가폴을 대신할 수 있는 공간으로....차라리 우리나라도 통일되면 동서운하를...우리나라 250km이면 충분....위치만 잘 정하면 휠씬 공사비 절감 가능..

  • @muchsoso8468
    @muchsoso846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애잔한다 태국. 20년 전에도 경제규모가 4천억불 대였던 것 같은데 아직도 5천억불을 못 넘었네. 그런 랜드 브릿진지 나발인지 그런 걸로 경제가 성장할 수 있는 게 아닌데 ㅉㅉ

  • @likewinds
    @likewind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음... 그냥 댓 읽고 이해하는게 도움이 되는 영상.

  • @five-s4o
    @five-s4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대형 프로젝트 실패 예상. 특히 원유는 어떻게?

    • @vaughansung
      @vaughansung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글쎄요, 태국은 톡톡이가 많으니 톡톡이로 실어나르면 않될까요?

  • @hanju71
    @hanju7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배에서 물건내려 차로이동 열차에실고 다시내려 차로이동후 다시 배로 그럴바엔 몇일더걸리더라도 그냥 그배에실고 다이렉트로 가는게 낮지않나?
    거리상으로 볼때 물건내리고 열차로옴기는게 더 시간걸릴듯 더운나라사람들 특성상 물건내리면 바로 옴길리없고 하역장에몇일씩 방치할듯

  • @jeonkijin4410
    @jeonkijin441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랜드브릿지는 아니다

  • @SailorDoc
    @SailorDoc Месяц назад

    그런데 크랑운하는 최대한으로 강을 이용하면 직경 25 마일정도밖에 안되는데 해볼만 한데... 그리오 어차피 남북으로 이어지는 큰 도로는 2개 정도인데 다리 건설하면 되고... 이건 의지의 문제지 충분히 가능성있는 project인데....

  • @shchae24
    @shchae24 4 месяца назад

    영상 중 상해 푸동 이미지도 들어가 있네요 1:11

  • @사이비타파
    @사이비타파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랜드브릿지는 태국만 좋은것 전혀 실속이 없어

  • @invisible-man-000
    @invisible-man-00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컨텐츠 잘 봤습니다.

  • @angelayamout9783
    @angelayamout9783 Месяц назад

    말라카 해협을 대체할 운하를 만들면, 싱가포르는 더이상 존재할 수 없게 됨. 그래서 엄청나게 로비가 진행 중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 @MsTuring
    @MsTuring Месяц назад

    크라 운하 = 코린트운하

  • @gyunamchol6611
    @gyunamchol661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태국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랜드브릿지 해상 중간 유통비용 , 싱가포르 인근의 말라카해협의 해상교통체증 , 운송에 있어서의 지리적 불안정성 , 말레이시아의.또다른 중간 유통 대체 무역로

  • @안송이아빠
    @안송이아빠 Месяц назад

    싱가폴도 긴장해야 되겠군요

  • @youngheechoi6320
    @youngheechoi6320 8 дней назад

    태국인가요, 말레시아인가요?
    지도는 말레시아 같은데요

  • @정재헌-v5w
    @정재헌-v5w Месяц назад

    해적들의 배후에 해상보험사들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함.

  • @charleskim1549
    @charleskim154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래카 해협 건설을 가장 반대하는 나라가 싱가포르 입니다. 말라카 해협이 건설되면 싱가포르를 경유하는 무역양이 크게 위축되어 싱가폴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말래카 해협은 군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해서 중국과 미국이 경우 군사적으로 대립할 경우 미국이 말래카 해협을 막아버리면 중국이 유류 확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중국은 유류 비축량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중국은 파키스탄이나 미얀마 내륙을 통해 중국에 석유나 가스 운송 파이프 라인을 깔아놓았죠. 그러나 그것만으로 충분하진 않습니다. 내가 십수년 전 한국 대기업 동남아 법인장 할 때 한국 기자들에게 수시로 말했던 이야기입니다.

  • @ds5dmokook
    @ds5dmokook Месяц назад

    이 운하의 백그라운드에는 """중국""" 자본과 기술이 있다는 사실............

  • @youcantata
    @youcantat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보다는 통과 선박에 약간의 비용을 걷어서 해양 경찰의 강화나 해상교통 관제설비 보강 같은 수단이 더 경제적일 거 같음. 배 한 척당 1000 달러 받으면 연간 10억 달러고 그정도면 해적 문제나 교통관제 비용을 충분히 감당 할 수 있음. 수에즈 운하 수입은 연간 80억 달러. 특정 국가에 속하지 않고 싱가포르와 주변국과 해협 이용이 많은 국가나 해운사, 보험사 들이 공동운영하면 됨. 그 비용은 보험사들과 선주들이 공동 부담하면 사고가 줄어 보험료가 낮아져서 보험사 선주 모두 이득을 볼 수 있음. 미국 중국 일본 한국 인도 EU 중동 산유국 등 해협의 안전으로 이득 보는 국가들이 주도해야 함.

  • @likephoenix659
    @likephoenix65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랜드 브릿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아예 두지역을 컨베이어 벨트로
    묶지 않는 이상 아무런 의미가 없다. 즉 내리자 마자 바로 출발해서
    아예 쉬지 않고 도착하고 바로바로 반대쪽 배에 실어서 넣어야
    가능성이 있는데 가능하겠나? 한번 트렌스퍼 하면 시일이 몇일 씩
    딜레이 되는게 괜히 일어나는게 아님.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근데 그 비슷한 계획을 멕시코가 추진하고 있음. ㅎㅎㅎ

  • @rinokey6185
    @rinokey618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를 북극항로가 대체될거기 때문에 투자도 쉽지 않다는것
    러시아 북극 항로가 열리게되서 지나다니면 ...

  • @꾸꾸-n7p
    @꾸꾸-n7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랜드 브릿지 그냥 배타구 가~~

  • @yyb7887
    @yyb7887 Месяц назад

    랜드브릿지? ECRL? 운송 중에 가장 큰 비용 중에 하나가 적재 적하비인 줄 모르나? 우리나라 운하가 성공할 수 없는 이유가 상하선비!! ㅉㅉ

  • @suborof7951
    @suborof795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냥 수마트라 반대편으로 우회하는게 속편할듯 말라카에 교통체증이 계속된다는 전제하라면

  • @Kjc-y1t
    @Kjc-y1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운하 통행료 지불하고 통과비용 vs 시간, 연료절약 효과가 아주 적어 경제성이 없는 곳입니다.
    운하 건설시 경제성 없어요.

  • @박용범-j9p
    @박용범-j9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기차가 배를 육상으로 반대 편 바다까지 통과시키는 방법 이 특허 받은 것으로 기억 합니다 과학자 제안이 선택 되지않은 것이 아쉽네요

    • @미이하-v6y
      @미이하-v6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차랑 해운을 연계한 화물운송은 원래부터 있어요 특허까지 나올것도 없고요

  • @megathkimrouge3231
    @megathkimrouge323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km폭이면 수에즈나 파나마따위는 절대 비빌수없는 넓이이고 통행량기준으로도 비교불가다.
    위기는 무슨

  • @공자학원폐지
    @공자학원폐지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번거롭게 물건을 내리고 다시 싣고..........별로 메리트가 없네요......네옴시티 추진할 빈살만 이었다면....벌써 새 운하 뚫었을듯.............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근데 그 비슷한 계획을 멕시코가 추진하고 있지요. 파나마 운하 대체 수단으로.

  • @tko2384
    @tko238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거기 막히면 자바섬과 호주 사이로 돌아가면 그만이고 이 경우 해상 운송료 5% 추가.. 대만 먹히면 괌으로 가서 필리핀 밑에 지나면 된다 이 경우는 좀 많이 돌아서 해상 운송료 25% 추가
    그 쪽 바다 전쟁 나도 아무 문제 없고 다 돌아간다 걱정마

  • @정일영-o5y
    @정일영-o5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크게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사람은 부정적 환경에서도 성장하고 긍정적 주변에서도 퇴보하는 자기 선택지가 다른 종 보다는 많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