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지그라운드 고영성 작가 9강 : 꼭 알아야 할 '나에 대한 오류' 9가지 : 1. 기억력 착각 : 자기 자신의 기억력에 대한 측정의 오류. 인간은 대상을 객관적으로 볼 수 없다. 우리는 기억하면 할수록 기억이 바뀐다. 그러므로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선 '기록하는 습관'이 있어야 한다. 2. 소박한 실재론 :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맹목화,단순화,일반화 하는 것. 자신의 느낌, 경험이 아닌 근거나 통계를 통해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사후해석편향 : 사건이 일어나기 전까지 몰랐으나 사건이 일어난 후에 '일어날 걸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 4. 계획 오류 : 자신의 실행력에 대한 과대평가. 많은 양과 실천에 비해 과대한 계획이 아닌 작은 계획부터 실천해나가고 꾸준히 계획을 업그레이드 해나가야 한다. 5. 정서예측오류 : 자신의 미래감정을 잘못 예측하는 것 인간의 정서는 어떤 큰 일을 겪더라도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 6. 평균이상효과 : 자신이 항상 평균 이상이라 생각하는 것. 배울 점이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하면 평균이상효과가 낮아진다. 7. 확증편향 : 자신의 주장을 지지하는 근거만 찾는 것. 자신의 생각에 반대되는 주장이느 근거를 찾는 것도 중요하다. 8. 가용성 편향 : 자신의 기여도를 과장하는 것. Q. 자신의 기여도를 과장하는 이유? A. 자신이 하는 일은 항상 보게 되지만 주변사람의 일은 못보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의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not 오지랖) 9. 권위자 편향 : 권위자의 말에 과신하는 것. 다만, 틀리는 것이 있더라도 관대하게 받아들이는 마음이 필요하다. 비판을 하려면 상대방의 주장을 이해해야 한다. 주장제 반하는 논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비판한다. 앞으로 삶을 사는 데 주옥같은 내용들이라 생각해서 강의내용을 수첩에 요약하고 댓글로 적어봅니다. 저는 4번 계획 오류가 제 스스로 큰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매번 계획을 세울 때마다 실수를 하게되고, 고치지 못하니까 실패가 악순환되어서 무기력증에 빠지는 것 같습니다. 작은 계획부터 실천해나가야겠네요. 작가님, 정말 감사합니다.
나는 많은 것을 알지 못하며, 정말로 무지하며 알아야 할 것은 너무나도 많다. 내가 아는 것은 정말로 아는 것이 없다. 결국 겸손해지게 된다는 것. 나를 더더 적나라하게, 창피하고 받아들이기 힘들지라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노력들과 전략 그리고 전략을 실천하고 결점을 극복할 때에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고 그 노력을 지속할 수 있다. 라고 오늘 강의에서 느낀점을 적어봤습니다. 이런 댓글 부끄러워서 잘 쓰지 않는데 제가 변화하고 싶고 좀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노력으로 배운 것을 정리해보기 위해 써봤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강의보고 내용에서 배울 점들을 찾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작가님의 노력에 감사합니다!!
* 9강. 꼭 알아야 할 나에게 대한 오류 9가지 * 나는 지난 몇 십년동안 남편과 불화의 원인이 되었던 것 중에 기억력 착각으로 인해 내 마음이 많이 힘들었다. 나 뿐만 아니러 남편의 기억력 착각에 정말 어이 없었다. * 나에 대한 오류가 이렇게 많은 줄 미리 알았더라면 남편과 언쟁하는 경우가 줄었을 것이다. * 9가지 오류 기억력 착각, 소박한 실재론, 사후해석편향, 계획오류, 정서예측오류, 평균이상효과, 확증편향, 가용성 편향, 권위자 편향
글을 많이 쓰고 말을 많이 하는사람은 오류가 있을수있다 비판을 하려면 글쓴이나 말하는사람의 내용을 이해한후에 논리적으로 근거를 제시하라 꼰대짓 하지마라는거죠?ㅋ 인식론적 겸손..명심합니다 "보이지않는 고릴라 " "똑똓한사람의 멍청한선택" 장바구니 담아갑니다 "생각에 관한 생각"은 이미 담겨져있네요 ㅋ 감사합니다^^
모든 공부의 최고의 지침서 >> bit.ly/2pybMbF (sponsored by Rokmedia)
체인지그라운드 고영성 작가 9강 : 꼭 알아야 할 '나에 대한 오류' 9가지 :
1. 기억력 착각
: 자기 자신의 기억력에 대한 측정의 오류. 인간은 대상을 객관적으로 볼 수 없다. 우리는 기억하면 할수록 기억이 바뀐다. 그러므로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선 '기록하는 습관'이 있어야 한다.
2. 소박한 실재론
: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맹목화,단순화,일반화 하는 것. 자신의 느낌, 경험이 아닌 근거나 통계를 통해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사후해석편향
: 사건이 일어나기 전까지 몰랐으나 사건이 일어난 후에 '일어날 걸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
4. 계획 오류
: 자신의 실행력에 대한 과대평가.
많은 양과 실천에 비해 과대한 계획이 아닌 작은 계획부터 실천해나가고 꾸준히 계획을 업그레이드 해나가야 한다.
5. 정서예측오류
: 자신의 미래감정을 잘못 예측하는 것
인간의 정서는 어떤 큰 일을 겪더라도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
6. 평균이상효과
: 자신이 항상 평균 이상이라 생각하는 것. 배울 점이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하면 평균이상효과가 낮아진다.
7. 확증편향
: 자신의 주장을 지지하는 근거만 찾는 것. 자신의 생각에 반대되는 주장이느 근거를 찾는 것도 중요하다.
8. 가용성 편향
: 자신의 기여도를 과장하는 것.
Q. 자신의 기여도를 과장하는 이유?
A. 자신이 하는 일은 항상 보게 되지만 주변사람의 일은 못보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의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not 오지랖)
9. 권위자 편향
: 권위자의 말에 과신하는 것. 다만, 틀리는 것이 있더라도 관대하게 받아들이는 마음이 필요하다. 비판을 하려면 상대방의 주장을 이해해야 한다. 주장제 반하는 논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비판한다.
앞으로 삶을 사는 데 주옥같은 내용들이라 생각해서 강의내용을 수첩에 요약하고 댓글로 적어봅니다.
저는 4번 계획 오류가 제 스스로 큰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매번 계획을 세울 때마다 실수를 하게되고, 고치지 못하니까 실패가 악순환되어서 무기력증에 빠지는 것 같습니다. 작은 계획부터 실천해나가야겠네요.
작가님, 정말 감사합니다.
지식의 부재를 느낀다..와..정말 멋진분이세요...참 지식인~~
최고의 방송
메타인지를 높이는 고급방송 감사 드립니다.
요즘 운전하며 계속들으니 고영성 작가님과 후지산이 캡쳐되는 뇌의 연상작용 마저 생겨요. 여긴 일본입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나는 많은 것을 알지 못하며, 정말로 무지하며 알아야 할 것은 너무나도 많다. 내가 아는 것은 정말로 아는 것이 없다. 결국 겸손해지게 된다는 것. 나를 더더 적나라하게, 창피하고 받아들이기 힘들지라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노력들과 전략 그리고 전략을 실천하고 결점을 극복할 때에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고 그 노력을 지속할 수 있다. 라고 오늘 강의에서 느낀점을 적어봤습니다. 이런 댓글 부끄러워서 잘 쓰지 않는데 제가 변화하고 싶고 좀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노력으로 배운 것을 정리해보기 위해 써봤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강의보고 내용에서 배울 점들을 찾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작가님의 노력에 감사합니다!!
50대의 아줌마입니다.우연히 듣게 된 작가님의 강의가 제게 많은 깨달음을 주었습니다.쉽고 귀에 쏙쏙 들어오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영상의 인연 처음부터 보기 도전. ^^ 31
* 9강. 꼭 알아야 할 나에게 대한 오류 9가지
* 나는 지난 몇 십년동안 남편과 불화의 원인이
되었던 것 중에 기억력 착각으로 인해 내
마음이 많이 힘들었다. 나 뿐만 아니러 남편의
기억력 착각에 정말 어이 없었다.
* 나에 대한 오류가 이렇게 많은 줄 미리
알았더라면 남편과 언쟁하는 경우가 줄었을
것이다.
* 9가지 오류
기억력 착각, 소박한 실재론, 사후해석편향,
계획오류, 정서예측오류, 평균이상효과,
확증편향, 가용성 편향, 권위자 편향
꾸준히 잘보고있습니다.50강 다볼꺼에요^^제인생에 성장형사고방식으로바꾸려합니다
고영석작가님 영상 감사합니당
매우 공감하며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이렇게 유투브 영상 보고 댓글 다는 거 처음입니다. 계속 좋은 내용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지식의 부재 정말로 많이 배워야 더 많이 질문하고 고민하고 넘 작가님 고맙습니다
작가님이 자주쓰는말 "그렇쳐?" 이러시는거 넘 조아여 ㅋㅋ
작가님~항상잘듣고있어요 감사드립니다
잘봤습니다,.~
심리학 책 제목
1 보이지 않는 고릴라
2 생각에 관한 생각, 인지심리학
3 똑똑한 사람들의 멍청한 선택들
제목 찾으려는 사람들이 있을것 같아서요
비판적 사고를 하고 정당한 근거였으면 더 할나위 없겠지만 그 무엇보다도 서로간의 존중 하는 자세만 갖춰도 좋을듯 싶은데... 어른들 뿐만 아니라 젊은 2030세들도 꼰대들이 즐비 한것 같아... 아쉽습니다 이 동영상을 추천합니다!!
이번 강의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강의를 보며 감상리뷰도 적어보았습니다.
aimhighsoaring.com/9-errors-for-me
종종 강의를 보며 큰 도움을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글을 많이 쓰고 말을 많이 하는사람은 오류가 있을수있다
비판을 하려면 글쓴이나
말하는사람의 내용을 이해한후에
논리적으로 근거를 제시하라
꼰대짓 하지마라는거죠?ㅋ
인식론적 겸손..명심합니다
"보이지않는 고릴라 "
"똑똓한사람의 멍청한선택"
장바구니 담아갑니다
"생각에 관한 생각"은 이미 담겨져있네요 ㅋ
감사합니다^^
작가님 메일 주소를 알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