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하고 부족한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때 자유로움을 느낀다 | (절판)대담하게 맞서기, 브레네 브라운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책 #마음 #지혜
참고도서
(절판)대담하게 맞서기 - 브레네 브라운
댓글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건전한 토론 ok. 욕설은 삭제!
배경음악
artlist.io
배경영상
pexels.com
문의
이메일 : ootans@gmail.com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 open.kakao.com...
인스타그램 : / sunneeds_together
채널가입
/ @sunneeds
제가 처음 접한 유튜브가
써니즈 함께 성장 이라서
저에게 최고는 써니즈 입니다
따듯한 목소리의 그 분 ..보다 더 좋은 목소리예요
당신이 최고 입니다.는
멘트
쓰니즈님께 돌려드립니다.
쓰니즈님이 최고예요!^^
🤩 감사합니다 😍 🙏
써니님의 목소리가 편안하게 들려 오늘도 위로를 받습니다
감사합나다 ^^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이번에 제가 결심한 부분입니다. 평소 스스로 잘 모르겠어요 라는 말을 하는 게 용납이 안되는 저에게 그걸 용납하기로 했습니다. 마음이 편안합니다
취약성은 약점이 아니다... 영상을 보면서 화면 속에 있는 모든 장면들이 아름다워보이고 나 자신 그리고 세상이 아름답게 느껴져요. 취약성은 숨기고 고쳐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그걸 그냥 있는그대로 바라보고 수용하니 안아주고 싶은 아름다운 부분처럼 보여요.
어제 자기 전 저의 부족한 부분을 드러내기 두렵다고 생각하면서 잤는데 오늘 이렇게 써니즈님께서 선물을 주시네요. 부족하다고 느끼는걸 두려워하지 말라는.. 우주의 메시지인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써니즈님❤️❤️
참 좋은 써니즈님 덕분에 아침이 행복합니다
용기를 내어 숨지 않고 친구들
만나러 가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오늘도
오늘도 최고입니다 👍
존재만으로도 감사함 입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오늘도 충만한 아침시작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
너무 좋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영상을 보거나 들으면 마음이 참 차분,따뜻해지네요 늘 감사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매일 써니즈들으며 함께성장하고 있어요~~ 우린 이미 온전해요~~ 행복한하루 보내세요~~~♡♡♡
써니즈님 설명대로
약점이란
내가 못하거나 모자란 부분이라기보다
타인에게 내 자신에게 꺼내지 못한 것이라고 해석이 되네요 저는ㅎ
항상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써니즈 님 목소리와 나레이션 너무나 듣기좋고 편안해요!!
마음가면 이라는 브라운의 책을 읽고있어요 반쯤 읽었는데 끄덕여지는부분이 많네요
근데 고민이 갑자기 생겼어요ᆢ 취약성을 드러냈을때 안전하지 않은 환경도 있었어요ᆢ 그것조차 넘어서는게, 아니면 그것조차 받아들이는게 가능할까요 저는 결국 도망쳐 왔지만요
내일 카메라 인터뷰 어떻하나 늦은밤 고민중이었는데 그냥 푹 자고 카메라앞에서 나의 치부를 드러내더라도 횡설수설 되더라도 생각나는데로 그냥 얘기하려구요.^^
감사합니다 ㅎㅎ
써니즈님은 목소리가 매력을 넘어선 마력을 가지고 있는데... 유투버로서 엄청 복된 탈렌트라고 생각해요.
자유롭지 않다는 환상을 부정/거부/가치판단/저항하고 자유롭다는 환상에 집착 한다면
나의 본질이 자유자체임을 체험할 수 없을겁니다.
나는 자유 자체일겁니다.
자유가 나의 외부에 있고 조건이 충족될때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건 환상(나의 본질이 아닌 나로서의 관점/에고의 관점)일겁니다.
존재하지 않는건 존재할 수 없기에 모든게 존재하고
모든게 존재하기에 모든 가능성이 존재하며
모든 가능성이 존재하기에 모든 관점이 진리일겁니다.
(존재의 원리 1: You [Everything] exist… You [Everything] always have, and You [Everything] always will. You [Everything] are eternal.)
시간과 기억이라는 환상은 (내가 취약하고 부족하다는 환상은) 지금 이 순간 여기에서 다차원적인 내가 허락하고 창조하며
몸과 마음은(에고는) 내가 취약하고 부족하다는 환상을 체험할겁니다.
현재는 과거의 결과가 아니고 과거가 현재의 결과이며
시간과 기억의 주체는 다차원적인 '나' 일겁니다.
(존재의 원리 2: Everything is here and now.)
취약하고 부족한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것과 (두려움/수축의 에너지와)
취약하고 부족한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의 (사랑/확장의 에너지의) 가치가 동등하며
취약하고 부족한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이 "지 않아도 되고"
취약하고 부족한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여 "도 된다" 는 관점이
(의식의 대상과 주체인 모든것이 '나'이며 지금 이 순간 여기에 있는 모습 그대로의 내가 온전하다는 관점이)
우리의 본질로서의 관점이고
이 본질로서의 관점으로 우리의 본질이 자유/기쁨/풍요/조건없는 사랑임을 체험할 수 있을겁니다.
(존재의 원리 3: The One is the All and the All is the One.)
내가 취약하고 부족하다는 관점을(에고의 관점으로 환상을 체험하는걸) 부정/거부/가치판단/저항하고
취약하고 부족한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조건이 충족되야) 자유롭다는 환상에 집착 한다면
나의 본질이 자유자체임을 체험할 수 없을겁니다.
(존재의 원리 4: What you put out is what you get back.)
존재의 본질은 변화와 균형일겁니다.
지금 이 순간 여기에서 내가 무엇을 정의하고/믿고/느끼고/생각하고/하든 변화와 균형의 일부이고
있는 모습 그대로의 나는 온전하며 다차원적인 나/모든것이 나인 '나'는 모든걸 통제/허락하고 있을겁니다.
(존재의 원리 5: Everything changes except for the first four.)
You are right where you need to be.
Timing is always perfect.
You experience what you need to experience when you need to experience it.
Everything is right where they need to be.
Love and light to you all Masters of Limitations on Earth...
To laugh is to risk appearing the fool,
To Weep is to risk being called sentimental.
To reach out to another is to risk involvement.
To expose feelings is to showing your
true self.
To place your ideas and your dreams before the crowd is to risk being called naive.
To love is to risk not being loved in return,
To live is to risk dying,
To hope is to risk despair,
To try is to risk failure
But risks must be taken,because the greatest
risk in life is to risk nothing.
The person who risks nothing, does nothing,
has nothing, is nothing, and becomes nothing.
He may avoid suffering and sorrow, but he
simply cannot learn, feel, change, grow or
love.
Chained by his certitude, he is a slave: he has forfeited his freedom.
Only the person who risks is truly free.
(원문)
웃는 것은 바보처럼 보이는 위험을 감수하는 일이다.
우는 것은 감상적으로 보이는 위험을 감수하는 일이다.
타인에게 다가가는 것은 일에 휘말리는 위험을,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자신의 진짜 모습을 드러내는 위험을 감수하는 일이다
사랑하는 것은 그 사랑을 보상받지 못하는 위험을 감수하는 일이다
사는 것은 죽는 위험을,
희망을 갖는 것은 절망하는 위험을,
시도하는 것은 실패하는 위험을 감수하는 일이다
그러나 위험은 감수해야만 하는 것.
삶에서 가장 큰 위험은 아무 위험도 감수하지 않는 것이기에 아무 위험도 감수하지 않는 사람은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아무 것도 갖지 못하고
아무 것도 되지 못하므로
고통과 슬픔을 피할 수 있을 것이나
배움을 얻을 수도, 느낄 수도, 변화할 수도,
성장하거나 사랑할 수도 없으므로
확실한 것에만 묶여 있는 사람은
자유를 박탈당한 노예와 같다
위험을 감수하는 사람만이 오직
진정으로 자유롭다,,
'아무일도 하지 않으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 말은 만고의 진리인거 같습니다..
복권에 당첨되고 싶다면 복권을 사는 최소한의 노력쯤은 하는게 인간의 도리가 아닐까 합니다,, ♥️
#(원문) 자넷랜드《위험들》
실로 어려운 주제네요.
부처가 아닌한 모두가 약한 점이 있는 중생인데,
중생인 줄 알면서도 서로가 완벽함을 요구한다.
사소한 약점을 찾아 물고 뜯는 정치판을 보라.
없는 약점도 조작하여 공격한다.
그래서 사소한 약점은 드러내도 치명적 약점은 감춰야 하는가?
세속의 모든 욕심을 포기하고,
진리에, 구도에 모든 것을 바친 사람 만이 완전한 공개의 용기가 있겠지?
감사합니다
그전에 "래디컬 어니스티(절대정직)"이란 책이 있었고,
그 입장에서 자기관리하는 프로그램도 있었지요.
절대정직에서 많은 해방과 건깅, 성공 등이 온다는 주장이었지요.
그리고 그 반대로 근세 중국에서 [후흑대젼]이란 책이있고, 그런 운동도 있었지요.
공자가 비판 받고, 조조가 칭송되는 그런 책이었지요.
후흑운동(후안흑심을 지지하는 운동).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 나약하게 무너지는 중국민중들을 향해 나약한 체면타령 말고 후안흑심으로 당당히 맞서자 라고 한 것이지요
영상 배경은 직접 촬영하신거예요?
아니요. 그럴때도 있는데 대부분은 무료 영상 다운받아서 쓰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