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부터 쉽지않다..☆ 핀란드 친구들의 걸어서 한국의 역사 속으로 l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50

  • @더플레이볼
    @더플레이볼 2 года назад +40

    확실히 다른 나라의 사람들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한국의 모습 등은 정말 유익한거 같습니다 정말 좋은 프로그램 입니다

  • @ahui-yuram
    @ahui-yuram 2 года назад +71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쭉 보면서 느끼는 건... 유럽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뭔가 배우고, 익히고, 토론하기를 좋아하는 듯

    • @유부덕-c4i
      @유부덕-c4i 2 года назад +4

      외국인들에게 우리나라에 대하여 제대로 알리려면 모든 역사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할수있도록 영어로
      표기해 놓는 섬세한 베려가 필요합니다

    • @lennox6003
      @lennox6003 2 года назад +1

      나 유럽인이었네?

    • @goodbye-q7h
      @goodbye-q7h Год назад +1

      난 힐링하는거 좋아해

  • @leedohyun8799
    @leedohyun8799 2 года назад +5

    이친구들 방송 나오는거 보고 언젠가 한번 쯔음은 나도 핀란드에서 겨울을 보내고 싶다는 다짐을 했어요. 버킷리스트 중 하나로 정했으나 먹고 살기 바쁜 관계로 엄두도 못냅니다ㅠㅠ 하지만 시간 날때 마다 핀란드 친구들의 순수하고 도전적인 여행하는 것을 보며 힐링 하고 갑니다. 너무 좋은 친구들인것 같아 한번쯤은 만나보고 싶네요

  • @sangchang4634
    @sangchang4634 3 года назад +32

    근대역사를 꼭 가르쳐야하는데… 핀란드친구들도 많이 궁금해하네요~~

    • @두두리랏챠
      @두두리랏챠 2 года назад

      근대보다는 고대가 훨씬 중요함~

    • @Levis502tpd
      @Levis502tpd 2 года назад +1

      @@두두리랏챠 고대가 왜 훨씬 중요한데? 역사에서 안중요한 역사가 어딨냐

    • @두두리랏챠
      @두두리랏챠 2 года назад

      @@Levis502tpd 근현대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면 그건 돌대가리지ㅋ 누가 안 중요하다고 함? 고대가 훨씬 중요하다고 했지. 근현대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 많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기 힘든 부분이 있음. 그래서 심도있게 들어갈 수록 한 쪽의 시각을 답습한다는 단점이 있어. 시간이 가면서 협의가 되면 자동적으로 정립되는 게 근현대사임. 물론 그냥 내비둔다는 의미의 자동은 아니고. 논의와 협의의 과정은 필요하겠지만. 그래서 어느 선에서 큰 흐름과 줄기를 배우는 정도가 필요함. 그게 어렵겠지. 하지만 고대사는 다르지. 민족 전체의 근간이 되는 역사이고 때로는 국가 분쟁과 국가적 이익과도 직결되는 부분이 많아서 집요하고 깊이 더 깊이 공부해야 하는 거임. 그런 의미에서 고대사와 같은 비중으로 근현대사를 학생들이게 가르치는 건 상당히 문제가 있음.

    • @Levis502tpd
      @Levis502tpd 2 года назад

      @@두두리랏챠 보통 수구 친일파들이 근현대사 가르치는걸 꺼려 하던데 감추고 싶은게지

  • @건빵앤별사탕
    @건빵앤별사탕 3 года назад +10

    전쟁의 관한 건 전쟁박물관!

  • @배명길-s3t
    @배명길-s3t 2 года назад +10

    수도물 그냥 마셔도 됩니다.
    정수와 살균처리 등 먹기에 적합하게 처리 되어서 공급 됩니다.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leesabu9667
    @leesabu966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가 어떤 곳에 왔는지 알아보는 건 당연하지. 기특ㅋㅋ

  • @damimom0625
    @damimom0625 3 года назад +21

    한국의 수돗물은 음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나라마다 음용이 가능한 수돗물과 생활용수로만 가능한 수돗물 등 기준이 다 다른데 한국은 수돗물에 대한 꽤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 전통적으로 광천수나 약수가 몸에 더 좋다는 관념이 강해서 수돗물을 식수로 직접 먹는 것에 대해 어색해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 @조민석-v2h
      @조민석-v2h 3 года назад +3

      오래되 부식된 수도관이 문제죠.그렇게 높은 수준의 정화를 거친 깨끗한 물이 낡고 오염된 수도관으로 흘러들어온다는게 문제죠.

    • @nanari9771
      @nanari9771 3 года назад +11

      @@조민석-v2h 님이 말씀하신 옥내배관 문제는 수도국 관리하에 있지 않는 개인주택의 배관에서 관리가 미흡할 시 녹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정도의 문제이지.
      모든 도시/모든 가구에 대한 기정사실이 아닙니다.
      한마디로 실제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케바케의 문제이고 그러한 이유를 들어 기피하는 풍조가 있다 라고 봐야한다는 거죠.
      대한민국의 수질관리는 전세계적으로 봤을때 가장 수질관리가 잘되는 나라 중 하나이며, 말그대로 음용이 가능한 몇 안되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그저 과거 낙동강 페놀사건 이후 한국의 수질관리를 믿지 못하겠다는 풍조가 심해졌고, 한국은 정수기 문화가 발달해 구태여 수돗물을 먹지 않아도 되는 환경이기 때문에
      수돗물 음용을 하지 않는 거 뿐입니다. 님이 말씀하신 (수도국 관리가 닿지않아 믿을 수 없는) 개인주택 옥내배관의 수질문제는 "우리집 수돗물 안심확인제" 라는 정부서비스를
      신청하여 확인할 수 있으니, 정 불안하시면 신청하시면 됩니다.

    • @라잇트리-k5n
      @라잇트리-k5n 2 года назад

      @@조민석-v2h 참교육 당하셨네. 님이 드시는 조리음식 집이든 식당이든 올 생수로 하는거 아니죠?

    • @Levis502tpd
      @Levis502tpd 2 года назад

      그래서 본인은 진짜 수돗물 믿고 마실 수 있음? 정수기없이? ㅎㅎㅎ

    • @lucienoon7262
      @lucienoon7262 Год назад

      방문시 유용한 자료네요

  • @SW-ow5ml
    @SW-ow5ml 2 года назад +2

    어디서 봤다 어디서 봤지 했더니 신기한동물과 덤블도어 비밀에 나온 에디 레드메인 닮음

  • @엽기진아
    @엽기진아 2 года назад +2

    박물관 관계자님들
    보고계시나요
    설명해주실분들이 엄네

  • @로또1등-e5c
    @로또1등-e5c 2 года назад +1

    역시..사진빨인가

  • @prcjhk
    @prcjhk 3 года назад +12

    난 평생 전국 어디 가든 항상 수돗물 마시고 사는데 전혀 이상 없어요~

  • @mymoon-to5fl
    @mymoon-to5f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거 계속 나오는 말인데 영어로 된 설명이라도 좀!

  • @greatgalder9328
    @greatgalder9328 Год назад

    문명 게임ㅋㅋㅋㅋㅋㅋ

  • @enoshimachoi3990
    @enoshimachoi3990 Год назад +3

    저 한국에 처박혀 있는 소위 호텔이란 곳을 보라.....무책임하니 사진만 그럴듯한 각도에서 찍어 괜찮게 보이게 하고 막상 도착해서 보면 청소도 안 된 것같은 개쪽방에 몇 푼한다고 냉장고에 물병에 물도 없어....그럼 차라리 빈물병을 치우던가....더 가관인 건 이런 소소한 불만을 제기하면 "맘에 안 들면 5성급 호텔을 잡지 왜 여기서 이지랄이냐"고들 해대지....난 정말....손님을 대하는데 있어 한국같은 최악의 나랄 본 적이 없어.....

  • @햄햄-w2z
    @햄햄-w2z 2 года назад +2

    같은 금속활자 지만 개념이 좀 다름 구덴베르크는 기계식느낌 이고 한국은 사람손으로 하는거

  • @SU-qv5gh
    @SU-qv5gh 2 года назад +2

    ㅋㅋ 인식의 차이지 반대로 우리나라 사람인 나는 유럽에 물틀면 뿌옇게 나오는 석회수 끓여도 불안해서 결국 라면도 못먹었음 차라리 우리집 수돗물 생각나긴하더라 근데 그것도 안먹어 버릇해서 그런거고 혹시 물갈이 할까봐 여행중에 익숙지않은거 굳이 안먹어서 그런거지 현지인들이 괜찮다는데 괜찮을듯 솔직히 우리나라 수돗물도 양치할때 설거지하고 나서 등등 이미 엄청많이 먹었을듯ㅋㅋ

  • @아쿠아-v4m
    @아쿠아-v4m 2 года назад +1

    마실수있다 뭐다하지만 그래도 수돗물은 안마시는게 좋음 팩트임

    • @라잇트리-k5n
      @라잇트리-k5n 2 года назад +1

      그럼 수돗물로 음식이 관여 안할까요? ㅎㅎ

  • @사자왕리차드
    @사자왕리차드 2 года назад +2

    문명? ㅎ세종대왕

  • @lifeseek833
    @lifeseek833 2 года назад +2

    한국 수돗물 마셔도 되는구나...

    • @heyyeunkim3059
      @heyyeunkim3059 2 года назад +6

      서울요ㅡ아리수잖아요

    • @꿀벌-j9p
      @꿀벌-j9p 2 года назад +8

      세계 수돗물 깨끗하기로 탑10위안에 들어요, 오래된 건물들이 낡은 수도관이
      문제이지 정수 시설은 세계적인 수준이에요

    • @라잇트리-k5n
      @라잇트리-k5n 2 года назад +3

      @@꿀벌-j9p 우리집 수돗물 안심확인제 신청하시면 내 건물에 수도배관 검사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이든 식당이든 수돗물로 밥지어먹고 수돗물로 국끓여 먹자나요 ㅎ

    • @Jawesome26
      @Jawesome26 Год назад

      ​@@라잇트리-k5n 밥지어먹고 국끓여먹는건 끓였다는 전제가 있는데 그거랑 다이렉트로 음용하는거랑 뭔상관임ㅋㅋㅋ
      그럼 빗물도 끓이면 밥지어먹고 국끓여 먹을수 있으니까 비오면 받아먹음?ㅋㅋㅋ
      아리수 자체가 수질이 깨끗해서 그냥 먹어도 되는거임

  • @sungaeleeify
    @sungaeleeify 2 года назад +10

    사진과 다른 숙소 모습은
    좀 속상하고 창피하다

    • @살기어렵다
      @살기어렵다 Год назад +1

      군생활 할때 외박 나오면서 숙소 에약하는데 4인 기준이고 7명까지 되는 방이 사진상으로는 10명도 될거같이 넓어보이길래 7만원 기본요금에 3만원 추가요금 내고 들어갔는데 6명이서 도저히 못잘 정도로 엄청 좁아서 3명은 안에서 자고 나머지 세명은 새피뛰러감 진짜 저건 우리도 당함

    • @주먹쥐고일어서-d3h
      @주먹쥐고일어서-d3h Год назад +2

      저건 전세계 공통이에요ㅋㅋㅋ

  • @사람눈사람-t3r
    @사람눈사람-t3r 2 года назад +12

    문명으로 역사 배웠나보네 ㅋㅋ

    • @Angela_Skysub
      @Angela_Skysub 2 года назад +5

      ㅋㅋㅋㅋㅋ 조선의 궁궐에 당도한것을 환영하오 낯선 이여

    • @아스날팬-q6x
      @아스날팬-q6x 2 года назад

      과학승리는 못참치 ㅋㅋㅋㅋ

  • @박종현-u6h
    @박종현-u6h 2 года назад

    역사를 볼때 웃으면 안되나 준현?

  • @naturist1610
    @naturist1610 2 года назад +2

    지금의 역사는 조금 부끄럽네요..

  • @Levis502tpd
    @Levis502tpd 2 года назад

    국립중앙박물관인데 한국역사가 대한제국까지만 나와있다니 왜? 만들때 정권 눈치보는 시기였나? 태극기에 대한 설명도 하나없고 설명하는 글자도 작게 써놔서 보기 불편하고 크키만 컸지 헛빵이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