王羲之 楷书 千字文 1,2 왕희지 해서 천자문 1,2 서예 붓글씨 书法 書道 calligraphy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3 дек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22

  • @이남순-w1k
    @이남순-w1k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늘 보면서 따라쓰기했어요~~^^

  • @Banya303
    @Banya303 Год назад

    글씨가 참 훌륭하십니다. 잘 보고 배우고 있습니다. 고맙고감사합니다🙏🏻

  • @j-elio57
    @j-elio57 2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 @user-sp4qu7fy1m
    @user-sp4qu7fy1m 4 года назад +6

    오늘도 멋진 글씨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 @바라밀-o4o
    @바라밀-o4o 2 года назад +1

    정말 잘 쓰시네요.
    저는 집에서 혼자 공부하고 있습니다
    북위 서체를 보여 주실수는 없을까요?
    감사합니다.

    • @청림서예靑林書藝
      @청림서예靑林書藝  2 года назад +1

      ruclips.net/p/PLjPOdl4CgraaLt-F25MYgdk4i006gVHiP
      장맹룡비 입니다.
      재생목록을 활용하세요.
      묘지명과 조상기도 있습니다.

    • @바라밀-o4o
      @바라밀-o4o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장맹룡을 몇십년전 혼자 일중선생 책으로 독학해서 이황우 선생께 보여 드렸더니 놀라시며 대전에 내라고 한 일도 있었지만 그 뒤 사정이 생겨 절필하다가 요즘은 원현준이나 원진을 써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꺾음의 각도 때문에 애쓰고 있습니다
      어떤상황이 되어야 그 획을 만드는지는 알겠는데
      어깨는 되는데
      갈고리가 되었다.
      안되었다해서 애쓰고 있습니다.

    • @청림서예靑林書藝
      @청림서예靑林書藝  Год назад

      @UCN6gQY1AeoOAPS4iZ1Ix5Yw 서있으면 방향 전환해서 가기 쉽고 누워 있으면 방향전환도 어렵고 움직이기도 어려워집니다
      서 있는 것은 땅에 발바닥만 붙은 상태고 누운것은 등짝이 붙은 것입니다. 발바닥과 등짝은 붓의 어는 부위인지 생각하시면 답이 나올것입니다.

    • @바라밀-o4o
      @바라밀-o4o Год назад

      @@청림서예靑林書藝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길 빕니다
      언젠가 뵐 인연을 빌겠습니다.

  • @김장길-g5o
    @김장길-g5o 4 года назад

    늘 잘보고 배웁니다
    감사드리고요
    한가지 의문이 납니다
    먹물을 찍는 모습이 전연 볼수가 없어서요
    저는 자주 먹물을 찍습니다

    • @청림서예靑林書藝
      @청림서예靑林書藝  4 года назад +5

      먹의 농도와 화선지의 두께와 상관이 있습니다. 저는 직접 갈아서 쓰기 때문에 먹을 한 번 찍으면 3,4자를 쓸 정도의 먹물을 사용합니다. 종이가 얇으면 더 많이 쓸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붓을 움직이는 방법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붓을 제대로 세워서 쓰게되면 붓에 저장된 먹물을 적당히 조절해서 쓸 수 있습니다.

    • @김장길-g5o
      @김장길-g5o 4 года назад +1

      많은 가르치심에 감사 드립니다
      좋은 글솜씨가 아주 대단 하십니다

    • @aincalli
      @aincalli 4 года назад +1

      @@청림서예靑林書藝선생님 너무 자상하십니다♡

  • @여름계혁세우기
    @여름계혁세우기 4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ㆍ

  • @만각재
    @만각재 4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jaewoong530
    @jaewoong530 4 года назад +1

    넓을 홍 잘못 쓰셨어요!

    • @청림서예靑林書藝
      @청림서예靑林書藝  4 года назад +2

      옆에 스마트폰의 글자는 동진(東晉)시대의 왕희지의 글자입니다. 한자는 역사가 길어 다양한 이체자가 있습니다. 아마 가로획이 중복되어 띄워서 변화를 꾀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남상기-q9q
    @남상기-q9q 2 года назад

    매호선생시

  • @홍종문-s2v
    @홍종문-s2v 4 года назад

    넓을 "홍" 자가 아무리 보아도 이상하네. 9획인데 10획으로 쓰니 어쩐일일지 아리송~~~그렇게 쓰도 되는지 아리송. 처음보는데!

    • @청림서예靑林書藝
      @청림서예靑林書藝  4 года назад +3

      가로획의 중복을 피해서 띄어 쓴 것 입니다.
      초 두도 인쇄체에서는 가로획을 연결해서도 쓰지만 4획으로 쓰지요. 한자는 역사가 길기 때문에 다양한 이체자가 있습니다.

    • @청림서예靑林書藝
      @청림서예靑林書藝  4 года назад +3

      참고로 해세의 그칠지도 뫼산으로도 씁니다.
      한자는 약자, 이체자, 간체자등 여러표현방식이 있으니 서예를 통해서 다양하게 공부하시면 도움이 되실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