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 합니다. 성취감을 느끼려고 목표를 설정하고 운동하는 건 나쁜게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그냥 건강 생각 하면서 여유롭게 운동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기록 단축을 목표로 하는 사람도 있겠죠 게임에서 레벨을 업을 하듯 자신의 달리기 스킬이나 체력이 발전을 하는 걸 느끼면 그것 만으로도 즐거울 수 있습니다. 누가 시켜서 하는게 아닌 자기스스로 하는 이상 즐거움과 멀어질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무리해서 부상을 유발하고 건강을 해치는 수준으로 훈련을 하는게 아니라면 전혀 문제 없고 충분히 행복하게 달리기를 할수 있다고 봅니다.
@콩맨-e1b 님의 생각은 동의 합니다 왜그러냐면 95프로의 일반인들이 님 같은 이유로 달리기 때문이죠 남과의 기록경쟁 내pb세우려고 뛰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런 식의 동기부여를 가지곤 합니다.이게 일반적이죠 그걸 넘어서는게 특별한 동기부여가 없어도 달리기 그 자체를 즐기는 겁니다. 즐거움은 힘들게 뛸 때 생기는게 아니기에 자연스럽게 부상과는 멀어지고 또 그렇게 계속 뛰다보면 남들 골병 들어서 달리기 그만둘때 주변에서 가장 빠르고 멀리 달리는 사람이 되어 있을거에요
@@인생이농사 근데 PB 갱신이 솔직히 재밌긴해요 가장. 사실 우리가 게임이나 운동을 재밌게 즐기는 이유가 경쟁심도 있어서인데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재미도 있으니까요. 물론 우리같은 일반인이 아무리 연습해도 선수들급 기록이나 상위 마스터즈 기록같은것은 힘들 수 있지만 적어도 내 자신의 기록이 계속 빨라지는건 뿌듯하니까요.
저는 아직도 내가 왜 빨리 달려야되는지 이유를 못찾았네요 천천히 달려야 즐거워요 힘들게 달리면 뛰는게 전혀 잼있지도 않고 노동같아요. 남들은 기록자랑 하려고도 이를 악물고 뛰던데 저는 그런것도 없어요 근데 남들이 하지 못하는걸 하고 있어요 울트라 마라톤 100키로까지 뜁니다. 10키로 뛰면서 pb세우겠다고 다쳐가면서 죽어라 뛰는 사람은 일단 이해가 가질 않구요 풀코스에서 뭔가 목표를 세우겠다고 한다면 어느정도는 이해가 됩니다.
구독 지금이 타이밍입니다! 1️⃣ 훈련 강도 킵초게는 매주 200km에서 219km를 달립니다 화/목/토는 강도 높은 80% 훈련, 나머지는 50% 회복 러닝! 회복 러닝은 대회 페이스보다 무려 2~4분 느리게 달린다고 해요. "저는 100% 뛰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 엘리우드 킵초게 - 2️⃣ 코어 강화 주 2회, 60분 요가와 밴드 운동! 엉덩이와 코어 근육을 강화해 부상을 방지한다고 합니다. 3️⃣ 수면 습관 밤 9시 취침, 아침 5시 45분 기상, 낮잠 1시간! 하루 10시간 수면은 기본이라고 하네요. 평균 10시간 정도의 수면은 엘리트 마라토너들이 수면을 취하는 방법으로 회복과 호르몬 분비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4️⃣ 기록의 중요성 시간, 거리, 마사지, 컨디션, 신발 상태등 모든 세부 사항을 기록! 2003년부터 기록을 시작해 벌써 18권의 노트를 보관 중이라고 합니다! *해당 내용은 킵초게 선수의 인터뷰 자료를 참고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요점은 이런겁니다.
1. 자주 많이 달리는게 중요하다.
2. 정해진 강도로 훈련하며 절대 무리하지 않는다.
3. 휴식 및 생활관리의 중요성
4. 훈련일지를 써라
우리는 선수가 아닙니다
즐겁게 부상 없이 천천히 달리세요
기록욕심 내는 순간
즐거움은 멀어집니다.
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 합니다. 성취감을 느끼려고 목표를 설정하고 운동하는 건 나쁜게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그냥 건강 생각 하면서 여유롭게 운동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기록 단축을 목표로 하는 사람도 있겠죠 게임에서 레벨을 업을 하듯 자신의 달리기 스킬이나 체력이 발전을 하는 걸 느끼면 그것 만으로도 즐거울 수 있습니다.
누가 시켜서 하는게 아닌 자기스스로 하는 이상 즐거움과 멀어질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무리해서 부상을 유발하고 건강을 해치는 수준으로 훈련을 하는게 아니라면 전혀 문제 없고 충분히 행복하게 달리기를 할수 있다고 봅니다.
@콩맨-e1b 님의 생각은 동의 합니다
왜그러냐면 95프로의 일반인들이 님 같은 이유로 달리기 때문이죠
남과의 기록경쟁 내pb세우려고 뛰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런 식의 동기부여를 가지곤 합니다.이게 일반적이죠
그걸 넘어서는게 특별한 동기부여가 없어도
달리기 그 자체를 즐기는 겁니다.
즐거움은 힘들게 뛸 때 생기는게 아니기에 자연스럽게 부상과는 멀어지고 또 그렇게 계속 뛰다보면 남들 골병 들어서 달리기 그만둘때 주변에서 가장 빠르고 멀리 달리는 사람이 되어 있을거에요
@@인생이농사 근데 PB 갱신이 솔직히 재밌긴해요 가장. 사실 우리가 게임이나 운동을 재밌게 즐기는 이유가 경쟁심도 있어서인데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재미도 있으니까요. 물론 우리같은 일반인이 아무리 연습해도 선수들급 기록이나 상위 마스터즈 기록같은것은 힘들 수 있지만 적어도 내 자신의 기록이 계속 빨라지는건 뿌듯하니까요.
사람이 무한대로 강해질수 없죠
언젠가 그 누구라도 한계에 직면하게 됩니다.
Pb가 1순위가 된다면 나중에 막히거나 벽느꼈을때 무너질 확률이 즐기는사람보다 크겠죠.
근데 욕심 안내기란 쉽지않습니다 사실
저는 아직도 내가 왜 빨리 달려야되는지 이유를 못찾았네요
천천히 달려야 즐거워요
힘들게 달리면 뛰는게 전혀 잼있지도 않고
노동같아요.
남들은 기록자랑 하려고도 이를 악물고 뛰던데 저는 그런것도 없어요
근데 남들이 하지 못하는걸 하고 있어요
울트라 마라톤 100키로까지 뜁니다.
10키로 뛰면서 pb세우겠다고 다쳐가면서 죽어라 뛰는 사람은 일단 이해가 가질 않구요 풀코스에서 뭔가 목표를 세우겠다고 한다면 어느정도는 이해가 됩니다.
나도 시간만 있으면 하루 2탕 뛰고 월 600은 하고 싶지만. 먹고 사는게 바빠 그리고 아빠 역할. 아침에 1시간 시간 내는것도 주말 한번 장거리뛰는것도 힘드네. 최대 350뜀.
구독 지금이 타이밍입니다!
1️⃣ 훈련 강도
킵초게는 매주 200km에서 219km를 달립니다
화/목/토는 강도 높은 80% 훈련, 나머지는 50% 회복 러닝!
회복 러닝은 대회 페이스보다 무려 2~4분 느리게 달린다고 해요.
"저는 100% 뛰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 엘리우드 킵초게 -
2️⃣ 코어 강화
주 2회, 60분 요가와 밴드 운동!
엉덩이와 코어 근육을 강화해 부상을 방지한다고 합니다.
3️⃣ 수면 습관
밤 9시 취침, 아침 5시 45분 기상, 낮잠 1시간!
하루 10시간 수면은 기본이라고 하네요.
평균 10시간 정도의 수면은 엘리트 마라토너들이
수면을 취하는 방법으로 회복과 호르몬 분비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4️⃣ 기록의 중요성
시간, 거리, 마사지, 컨디션, 신발 상태등 모든 세부 사항을 기록!
2003년부터 기록을 시작해 벌써 18권의 노트를 보관 중이라고 합니다!
*해당 내용은 킵초게 선수의 인터뷰 자료를 참고하여 제작되었습니다.
1주에 200km 를 페이스 350언더로 뜁니다. 절대로 무리 하지 않는 기준이 저정도 ㄷ ㄷ
역시, 모든 일에 꾸준함이 가장 기본.
이영상보니 식단도 궁금하네요
와 저렇게 어떻게 뛰어
주당 219km라면 주 6일 훈련시 빡센 풀코스 3회 약간 느슨한 31km 3회 😂
제가 마라톤 하나도 몰라서 그러는데요 2시간에 40키로를 가는데 1주일에 210키로 정도를 뛰면 하루에 30키로 정도만 달리기를 하는건가요?
절대 적은거 아님니다.
대회 준비기간엔 또 다른 프로그램이 있겠죠
40키로를 2시간에 달리는 페이스로 훈련하지 않습니다
매주200 ㄷㄷ
일주일에 200km를 뛴다고요
ㅋㅋ 저게 사람인가
하루에 10시간이나 자는구먼 ㅋㅋㅋ 근데 빡쎄게 운동하고나면 잠도 많아지긴하더라 피곤해서
10시간자는거면 2배이상이네😅
져는월 최대 500인데,,
시청자들 똑똑하다. ㅋㅋㅋ
하필 세계 탑이냐. 푸ㅡㅡ
일반인은 저렇게 못하고 해봐야 별 효과 못봅니다
당연하게도 마이클 조단처럼 훈련한다고 조단처럼 농구할수있을리가..
못할거 알면서 왜 이걸 보고있는건지..
님은 왜 보고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