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질문이 살아남아 세상을 바꿀 수 있을 때까지 | 오피큐알 OPQR 기획의도 3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오피큐알 #모두의질문Q #OPQR
    대한민국이 당신의 질문을 기다립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33

  • @오피큐알opqr
    @오피큐알opqr  День назад

    하이큐😍
    많은 분들의 관심과 도움 덕분에
    성황리에 출범식을
    어제 잘 마쳤습니다!
    나중에 언젠가는 오피큐알 제작진이나 시민분들이나, 또 참여하시는 국회의원분들이나 함께 모여 토론할 자리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너무나 건강한 저희 채널의 댓글과 질문들을 보면서 제작진도 너무나 보람을 느끼고 있는데요!
    가장 많이 눈에 띄는 질문이 '질문을 어디에 모으는 것이냐' '질문 하려면 여기에다 하면되냐?' 인 것 같아서 안내드립니다
    이제 플랫폼이 오픈되었으니
    모두의질문q.kr 에 들어가셔서 질문을 다셔도 되구요,
    저희 유튜브 콘텐츠 모두 위의 플랫폼에 연동되어있어 여기에 댓글을 다셔도 됩니다! (#질문q 라고 해시태그를 달아주시면 더욱 좋아요!)
    부디 건강한 발제와 토론문화가 이곳에서 펼쳐졌으면 좋겠다는 바람과 함께, 간단한 안내글을 씁니다!
    이제막 시작한 프로젝트라 당분간은 좀
    우당탕탕할수 있지만 응원하는 마음으로 봐주세요 :)
    🐣쇼츠, 릴스도 곧 시작할 예정입니다!
    #모두의질문q
    #오피큐알
    #opqr

  • @scarlet5373
    @scarlet5373 День назад +2

    참으로 훌륭한 기획입니다 의장님 멋져요

  • @경숙한-n5z
    @경숙한-n5z День назад +1

    기대됩니다. 신나는 일이에요.

  • @김영선-i6s
    @김영선-i6s 8 дней назад +11

    정말 좋은 질문들이 모여서 좋은 정책으로 되면 좋겠네요

  • @1fa1ci1shk
    @1fa1ci1shk 3 дня назад +3

    오피큐알 응원합니다.👏👏👏👏👏👏 공론화의 과정과 시민들의 질문할 권라와 힘이 필요하다. 공감합니다.

  • @manwali
    @manwali 9 дней назад +15

    고령화시대, 고급 인력들을 우리 사회가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육체능력이 떨어진다고 사회 자원의 소비자, 또는 저임금 노동자로 포지셔닝하는 게 아니라,
    사회자원의 새로운 가치 생산자로 활동할 수 있는 정책 같은 게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김성연-j4w
    @김성연-j4w 8 дней назад +6

    늘 응원합니다..

  • @lala-vu1uu
    @lala-vu1uu 8 дней назад +8

    중소기업에 다녀서 급여가 적은데 지원은 청년 아니면 고령이더라구요.. 그 사이에 있는 연령에 대한 지원이 적게라도 있으면 좋겠습니다.

  • @jks981
    @jks981 8 дней назад +9

    왜 50대는 부모부양과 자식부양 둘 다 책임지는데 국가 혜택은 항상 뒷전인가?

  • @Hwejinlim
    @Hwejinlim 10 дней назад +11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혹은 무엇을 믿지 못하고 있는가?
    저는 우리사회에 믿음이 없어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엇이 믿음을 없어지게 만들었지 무엇을 믿는지 모르겠지만 서로에게 질문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MrDrzest
      @MrDrzest 8 дней назад +1

      연소득 평균 상위 10%와 하위 10%간의 차이가 2억이 넘도록 내버려둔 국가와 사회를 개인이 믿을 수가 없지요.

  • @MrDrzest
    @MrDrzest 8 дней назад +7

    뭐가 문제인지 몰라서 해결못하는 것이 아니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민들간/계층간 연대의식이 있어야 하는데 그게 무너져있기에 해결할 합의를 못 이끌어내는것이지요.

  • @Gihoon153
    @Gihoon153 10 дней назад +7

    구독했어요 파이팅

  • @빵지-x5e
    @빵지-x5e 9 дней назад +8

    부동산 부자들이 세금 문제를 핑계로 2찍 극우에 경도되는 사회 현상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thkim75
    @thkim75 9 дней назад +9

    대한민국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 과학기술을 국가 성장의 중심에 두고, 인재가 떠나는 것이 아니라 찾아오도록 만드는 국가 전략을 가질 것인가?
    • 아니면 지금처럼 우수 인재들이 떠나는 것을 방관하며, 미래 기술 패권에서 점점 뒤처지는 길을 걸을 것인가?

  • @youngdonyoon
    @youngdonyoon 8 дней назад +5

    기대가 큽니다. 화이팅

  • @JSKim-gu2nz
    @JSKim-gu2nz 10 дней назад +6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오잼-sc8wj4kp6
    @오잼-sc8wj4kp6 10 дней назад +6

    👍

  • @user-orangey1004
    @user-orangey1004 9 дней назад +8

    인공지능의 시대, 불안한 현실에서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은 무엇인가?
    우리 사회는 왜 성적 위주의 입시 정책을 버리지 못하는가?
    교사는 왜 정치적 금치산자로 살아야 하는가?
    학교는 언제까지 정부의 각종 정책을 홍보하고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이용되어야 하는가?

  • @lv0gun9
    @lv0gun9 9 дней назад +5

    AI와 로봇 기술 발전이 단순 노동자를 대체하기 전에 우리 사회엔 어떤 안전망을 준비해야 할까

  • @9월의4분의1
    @9월의4분의1 День назад +1

    의장님! 다스뵈이다 보고 뒤늦게 찾아뵙습니다.
    근데 그래서 질문은 어디에 어떻게 하라는걸까요?..
    저는 사실 어떤 어플 같은 개념을 생각했어요.
    늘 말씀하시던 것처럼 누구나 질문을 던질수 있고 공론화해서 토론도 하고 자동으로 카테고리별로 빅데이터화 되서 국회에서도 실시간으로 확인도 하고 정책으로서 전달도 되구요.
    근데 지금은 가만 바라보니 어떤분들은 기획의도 댓글란에 질문하고, 자기 답변을 달고, 그럼 그걸 일일히 옮겨서 데이터 베이스화 하시겠다는건지..
    그게 가능할리도 없고 비효율적이니 말도 안되는듯 합니다만..
    그럼 질문들을 영상으로 찍어 보내라는건지.. 그렇다기에는 경로도 없고 어떠한 설명도 없더군요.
    그렇다면 결국 큐레이팅이라는게 상단의 영상들처럼 미리 선별해서 제작하신 영상에 댓글을 달아달라는건데 분명 좋은 의도이심에는 공감하지만,
    이 경우에는 어떤 질문도 다 던져 달라는 취지의 설명과는 너무 큰 괴리가 있을듯 합니다.
    적어도 수많은 질문들을 받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우선 순위를 정해 OPQR이 대표성을 갖고 중요한 주제부터 영상화 하고 그에 대해 다시 세부 질문을 받거나 재차 공론화 한다는 당위성이 있어야하는데 그게 아니잖아요.
    이곳이 나쁘다는게 아닙니다.
    찾아오시는분들이 헷갈리지 않도록 우리가 좋은 질문들을 편히 보실수 있게 영상화했으니 많이들 오셔서 같이 토론해주세요!
    간단히 소개하시면 된다는 겁니다.
    어떠한 주제의 제한이나 형식이나 공간의 제약 없이 질문을 던져달라고 다 데이터 베이스하고 국회에 전달 하겠다는 장황한 설명을 해놓고 현실은 기존의 유튜브 채널과 동일하게 정해진 주제에 한정된 리액션밖에 못하면 그건 충분히 문제가 있지요.

  • @sini4974
    @sini4974 12 часов назад

    나의 질문이 살아남아 세상을 바꿀수 있을때까지 멋지네요.

  • @LJH_Jubilee
    @LJH_Jubilee 8 дней назад +6

    부동산 문제와 그 대안으로서의 토지공개념
    궁금합니다

  • @shadow1313a
    @shadow1313a 3 дня назад +2

    좌-우의 '심리적 내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청년/중장년/노년 '세대갈등' 풀어나갈 방법은?

  • @JaKe-pm8tu
    @JaKe-pm8tu День назад

    #질문q 오랜 기간 고민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강남이라서 사람들이 살고 싶을까, 아니면 인프라가 모여 있기에 살고 싶은 것일까? 지방마다 살고 싶은 인프라를 만들어줘야 하지 않을까?

  • @hyejinhwang2314
    @hyejinhwang2314 22 часа назад

    질문하는 사회
    응답하는 정치

  • @MSC-xj1ih
    @MSC-xj1ih 19 часов назад

    전세사기안당하게 법을 구체화 해주세요 사회초년생딸이 전세집을 구하는데 불안합니다

  • @9birdwatching
    @9birdwatching 8 дней назад +3

    경쟁사회에서 경쟁에서 이기지 못한 사람들을 챙겨가지 않고 그냥 내버려둔게 그런 노인들을 만들어 낸건 아닐까 생각 합니다.
    빈곤한 노인들, 정서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의 불안이 극우로 달려간거 같습니다.
    그 사람들의 불안과 종교보다 더 광적인 그들의 믿음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는 그부분에 대해서 질문하고 싶습니다.
    경쟁사회에서 뒤쳐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 경쟁사회에서 밀려나지 않을것이라는 걸 그들에게 어떻게 알려 줄 수 있을까요?

    • @MrDrzest
      @MrDrzest 8 дней назад +1

      노인분들이 경쟁사회에서 뒤쳐지지 않을 수 있을까요? 그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적 안전장치를 확충하려면 세금을 더 거둬야 하는데 그럴려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지만, 한국사회의 무너진 연대감이 문제지요.. 그래서 국민연금도 어떻게 하지를 못하고 있죠.

    • @9birdwatching
      @9birdwatching 7 дней назад

      @@MrDrzest 동의 합니다. 경쟁에서 이기지 못했지만 극우로 가지 않은 사람들이 있으니....그들을 어떻게 혐오 가득한 극우에서 끄집어 낼 수 있을지...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ㅠ

  • @wildforager
    @wildforager День назад

    결혼제도 필요한가?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3 дня назад

    이제는 모병제로의 변화가 시급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징병제를 없애고 모병제 실현을 이뤄낼 수 있는가?

  • @jieun3152
    @jieun3152 7 дней назад +2

    갑자기 더 큰 희망을 품게 됩니다
    공론과 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