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 해당 문제에서 표준편차를 구하실때 numpy의 std를 사용하셨는데, pandas 데이터프레임의 std를 사용했을 때와 값이 다르더라구요. 조금 찾아보니 모표준편차와 표본표준편차의 차이라고 하는데, 혹시 해당 문제에서 어떤 것을 사용하면 되는지 시험에서 명시가 되어있는 건가요? 아니면 암묵적으로 numpy의 std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있으면 되는걸까요?
샘플 표준편차가 필요하다면: df.ZN.std() 또는 np.std(df['ZN'], ddof=1)를 사용하시면 되고 모집단 표준편차가 필요하다면: np.std(df['ZN'])를 사용하시면 되는데 빅분기 실기 시험에서는 표본으로 주로 물어보니까 df.ZN.std() 를 쓰시면 됩니다.
빅데이터 분석 기사 실기 전체 기출문제 풀이는 인프런에서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인프런 강의: inf.run/ZRXQe
최고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 해당 문제에서 표준편차를 구하실때 numpy의 std를 사용하셨는데, pandas 데이터프레임의 std를 사용했을 때와 값이 다르더라구요.
조금 찾아보니 모표준편차와 표본표준편차의 차이라고 하는데, 혹시 해당 문제에서 어떤 것을 사용하면 되는지 시험에서 명시가 되어있는 건가요?
아니면 암묵적으로 numpy의 std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있으면 되는걸까요?
아 네 ~ 질문 감사합니다. 시험에서는 표본이라고 나오므로 표본의 표준편차를 구하시면 됩니다.
@yucoding 답변감사합니다 :D
문제 2번에서 df.ZN.std() 로 표준편차를 구하면 np로 구한 값과 차이가 나는데 어떤 걸 쓰는게 맞을까요 ??
>> numpy는 모표준편차, pandas는 표본 표준편차 라고하는데 모표준편차가 맞을까요 ??
샘플 표준편차가 필요하다면: df.ZN.std() 또는 np.std(df['ZN'], ddof=1)를 사용하시면 되고
모집단 표준편차가 필요하다면: np.std(df['ZN'])를 사용하시면 되는데 빅분기 실기 시험에서는 표본으로 주로 물어보니까 df.ZN.std() 를 쓰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