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3, 4등급 탈출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45

  • @everydaymath_kr
    @everydaymath_kr  2 года назад +32

    ■ 김재하T 현장강의 안내 ■
    1-2월
    [서울 대치동]
    대치 투에스에듀. 0507-1483-0455
    과정] 실전개념 실통수
    ■ 실통수 미적분 : 수요일 오후 6:00-10:00
    ■ 실통수 수1 : 금요일 오후 6:00-10:00
    ■ 실통수 수2 : 토요일 오후 2:00-6:00
    ■ 실통수 확통 : 토요일 오후 7:00-10:00
    ■ 대치동에서는 김재하 윈터스쿨&재수반도 개설되어 있습니다. 대치 투에스에듀로 문의주세요.
    [경기도]
    산본 수학의 신. 031-387-0370
    과정] 실전개념 실통수, 기본개념 수뼈세
    ■ 실통수 수1 : 화요일 오후 1:00-5:00
    ■ 실통수 수2 : 일요일 오후 1:00-5:00
    ■ 수뼈세 미적분 :화요일 오후 6:00-10:00, 일요일 오후 6:00-10:00 (주2회 수업)
    파주 운정 강대스터디. 0507-1483-0455
    과정] 실전개념 실통수
    ■ 실통수 수1&수2 : 월요일 오후 6:00-10:00

  • @billevans1337
    @billevans1337 2 года назад +200

    확실히 문제 안에 답에 근거가 있고
    나 자신은 탐정인 것처럼 문제 속 가려놓은 힌트들을 찾아내는 능력이 필요한 것 같아요

  • @뽝써나
    @뽝써나 2 года назад +1476

    정말 공감합니다. 원래 공부는 모르는걸 더 해야하는데 그 등급대는 아는것만 하려는 경향이 강한거 같아요. 그래서 기출소재나 자신있는 유형이면 바로 펜잡고 풀고 그 외는 정말 건드리지도 못하는거 같아요.

    • @user-cl9nq5vc3s
      @user-cl9nq5vc3s 2 года назад +10

      그래서 기출보단 n제를 많이풀어봐야함

    • @뽝써나
      @뽝써나 2 года назад +114

      @@user-cl9nq5vc3s 인정. 다양한 문제를 많이 풀어서 사고력 넓히는거 중요한듯. 기출만, 아는것만 벅벅풀면 그거말곤 못품. 조건을 다르게 제시하거나 하면 턱턱막힘

    • @뵈년-s7s
      @뵈년-s7s 2 года назад +6

      @@뽝써나 문제 푸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사고의 틀을 만드는게 중요한거죠 기출로 표현별 유형별 생각의 흐름을 만들고 나서 새로운 문제 즉 n제에 적용 연습을 하는거지 무조건 많이 푼다? 너무 비효율적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 @뽝써나
      @뽝써나 2 года назад +20

      @@뵈년-s7s 물론입니다. 무지성 양치기를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기출에서 요구하는 발상이나 사고 말고 처음보는 문제나 같은 조건을 주더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많이 접하는게 좋다는 뜻입니다. ex)와 이 문제는 기울기를 이렇게 주네? 등등
      처음보는 문제를 접하고 혼자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고민하고 풀어내면서 사고력이 길러지는 것이지요.

    • @뽝써나
      @뽝써나 2 года назад +2

      @@뵈년-s7s 처음보는 문제를 스스로 끝까지 고민해보고 풀어낼때의 쾌감은 정말 말로 설명할수가 없죠ㅎㅎ

  • @김김-w7j
    @김김-w7j 2 года назад +377

    진짜 맞는 말임ㅋㅋ 현역때 3-4받을때 문제 받으면 뭘 해야할지를 몰랐음. 일단 해볼수 있는거 다 해보고 맞추거나 시간 ㅈㄴ허비하고 패스함. 재수때는 왜 이렇게 풀어야하는지 생각부터하고 일관된 방법으로 적용하니 성적이 대~폭 올랐음. 그때부터는 답지나 타인강 선생 풀이는 오히려 방해됨. 일관된 논리가 흐트려져서. 그런 면에서 현우진이 도구 정리를 잘해서 1타인 느낌이 있음. 강사님이 3~4등급 학생 마음을 잘 아시네요.

  • @Sookja_the_king
    @Sookja_the_king Год назад +46

    와 진짜 공감합니다. 제가생각하는 3~4등급대를 벗어나는 법은
    처음 보는 문제나 모르는 문제를 봤을 때, 자기가 아는 것으로 바꿔서 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한다고 생각해요. 물론 그 능력 이전에 튼튼한 배경이 있어야하지만 이 연습도 하다보면 깨닫는게 있더라구요.
    그리고 문제와 문제의 조건을 완전히 이해하도록 노력하고 그 조건이 왜 이렇게 나왔는지, 어떻게 문제가 만들어졌는지, 무엇이 있는지 이해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마지막으로 자기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수동적으로라도 의식적으로 파악하는 노력을 해야해요.
    제가 가르친 많은 아이들에게 이런 것들을 의식적으로 끄집어내고 물어보며 길을 세워주니 곧 잘 하더라구요.
    물론 1등급 받기는 어렵습니다ㅠㅠ...

  • @안상연-d8t
    @안상연-d8t 2 года назад +1320

    진짜 공감되는 문장이네요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모르겟다"

  • @Comfortable_J
    @Comfortable_J 2 года назад +150

    혹은 머리로는 그려지는데 그런 풀이를 해본 경험이 적어서 손으로 실현을 못시킬 때… 답답해 미칠지경입니다…

  • @공부를하자-c6u
    @공부를하자-c6u Год назад +23

    내가 현역때 4였고 재수때 2 지금 삼반수하는데... 현역때 제가 어땠냐 보면 2가지임
    1. 내 생각 맞는것 같은데 식이 복잡해지면 드랍하고 포기함(사실 내풀이가 제대로 가는 길이었음)
    2. 답지 보면 풀긴 품. 진행방식이 어색해서 다시 풀면 못품.
    결론: 3,4랑 1,2 차이는 푼 문제량이 다르고 푸는데만 의욕을 가지고, 진행이나 흐름 개무시하고 공부함.
    재수때 각종 N제에 데여보고, 사설모고에 데여보고 또 피드백하고 복습하고..그러다가 평가원 풀면 어 이거 평가스럽지 않잖아!? 하면서도 그냥 품. 왜? 이미 난 ㅈㄴ많은 사설, N제에 데여봐서 평가원에서 내는건 그냥 식계산이 적고 깔끔한 N제처럼 여겨지니깐
    야, 너두 할수있어

  • @eastern2442
    @eastern2442 2 года назад +72

    저도 예전에고1까지만 해도3-4등급을 못벗어났는데 벗어나기위해 공부를 뒤지게 많이 했는데도 못벗어나더라고요 근데 선생님들은 항상 저보고 공부안한다고 하고 그리고 방학때 수학에 대한 접근법을 바꿔보자하고 문제를 풀기시작하니깐 고2때부턴 1-2등급 고정으로 나오기시작했어요.확실히 수학은 양치기는 한계가 있어요

    • @jux0
      @jux0 2 года назад +1

      접근법 어떻게 바꾸셨어여…? ㅠㅠ

    • @신연우-y2h
      @신연우-y2h 2 года назад +1

      @@jux0 그르게요 저도 궁금하네요!

    • @eastern2442
      @eastern2442 2 года назад +33

      이게 맞는지 모르겠는데 모르는 문제를 2~3시간 하루에 한자리에서 막 잡고 있는것 보다 매일 10분씩 고민하고 풀고 그문제를 풀면 답지를 보고 더 쉬운 방법을 항상 고안했어요 반대로 내신때는 문제를 계속 고민하진 않고 모르는 문제는 답지보고 암기를 하고요

  • @용수면
    @용수면 2 года назад +46

    왜 때려요... 어디서 본적 있는건 풀고 아닌건 못푸는거 진짜 팩트.. 4점짜리는 본적없다는것도 진짜....

    • @Zeliton1
      @Zeliton1 2 года назад

      근데 이번년도는 문제를 너무 쉽게 줬는데 ㄹㅇ

  • @이호진-d9q
    @이호진-d9q 2 года назад +311

    당장은 그 마음 가져도 못풉니다. 결국 준킬 킬러 문제 해설 강의 보고서라도 계속적으로 뇌근육을 쌓고, 심화개념을 정리 반복하다보면 자신이 짚은 헛다리에 대한 인식의 반복.
    그럼 결국 정해진 소재로 물어보는 방향의 어느 정도 나올것이 매번 나온다는 느낌이 들기시작하면 2등급 찍힘. 이게 더 손바닥 안에서 보이면 1등급

    • @묵당이-q3z
      @묵당이-q3z 2 года назад +10

      이형 멀 좀 아는 분이시네..

    • @naffinroom
      @naffinroom Год назад

      오…

    • @이호진-d9q
      @이호진-d9q Год назад

      @@ahegao2443 일관된 풀이 행동 강령 = 출제방향의 뇌근육
      학원강사인데 학벌절대공개안하는 지방 양아치 원장새끼가 님말씀처럼 교과서 개념 이쁘게 노트 정리 쳐 시키는거보고 (프린트 되어 있는걸 심화개념이면 모를까) 그리고 그걸 학원 시스템으로 가자는 프리랜서 계약인데 병신같은 고집 부리는 사기꾼 새끼도 있습니다. 학군지 학원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지만요.

  • @sim-_sim
    @sim-_sim 2 года назад +8

    수학을 배우면서
    저능력이 사회에서도 가장 쓸모있음
    본적없는걸 자기가 지금까지 배운 논리와 기준으로
    풀어내는 거

  • @JKLYUIOP
    @JKLYUIOP 2 года назад +23

    많이 푸는 것보다 갯수가 적더라도 대충 아는 문제, 모르는 문제를 뿌수는게 훨씬 중요함.
    오답노트 최고임

    • @DanddoJoa
      @DanddoJoa Год назад +2

      ​@@Ioil-o9g 오답리뷰없이 문제집 백날 풀어봐라ㅋㅋㅋㅋㅋ

    • @DanddoJoa
      @DanddoJoa Год назад

      @@Ioil-o9g 리뷰가 뭔지 몰라? 지혼자 딴소리 쳐싸고있어

    • @DanddoJoa
      @DanddoJoa Год назад

      @@Ioil-o9g 난독있냐? 오답노트를 언급하지도 않았는데ㅋㅋㅋㅋ 니 공부법 설파하기 전에 책이나 좀 읽어라

  • @김민규-n4y4p
    @김민규-n4y4p 2 года назад +13

    진짜 맞는말임 이제 고3 올라가는데 모고때 국어 영어 1놓친적 한번도없는데 수학 항상 4~5 그냥 문제풀다가 이문제 아니다 싶으면 바로 접근도 안하고 포기해버림

  • @wlwowo2o2
    @wlwowo2o2 2 года назад +6

    킬러 문제만 포기하고 나머지 실수없이 풀면 2등급은 무난~~~하게 나오는데 6등급->2등급보다 2등급->1등급 만드는 노력이 더 큰듯

  • @lobenswert1
    @lobenswert1 2 года назад +6

    대학생인데 저도 항상 봤던거네? 풀고 모르겠으면 이것저것 하다가 산으로 가며 수동적으로 살았는데 대학 시험을 보니 이건 아니다 싶어 문제를 읽고 여기서 필요로 하는게 뭘까? 생각을 한번 하고 풀고있어요ㅋㅋ

  • @힘들어-e8d
    @힘들어-e8d 2 года назад +6

    그냥 문제 읽으면서 문장마다 출제자의 설계가 바로 보이는 사람이 1등급이고 생각을 해야 설계가 보이는 사람이 2등급임...2등급은 고점문제를 풀 시간이 부족하죠.

  • @ysm2303
    @ysm2303 Год назад +1

    무슨 공부든 다 그런듯.. 부딪히면서 문제 계속 풀어보고 어느 파트가 부족한지, 어떤 개념이 빈약한지를 깨닫는 시행착오를 겪어야 공부방법도 알게 되고 실력이 성장하는듯 해요

  • @fkwoodjfjwosl7980
    @fkwoodjfjwosl7980 2 года назад +53

    진짜 뼈맞는 말씀이네요

  • @여자진구
    @여자진구 2 года назад +8

    안녕하세요 재수생입니다 23 6월 68 9월 77 23수능 84맞고 감히 3등급 여러분께 조언을드리자면 준킬러에 겁먹지 마시고 도전하시는겁니다 킬러? 그거 안될것같다하시는분들은 솔직히 과감히 버리시는것도 나쁘지않다고생각합니다 전 이과였지만 수학이 죽도록 싫었기때문에 애초에 1등급들도 틀리는 15,22,30은 재수한10개월동안 기출빼곤 단한문제도 거들떠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준킬인 14,21,29는 풀려고 많이 노력했습니다 재수하면서 느껴본봐 저분은 찐선생이십니다 저는 수학을 메가에 현우진쌤과 양승진쌤두커리를 다탔는데요 3등급여러분께 추천드리자면 아묻따 양승진쌤인것같습니다 현우진쌤은 못해도 80초이상이 안정적으로 나오시는분들이 들으시면 효과가좋지만 그밑에 성적을 가지신분은 효율이 그다지좋지않더라구요 내가 문제를 보고 어떤생각을 가져야할지 어떻게 접근을 시작할지가 가장중요한 시발점인것같아요

    • @정유나-o8e
      @정유나-o8e 2 года назад

      혹시 양승진쌤 무슨 인강 들으면 될까요ㅠ?

    • @여자진구
      @여자진구 2 года назад

      @@정유나-o8e 솔직하게 본인의 위치가 어딘지 알고 시작하는게 좋아요 현역이신가요?

    • @Sally-cs4om
      @Sally-cs4om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저도 현역 4등급 나오고 이번에 재수하게 된 학생입니다. 저도 양승진쌤 실전코드를 듣고있는데, 혹시 기출코드도 다 들으셨나요? 아니면 실코랑 기출하고 무얼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여자진구
      @여자진구 Год назад +1

      @@Sally-cs4om 저는 기출은 수분감으로 했지만 다시 돌아가면 기코할것 같습니다 기코실코 무조건 하시고 끝나시면 뉴런 킬코 드릴 연달아서 푸시면 될 것 같아요 근데 2정도가 안나오고 킬코 드릴 가면 조금 많이 허덕이실 겁니다 4규도 추천드릴게요 꼭 강조드리고 싶은 말씀은 기본에 충실하라입니다 실코와 기코는 한번보고 끝이아니라 최소3회독입니다 명심해주세요!

  • @Sjsjsjsjs99
    @Sjsjsjsjs99 2 года назад +6

    재수하면서 선생님이 제일많이 했던말이 도형문제 풀때 항상 역으로 설계하라고 했는데 그대로 체화시켯더니 도형풀면서 막힌적 한번도없움

    • @Akaps215
      @Akaps21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혹시 역으로 설계하는게 어떤 의미 일까요...?ㅠㅠ

  • @김정진-m2r8d
    @김정진-m2r8d 2 года назад +13

    안녕하세요 선생님! 작년에 선생님 수업 들었던 학생입니다! 갑자기 이렇게 쇼츠에 떠서 당황스러우면서고 반갑네요! 선생님 덕분에 수학을 더 재밌고 깊게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덕분에 성적도 올리고 자신감도 많이 얻었습니다! 감사했습니다!

    • @김재하-c2z
      @김재하-c2z 2 года назад +13

      김재하입니다.
      제가 기억하는 김정진이 맞다면 안양외고 학생이었겠네요~^^
      오랜만에 인사하니 반갑습니다.
      자주 이 채널에서 연락합시다.

  • @조재-d5o
    @조재-d5o Год назад +1

    재수할 때 문제에서 답이 무엇을 구하는지 확인하고 그걸 위해서 어떤게 필요한지 역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갑자기 떠올려서 수학은 항상 1등급을 받았는데
    몇년만에 유튜브에서 같은 내용을 보니 신기하네요.

  • @Premium_Mathematics
    @Premium_Mathematics Год назад +5

    3,4등급은 새로운 문제 앞에서 생각하는 훈련이 부족하고 포기가 빠른 것 같습니다.

  • @ONCE_NSWER
    @ONCE_NSWER Год назад +1

    진짜 딱 나다... 4점짜리 못건드리다가 건드려볼려고 하는데 그냥 내가 아는거 이것저것 다 해보다가 문제가 산으로 가버림...

  • @jsisisisissuisis
    @jsisisisissuisis 2 года назад +6

    이걸 재수 9모때 안게 내 레전드..
    삼수 수능 미적분 1등급 쟁취하자

  • @-_-OoO
    @-_-OoO Год назад +12

    미성년자 학생 때는 공부를 통한 성취 그러니까 목표의식이 없어서 공부의 이유가 없으니 해야 할 이유를 몰라 그냥 대충 살다가 대충 남들 가는 대학 와서 군대 다녀오고 철이 들고나니 더 좋은 곳을 가고 싶다는 욕심이 생겨 목표를 정하니 공부가 재밌더라고요 진짜 학생때 4~5시간 하던 게임 대신에 강의가 끝나면 밥 먹고 공부만 하게 돼고 선생님의 영상을 보며 내가 왜 3, 4 점 문제들을 왜 못 풀었는지 생각하면서 과거를 생각하니 참 후회가 들고 학생 때로 돌아가 다시 한 번 해보고 싶네요.. 요즘에 아무리 재밌게 공부하더라도 몸도 마음도 지쳐가고 힘들어지는데 어디 내 얘기를 속 시원하게 말 할 곳이 없어서 이렇게라도 씁니다..

  • @김성진-c9d4n
    @김성진-c9d4n 2 года назад +23

    분석법… 발견술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것이죠

  • @겨울이의본캐
    @겨울이의본캐 Год назад +1

    어디서부터 손대야될지 몰라서 이것저것 해보는게 왜 그런지 알아요? 선생님 말대로 구하라는거를 역으로 생각해서 필요한게 뭔질 생각해야하는데, 그걸 못해서 그래요… 어캐 아냐구요? 제가 딱 수능 수학 3등급이었거든요

  • @rossoneri1408
    @rossoneri1408 2 года назад +27

    수학이 나름 드라마틱한 과목이라 풀고 맞췄을때의 성취감이 맛있음

    • @Zeliton1
      @Zeliton1 2 года назад

      맛있다 ㅇㅈㄹ하네

    • @비상구-n2t
      @비상구-n2t 2 года назад +4

      ​@@Zeliton1 줜나맛있는데 ㅋㅋㅋ

    • @Zimmermann-0512
      @Zimmermann-0512 2 года назад +2

      @@Zeliton1 잘먹겠습니다~

    • @OREO_JJJANG
      @OREO_JJJANG 2 года назад +7

      그 맛이 너무 좋아서 한문제가지고 며칠동안 고민하다가 그 문제 딱 풀었을때의 그 쾌감은 와…있어본적도 없는 여자친구한테 뽀뽀받는 기분임

    • @lncosx
      @lncosx 2 года назад +1

      ​@@OREO_JJJANG ㅋㅋㅋㅋㅋ 수능은 그렇게 하면 안대용~ 멋있긴 한데 그런 습관은 별로임

  • @wecild7229
    @wecild7229 2 года назад +3

    수학은 모르는 문제를 대하는 태도에 따라서 등급이 갈리긴 함(문제를 애초에 적게풀면 의미없음)

  • @Promote-dish
    @Promote-dish Год назад

    진짜 ㅇㅈ... 내가 체감한 것과 같음
    하지만 우선 경험이 많아야하는듯
    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각함

  • @JohnSmith0627
    @JohnSmith0627 2 года назад +1

    물리 보니까 어떤 공식 적용해야하는지 머리가 멍해지는데.....답지보면 아 이공식가지고 푸는거구나 하는데 수학도 그런가.... 어떤 공식이나 방식이 기억이나면 활용해서 풀수 있는건가...

  • @born2581
    @born2581 Год назад

    지금 제가 딱 이느낌임 문제를 보면 어떻게 풀어야할지 막막한 느낌 이것저것 건드리다가 포기하거나 풀거나인듯...

  • @재현-l3w
    @재현-l3w 2 года назад +2

    중딩 때, 고1,2 때 미리 여러 문제들을 접해 보면서 처음 보는 문제를 이렇게도, 저렇게도 접근해 보면서 자신만의 논리, 풀이법들을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함.
    고3때는 이럴 시간이 별로 없고 상반기 때만 킬러 문제 푸는 연습을 하고 남은 기간동안은 실모 계속 풀면서 시간 관리 연습해야지

  • @pakkappap
    @pakkappap Год назад

    개인적으로 노베이스일때 기출문제 분석을 엄청했고 모의고사를 임하면 어디선가 봤다는 느낌이 있었는데 공부량이 쌓이면 쌓일수록 어디서 봤다는 느낌은 안들고 처음 본다는 느낌이 강해졌음. 근데 고정 1이 되어버립

  • @권동재-d4z
    @권동재-d4z 2 года назад +14

    ㅇㅈ 저생각 버리고 다풀어보니까 3등급만 나오던게 이제는 1등급 꼬박꼬박 나오는중 ㅜㅜ3학년때도 잘나왔으면

  • @na_m_e
    @na_m_e 2 года назад +1

    딱 맞네 내가 3~4등급일때 4점은 시작도 어캐하는지 모르겠고 4점문제풀어도 아는 유형내에서 나온 문제만 풀리고 좀만 꼬아도 못 푸는

  • @재현-s2f
    @재현-s2f 2 года назад +8

    이걸 깨달았을땐 이미 늦었더라구요 이젠 더 이상 입시 못해~

  • @도스토예프스키-j2e
    @도스토예프스키-j2e 2 года назад +8

    이미 난 늦었다
    용사들이여 일어나라

  • @user-xs7tx5dz9l
    @user-xs7tx5dz9l 2 года назад +1

    그게 가능했으면 3 4등급에 머물러 있지 안겠죠..
    저런거 생각해내는것도 결국 재능임..

  • @Suak864
    @Suak864 Год назад

    주말이라서 조금 늦게 일어나고 오늘은 쉴까.. 하다가 쌤 영상 보고 갑자기 공부하고 싶어져서 도서관 갑니다
    재하쌤 짱❤

  • @justmyway
    @justmyway 2 года назад

    다른 사람들이랑 똑같은 소리하는 영상일 것 같아서 별 기대 안 하고 봤는데 그런 영상들이랑은 차원이 다르게 옳은 이야기 같아요

  • @ftfhujoo9372
    @ftfhujoo9372 2 года назад

    이게 반은맞고 반은틀린게 수능에 풀다보면 풀리는문제가 꽤있음
    그냥 식의 모양비슷해서 이리저리 바꾸면 풀림 약간 국어의 출제자 의도파악하는것 같은 문제

  • @20000ho
    @20000ho Год назад +2

    아니. 그게 아니고 2등급 애들보다 공부 시간 및 학습량이 적음. 안 하니까 그렇게 나오는 거임

  • @램프의요정지니-u4f
    @램프의요정지니-u4f 2 года назад +1

    나도 뭐가 뭔지 모르는 상태에서 그냥 푸는데 뭔가 직관이라고 해야하나 그냥 이렇게 풀면 되려나? 하면서 1등급 나왔는데 물론 최상위로는 절대 못감.

  • @tanisal1699
    @tanisal1699 Год назад

    제가 6등급이었는데 34등급이라도 가려면 자신감이 좀 쌓여야 되더라고요. 그 자신감이 풀어봤던 문제 풀어봤던 유형이었고 이제 그 자신감을 바탕으로 다른 유형을 도전하게된 케이스

  • @kms2490
    @kms2490 Год назад

    자 푸는법 알려준다
    조건을 준다 생각을 해라 왜 줬는지
    정말 봐도 모르겠다면 모르는거다
    최대한 많이 정보량을 도출해내라
    결국 많이해봐야 늘긴함

  • @ily6485
    @ily6485 2 года назад +7

    문제 유형은 달라도 조건을 가지고 노는 방법은 대부분 거기서 거기인듯. 킬러 어니면 대충 조건간 결합 하다가 구하라는거 확인해도 쭉 풀리는 경우도 있음

  • @smo3118
    @smo3118 Год назад +4

    재수때 대부분 시간을 수학에 투자했지만 결국 4등급ㅋㅋ 아 옛날생각나네

  • @roy5290
    @roy5290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냥 넘길 쇼츠가 절대 아닙니다 중요한 본질이 다 들어가있습니다.

  • @hyeok708
    @hyeok708 2 года назад +14

    모둔 쇼츠 영상 다 보고 느낀건데 강의면 강의 말씀이시면 말씀 전부 다 너무 좋아요!
    이번 영상은 유독 느낀점이 많네요 문과 3등급이 목표인 학생인데 어떤 식으로 수학을 공부해야할지가 너무 막히네요..

    • @김재하-c2z
      @김재하-c2z 2 года назад +9

      김재하 입니다.
      강의내용이 마음에 들었다니 다행입니다.
      고맙구요~^^
      확률과통계 선택이고 3등급이 목표라고
      이야기하는것으로 보아
      짧은 소견이지만 개념적인 부분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보여집니다.
      우선 수능기준으로 2점3점이 완벽하게 만점이 나오는지 확인하시구요.
      수능에서 4점 문항은 13문항 배점은 52점입니다.
      이걸 제외한 17문항 2점3점 배점이 48점이지요.
      우선 48점이 완벽한지 검증하시구요
      저 17문항이 최대 30분안에 풀수있고 검토까지 끝나는지 검증하세요.
      그리고 4점유형은
      9번에서 13번
      20번 21번
      28번 29번
      이 문항중에 몇개를 맞추느냐의 싸움입니다.
      위의 언급한 4점 문항은 영상에서 이야기하는
      변형이 심하지 않은 유형들입니다.
      즉 훈련을 통해 충분히 맞출수 있다는 뜻입니다.
      단기에는 ebs 수능특강 기준으로 2단계 수준의 문제 난이도에 대한 반복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댓글로 최대한 답변을 달려고 노력했지만
      한계가 느껴지기는 하네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힘내시구요..~~
      좋은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 @hyeok708
      @hyeok708 2 года назад +1

      @@김재하-c2z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 점수는 6월 모의고사 68점 9월 모의고사 64점우로 5~4등급에서 멈춰있습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신대로 3점 문항에서 실수로 매번 1개정도 나가고
      10번부터는 문제가 많이 어렵다 느껴져서 제 행동강령이 아니라 그냥 무작정 계산시도 해보고 틀리는 그런 학생입니다 선생님 말씀대로 ebs 교재로 연습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정말 한가지 궁금한점이 있는데 확률과 통계에서 시간은 몇분 정도 잡고 가는게 이상적인가요?
      제가 유일하게 자신있어하는 부분이여서 확통에서는 촤대한 많은 점수를 가지고 오고 싶어서요!

    • @김재하-c2z
      @김재하-c2z 2 года назад +2

      확통에 자신이 있고 수1수2에서 상대적 부담을 느낀다면 확통 8문제는 20분안에 풀어내는 훈련을 하셔야합니다~^^
      힘들겠지만 시도해보시기를~^^

    • @쭌-q8h
      @쭌-q8h 2 года назад

      @@hyeok708 확통 3이 목표라면 절대적으로 수학 공부시간을 늘리시는걸 추천합니다 공부시간이 부족한거같네영

  • @user-o8jf68ut6g3g
    @user-o8jf68ut6g3g Год назад

    와 ㅁㅊ 난 수십년?에 걸쳐 터든한 방법을 10초만에 설명해주시네 ㄷㄷㄷ
    교과서에 충실합시다

  • @김의민-u4d
    @김의민-u4d 2 года назад +9

    시간관리 팁좀 알려주실수 있나요?
    실모 중에 못푸는 건 거의 없는데 4점문항이 5~10분정도로 풀려서요..ㅠ
    150분 정도 잡으면 96~100 나오는데 90분 정도 잡으면 80정도 나옵니다. 최대한 시간안에 다 풀고싶어요 제발 ㅋㅋ
    최근에 2,3점 문제들(1~8,16~19,23~27)만 모아서 실수없이 빨리 푸는 연습도 하고있습니다. 15분 안쪽이 목표입니다.

    • @ojuzhu
      @ojuzhu 2 года назад +2

      150분에라도 96~100나오시는거 대단하세요. 집중력이 좋으신가봐요ㅠㅠ

    • @오락
      @오락 2 года назад +4

      ㄹㅇ 저도 풀리긴 다 풀리는데 시간때메 점수가 안 나옴..

    • @jtko8417
      @jtko8417 2 года назад +48

      같은 고민을 했던 수학 현역 5등급 재수 100 맞고 대학온 대학생(졸업예정?)입니다. 누군가 나에게 현역 때 얘기를 해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떠오르게 해서 몇개 적고갑니다.
      문제를 보자마자 끄적이지 말고 문제를 읽고 머리속에서 흐름을 먼저 잡고 들어가는 연습 한번 해보세요. 150분에 만점가까이 나오는건 대부분의 문제를 풀면 풀 수 있는 베이스는 튼튼한 친구같은데, 수능은 모두가 알다시피 시간을 제한하는 시험입니다. 4점짜리 문제들을 풀다보면 '이게 맞나' 싶을 정도로 문제를 풀면서 산으로 가다가 정답이 기어코 나오는 경우, 혹은 그래프를 이것저것 그려보다가 어설프게 답으로 난 길을 찾아가는 경우가 많을거에요.
      수능까지 시간이 없으니 실모 혹은 기출 세트로 연습한다는 가정 하에 한 회차를 95분 혹은 90분 내로 설정하고 풉니다. 풀 수 있는 문제를 푼 후에 시간이 끝나면 못푼건 과감히 틀렸다고 채점을 하세요. 채점 후에 연습을 하는걸로 하죠. 4점짜리 문제를 펜을 놓고 바라보는 연습을 하세요. 미분 문제를 예로 들면,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3차함수이다.' 라는 첫문장을 보고, 두가지 생각을 할 수 있겠죠. 첫번째는 y=x³+ax²+bx+c 혹은 y=(x-a)(x-b)(x-c)로 놓을지에 대한 생각, 두번째는 3차함수인데 미분해서 0 혹은 하나만 있는 증가만 하는 함수개형일까 혹은 극대극소가 존재하는 일반적 3차함수개형일까 라는 고민이죠.
      기출에 넉넉한 시간을 투자했다면 첫번째 생각의 전자는 거의 없다는 걸 알고 있을테고, 두번째 생각의 전자도 거의 없다는 걸 알고 있을겁니다. 음, 다른 예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3차 함수와 오직 한점에서 만나는 직선 y=mx에서 m의 범위는 m

    • @deadcelebrities
      @deadcelebrities 2 года назад

      @@jtko8417 정성 ㄷㄷ

    • @Water_drop.
      @Water_drop. 2 года назад

      ​@@jtko8417 지나가던 학생입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읽으면서 제가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또는 고쳐야하는지 많이 깨달았네요. 정성이 담긴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 @정주안-k8d
    @정주안-k8d 2 года назад

    진짜 이것저것 해본다에 극공감합니다 내가 그랬거든요

  • @yougosu
    @yougosu Год назад

    기벡 공간벡터 29번 문제를 타원곡선 미분으로 풀어본 사람으로서 조언드립니다
    해설지에 실려있는 답은 해설지에 실린 이유가 있는겁니다 신기하게 풀지 마세요 그럼 저처럼 신기한 대학 옵니다

  • @이영진-r6t
    @이영진-r6t Год назад

    이 문장은 틀렸어요. 못본문제가없어야 공부 제대로 한겁니다.

  • @seok3d
    @seok3d 2 года назад +2

    문제풀이의 논리.
    구하고자 하는것에서 출발해서 역산으로 필요한게 무엇인지 찾는다.

  • @stephenjo6033
    @stephenjo6033 Год назад

    3,4등급 특징이 무의식적으로 외워서 생각도 안하고 기계적으로 풀죠.

  • @화랑이닭
    @화랑이닭 2 года назад

    보물섬 김동현님 수학 잘하시네요

  • @user-ys6gt5le2j
    @user-ys6gt5le2j Год назад +1

    머리 안좋을수록 자신만의 행동강령 세워서 논리적으로 풀어야됨 ㅋㅋ

  • @rakenzarnsworld2
    @rakenzarnsworld2 2 года назад +127

    운 좋으면 2컷까지 올라가는데
    운 나쁘면 4컷까지 떨어짐

    • @user-iu9oq2de4w
      @user-iu9oq2de4w 2 года назад +6

      와 ㄹㅇ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턱걸이뜨거나 보통 3~4뜸

    • @holllllaaa
      @holllllaaa Год назад

      완전 저랑 똑같은데 이렇게 되면 등급을 안정적으로 맞을라면 뭘 해야하나요?

  • @dodgekim8639
    @dodgekim8639 2 года назад +2

    수학은 기초없으면 모래성임. A or F

  • @amusic7599
    @amusic7599 2 года назад

    보물섬 강민석님이 왜 여기 계시지...

  • @rakenzarnsworld2
    @rakenzarnsworld2 2 года назад

    미분도 해 보고, 적분도 해 보고, 수열의 합도 구해 보고...

  • @chan_soo0519
    @chan_soo0519 Год назад +1

    3~4등급이라도 받고 싶다..😂😂

  • @xsomult7829
    @xsomult7829 Год назад

    걍 정승제도 말했던 유형암기식 공부가 문제인거임. 생각하는 훈련을 안함

  • @순무-o9z
    @순무-o9z 2 года назад +2

    정말 제 얘기에요. 고1이고 수학 3~4등급이고 아는 문제면 빨리 풀어내려가는데 처음 보는 문제면 아예 감을 못 잡고 막 하다가 시간만 흘려요. 구하는 답으로부터 역산한다는 게 3~4등급으로써 잘 안 와닿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 @피루-l5j
      @피루-l5j Год назад +4

      문제 하나 하나씩 읽어보면서 조건을 찾는거죠 무엇을 구하라~ 고 말했으면, 앞에 문제를 읽으면서 그 ~을 구하기 위해서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찾아보고 구하는거죠
      아님 처음 할 때는 왜 이런 조건을 줬을까 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고등 수학으로 따졌을때
      '미분가능할때' 이런 말들 있잖아요 그런 조건을 왜 줬을까? 이게 답을 구하는데 어떻게 써먹으라고 준거지? 아님 이 조건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는게 있나? 이런식?

  • @iwamd1180
    @iwamd1180 2 года назад +1

    ㄹㅇㅋㅋ 킬러문제 나오면 좀 얼타다가 마구잡이로 품 ㅋㅋㅋㅋ

  • @황현준-o5n
    @황현준-o5n Год назад

    왜 지금 나타셨나이까... 4년만 더 일찍 나오셨다면...!!

  • @goredgo7456
    @goredgo7456 2 года назад +5

    졸업한지 오래됐는데 뭣때문인지 인강영상이 계속 뜨네요 갓만에 추억이 돋네요
    저는 4번 문제 다 버리고 2,3점 다 맞춘다는 마인드로 풀어서 저는 2등급이 나왔었네요
    요즘 난이도가 어떤지 모르지만 소위 라떼는 70후반이 1등급컷이라 4점 운좋게 하나인가 맞으니 2등급 상위권이 되더라고요
    본인이 4점문제 중에서 창의력 요하는 거 풀만 한 재능이 안된다 그러면 그런거 버려도 2등급은 나와요 그리고 4점포함 창의력 필요없는 단순기출변형 문제들이라도 온전하게 푸는 사람비율? 아마 라떼나 지금이나 그게 그거일겁니다 왜냐면 그때나 지금이나 상대평가니까요
    남들 어려운 문제 붙잡고 씨름할 시간에 아는거, 공부한 데서 나오는 거 실수 안 하면 상대적으로 더 이득입니다
    문제 읽고 3분이 지나도 방법이 떠오르지 않는다 다른 문제 다 풀고 왔는데 또 3분생각했는데 모르겠다 하면 그냥 두고 다른 거 검산하세요 그게 나아요
    막 기출문제 몇번보고 아 이렇게 푸는구나 실전에 나오면 이렇게 풀어야겠네 이건 사실 착각입니다 시험장에서 그런 문제 풀 수 있다면 이미 1등급이고 이 글을 읽고 있지 않겠죠?
    솔직히 살면서 느낀건데 공부는 재능영역이에요 각자의 한계가 있어요
    본인이 3,4등급이라면 시험에 2~3개 나오는 소위 킬러 문제들에 골머리 앓지 말고 그동안 열심히 공부했던 거 아는거 안틀리고 풀 수 있게 연습하는게 현명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는 반복숙달이 제일 중요하다고 봐요
    이상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었고요
    금방 수능을 보게 되는 분들 모두 원하시는 점수 받을 수 있도록 화이팅!

  • @mspace44
    @mspace44 2 года назад +12

    수학은 문제를 보고 푸는 과정을 생각해낼 수 있어야한다. 절대 외우는게 아니다.

  • @oqpqpqpo
    @oqpqpqpo 2 года назад

    구독했습니다

  • @mafia42mamily
    @mafia42mamily Год назад +1

    고2 9모때 4등급 턱걸이후 5등급으로 추락

  • @user-o8jf68ut6g3g
    @user-o8jf68ut6g3g Год назад

    교과서 개념이 중요합니다

  • @정정훈-y2u
    @정정훈-y2u Год назад

    삼등급이었는데.. 당황 마구잡이.. 딱 나네ㄷㄷ

  • @성이름-s7x7t
    @성이름-s7x7t Год назад

    진짜 너무너무 공감되네
    근데 그걸 알면 뭐하니 나이가 20후반인데

  • @user-kt9kw9uk9m
    @user-kt9kw9uk9m Год назад

    내가 그랬음 특히 14번? 증명문제인가랑 16번큰그림문제 알면 맞추고 모르면 찍고

  • @Seongjae139
    @Seongjae139 Год назад

    내가 이걸 현역때 알았어야했는데 ㅜ

  • @박상현-g8b6f
    @박상현-g8b6f 2 года назад

    딱 생각 안하고 유형만 외워서 나온 성적
    근데 반 3등 정도면 3등급 인서울 힘든 성적

  • @마조린
    @마조린 Год назад

    내가 이걸 고등학교때 봤으면 좋았을...

  • @22학번-k7g
    @22학번-k7g Год назад

    난 이거때문에 수능수학 포기하고 내신만 팠지…

  • @tpqmsxls0526
    @tpqmsxls0526 Год назад

    아니 딱 저네요..

  • @machine9722
    @machine9722 2 года назад +8

    와 진짜 좋은말이다

  • @xxddavid6760
    @xxddavid6760 2 года назад

    저는 좀 특이한건가 마지막 계산실수로 2-3문제 틀리는 덤벙이라서요 뭐 다 구하고 2+3=4 이런식으로 10점 날려먹음요

  • @호돌이-q3g
    @호돌이-q3g 2 года назад

    수년 전 나의 얘기군 ㅋㅋㅋㅋ 이해없이 기계식으로 공부하면 잘하면 3 좀 어려우면 4-5찍음

  • @deitydeity201
    @deitydeity201 2 года назад +3

    와 내가 4등급인 이유가 있었구나…
    그래서 잘풀릴땐 2등급이라 2등급 뜨길 기도했었는데 역산은 생각도 못했네ㅋㅋㅋ

  • @선용팍
    @선용팍 2 года назад

    이걸 10년만 일찍봤어도...

  • @준-h5q
    @준-h5q 2 года назад

    어떻게 풀지? 호오~ 요망한 문제
    가 아니라
    어디서 봤지? 호오~ 두뇌야 찾아라
    가 되니까 안풀리는거임 ㄹㅇ

  • @크림버거
    @크림버거 Год назад

    맞는 말씀

  • @junmoyang6282
    @junmoyang6282 Год назад

    공부량이 부족하면
    성적 안나온다는 의미입니다.

  • @둥글우렁옥수수녹차
    @둥글우렁옥수수녹차 2 года назад +5

    다음엔 5,6등급에서 못 벗어나는 학생 특징 찍어주세요!

    • @velvet2915
      @velvet2915 2 года назад +18

      5, 6등급을 못벗어나면 일단 공부를 안하는거임 하고있다고 착각하거나

  • @상남자-j1k
    @상남자-j1k Год назад

    진짜 정확히 나네ㅠㅠ

  • @sfxdxfxconst.971
    @sfxdxfxconst.971 2 года назад +8

    '난 항상 극상위권이었어요 어떻게 해야 1등을 할지 정확히 알고 있었어 단한번도 2등을 해본적이 없어요 모르는걸 공부해야돼 그래야 성적이 오르는거야' -현우진

  • @Yearnin_25
    @Yearnin_25 2 года назад

    1등급: 킬러 연습만 해도 충분
    2등급: 킬러가 문제
    3등급: 어3쉬4가 문제
    4등급: 3점 잘 못맞힘
    5등급: .....여긴 모르겠음

  • @노현우-b5n
    @노현우-b5n 2 года назад

    어느 강사나 예전부터 역설했던거지만 이걸 못 하는 애들은 계속 못 하게 된다는 ㅋㅋ

  • @leoteacher3607
    @leoteacher3607 2 года назад

    영어 어법도 마찬가지. 다배운건데 겁부터먹음.

  • @독영뚜뚜
    @독영뚜뚜 Год назад +1

    ㄹㅇ 적용을 못해먹음 ㅠㅜ

  • @나야나-v9v
    @나야나-v9v Год назад

    맞지...이거지..

  • @user-xm5hk1tn5l
    @user-xm5hk1tn5l Год назад

    1등급인데 나다 싶으면 들어라
    본인이 23등급인데 시험 끝나고 나서
    다시 한번 보면서 아는거였는데
    실수했네 하면서 멋대로 10점씩 올리며
    '난 원래 이점수야' 이러는 애들있는데
    수능도 그지랄하고 ㅈ되지 말고
    제발 실수 줄이는 연습좀 해라

    • @user-xm5hk1tn5l
      @user-xm5hk1tn5l Год назад

      내 친구 얘긴데 말해줘도 못알아처먹어서
      혹시나 싶어서 쓴글임
      제발 아는거 다풀고 딴거 도전하셈
      모르는게 많으면 걍 니가 공부 안한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