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만 30년 동안 연구했습니다. 공부 속도가 느리다면 이게 답입니다 (박문호 박사 3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97

  • @이한수-h9c
    @이한수-h9c Год назад +1339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1. 상황의 힘
    -> 외울 수 있는 시간이 적으면 더 잘 외워짐.
    -> 걷거나 달리면서 외우는 것이 좋음.
    2. 질문의 힘
    -> 가장 좋은 하나의 질문이 뭔지 생각해보기
    -> 뭐가 중요한지 스스로에게 계속해서 질문하는 것이 좋음.
    3. 절차의 힘
    -> 최종 목표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서 해야 하는 일이 무엇인지 알아야 함.
    (ex 최종 목표 : 좋은 작가 되기 / 최소 단위 : 글 써보기)
    -> 전문가가 되기 위한 최소 단위를 계속 수행하다 보면 발전할 수 있음.

  • @김현정-q8b2o
    @김현정-q8b2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 @vivekakim
    @vivekaki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질뭉은 타인한테 하는 것이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하는 것이다!”
    멋진 명언입니다! 철학적인 명제이기도 하지요!

  • @해와달-n3s
    @해와달-n3s Год назад +27

    뇌를 잘쓰는 방법 1.상황의 힘-수영을 배우고 싶으면 물에 던져놓으면 살기위해배운다(해병대방식), 걷을때 기억이 잘 된니 걸으면서 암기, 샤워할때 잘 외워지지않는거 3개정도 가져가 외워라 2.절차의 힘 - 최소단위부터해라 (작가가되려면 타자부터 두드려라),최소절차 부터 하다보면 자가발전을한다 3.질문의 힘-가장 많은 정보를 얻을수있는 질문을해라(그도시의 인구는?),나에게 질문하는게 고수다 뭐가중요한데?? (매순간 상황마다 한가지 뭐가중요한지를물어봐라) 4.기타-창의성은 결과로써온다(즉 많은 양의 암기가 머리속에 되어있어 즉각즉각 사용할스있는 수준이 된다면 그때서 그 지식들을 자유자대로 사용하면 창의성을 만든다는 말인듯)

  • @atin83
    @atin83 Год назад +181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1. 절박한 상황으로 몰아넣어라 (환경을 만들어라)
    2. 스스로에게 질문해라
    3. 일을 할때 최소단위부터 찾아서 바로 시작해라, 너무 멀리보고 하면 안된다.

    • @희망-t2e
      @희망-t2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나를 아는 것이 최고의 지식이다. 이 말은 100번 넘게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2. 신이 있나 없나는 개인의 생각과 신념에 달려있다.
      3. 학교폭력은 녹음기로 녹음해서 고소하면 된다.
      4. 운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엄청 몰입해서 노력해도 결과가 엄청 안좋을 수도 있다,
      5. 공부 습관이 잡혀있지 않다면 그냥 포기하라. 공부 습관을 잡는 데만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6. 책 출간하면 어디 대학이든지 가능하다,
      7. 내신(학교 시험)이 수능의 기초다. 내신 절대 포기하지 말라! 해외대학에 갈 때, 쓰이는 바탕 자료가 학교 시험이기 때문이다.
      8. 몇 년간 다른 사람 페이스북 프로필을 계속 보고 있었다. 참고로 그 이전에 과거에 막 심하게 괴롭히고 학교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막 때리기도 했었었다. 그렇게 내가 말을 걸었다. OO야, 너 나 괴롭혔던 거 반성하니?

  • @김재우-z8x
    @김재우-z8x Год назад +15

    샤워할 때 기억하기 힘든 거 3가지 외우기를 한 번 실천해봐야겠습니다. '뭐가 중요한데?'를 스스로에게 묻는 질문의 힘, 지금 할 수 있는 것(최소단위)을 찾아가는 절차의 힘, 상황의 힘을 잘 기억하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rkrkrkrkrk99
    @rkrkrkrkrk99 Год назад +347

    1. 상황을 극단적으로 만들것(ex.제한시간)
    2. 시시각각 자기자신에게 질문할것(ex.그래서 요점이?)
    3. 목표의 가장 최소단위부터 찾아서 집중할것
    4.

    • @쨈쨈-f8n
      @쨈쨈-f8n Год назад +2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큐 4번도 정리해조요

    • @9h799
      @9h799 Год назад +24

      ㅋㅋㅋㅋㅋㅋㅋ4번은 없는게 웃기네요 ㅋㅋㅋㅋㅋㅋ

    • @cyy756
      @cyy756 Год назад +18

      형 돌아와 4번이 없어 ㅠㅠ

    • @SHKim-wk3eb
      @SHKim-wk3eb Год назад +9

      4번 갑분 지구과학... 쌤 졸려요~

    • @태석이-h5q
      @태석이-h5q Год назад +1

      ㅠㅠ 따흑

  • @中庸-u6h
    @中庸-u6h Год назад +83

    박사님 말씀대로 절박해야 시간 효율이 잘 나오죠..
    그래서 저도 시험기간에 항상 벼락치기로 시간에 쫒기는 스릴을 즐깁니다

    • @young812
      @young812 Год назад +3

      이건 중학교 때까지만 통해요.

    • @명지운-w5y
      @명지운-w5y Год назад +4

      ​@@young812대학교 2학년까지는 통합니다...

    • @young812
      @young812 Год назад +3

      @@명지운-w5y 고등학교때도 통한다는 건 아이큐 최상위권이거나 공부를 못했단 얘기에요.

    • @grape100
      @grape100 Год назад +18

      성인되어서도 통합니다 걱정마세요 아가들

    • @hjjang504
      @hjjang504 Год назад +12

      시간에 쫓기는건 인생의 진리입니다 ㅋㅋㅋ

  • @새봄-q9t
    @새봄-q9t Год назад +30

    그냥 박사님이구나 했는데 칠판에 지식을 펼쳐보여주시니 또 다르게 보이시네요 대단하십니다

  • @ppro496
    @ppro496 Год назад +454

    돈을 내지 않고도 이런 질적이고 수준높은 강의를 들을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하네요. 세상이 참 좋아졌어요.

    • @해성-g3s
      @해성-g3s Год назад +4

      어디는 한과목에 75000원 받던데 심지어 step2까지 있음

    • @도다두로
      @도다두로 Год назад +3

      ㅋㅋㅋ... 한편으론 슬프네요 좋아하는 일이 아닌 억지로 효율적이게 학습하는 법을 고맙다고 배우고 있으니

    • @박경희-e1t
      @박경희-e1t Год назад +6

      ​@@도다두로좋아하는 취향도 결국은 공부의 결과물입니다~

    • @나-q6r9i
      @나-q6r9i Год назад +4

      ​@@도다두로그런데 다르게 보면 좋아하는걸 더 잘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요

    • @Everything1906
      @Everything1906 Год назад +2

      ​@@도다두로관심이 있으니 학습하려는거죠

  • @노고단-j3i
    @노고단-j3i Год назад +59

    어린 나이에 이런 영상 접하는 분들 부럽네요. 중년에도 망치로 맞는 기분이고 이제라도 접하게되서 감사합니다.

    • @절유-w9j
      @절유-w9j Год назад +1

      재복항 시스?

    • @이소망-g7l
      @이소망-g7l Год назад +2

      저도 중년인데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ㅎ

  • @flower2241
    @flower2241 Год назад +15

    너무 좋아요. 박사님 강의 찾아 듣고 있어요. 박사님 강의 들으면 가슴이 뛰어요.

  • @ejung620
    @ejung620 Год назад +54

    늘 찾아서 챙겨보고있습니다.
    존경합니다 박사님.좋은강연을 이렇게 쉽게 들을수있다니요

  • @JS-li7yo
    @JS-li7yo Год назад +30

    어릴때는 단어에 대하 간과했었는데 박사학위 심사준비하면서 단어만큼 중요한 게 없다고 느껴집니다. 명백하고 핵심적인 키워드를 잘 받아드리고 제시하는것만큼이 중요한게 없는거같습니다.

  • @uwusjxajx
    @uwusjxajx Год назад +73

    아이들 키우면서.. 창의력을 키워준다는 놀이, 학습이 많고.. 공부, 암기는 죄악시 여기는 것에 점점 의문을 가지게 되었어요. 어떻게 공부, 암기없이 질문이 생기고, 토론 수업을 하고, 창의력이 생긴다는 거지????? ㅡ이제 박사님 말씀듣고 드디어 마음이 후련해 집니다~~~~♡♡♡ 감사합니다 ~~!!

    • @user-kz5ld6ms2z
      @user-kz5ld6ms2z Год назад +3

      동감여요...

    • @merry_view
      @merry_view Год назад +3

      국어강사 입장에서 부모님들의 이런 깨달음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도 읽어보시길 강력 추천해요!😊

  • @book-l6o
    @book-l6o Год назад +38

    1. 절박한,긴급한 상황
    2. 내게 질문 -> 뭐가 중요한데?
    3. 최소단위 찾기

  • @samdo57214102
    @samdo57214102 Год назад +12

    암기와 창의성의 관계를 이렇게 쫀쫀하게 연결해주시다니 - 저의 편견을 깨주시는 명강의 감사합니다. -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니 인지기능과 정서적인 부분의 통합적 노력은 큰 결과를 이끄는 것은 알지만 설득력있게 설명하는 것이 박사님이어서 가능한 듯 합니다. - . 결정적 지식의 중요성을 반복, 통찰력있는 논리성 과 창의성은 전문가수준으로 마무리 - 훌륭하십니다.

  • @blueny0
    @blueny0 Год назад +18

    결정적 지식의 결론은 전문가용 창의성이군요. 큰 깨달음 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사님!

  • @SHCH0913
    @SHCH0913 Год назад +21

    전하중하 인수분해 저 두 개념이 지구과학에 필요한 걸 알았다면 지구과학 공부를 했을텐데 ㅠ
    단순히 외우는 학문이 아니구나
    다시 한 번 우주가 대단하다고 느껴지네요
    저 모든 것이 결국 수학적으로 풀 수 있네 ㄷㄷ

    • @goldirak
      @goldirak Год назад +4

      (전하중화 ^^) 핵심을 짚으신 게 대단하십니다!

  • @globalmagicyoon
    @globalmagicyoon Год назад +4

    최고입니다 팬이예요❤

  • @whale_in_purple
    @whale_in_purple Год назад +9

    허허허허허허...대단하십니다. 웃음만 나올 뿐입니다. 학생때 이런분을 만났다면 배움이 조금 더 흥미롭게 느껴지지 않았을까 생각이 듭니다.
    박사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

  • @성뉴진
    @성뉴진 Год назад +18

    7:45 세가지 훈련 > 요점파악에 유리 > 결정적 지식을 빠르게 얻음

  • @ohreumkang5857
    @ohreumkang5857 Год назад +25

    창의성은 전문가용 지식이다… 통렬하게 공감합니다

  • @택배왔어요-z8r
    @택배왔어요-z8r Год назад +4

    너무 좋아. 아껴두고 계속 들어야지 감사합니다

  • @stellalee1760
    @stellalee1760 Год назад +94

    공부의 즐거움을 일깨워 주시는분! 존경합니다 박문호 박사님 ❤

  • @Jiungshin6
    @Jiungshin6 Год назад +2

    18:50 대칭화 모듈화 순서화
    Symmetry Module Sequence

  • @wonjoy8157
    @wonjoy8157 Год назад +4

    창의력도 암기지식 베이스가 있어야 더 크고 넓게 펼칠 수 있는거죠.
    모든 지식이 마찬가집니다.
    기본 지식은 암기하거나 암기수준으로 숙달하고 있어야 그 다음 고도의 지식을 이야기 할 수 있는 거죠.

  • @정해정-w5b
    @정해정-w5b Год назад

    09:47 경고!
    화학에서 산화수 개념과 최외각 전자수에 대한 지식이 없으신 분들은 이해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주기율표를 옆에 펼쳐놓고, 보시면 가능할 것 같네요.
    H Li Na K 같은 1족은 산화수 +1
    Be Mg Ca 같은 2족은 산화수 +2
    단 C와 같은 아이들은 +4 일 때도 있고, -4일 때도 있습니다.

  • @user-poetry_books
    @user-poetry_books Год назад +70

    두뇌 활성화 방법3가지,
    명심하겠습니다
    (질문의힘, 절차의 힘, 상황의힘)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 @workdtreex
    @workdtreex Год назад +38

    박문호쌤만 나오면 저절로 몰입😮 열정적 강의❤

  • @winhi9362
    @winhi9362 Год назад +18

    이런 분이 계셔서 우리나라의 미래는 밝습니다.

  • @llollapalooza
    @llollapalooza Год назад +4

    대체 내가 뭘 본거지..?!
    정말 ㅁㅊ 강의였다
    12년동안 학교에서 베운것보다 질적으로 수백배 더 나은 강의다.. 어릴때 이런 강의를 접했더라면 공부를 더 재밋게 열심히 했을것 같다..

  • @삐약삐야
    @삐약삐야 Год назад +7

    13:18 이부분부터 핵심기억은 3가지뿐이라고 얘기해주셨는데 좀 더 쉬운 예시도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오만-s5q
    @오만-s5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이 강의 공부법 덕분에 기능사 시험 3개 한달만에 합격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 @착한사람-o1e
    @착한사람-o1e Год назад +23

    저도 암기의 필요성을 느낍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garden8531
      @garden8531 Год назад +1

      진리 주입의 중요성이죠~^^
      주입은 중립~
      진리주입[좋은 것]
      거짓주입(=세뇌)[나쁜거]
      주입은 나쁘다는 명제
      또한
      흑백논리~^^
      흑백논리는 나쁘다도
      흑백논리~
      가치는 대부분 흑백논리
      그럼 가치는 나쁜거????🤣🤣🤣

  • @포뇨-e4g
    @포뇨-e4g Год назад +73

    다른 영상들은 틀어놓고 다른일을 하면서 듣기도 했었는데 박사님말씀은 한마디도 놓칠수없어서 정말 집중해서 들었습니다.😊

  • @이정욱-v6n
    @이정욱-v6n Год назад +3

    머리 한대 맞은거 같네요 이런 설명은 처음 들어보는 흐름이었어요.. 얼마나 많은 책을 읽고 많은 정보를 머리로 정리하셨는지 안봐도 알 수 있었습니다

  • @kim-jm1rc
    @kim-jm1rc Год назад +30

    이런 명강의를 유튜브로 볼 수 있다니 영광입니다😊

  • @smlnw
    @smlnw Год назад +7

    오!! 너무 재밌어요! 과학이 이리 재밌고 중요했다니 오마이 사이언스

  • @GG-qh1vp
    @GG-qh1vp Год назад +31

    요즘 제일 존경하는 박사님.

  • @햇살아래-b3u
    @햇살아래-b3u Год назад +47

    그 어려운걸
    간단하게 정리해주셨어요.
    이로움을 널리알려
    세상을 이롭게하는 지식
    지금 교육이 반드시 배워야 할 과목입니다.
    공부법
    지금이라도 이 영상을 보게된게 행운입니다.
    박사님 감사드립니다.

  • @승리야-q6n
    @승리야-q6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생님 감사합니다
    저는 굉장히 창의적인 사람입니다
    기술특허만 20여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학교는 초졸이 전부입니다
    그래서인지 항상 제 자신이 난해하고
    그랬는데
    선생님 강의 들으니 정리가 되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가늠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봄봄-w6d
    @봄봄-w6d Год назад +4

    아이때문에 듣고 있지만 엄마인 저도 필요한 강의였네요 감사합니다 ❤

  • @user-qv3nk8mw4g
    @user-qv3nk8mw4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 상황의 힘: 긴박한 상황을 조성하여 암기
    2) 절차의 힘: 최종목표를 이루기 위한 최소단위 수행
    3) 질문의 힘: 최소의 질문으로 최대의 정보, 결정적 지식 찾고 암기

  • @sshin166
    @sshin166 Год назад +77

    와.. 저 결정적 지식을 얻고 쉽게 설명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얼마나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하셨을지..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권대진-k7h
    @권대진-k7h Год назад +8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마지막은 어려워서 😅 감사합니다~!

  • @youlinmaker
    @youlinmaker Год назад +3

    우와….. 결정적지식을 찾아낼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네요.

  • @titbd1597
    @titbd1597 Год назад +20

    창의성은 초등학생용이 아닌 전문가용인게 인상에 많이남네요 감사합니다

  • @유미서-l9l
    @유미서-l9l Год назад +6

    몇 일째 박사님 영상 너무너무
    열심히 시청하고 있습니다.
    계속 보면서 암시중이고 실천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정승자-o1u
    @정승자-o1u Год назад +6

    박사님, 감사합니다.
    명쾌한 설명 👍 👍 👍

  • @MaartsFeather
    @MaartsFeathe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가장 큰 위기 때 가장 큰 기회가 오는 것 처럼.
    하지만, 한정된 시간 안에 방대한 량의 지식 암기를 요할 때는 책상 앞에서 할 수 밖에 없지. 그 때는 앉아서 최대한 암기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이 있음.

  • @Koreandoitnow
    @Koreandoitnow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저 놀랍습니다.박사님이 초중고 교과서 만들어 주세요

  • @발바닥공작소
    @발바닥공작소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거의 불교에서 이뭐꼬? 에대한 질문에 답을 찾기위해 집요하게 공부하는 과정하고 다를게 없구나하는 생각이 드는구먼요.암튼, 100% 공감합니다.은퇴후 무료한 시간을 계속 공부하면서 중요내용을 A4용지에 subnote를 했는데 그것들이 책처럼 쌓여지는걸 보면서 혼자 조용히 흐뭇해했었는데, 박사님 영상을 보면서 은근히 구체적 목표가 생기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앞으로 바쁜 노년을 즐길 수있을것 같네요.세상엔 참으로 뛰어난 고수가 있구먼요.감사합니다.동기부여를 해줘서---

  • @icheonlover9733
    @icheonlover9733 Год назад +17

    그런데 계속 잘박한 상황을 만들다가 불안해지고 우울해지는 역효과 주의하기

    • @박군-o8k
      @박군-o8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저는 너무 절박하니까 공황장애오더라고요

    • @꽁냥이타임
      @꽁냥이타임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박군-o8k

  • @Yujin5283
    @Yujin528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마감시간과 같은 제한시간.
    질문. 특히 나 자신에게. ‘뭐가 중요한가?’ - 요점을 인지하고 본질로 돌아가게 함. 질문은 최소로, 많은 횟수로, 나와 정확한 매체에게.
    최소단위에 집중. Ex) 글쓰기. 글 잘 쓰는 작가가 되는 것은 최대단위로, 최소가 이뤄져야 최대가 이뤄짐(즉, 능력 향상)
    기억이 돼야 창의성이 이루어짐.
    위의 자세는 본질적 내용을 들여다 보는 힘이 됨.
    질문, 최소단위, 제한시간, 기억

  • @kevdem846
    @kevdem846 Год назад +4

    어떻게 알고리즘에 떳는지 모르겠는데.. 인터뷰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함니다
    엄청나신 분이시네요
    돌려보며 잘 습득하겟슴니다

  • @haewon7777
    @haewon7777 Год назад +3

    예시를 빅히스토리적 관점에서 설명하시는거같네요!!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 @박은화-y3o
    @박은화-y3o Год назад +2

    너무나 좋아요😊

  • @plenete
    @plenete Год назад +5

    천재신데요,, 간단하죠? 라고 말씀하시는데.. 안 간단해요 ㅎㅎㅎㅎ 선생님..

  • @akonplayer1819
    @akonplayer1819 Год назад +15

    미쳤다 박사님 최고

  • @유유-v4s2n
    @유유-v4s2n Год назад +2

    어렸을때부터 질문이 너무 많아서 저 스스로가 힘들었어요. 아무도 미적분이 뭔지 왜쓰는건지 어떤 증명을통해서 미적분이 가능한지. 그러다보니까 질문을 하는법을 알게됬어요. 알고나니까 공부가쉬워지더라고요

  • @라디야-s8h
    @라디야-s8h Год назад +1

    창의성은 전문가용이다. 전체를 조망할 수 있을 때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다. 창의성은 그 때 온다. 전체를 조망하려면 요점, 지식의 관점에서는 '핵심적 지식'을 파악해야 한다. 단어 하나를 알면 모든 의미가 파악되듯이 핵심적 지식 하나를 알면 다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synod-dr5tb
    @synod-dr5tb Год назад +5

    선생님,, 존경합니다 정말 이런 훌륭한 강의를 들을 수 있다는것에 감사합니다

  • @자연목소리
    @자연목소리 Год назад +1

    짠. 팬 입니다. 건강하세요. ~^♡

  • @튜브프리미엄유-q1j
    @튜브프리미엄유-q1j Год назад +15

    저는 데카르트 책을 읽고 생각하는 방법을 정립하려고 노력했었는데 학창시절 추구했던 제 이상적인 방법론인거 같아 공감되네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 @hashinabaking
      @hashinabaking Год назад

      🎉8ㅣㅂ14❤7ㅂ😂🎉ㄱ1ㅅ❤❤174❤

  • @user-lz4in2fu3p
    @user-lz4in2fu3p 5 дней наза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 @ingeechart5740
    @ingeechart5740 Год назад +4

    여러번 반복해서 봐야할 영상이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lee-vz2nb
    @lee-vz2nb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박사님을 만나게 해준 난잡한 인터넷 세상에 경의를 표합니다.

  • @MrChlth1223
    @MrChlth1223 Год назад +1

    '뭐가중요한데?' 요점찾기
    요점의 코어 = 결정적지식
    대칭화, 모듈화, 순수화를 결정적 지식과 결합 = 창의적 단계

  • @enjoyenglish5495
    @enjoyenglish5495 Год назад +1

    #두뇌 활성화 3가지 방법
    1.절차의 힘_ 최소단위 생각하기
    2.질문의 힘_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3.상황의 힘 _환경설정

  • @user-bg8qn3fo8r
    @user-bg8qn3fo8r Год назад

    도시 인구보다도, 사람이 어느곳으로 많이 가는지를 질문하는게 더 좋을거 같네요.
    인구에 따라서 학교가 많던가 알수 있다해도 학교풍이나 도시마다 인구가 비슷해도 교풍이 다르니까요., 구글링하면 대략적인 정보는 알수 있지만, 사람들이 뭘 필요로 하는지는 그 현장에 어떤 나이때의 사람들이 많은지, 가장 많은 장소로 몰리는가가 중요하니까요.

  • @maiLHealth_salud
    @maiLHealth_salud Год назад +2

    박문호 박사님은 척척박사님👍 박사님 강의는 어려워도 계속 보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 @SelfCompassion1
    @SelfCompassion1 Год назад +2

    지식인사이드님
    좋은 영상 고마워요.......!!!

  • @donaldyoon3234
    @donaldyoon3234 Год назад +11

    세가지 힘이 인생을 사는 힘도 되겠네요

  • @손지영-m9h
    @손지영-m9h 2 месяца назад

    박사님 최고~~

  • @하리봉옹
    @하리봉옹 8 дней назад

    너무너무 명강의!!! 소름돋아요 ㅠㅠ,..진짜 감사합니다!!!!

  • @nuna-story
    @nuna-story Год назад +3

    박사님 존경합니다❤정말😊😢
    한계가 없는 뇌를 잘 활용하겠습니다

  • @박정숙-u5k8u
    @박정숙-u5k8u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뭐가중요한가? 나에게 찾아! 고맙습니다

  • @그린-l6i
    @그린-l6i Год назад

    이런팩트는 박사님최고 입니다

  • @산식김-z5x
    @산식김-z5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박사님!
    귀중한 내용의 강의에 고개 숙여 감사 드립니다!

  • @daymay549
    @daymay549 Год назад

    "뭐가 중요한데?"질문하면 확실히 정리되고 집중 될것같네요

  • @쉼-y2b
    @쉼-y2b 14 дней назад

    저 공부법은 누구나 만능은 아니네요 ㅎㅎ..상황은 만드는것은 공감.
    현재시험기간..긴급히는 하고있지만ㄷㄷㄷ
    양은 많아서 일부만 공부되었구나 결과를 직면중입니다..
    하 ㅠㅠ 10년이 걸리는 공부법..
    사람에 따라 다른가봐요 😢😢😢
    되게 생활에도 써먹을 수 있어야 하는데 ㅠ 거기까지도 갈 수 있으련지

  • @修이운기行
    @修이운기行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꼬꼬마o
    @꼬꼬마o Год назад +8

    와.. 뒤에 적용하는거 보여주시는부분 거의다 머리속에 들어와요.. 새로운용어도 많은데.. 박사님 최고

  • @cha-cun47063
    @cha-cun4706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55 이 말씀 너무 맞는 말이네요....좋은 강의 갑사합니다!

  • @포오포오-u3c
    @포오포오-u3c Год назад +18

    최근 박사님의 강연을 많이 찾아 보고 있었는데 제가 좋아하는 책의 저자셨네요! 좋은 지식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ini-Habib
    @Mini-Habib Год назад +13

    뭐든지 똥줄이타야...
    일의 능률이오른다

  • @Maria-fi7ux
    @Maria-fi7ux Год назад +25

    훌륭한 가르침을 이렇게 들을수있어 정말감사드립니다 존경합니다 박사님

  • @크리엘-k9o
    @크리엘-k9o Год назад

    이것 또한 하나의 결정적 사실이기 때문에 그런건지는 모르는데, 저렇게 다 연결되어있는 것 처럼 보이는 이유는 일단 오랜 시간이 지나면 모든 물질들은 안정한 상태로 가려고 하는데 우주는 오랜시간이 흘렀고 그래서 대부분의 물질들이 상당부분 안정한 상태가 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안정한 현재 상태의 대기, 대양, 대지가 모두 다 안정적인 상태이죠. 이걸 지구과학과 화학, 여기서는 말 하지 않았지만 물리 등등 여러분야로 하나의 상태를 설명하고 있으니 모든 과학이 연결되어있는거 처럼 보이는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 @크리엘-k9o
      @크리엘-k9o Год назад

      안정적이라는 말을 갖다 붙인 이유는 안정적일 수록 예외가 적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 @크리엘-k9o
      @크리엘-k9o Год назад

      그래서 대부분이 다 연결된것 처럼 보이는 것이고 더 깊이 들어가면 어느정도는 말씀하신 결정적 사실에 반하는 부분들이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 @가나다-r2e
    @가나다-r2e Год назад +3

    이세상에는 왜케 공부 잘하는 사람이 많을까... 내가 설 자리는 없는 듯

  • @kimkim-kz7xn
    @kimkim-kz7xn 7 дней назад

    본인한테 하는 질문

  • @윤세진-j1r
    @윤세진-j1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존경합니다🙏

  • @Dreams_C.T
    @Dreams_C.T 3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8:28

  • @flowersforalice
    @flowersforalice Год назад +14

    박사님 방송은 필기하며 듣습니다. 항상 저에게 통찰력을 주시는 박문호 박사님의 방송과 책 너무 감사드립니다.

  • @stevenheo8091
    @stevenheo8091 Год назад +2

    이건 최고의 통찰이다.

  • @뚜두뚜두뚜둔뚜둔
    @뚜두뚜두뚜둔뚜둔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짜 박사님 설명한번 기가막히게 잘하네요

  • @방구석드라이브-v6y
    @방구석드라이브-v6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영상 담아갑니다~

  • @gangna2798
    @gangna279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여러번 보는중입니다 감사합니다

  • @E과우등생
    @E과우등생 Год назад +1

    소장하고픈 동영상이네요^^

  • @cordcom
    @cordco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영상의 주제 => 뇌를 활성화 시킨다
    방법]
    상황을 절박하게 가정하고 내 자신에게 질문을 던진다. (1번 3번)
    =상대방의 진수를 얻어오기 위한 간결한 한가지 질문
    2번 절차의 힘]=최소단위를 찾는 것
    1)살을 뺀다 => 매일 체중을 잰다
    2)작가가 된다=> 글을 쓴다.
    최소단위 =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
    예) 작가가 된다 / 글을 잘쓴다 (지금 당장 불가능) / 글을 읽는다 (잘 읽을수 있나? 불가능)그럼 그냥 읽는다?(작가 라는 명사의 개념에 가장 본질의 행위가 아님.)/ 글을 쓴다 (가능) = 최소단위
    1번2번3번을 적절하게 사용한다 = 뇌를 활성화 시킨다(처음 영상의 주제로 이어짐)
    공부에서 뇌를 활성화 시킨다 = 2번최소단위 (책을 따라해본다) + 1번과 3번 활용 =뇌가 활성화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