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률이 1인 경우 수전단전압과 전압강하의 위상은 같습니다. 해당 내용에서는 선간전압 기준 전압강하가 상전압 기준 전압강하의 루트3배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한 예입니다. 실제로는 역률에 의하여 위상차가 발생합니다.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7분 38초에서 막히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위상이 지상전류로 I가 느리기 때문에 아래방향(즉 시계방향)으로 꺾이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똑같이 IX는 느리지만 벡터의 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꺾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이것 때문에 인덕턴스를 다시 찾아봤는데 해결이 안됩니다 😢
10분경에 그려진 전압강하 공식을 유도하기위한 삼각형을 보면 Es의 위상이 Er보다 앞서있습니다. 전선로에서 "L" 과 수전단의 부하를 고려하면 Es 벡터선이 Er 벡터선보다 아래에 있어야 할것 같은대 Es위상이 Er 보다 앞서는것럼 그려져서 공급단의 전압위상이 수전단의 전압위상보다 빠른것으로 되어있어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원장님 제가 어디가 틀렸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부하의 역률(지상) 크기에 따라서 Es와 Er의 상각차의 앞서고 느림이 결정될 수 있습니다. 선로의 저항R과 리액턴스 X를 비교하면 R은 무시할만큼 작습니다. 일반적 부하역률에서 송전단이 수전단보다 거의(항상) 앞선다고 보시면 됩니다. 직접 크기에 따른 벡터도를 작도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단상에서는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동일합니다. 하나의 상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단상에서 Er 은 수전전선간전압(상전압)으로 판단 이해하셔도 되겠습니다.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3상의 저항 및 리액턴스는 다른 상의 저항, 리액턴스의 합이 될 수 없습니다. 항상 3상에서 저항, 리액턴스는 1상분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벡터도 작도방법 !
대충 넘어갔었는데,
40년만에 여기서 소원을 풀었습니다.
송배전공학 아껴서 공부하고 싶을 정도입니다.
명강의 , 감사합니다.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24:45 질문이 있습니다.
선전류가 역률에 반비례 하므로 역률을 개선을 하면 선전류가 줄어들기 때문에 수용가(부하)에 부하전류가 공급되는 양이 줄어들어서 부하에 전력이 제대로 공급이 않되는거 아닌가요?
유효전력은 VI cos세타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부하전력(유효전력)이 일정할 때 전류와 역률은 반비례합니다.
역률이 좋아지면 동이런력에서 전류는 감소하는 것입니다.
18:35 에서 Ear 와 전압강하 ea 의 위상이 같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전압강하는 e=Es-Er 로 인해서 수전단 전압과 위상의 차이가 나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역률이 1인 경우 수전단전압과 전압강하의 위상은 같습니다.
해당 내용에서는 선간전압 기준 전압강하가 상전압 기준 전압강하의 루트3배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한 예입니다.
실제로는 역률에 의하여 위상차가 발생합니다.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7분 38초에서 막히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위상이 지상전류로 I가 느리기 때문에 아래방향(즉 시계방향)으로 꺾이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똑같이 IX는 느리지만 벡터의 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꺾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이것 때문에 인덕턴스를 다시 찾아봤는데 해결이 안됩니다 😢
L에 흐르는 전류는 L에 걸리는 전압보다 90도 느리게 됩니다.
반대로 하자면 L에 걸리는 전압은 L에 흐르는 전류보다 90도 앞서므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꺽이게 됩니다.
@@dasan_lee 아 IX가 전류의 위상으로만 생각하여 잘못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강사님의 피드백으로 깨우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dasan_lee 영상에서는 전압은 전류보다 90도 느려요 라고 하셔서 헷갈리는거 같습니다.
항상 강의에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어요? 3상 전류에서 3개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서로 같다고 간주되는 경우가 많은데, 부하들의 임피던스에 관계없이 항상 3상 전류의 3개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같아요?
3상부하가 평형시 3상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같고 위상은 120도의 차가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3상부하가 평형이 되지 않으므로 대칭좌표법으로 해석을 합니다.
일반적 시험에서는 3상 평형시에 대하여 대부분 다루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dasan_lee
10분경에 그려진 전압강하 공식을 유도하기위한 삼각형을 보면 Es의 위상이 Er보다 앞서있습니다. 전선로에서 "L" 과 수전단의 부하를 고려하면 Es 벡터선이 Er 벡터선보다 아래에 있어야 할것 같은대 Es위상이 Er 보다 앞서는것럼 그려져서 공급단의 전압위상이 수전단의 전압위상보다 빠른것으로 되어있어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원장님 제가 어디가 틀렸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부하의 역률(지상) 크기에 따라서 Es와 Er의 상각차의 앞서고 느림이 결정될 수 있습니다.
선로의 저항R과 리액턴스 X를 비교하면 R은 무시할만큼 작습니다.
일반적 부하역률에서 송전단이 수전단보다 거의(항상) 앞선다고 보시면 됩니다.
직접 크기에 따른 벡터도를 작도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dasan_lee 감사합니다..송전단 L값이 R값에 비해 커서 위상차가 발생함을 벡터도를 그려 이해하였고 일반적 수전단 부하에서는 송전단 위상이 앞선다는 설명 유념하겠습니다.
전력손실 할때 e를 상전압 v를 선간전압으로 표시하신거 같은데? 단상 2선식일때 p=수전다전압(vr)x전류cos세타 하셨는데?
이때 수전다전압을 er로 표시해도 가능한가요?
그리고 전압강하율 할때도 송전-수전단 전압/수전다 전압 했는데 es-er /er로 표시해도 되는가요?
단상에서는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동일합니다. 하나의 상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단상에서 Er 은 수전전선간전압(상전압)으로 판단 이해하셔도 되겠습니다.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원장님 3상에서의 공식에 들어가는 R, X값은 항상 1상분이 기준이 되는것이 맞나요?
3상의 저항 및 리액턴스는 다른 상의 저항, 리액턴스의 합이 될 수 없습니다.
항상 3상에서 저항, 리액턴스는 1상분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전력손실 3상에서 3I^2R 에서 I는 상전류인데. 대입하는 I는 선전류를 넣는이유는 무엇인가요?
해당공식은 송전단돠 수전단사이 선로에서 발생하는 전력손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류의값은 선전류가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면 단상 2선식 전압강하에서 1선당 저항인 경우에는
P/V (R+Xtan@) 에 2를 곱해주어야하나요??
네 맞습니다.
단상 2선식에서는 저항의 값이 2선 전체분이 되어야 하므로,
1선당 값이 주어졌다면 2를 곱하셔야 합니다.
@@dasan_lee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