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도시의 경관 2편 [까리한쌤의 중학교 사회2(지리)]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8.2. 세계의 다양한 도시 2편
(1편, 2편으로 되어 있습니다.)
[내용별 시간 구성입니다.]
Today Point - 00:08
도심 - 01:36
중간지역 - 07:02
주변지역 - 08:08
부도심 - 09:41
위성도시 - 12:23
추가 용어 설명 - 15:22
모두 화이팅!!! from 까리한쌤
-----------------------------------------------------------------------------------------------------------
안녕하세요. 까리한쌤입니다.
중학교 사회에서 지리 영역에 해당하는 단원의 강의 영상을 올려 봅니다.
학생 여러분의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도시내부구조#도심#위성도시#중간지역#부도심#주변지역#개발제한구역
#중학교#사회#지리#수업
#까리한놈#교사
#StayHome
*본 영상을 녹화하거나, 복제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그리고 수정 혹은 편집을 통해서 재배포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그 외 문의는 kkarihannom85@gmail.com)
명강의 !
감사합니다.
강의 최고얌 ^^
아주 유익한 영상입니다 선생님
고맙다. 열심히 하고 있지??
@@까리한놈 넹
사회 인강 찾으러 다니다가 한번봤는데 제 스타일이셔서 계속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확실히 교육과정이라 그런지 교과서적인 내용이 강하네요 실제로 서울 cbd는 2011년부터 3개로 지정됐고 광역시급 도시들도 사실상 cbd가 여러개이긴 하나 학생들한테 그렇게 가르치면 더 공부 안하겠죠?ㅋㅋ
그렇지 않습니다. 서울에 CBD가 늘어났다고 해서 학생들이 공부를 덜 하진 않겠죠.ㅎㅎ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알려주고 싶은 내용은 현재 서울에 중심업무지구가 몇 개 있는지는 아닐거에요. 도시의 형태와 내부구조가 기본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가 중요하겠죠. 이를 바탕으로 현실에 적용해보면 되니깐요. 어차피 이론이란 것은 현실을 단순화 해서 설명하는 것이니깐요.^^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학생들의 교육에 잘 활용하도록 할게요.^^*
오우
부도심과 위성 도시의 차이점을 모르겠어요
우선 교과서에서 나오는 정의로 설명을 하자면,
부도심은 도심과 도시 외부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면서, 도심의 역할을 분담하는 곳을 말한다.
위성도시는 대도시의 기능을 일부 분담하면서 대도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도시를 말한다.
설명해볼게요.
하나의 도시 안에는 여러 지역이 존재합니다. 도심, 부도심, 중간지역, 주변지역 등등입니다.
결국 부도심은 하나의 도시 안에 존재하는 특정 동네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그러나 위성도시는 또 다른 도시를 얘기하는 거에요.
예를 들어, 서울은 서울 안에 도심과 부도심, 중간지역, 주변지역 등을 모두 가지고 있을 겁니다.
그럼 서울의 위성도시는 어떤 곳이냐... 서울 주변에 있으면서 서울의 역할을 일부 분담하고 있는 도시들이 뭐가 있을까요??
성남, 과천, 의정부, 고양 등등이 있겠죠.
요약하자면, 부도심은 한 도시 내의 특정 지역을 말하는거고, 위성도시는 또 다른 도시를 뜻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