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1월 21일 (화)】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중국이나 유럽에 대한 즉각적인 관세 부과를 발표하지 않으면서 잠재적 무역전쟁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완화되었고, 이는 증시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최근 시장을 뒤흔들었던 국채 금리 급등세도 점차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S&P 500 지수에서는 400개 이상의 종목이 상승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소프트뱅크, OpenAI, 오라클이 주도하는 인공지능(AI) 투자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수는 약 1% 상승했습니다. 반면 애플은 월가에서 잇따라 발표된 두 건의 투자의견 하향으로 3% 넘게 하락했고, 이는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지수의 상승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업종별로는 트럼프의 보호무역 기조가 부각되면서 중소형주가 강세를 보였고, 우주 관련 기업들도 새 행정명령의 수혜가 예상되며 상승했습니다. 반면 전기차 업체들은 정책 기조 변화에 따른 우려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한편 중국에 대한 즉각적인 관세 부과 계획이 발표되지 않으면서 중국 대형기업 추종 ETF도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첫날 행보는 대부분 바이든 정부의 정책을 뒤집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여기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폐지하는 행정명령과 미국 내 화석연료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제프리스 인터내셔널의 모히트 쿠마르는 '규제 완화와 관세가 생각만큼 부담스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위험자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리톨츠 웰스 매니지먼트의 캘리 콕스는 '관세와 관련된 추측들이 '근거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말 그대로 헛소문'인지 가릴 시기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0.9% 상승했습니다. 장 마감 후, 넷플릭스는 역대 최대 분기 가입자 증가를 보고한 후 급등했습니다. 유나이티드 항공은 실적에서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7bp 하락한 4.56%를 기록했습니다. 파이퍼 샌들러의 크레이그 존슨은 '트럼프의 '기업 및 투자자 친화적인' 정책 복귀가 주가의 추가 상승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한다' HSBC의 맥스 캐트너는 '최근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게임 체인저'이며, 향후 몇 달 동안 위험 자산에 골디락스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밀러 타박의 매트 말리는 '트럼프 정책 관련 뉴스가 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실적 시즌과 향후 전망(가이던스) 역시 극히 중요한 변수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3M(MMM), 실적발표 (예상 상회) 마이크로스트레티지(MSTR), 보통주 발행 한도 30배 증액 승인 유나이티드항공(UAL), 실적발표 (예상 상회) 소식이 있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64% → 6,049.24 다우 +1.24% → 44,025.81 나스닥100 +0.58% → 21,566.51 러셀2000 +1.85% → 2,317.97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4.285% → 4.281%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625% → 4.580%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9.420 → 107.96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2,740.0 → 2,758.7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78.05 → 75.88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912 → 3.784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 【25년 01월 22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21: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지수 ★ 00:00 - 미국 - 12월 경기선행지수 ★★ 03:00 - 미국 - 20년물 국채 입찰 ★★ -------------------------------------------------------------------------------------------------------------------------- 금일 장 전 시황 자료 ☞ futuresnow.gitbook.io/newstoday 모든 내용은 블룸버그, CNBC, 로이터, WSJ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미국 증시 요약 |2025년 01월 21일 (화)】
금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중국이나 유럽에 대한 즉각적인 관세 부과를 발표하지 않으면서 잠재적 무역전쟁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완화되었고, 이는 증시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최근 시장을 뒤흔들었던 국채 금리 급등세도 점차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S&P 500 지수에서는 400개 이상의 종목이 상승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소프트뱅크, OpenAI, 오라클이 주도하는 인공지능(AI) 투자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수는 약 1% 상승했습니다.
반면 애플은 월가에서 잇따라 발표된 두 건의 투자의견 하향으로 3% 넘게 하락했고, 이는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지수의 상승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업종별로는 트럼프의 보호무역 기조가 부각되면서 중소형주가 강세를 보였고, 우주 관련 기업들도 새 행정명령의 수혜가 예상되며 상승했습니다.
반면 전기차 업체들은 정책 기조 변화에 따른 우려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한편 중국에 대한 즉각적인 관세 부과 계획이 발표되지 않으면서 중국 대형기업 추종 ETF도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첫날 행보는 대부분 바이든 정부의 정책을 뒤집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여기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폐지하는 행정명령과 미국 내 화석연료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제프리스 인터내셔널의 모히트 쿠마르는
'규제 완화와 관세가 생각만큼 부담스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위험자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리톨츠 웰스 매니지먼트의 캘리 콕스는
'관세와 관련된 추측들이 '근거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말 그대로 헛소문'인지 가릴 시기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0.9% 상승했습니다.
장 마감 후, 넷플릭스는 역대 최대 분기 가입자 증가를 보고한 후 급등했습니다.
유나이티드 항공은 실적에서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7bp 하락한 4.56%를 기록했습니다.
파이퍼 샌들러의 크레이그 존슨은
'트럼프의 '기업 및 투자자 친화적인' 정책 복귀가 주가의 추가 상승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한다'
HSBC의 맥스 캐트너는
'최근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게임 체인저'이며, 향후 몇 달 동안 위험 자산에 골디락스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밀러 타박의 매트 말리는
'트럼프 정책 관련 뉴스가 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실적 시즌과 향후 전망(가이던스) 역시 극히 중요한 변수이다'
라고 전하였습니다.
3M(MMM), 실적발표 (예상 상회)
마이크로스트레티지(MSTR), 보통주 발행 한도 30배 증액 승인
유나이티드항공(UAL), 실적발표 (예상 상회)
소식이 있었습니다.
--------------------------------------------------------------------------------------------------------------------
[미국 증시]
S&P500 +0.64% → 6,049.24
다우 +1.24% → 44,025.81
나스닥100 +0.58% → 21,566.51
러셀2000 +1.85% → 2,317.97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4.285% → 4.281%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625% → 4.580%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9.420 → 107.966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2,740.0 → 2,758.7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78.05 → 75.88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912 → 3.784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
【25년 01월 22일 (수)|주요 일정】
경제지표
21:00 - 미국 - MBA 모기지신청지수 ★
00:00 - 미국 - 12월 경기선행지수 ★★
03:00 - 미국 - 20년물 국채 입찰 ★★
--------------------------------------------------------------------------------------------------------------------------
금일 장 전 시황 자료 ☞ futuresnow.gitbook.io/newstoday
모든 내용은 블룸버그, CNBC, 로이터, WSJ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46:00
트럼프 나옴 09: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