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다시쓰기 2부] 모세의 일생은 누가 창작했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3

  • @Asian_American_Christian_Love
    @Asian_American_Christian_Lov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나는 이런 영상 좋음. 옳다 그르다를 떠나 이러한 시야가 생각의 지평선을 확장시켜줌.

  • @강대형-m1g
    @강대형-m1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명쾌한논리입니다.

  • @user-ig3wq2vp2f
    @user-ig3wq2vp2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성경은 수메르 바빌론 신화를 카피 각색한 소설이다

  • @mjK-q5g
    @mjK-q5g 2 месяца назад

    모세 출애굽 이야기는 우리나라 주몽건국신화와 유사함 주몽도 왕자엿고 시기를 받아 따르는 무리와 함께 부여를 탈출하고 가다가 큰 물을 만나고
    부여시조 동명왕 신화도 비슷한걸로 아는데
    조사해보면 어떨까 싶네요

  • @으샤-r3v
    @으샤-r3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성경 판타지소설

  • @쿠쿨칸-q1o
    @쿠쿨칸-q1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어린 아이를 바구니에 넣어서 강물에 뛰어보낸다는 이야기는 한국 무당의 뿌리라는 바리공주 이야기 에서도 볼수 있었죠 정말 전설이나 설화등을 보면 도서양이 닮은 부분이 많은듯 합니다

  • @이도형-x9x
    @이도형-x9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리고 벼농사 이야기는 현재는 인도와 동남아가 변오사의 시작점이었다로 학계는 보고 있습니다
    그 지역에서는 야생 벼가 있는데다 한국의 벼농사 관련 용어에서 동남아의 어휘에서 기인한 단어들이 발견되기 때문이지요
    한국에서 발견된 것은 가장 일찍 발견된 볍씨라는 것입니다

  • @나무-p7l5o
    @나무-p7l5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바이블은 500년이 지나 문자가 발생하여 종교지도자 몇사람이 짜깁기해서 만든 것인데.....내용을 가지고 논리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사기꾼이 만든 편지를 진실이냐,아니냐 논하는 것입니다. 그냥 사기꾼 소설일 뿐입니다....

  • @jrjin9442
    @jrjin944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잘 모르는 부분은 언급안 하는게 좋습니다. 이순신은 정조때 왕명에 의해 자료를 모아 난중일기를 펴내고 아산 사택이 정비됩니다. 물론 그 이전에 사당도 지어지고 국가차원의 제사도 드립니다. 춘원 이광수는 신문에 이순신을 연재했죠. 이순신은 조선후기와 일제때 이미 영웅화 사업이 진행되었고 박정희는 좀더 진전시킨 것입니다.

    • @김지명-w9w
      @김지명-w9w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전에는 이순신이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진건 아니자나? 너무 영웅화한 부분도 없진않지~

  • @이도형-x9x
    @이도형-x9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이순신과 박정희와 관계는 영상과는 정반대입니다
    이순신은 일종의 구세주 개념이어서 대다수 사람들이 일생을 잘 알고 있었고 그걸 박정희가 활용한 것에 가깝습니다
    특히 조선왕조 실록을 보면 임금들이 신하 갈굴 때 자주 예시로 드는 것이 이순신입니다

    • @toughjjh
      @toughjj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순신-박정희는 여기서 설명한 대로인데요?
      실록에 있고 일부 역사 아는 사람들이 안다는것과 전국민이 아는것은 다릅니다.

    • @이도형-x9x
      @이도형-x9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toughjjh 아니 거의 대다수 사람들이 이순신 알고 있었어요
      조선 시대 국가적으로 지속적으로 홍보했고
      민족주의 진영에서 끊임없이 퍼뜨렸고
      심지어 일본조차도 이순신 전기 쓰고 퍼뜨리는 건 그닥 심하게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박정희는 숨겨진 영웅을 알린 것이 아니라 기존의 유명한 영웅 이미지를 이용한 겁니다

    • @이도형-x9x
      @이도형-x9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toughjjh 박정희가 이용한 건 다른 독립운동가들이었죠
      네임드 독립운동가들을 대통령 하자마자 거의 대다수 서훈해서 정통성의 상징으로 삼았죠

  • @nayamoya
    @nayamoy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누가 당신의 듣보잡 인생을 창작햇나 ㅋㅋㅋㅋ

    • @daug_jang
      @daug_jan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냥 재미삼아 어그로끄는 사람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기독교인이 아니길 바랍니다. 자신의 신념과 다른 주장을 한다고 그 사람의 인격까지 공격하는 것이 기독교의 실체는 아니길 바랍니다. 수천년을 이어온 가치가 저렇게 천박할리는 없을 것입니다.

    • @nayamoya
      @nayamoy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daug_jang영상자체의 의미와 제목에 반어법 입니다 각자 생각이 달라서 존중해야 한다고 하면서 저의 생각은 무시 당하는건 뭘까요? 욕을 한것도 아니도 저주를 한것도 아니고 모세의 창작을 주장 그럼 당신의 알려지지 않은 인생은 누가 창작을 햇나 가 모세의 창작 주장은 괜찬고 나의 반문 창작 주장은 잘못됫다고 하는 당신의 주장은 일방적으로 내 주장이 잘못됐다는 거네요?
      그리고 존중을 논하면서 제 의견은 존중받지 못하는건 무슨 논리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