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작곡가도 "전혀 몰랐다"…AI로 만든 곡이 공모전 1위 (자막뉴스) / SBS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다음 달 전남 여수에서 열리는 '글로컬 미래교육 박람회' 주제가로 선정된 곡입니다.
    [제목 '세상에 소리쳐! 글로컬!' : 변화의 바람 우리의 힘을 깨우네. 글로컬 교육이여 미래를 여는 열쇠 가자~! 내가 원하는 미래 글로컬 네가 원하는 미래 글로컬]
    응모작 12곡 가운데 희망찬 가사, 밝은 악풍이 높게 평가돼 한 초등학교 교사가 만든 이 노래가 주제가로 선정됐습니다.
    선정 사실을 통보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전남교육청 관계자 : 이거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선생님께서도 AI 곡이라고 이제 말씀을 주셔 가지고 그래서 나중에 전달이 됐습니다.]
    AI 서비스에 문자 명령 입력을 수차례 거쳐 만들었다는 겁니다.
    작곡도, 노래도 모두 AI였던 겁니다.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유명 작곡가 김형석 씨는 '제법 수작이었다'며 당혹했습니다.
    [김형석/작곡가 : 전혀 몰랐어요. 전혀 몰랐고. '어 잠깐만 그럼 이걸 1위로 줘야 되나?' 이제 그런 퀘스천 마크(물음표)가 생겼고….]
    주최 측은 AI를 사용하지 말라는 조건이 없었고, 미래세대를 위한 박람회의 주제와 부합하다며 주제곡으로 최종 선정했습니다.
    AI가 일상뿐 아니라 예술계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창작의 정의에 대한 논란은 거셉니다.
    독일의 한 사진작가는 국제사진전에 일부러 AI가 만든 이미지로 응모한 뒤 1위에 선정되자 수상을 거부하기도 했습니다.
    그림, 음악 등 여러 예술 분야에 이미 AI가 깊숙이 침투했기 때문에 무조건 막을 순 없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김형석/작곡가 : 마르셀 뒤샹이 변기통 갖다 놓고 사인해서 엄청난 현대 미술사에 획을 긋는 어떤 그런 행위를 하고 이런 것처럼 AI에게 (명령을 입력하는) 이 행위를 하기 위해서 어떤 생각과 철학과 사상과 혹은 아이덴티티(정체성)에 혹은 인생을 살아왔는지 이런 것들이 훨씬 중요해지지 않을까….]
    예술, 그리고 창작에 대한 새로운 정의, 또 구체적인 기준에 대한 합의라는 숙제가 놓였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
    ☞[뉴스영상] 기사 모아보기
    news.sbs.co.kr...
    #SBS뉴스 #공모전 #ai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
    인스타그램: / 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 930

  • @용용용용용-o1n
    @용용용용용-o1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64

    예술의영역이 가장 힘들거라 생각했은데..진짜 미래 알수가없다..
    ai가 그린 그림이 1위한적도있었는디..

    • @김재훈-w2m
      @김재훈-w2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그거 다 사람이 만든 거 짜깁기해서 만드는 거라던데 뭘

    • @내여친은분조장
      @내여친은분조장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8

      ​@@김재훈-w2m 사람도 이것저것 영감받아서 그리는데 다를게뭐임 ㅋ

    • @davidmatt3031
      @davidmatt303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1

      생각보다 예술이 그리 거창한 영역이 아니었던걸수도..

    • @연기없는담배
      @연기없는담배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user-xgq8dgdf3a영감 받아서 그리는게 짝짓기임

    • @ramafla2361
      @ramafla236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davidmatt3031그건 너무 평면적인 사고라고 생각해요 어디 동네 뒷산보다는 에베레스트를 오를려는 등산가들이 더 많은 것과 같은 이치라고 생각합니다

  • @only-coolkids
    @only-coolkid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50

    가사 보니까 분석이 좋네욬ㅋㅋㅋㅋㅋ좋아할것들 잘 넣었넴

    • @only-coolkids
      @only-coolkid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심사도 ai가 해도 똑같을듯

    • @jihunkim-uw2gz
      @jihunkim-uw2gz Месяц назад

      첫 부분 들었을때부터 ai 딱 느낌이 오는데
      새삼스럽게

  • @kangcang3010
    @kangcang301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29

    1:38 이런 해석은 굉장히 신선하네요. 본인의 자리가 분명히 위협 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셨으면서도, 또 바뀌는 미래를 거부하지는 않는 모습이 멋있습니다.

    • @종달새-i7h
      @종달새-i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거부하지 않는게 아니라 거부할 수 없는것입니다.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면 도태되는것..

    • @kangcang3010
      @kangcang301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8

      @@종달새-i7h 거부할 수 없다 해도 보통 받아들이지 못해 도태되는 경우가 많은데, 저분은 새로운 해석으로 적응하려는 모습을 보여 대단하단 뜻입니다. 그뜻이 그뜻이지요

    • @답답하게말하다가끊는
      @답답하게말하다가끊는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 해석은 굉장이 신선한데요, 본인의 자리가 분명히 위협 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면셨으면서도

    • @azrthartjhsrtj
      @azrthartjhsrt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괜히 나이 들어서도 업계 탑티어가 아니지.
      수용적인 생각을 가지고 사니까 트랜드나 장비 활용도 안 밀리는거고
      ai도 활용하기 나름임

    • @정준현-d8c
      @정준현-d8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이 들어서 그럼

  • @SofIzzzzzzzz
    @SofIzzzzzzz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443

    프롬프트 개고수ㅋㅋ

    • @Sanaki_03
      @Sanaki_0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10

      ㄹㅇAi도 머리 좋아야 제대로 뽕뽑음ㅋㅋㅋㅋㅋ

    • @무관의황제곰보
      @무관의황제곰보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2

      ㄹㅇ 프롬프트 씹고수노 ㅋㅋㅋㅋ

    • @user-7KCA6riJ7ZWc64WE
      @user-7KCA6riJ7ZWc64W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공유되나 ㅋㅋㅋㅋㅋㅋ

    • @ziokorea7727
      @ziokorea772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프롬포트도 쉬운게 아닌데 ㅋㅋ 개고수 개웃김

    • @youtubeDwellEyday
      @youtubeDwellEyda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9

      ㄹㅇ 근데 AI가 막상 사람들 일자리를 뺏는다기보단 산업의 구조 자체가 바뀌는게 맞을듯 ㅇㅇ 예를 들자면 코딩을 직접 하는게 아닌 AI에게 정확하고 디테일한 지시를 하는.. 코딩에서 프롬프팅 같은 개념으로 넘어갈듯

  • @user-qn1xx8je7s
    @user-qn1xx8je7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0

    ai도 사용하는사람마다 퀄리티가 달라지지
    챗gpt도 어떻게 물어보냐에 따라 답퀄리티 달라지듯이
    ai도 잘쓰는게 이제 능력인 사회임

  • @suhe2318
    @suhe231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904

    딸깍 한번으로 멜론1위 두게제~

    • @존개닉
      @존개닉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32

      내가 에이아이다~

    • @mosikkaengye700
      @mosikkaengye7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

    • @user-kelkel12345
      @user-kelkel1234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htpdud528
      @dhtpdud52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2

      ???: "태행~ 얘들아!!... 실례야~~~"

    • @nokcha_joah
      @nokcha_joa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hade256
    @shade25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72

    ai한테 음악 만들어줘라고만 말한다고 단순하게 음악이 만들어지는건 아님. ai를 통해서 자신이 머릿속에 그린 음악을 생생하고 더욱 개선되게 만들 수 있음

    • @jarydd4029
      @jarydd402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그게단순한거

    • @user-tx2sd7pd3p
      @user-tx2sd7pd3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한 도구와 수단이라는 의미네

    • @손겸-u1k
      @손겸-u1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신의 머리속에 난잡한것도 정리해주는 ai로 또 씀. 그냥 소재만 던져주는 대충인간

    • @성이름-s8r9x
      @성이름-s8r9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jarydd4029동문서답

    • @사자-t3v
      @사자-t3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딸깍충 변명 안들어줘

  • @gamelgar1679
    @gamelgar167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51

    결과만 보는 세상에서 과정이 언제부터 중요했다고..
    다만 출처 따지듯이 ai유무는
    표기 해야겠지

    • @Thirdmantoic
      @Thirdmantoi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왜 표기함ㅋㅋ 인간들도 예명 가명 쓰는데

    • @Thirdmantoic
      @Thirdmantoi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왜? Ai라고 적어둬야 선입견 가진 사람들이 기피하고 그래야 기존 예술인들이 돈 버니까?
      그게 오히려 예술의 발전을 막는....
      지들 밥줄 끊길까 두려운..

    • @udontnome518
      @udontnome51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1

      만약에 ai라고 표기안하면
      ai로 바이든이 전쟁선포 연설하는거 영상으로 조작가능하다고 생각해보셈;
      ai 워터마크 표기가 예전부터 엄청 논쟁이많음...
      전쟁뿐만아니라 잘못된정보 유출로 주가조작도 가능해짐

    • @eeeeeeeawfc
      @eeeeeeeawf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udontnome518 대체 이 멍청한 소리는 ㅋㅋㅋㅋㅋ 바이든이 연설하는거랑 음악 만드는 게 같니 능아야?

    • @김돌-l3j
      @김돌-l3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왜 예술작품에서 예시가 바이든 연설로감 ㅋㅋㅋㅋ

  • @GeneratedComments
    @GeneratedComment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12

    와, 이야기가 정말 놀랍네요! AI가 만든 음악이 박람회의 주제곡으로 선정되었다니요? 그래도 그 음악은 노래를 만든 교사의 의도와 메시지를 담아낸 것으로 보이네요. 물론 AI가 창작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인간의 아이디어와 감성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이런 상황은 예술과 기술의 교차점에서 우리가 새로운 정의와 기준을 고민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다양한 시도와 논의를 통해 예술의 미래를 함께 모색해보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아요.
    _Auto Generated by ChatGPT_

    • @user-hjun7079
      @user-hjun707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58

      요즘은 댓글도 AI가 쓰나 ㅋㅋㅋ 어지럽다

    • @dojiyee79
      @dojiyee7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8

      이거 쓰려고 계정 만들었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3w2
      @3w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이게뭐야 미친 ㅋㅋㅋㅋ

    • @technocracy90
      @technocracy9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능아들을위한팩폭기컨셉이 아니고 진짜 api 써서 만든 봇인듯? 이런 거 만드는 튜토리얼도 많음

    • @무슨반응
      @무슨반응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0

      이거 유튜브 내용 요약해주는 AI랑 유튜브 API까지 쓰면 이런댓글 양산 가능임ㅋㅋㅋㅋ

  • @songsamscience
    @songsamscienc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8

    대회의 성격에 맞춰서 AI의 활용 여부를 조건으로 달면 해결될 문제긴 하네요. 그나저나 노래가 좋아서 놀랐습니다 ㅎㅎ

  • @n노스텔지아
    @n노스텔지아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AI는 모든 걸 만들 수 있지만 동시에 모든 걸 만들 수 없기도하다.
    1:38 이 말처럼 인간이 어떤 철학과 삶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명령을 내리는가에 따라 AI는 전혀 다른 결과물을 내놓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 @oo-p1t
      @oo-p1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람이 만들지 못한건 AI는 현재 못만들어요
      사람이 만든거 패턴화 한것에 불과한지라

    • @hiinvest28
      @hiinvest2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ai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네 이제막 걸음마 단계에서 조차 시뮬레이션 돌려서 연구던 창작이던 새로운 결과물을 내놓는데 만들수 없다느니 못만든다니 허허

  • @몰라-j7q
    @몰라-j7q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형석이형은 정말 오래오래 보고싶음
    우리나라 작곡가들 중에서
    곡은 너무나 당연하고 사람까지 명품임
    쉽게 쉽게 말하지만 내용은 깊이가 있는
    생각이 활짝 열린 사람
    이런분이 작가분도 한분계신데
    점점 시간이 흐를수록 이런분들이
    사라지고 희소해지는것 같아서
    오래오래 보고싶은 이유

  • @dontknowyet8358
    @dontknowyet835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8

    좋은 노래를 들을 수 있어 좋네요

  • @지나갑니다-t8i
    @지나갑니다-t8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6

    프롬프트 잘 짜는것도 능력임

    • @oo-p1t
      @oo-p1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그건 능력이 아니라 저작물 무단 학습 패턴화한 알고리즘으로 출력하는 AI들의 패턴을
      "이걸 입력하면 랜덤 뽑기가 잘 되네?" 파악 하는것 밖에 안됨ㅋㅋㅋ
      진짜 능력은 AI를 만들어내고 알고리즘을 직접 짜고
      학습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적법하게 비용을 지불하며 가져올 수 있느냐지ㅋㅋㅋ

    • @차우현-d8d
      @차우현-d8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oo-p1t프롬프트 엔지니어링도 엄연한 공학 분야가 되지 않았나요 충분히 유능하다고 평가할만한것 같은데

    • @kimjaehan9393
      @kimjaehan939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oo-p1t 과연 그 잣대는 어딨는 걸까?

    • @김봉순-g1w
      @김봉순-g1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oo-p1t 선생님~
      "진짜 능력은 AI를 만들어내고 알고리즘을 직접 짜고" 개발자라는 직업이 있어요~
      유튜브 숏츠만 봐도 AI 천국인데 개발자 보다 돈 많이 버는 사람들 많은데 시대에 뒤쳐진 보수적 생각말고 돈 벌 생각 삽시다~

    • @dierjonh2104
      @dierjonh210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oo-p1t써보기는 하셨나요? Ai 잘쓰는 사람과의 격차는 생각 이상으로 결과물에서 뚜렷하게 차이가 납니다.

  • @jrkon1
    @jrkon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57

    AI 나오면 세무 회계 이런쪽으로 대체될줄 알았는데 예술 영역이 제일 빠름 ㅋ

    • @johndo2061
      @johndo206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0

      전문직이 대체 제일 늦게됨 법관련이 제일늦게 대체될듯 권한의 영역이라

    • @johndo2061
      @johndo206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오히려 프로그래머가 제일 먼저 따잇당할듯

    • @정명호-q1t
      @정명호-q1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6

      개발자들한테 예술은 대체못한다고 도발하니까 그럼…

    • @Pyeonghwanuritekbyuljachido
      @Pyeonghwanuritekbyuljachid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3

      ​@@johndo2061전문직은 권한문제도 있지만 책임문제가 가장 커서 ㄷㄷ 하나라도 잘못되면 ai기계를 부셔야되냐 ai만든 사람을 조져야되나 답도없음

    • @김동석-c1x7c
      @김동석-c1x7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Pyeonghwanuritekbyuljachido전문직이 ai로 대체 되면 사실상 ai가 인류를 지배하게 되는거죠. 그래도 된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기 전에는 대체될 가능성은 없다고 봄.

  • @Kayamakkolenski
    @Kayamakkolensk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김형석 씨가 생각이 아주 트여있네요

  • @Yha_Ho
    @Yha_H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사실 현 시점에서 음악이 너무 많아서 완전히 새로운 노래를 만들수가 없음
    그래서 스스로 생각해서 새로운 노래를 만들어도 다른 어딘가에 비슷한 노래나 음악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 그렇기 때문에(자료양이 많으니까) AI로 만들면 만드는 시간도 단축되고 좋은 노래도 뽑히는듯

    • @이름-d7c
      @이름-d7c 2 месяца назад

      어디선가 들어본 노래면 그냥 니 노래가 별로라는거임

  • @rosselee977
    @rosselee97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72

    솔랭의 제왕 애디~

    • @justsoSO997
      @justsoSO99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무관견 ㅈㅊ들 때려잡는 애디장군님 만세~

    • @ohsungc2
      @ohsungc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 @user-ed7xi4kj9p
      @user-ed7xi4kj9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9

      @@justsoSO997젠첩을 왜 젠첩이라고 말하지 못 해

    • @포스트모템
      @포스트모템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젠첩 참교육은 애황ㅋㅋㅋ

    • @조조-b3n
      @조조-b3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6

      야야야 니가 나보다 공모전에대해서 잘알아?

  • @soomin714
    @soomin71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요즘은 아이디어가 중요해지는 시대인 것 같아요
    AI가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해도 거기에 명령이나 질문을 넣는 건 우리 몫이니까

  • @llillillliiillliil
    @llillillliiilllii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옛날에 기계식 시계를 쓰던 시절에 전자시계의 등장으로 기계식 시계는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줄 알았지만 브랜드의 헤리티지, 고품질의 퀄리티를 앞세우는 고급화 전략으로 살아 남았듯이
    예술계 쪽에서도 이런 인간 예술의 헤리티지, 각자 아티스트의 감정표현 및 전달 그리고 장인정신을 내세워 고급화 시키는 전략으로 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 봅니다

  • @Yako-e7s
    @Yako-e7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잘 알고 있네. 이제는 AI를 사용하는 사람이 중요하다는 것을.

  • @이니마Leenima
    @이니마Leenim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8

    Suno AI 입니다
    pro 라이센스로 1년단위 구매한다면 1년에 약 12만원정도 들고
    무료로 한달에 10곡 정도씩 뽑아낼 수 있습니다.
    곡 한번 만드는데 10코인씩 들어가며 한번에 2개씩 1:58 간격으로 만들어집니다.
    더 길게 작업하고 싶으면 원하는 곡을 선택해서 추가작업도 가능합니다.
    가사 없이도 가능하고 자동가사 만들기도 가능하며 가사를 직접 적는것도 가능합니다
    관심있으면 검색해서 무료본으로 몇곡씩 뽑아도 될 듯 해보입니다 ㅋㅋ

    • @peterkim7412
      @peterkim741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와중에 홍보ㅋㅋㅋㅋㅋ

    • @totoring98
      @totoring9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굿

    • @머튼스센
      @머튼스센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peterkim7412 홍보가 아니라 정보;; Suno AI를 만든 개발자가 이런 영상 댓글에 홍보하겠냐 생각이란걸 좀 해라 무조건 아니꼬워하지말고..

    • @only-coolkids
      @only-coolkid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어차피 이마저도 금방 묻힐듯ㅋㅋ ai 배우다가 지쳐서 걍 멈췄습니다

  • @vakion1
    @vakion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더 이상 ai가 없는 창작은 없고 배척은 시간을 늦출뿐 막을수가 없지
    실력이 부족한 사람은 부족한 실력을 ai로 메꾸게 되는거고
    상상력이 부족한 사람은 ai를 통해 또다른 상상력을 얻을수있지
    그리고 ai도 현재까지는 관련 지식이 충분히 있어야 쓸수있기에 문제없다 생각함
    말이 딸깍이지 아직은 보조프로그램밖에 안되니까
    3~4년 더지나면 모르겠네

  • @mimir3100
    @mimir310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예술이라는게 사람의 영감, 영혼 이런게 들어가는건 줄 알았는데 예술마저 먹히네 진짜 ai가 인간을 정복하는 날이 올것같음

  • @aaass200
    @aaass2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ai 쓰는건 도구일뿐이지만 그 데이터를 누구의 것을 쓰느냐가 가장 관건...

    • @Sitpai
      @Sitpa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Ai가 누굴 왜 딱 집어서 쓰냐 전세계 모든 곡들 다 학습해서 믹스하는거지

    • @aaass200
      @aaass2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Sitpai 아뇨 그게 아니라 사용자가 어떤 데이터를 쓰는가의 문제를 말하는것이었습니다. 믹스를 할지언정 결국 ai에 데이터를 집어넣고 응용하고 쓰는 사람은 사람이라서..

  • @mdpip
    @mdpi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7

    왠지 슬프다.

    • @DDM2029
      @DDM202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왜??.. 발전하면 좋은거지

    • @mdpip
      @mdpi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DDM2029 발전 한다고 꼭 행복해지는건 아닌데? 옛날보다 현대 사람들이 더 행복하지는 않음.

    • @ll-ql3kg
      @ll-ql3k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mdpip옛날이든 지금이든 변화를 잘 수용하고 도태되지 않는사람만이 행복해지는거죠

    • @heaven_sunshining
      @heaven_sunshini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mdpip원래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고, 단점이 있으면 장점도 있음. 돌아가신분들 볼수도 있음.

    • @dierjonh2104
      @dierjonh210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mdpip본인이 쓰고있는 휴대폰으로 희생된 많은 직업들이 존재했습니다.

  • @niagara1
    @niagara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40

    AI를 안 쓰는게 뒤처지는 시대임

    • @Asuka-y1j
      @Asuka-y1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8

      그니까 ㅇㅇ 그냥 도구일뿐이지 ㅋㅋ 사진기 나왔다고 풍경 그림 그리는 사람들 없어졌나

    • @Eric_Cartman001
      @Eric_Cartman00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4

      @@Asuka-y1j 초상화, 행사 기록화 그리던 화가들 대부분 밥줄 끊겼었지

    • @Asuka-y1j
      @Asuka-y1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5

      @@Eric_Cartman001 기술력 딸리면 도태되는거지 ㅇㅇ

    • @chelios4827
      @chelios482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4

      증기 기관이 처음 나왔을 때도 수제 방직기 돌리던 상업자들이 증기 기계들을 부수고 대규모 반발을 일으켰죠

    • @로우텐션
      @로우텐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Asuka-y1j 어려운 문제임. 한해 관련 졸업자만 수만명인데 ai 관련 프로그램은 그 범위가 광검위해서 그 범위 전공자만 한해 수십만명의 전공자가 배출됨. 성우 그래픽 음악 회계 기타 등등. ai가 전공자의 영역을 파고든다면 그 수많은 전공자들은 지난 수십년간 공부해온 지식과 기술의 가치는 길가의 돌맹이 같은 휴지조각처럼 변하는 거임. 그림은 사진이 발명된 순간부터 죽은게 아닌 사실주의의 죽음을 의미함. 역으로 초현실주의 같은 장르의 발전을 가져왔음. 하지만 ai가 대체한 전공은 그런게 가능한가? 라고 한다면 불가능함. 사진과 비교하기보단 다수의 노동력을 대체하던 기계혁명과 러다이트운동에 가까운 전공자들의 반발에 가까움

  • @bca5164
    @bca516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6

    이걸 어케 모를수가 있냐 누가 들어도 ai인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zi4291
      @zi429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문가도 모른다잖아요ㅜ

    • @user-jz1sj2jv4c
      @user-jz1sj2jv4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그냥 듣자마자 ai인데 sns안하는 5,60대만 심사한듯

    • @LOLGOATCHOVY
      @LOLGOATCHOV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전남이래잖아 ㅋㅋㅋㅋ
      전라도는 한통속인데 알고도 모르는척해주는거지

    • @fuckchina4997
      @fuckchina499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LOLGOATCHOVY 이거지 ㅋ

    • @Min-lw7dy
      @Min-lw7d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김환-l7z 콜롬버스 오늘도 1승 적립ㅋㅋ

  • @Jaeyong_TV
    @Jaeyong_T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김창섭~ 네가만든 world~

    • @cksdn0301able
      @cksdn0301abl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도 듣자마지 이거랑비슷해보엿는데

  • @user-wg1rr6dh3q
    @user-wg1rr6dh3q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인공지능이 미래에 사람의 창의력까지 대체하면 어떡하나 고민을 많이 해왔습니다 하지만, 이 영상의 내용을 보니 사람의 창의력까지도 로봇한테 대체될 수 있다고 확신이 들었습니다 저에게 새로운 꺠달음을 알게 해 준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고마워요~ ㅎㅎ

  • @peterkim7412
    @peterkim741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3

    AI은 단순히 툴이다
    과거엔 악보를 종이에 펜으로 그리고 악기를 직접 연주하며 녹음 했다면
    이제는 컴퓨터로 작사작곡 하고 컴퓨터 내에 있는 악기로 녹음 한다
    그렇다고 지금 악기가 안쓰이는것도 아니고 그저 툴의 발전일 뿐이다

    • @차지환-h8v
      @차지환-h8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이게 맞지 하나의 도구일뿐임 ㅈㄴ호들갑은 ㅋㅋ

    • @peterkim7412
      @peterkim741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차지환-h8v 예체능 현업자로 기존작업들이 쉬워지긴 함. 이런 기능을 사용 못하는 현직자들 밥줄 끊기는게 보임. 결론은 따라가지 못하면 밥줄 끊김ㅇㅇ

    • @무슨반응
      @무슨반응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AI는 완전대체가 아니라 사람과의 시너지를 발휘할 때 포텐이 터지는거임
      다만 그 시너지를 내야 할 사람들이 수준이 맞지 않으니 도태되는거고
      모든 분야에 AI가 생기고 있지만 N년차 종사자들중엔 이분처럼 AI를 반기는 사람들이 훨씬 많고 실력없는 사람들이나 AI를 배척하려고 함

    • @차지환-h8v
      @차지환-h8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무슨반응 그건 너무 일반화임

    • @shim1564
      @shim156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인공의식 수준의 강인공지능이 등장하지 않는다면 말이죠..

  • @전우석-p7i
    @전우석-p7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예술은 이젠 결과가 아닌 그 과정이 주목받게 될거고, 그 시작이 더 주목받게 될 수도... 예술의 가치는 창작자의 스토리가 중요하게 작용 될겁니다. 이제는 일단 결과물 만들어두고 거기에 적당한 의미부여하며 스토리 짜집기 식 현대예술 보다는 그 이상의 초현대예술(?)이 탄생할겁니다

  • @qwwdhqiqohr2iqi2rqwd2qd2d
    @qwwdhqiqohr2iqi2rqwd2qd2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1

    딸깍.. 딸깍

  • @PaigeAdast
    @PaigeAdas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배┓요정 다양한께임이 LIVE가 되니 지루할틈 없잖아,,

  • @Jun-f3c
    @Jun-f3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1:38 오.. 이 얘기 들으니까 진짜 맞는 말이네 뒤샹의 샘이라는 작품도 그냥 변기에 사인하고 작품이라고 내놓은건데 발견이 곧 아름다움이라는 레디메이드라는 새로윤 영역을 만든거니까.. ai가 만든 것도 그렇게 보려면 볼 순 있겠군

  • @내가진짜라쿤
    @내가진짜라쿤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요즘은 ai 활용잘하는게 능력이지

  • @seungju2004
    @seungju200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처음 들은 사람들은 모를수 있지 근데 AI 가 만든노래들 많이 들어보니까 티가 난다

  • @사람-k9z
    @사람-k9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1:38 새겨 듣겠습니다.

    • @셩이름
      @셩이름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간이 죽음을 목표로 하던 말던 그곳으로 가는것과 같습니다

  • @yonggo2153
    @yonggo215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4

    근데 저거 만들어본 사람은 알거임. 다 저런 느낌으로 제작함.

    • @seolin104
      @seolin10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듣자마자 Suno AI인거 알겟더라 ㄷㄷ

    • @셩이름
      @셩이름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seolin104앞으론 더 모르게 발전할걸?1년뒤부터다 비약적으로 바뀜 예능계도 끝장

    • @셩이름
      @셩이름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Ai를 이용해서 만들면 어차피 좋은거 아니야?
      응 아니야 인간들은 쏟아지는 것들에겐 더 야박하거든

    • @arizona16485
      @arizona1648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Ai의 능력은 기하급수로 올라가기때문에 몇 년만 지나도 이젠 못 알아챌걸

    • @oo-p1t
      @oo-p1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arizona16485 발전은 하겠는데 결국 기존 저작물 패턴화 한거라
      악보 음계가 정해져 있다곤하지만 없는걸 만들어내는 능력은 없어서 양자 컴퓨터 상용화 되는게 아닌이상 한계가 옴.
      패턴화 하는 알고리즘등에 사람의 주관이 들어갈 수밖에 없기도하고.
      완벽하게 음악을 창작을 하고 생성하려면 멀었음.

  • @N00BU53R
    @N00BU53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생성형 AI가 상요화 되기 이전에 AI가 예술 분야에 들어오기는 힘들거라고 예측했던 이유가 예술은 '창작'의 영역이어서 그랬던건데, 지금의 AI는 인간이 만들어둔 창작물을 바탕으로 여러 특징들을 학습해서 완전히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창작이 아닌 어찌보면 끼워맞추기에 가까운 작품을 만들어내고 있음.
    그렇다고 지금 AI가 무능하다는건 아니고 난 AI를 이렇게까지 발전시킨 그 똑똑한 상위 몇 퍼센트의 개발자들이 진짜 대단하다고 생각함.

  • @물구
    @물구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아니!! 인간의 사치영역말고 귀찮은거 해달라고!!

  • @Apple-Gangnam
    @Apple-Gangna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와 작곡가 말 잘하네

  • @TYMCCK
    @TYMCC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8

    솔랭의 제왕 애디

  • @evo0082
    @evo008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2

    솔직히 ai를 잘 쓰는 것도 능력이기 때문에 문제 없다고 본다

  • @팩트-m9k
    @팩트-m9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7

    어떤 그림이 AI가 만들었따는 사실이 밝혀지면 뭔가 넘쳐났던 벅차오름이 식듯이
    아무리 AI까 발전해도 made by "인간" 이 하나가 주는 그 대단함은 AI가 대체할 수 없지.
    도미노를 AI를 활용해 수억개를 하루만에 만들어서 완벽히 넘어뜨렸다고 해도
    인간이 한 땀 한 땀 세운 도미노 수천개를 넘어뜨리는게 훨씬 감동을 주는 것처럼

    • @물의파동
      @물의파동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걸 ㅂ쉰이라 부름

    • @zihozeon
      @zihoze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흠... 그러면 AI로 만들어서 사람이 만들었다고 속여야 가장 벅찬 작품을 만들 수 있겠군요.

    • @JC-bh3pr
      @JC-bh3p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아 구분이 되냐고 ㅋㅋㅋㅋ

    • @Grrtata
      @Grrtat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 그래서 푸바오 얼굴 구분할 수 있냐고ㅋㅋㅋ

    • @팩트-m9k
      @팩트-m9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JC-bh3pr AI가 발전하는만큼 AI를 통제하는 프로그래머 수요도 늘어난다고 함요. 직업들도 그에 따라 생겨나면서 구분하는 방법도 똑같이 늘어날듯

  • @엉클통통
    @엉클통통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새로운 것이 나올때 그전의 흐름의 사람들은 이해관계 때문에 굉장히 큰 반발을 하던적이 많았습니다. 특히 예술은 더 심했어요. 사진이 나오고 미술은 빛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발전했고 다시 인공지능이 나온다면 인간은 더 나은 목표를 찾아야 합니다. 그것이 발전입니다.

  • @ramafla2361
    @ramafla236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3

    그림ai때부터 예견된 미래였는데 언제쯤 관련 규제를 만들 생각을 할까

    • @user-yk7mn7we2i
      @user-yk7mn7we2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규제만드는 순간 규제 없는 나라가 치고나감

    • @injangjujakeun
      @injangjujakeu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미국이 ai 선두주자지만 왜 규제에 소극적일까요?? 생각해봅시다

    • @user-yk7mn7we2i
      @user-yk7mn7we2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injangjujakeun 웃긴건 그 선봉에 있는 openai는 규제를 제발 만들어달라고 맨날 외치는중임. 이미 많이 앞서나간 상태에선 규제가 만들어져야 후발주자들 따라오는 속도가 느려지니까.
      그니까 규제 만드는순간 뭐다? 걔네 의도대로 딱 정확히 당해주는거임

    • @ramafla2361
      @ramafla236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yk7mn7we2i 그냥 아예 없애버려야지

    • @mool_tissue
      @mool_tissu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ramafla2361 그럼 안 없앤 나라가 압도적으로 먼저 발전함

  • @blow-v7b
    @blow-v7b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김챙섭~그는 리부트 슬레이어~

  • @for_what_or
    @for_what_o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저런 기술력이 앞으로 범죄에 노출될거라 확신하기에 더욱 암울함
    기술이 발전할수록 본인 스스로의 존재를 결코 증명하지 못할것임
    끝없는 발전과 풍요, 탐욕에만 눈이 멀어버린 우생학적 가치관에 함몰된 인간들이 가장 위험하고, 결국 상대적으로 무능력한 압도적 다수의 인간들을 조롱하면서 죽음과 멸종까지도 몰고갈 위험인자들임
    발전이란것도 균형과 상생을 고려하지 않으면 결국 무슨 소용일까 싶다
    극단적인 싸패들에게는 씨알도 안먹히겠지만

    • @Agshudjjajsixcvoovqndiw
      @Agshudjjajsixcvoovqndiw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딥페이크랑 목소리 학습해서 영상 통화로 보이스피싱이 훨씬 발달할 걸 생각하면 후덜덜 합니다 젊은 사람들도 속을텐데 나이 지긋하신분들은 오죽할까요...ㅠㅠㅠㅠ

  • @wrj7133
    @wrj713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AI가 발전해도 예술과 창작은 인간을 넘어서지 못 할 것이라고 했는데 가장 먼저 적용되고 넘어서고 있는게 이 분야들이라니

  • @BillPark-ey6ih
    @BillPark-ey6i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6

    이제 창작물의 퀼리티가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이제 음악은 아무나 만들 수 있게 됬지만 실제로 직접 부를 수 있는 사람은 아직 적습니다. 그림도 아무나 그릴 수 있게 됬지만 실제로 잘 그릴 수 있는 사람은 적습니다. 디지털세계의 끝은 결국 현실세계로의 회귀가 아닌가 싶습니다.

    • @technocracy90
      @technocracy9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작품이라면 몰라도 상품이라면 과정의 차이가 결과로 드러나지 않는 한 소비자를 설득하긴 힘들겠죠. 다만 창작자의 서사와 창작과정 자체가 결과로서, 상품의 일부로서 소비될 가능성은 높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적인 화가의 미술작품보다 조잡하더라도 내가 좋아하는 스타, 내가 낳아서 기른 아이가 그린 그림에 더 돈을 쓰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을테니까요. 대신, 그만큼 단순한 상품으로서의 예술은 비싼 돈 주고 인간한테 사려고 하지 않겠지요. 수퍼마켓 안내방송에 깔리는 배경음악이나 과자 봉지에 들어가는 디자인 같은 것들은 인공지능이 수천, 수만 배 싼 값에 수천억 배 더 삘리 만들 수 있을테고...그렇게 인간 예술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면 시장크기 자체가 줄어서 결국 예술산업 종사자의 숫자도 크게 줄어드는 건 필연일 듯 합니다.

    • @ThevelvetundergroundnNico
      @ThevelvetundergroundnNic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노래도 무대에서 잘 부를려면 누구나 할수있음80년대도 아니고

    • @양찬울-x6l
      @양찬울-x6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현대미술은 미술이 아니다라는것이 이 댓글로 반박이 됨

    • @kappak8633
      @kappak863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됐...

    • @two-jay3475
      @two-jay347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걸 지금도 하고 있는 시장이 있습니다. 수제 가죽 공방이죠

  • @JoYoooooooun
    @JoYooooooou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솔직히요즘 양산형 웹소만봐도 이거ai인가싶은거많음

  • @비얌-r6f
    @비얌-r6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자꾸 사진작가가 나오자 화가들이 다른 길을 찾았다, Ai 도 기술이니 안쓰면 도태당하는게 맞다는 글들이 보이길래 난 생각이 달라서 적어봄.
    Ai 기술 발전이 잘못됐다는게 아님. 문제는 사진가랑 화가는 각자의 분야가 확연히 구분되지만 AI 그림과 직접 그린 그림은 구분이 어렵다는 점임. (음악도 마찬가지) 딸깍하면서 난 예술을 하고 있다는 사람들이 꼴볼견인것도 그 이유임.
    21세기에는 사진작가와 화가가 다른 분야로 경쟁을 하는 것 처럼 Ai도 분리되어야한다고 생각함. Ai 출품작을 제한한 대회와, 누가누가 Ai 를 더 잘 다루는지 Ai 작품만 출품하는 대회 이런식으로 나눈다던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음악과 직접 악기를 연주하는 콩쿠르를 같이 심사하지 않는것처럼. Ai 를 잘 쓰는 것도 능력이다는 말에는 동의하지만 그게 한땀한땀 직접 손으로 창작하는 사람의 노력과는 동일하게 봐선 안된다고 봄.

    • @kimjaehan9393
      @kimjaehan939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 노력이 이제 물거품이 되겠죠. 먼 거리를 이동하려면 승마술을 배워야 했지만, 그들이 아무리 열심히 스킬을 연마한다고 해도 오늘날 큰 의미가 있을까요? 지금이야 님처럼 프롬프팅을 "딸칵"이라고 표현하는 이들이 있지만, 향후 십 년만 지나도 그 "딸칵"이 표준적인 잣대가 될 겁니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걸 승마와 비교하여 누구도 "딸칵"이라고 표현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죠. 우리 인류는 보다 간편하고 효율 좋은 일을 하는 방향으로 계속 발전해 나갈 겁니다.

  • @이종성-r1v2i
    @이종성-r1v2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도모르게 흥얼거리고 있음....노래 개잘만들었다 ㅋㅋ

  • @김치볶음밥-n4n
    @김치볶음밥-n4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뜌땨.. 뜌우땨이 뜌땨땨 우땨야

  • @tryars
    @tryar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ai의 제왕 여수~

  • @오얼사랑열매혜성
    @오얼사랑열매혜성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9

    카메라 나왔다고 화가들 망하지 않았음
    새로은 시대가 열렸을 뿐
    아날로그로 연주력이 되는 음악가들은
    그 들만의 또 세계와 시장이 있음

    • @JYC-z9z
      @JYC-z9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풍경화 그리는 화가의 밥벌이가 말도안되게 축소됨 그렇다면 아날로그 밥벌이는 말도안되게 축소될꺼란거임

    • @키타
      @키타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화가들 망하긴 했음 ㅋㅋ

    • @oennjchevvjlas2408
      @oennjchevvjlas240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카메라 등장이후에 말같지도 않은 현대미술이 등장했죠.. 극소수의 화가만 살아남는 판이 되어버림. 배워도 먹고살 마땅한 수단이 사라지니 미대는 있는집 자식들의 취미생활로 전락해 버렸구요. 작곡도 마찬가지라고 봄. 지금도 작곡으로 성공하는 사람이 드물지만, 점점 축소되는건 불보듯뻔함.

    • @박영기-l3g
      @박영기-l3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화가는 철학가랑 다를 게 없음

    • @개악질
      @개악질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래서 현대미술이 생긴고깅한데

  • @SamanthaOLoghlin
    @SamanthaOLoghli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김없이 오늘도 달리는중입니다ㅋㅋ 정ㄴ배ㄴ요ㄴ정 소확행

  • @1004chamna
    @1004chamn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어떤노래가 이별하고 바로쓴곡이란 사실이 중요한거지.그게 다른감동을주기도하고.
    반대로 감동받아서 울고있는데 이거 AI가만든곡이에요.그러면 현타오겠지.돌아가신 부모님 목소리 AI로 들으면 어떨까??
    그게 감동이고 예술인가?예술의 가치는 과정에 또한 있다.
    반쪽짜리 예술,즉 감동은없고 감탄만있는,현타가오는 그건 가치로따지면 반쪽짜리이하다.

    • @kimjaehan9393
      @kimjaehan939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지금이야 그렇게 생각하겠지만, 다음 세대도 그렇게 생각할까요?

    • @1004chamna
      @1004chamn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kimjaehan9393 다음세대가 왜 중요하지.그리고 다음세대면 사이보그인가 반은 로보트이고 반은 인간인?택시기사나 음식점하려고 10년을 준비하진않지만,음악하나만들거나 심지어 그림하나,제대로할라고 10년은 해야합니다.예술이뭔지나알고들그러는지.ai를 응원하는 심리가 무엇인지들.왜 신나있는지들.

    • @kimjaehan9393
      @kimjaehan939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004chamna 응원하고 말고가 아니라, 거스를 수 없는 추세라는 거죠. 그럼 어쩔 수 있나요? 받아들여야죠.

    • @bk4995
      @bk499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004chamnaAI가 모든 컨셉까지 스스로 창조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AI를 도구로 써서 자신의 컨셉을 구현시킨 곡일 뿐임

  • @정상수테이저건
    @정상수테이저건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불과 4~5년전만 해도 예술창작분야는 AI가 대체할 수 없다했는데. 예술쪽이 가장먼저 털릴줄은 몰랐지..ㅋㅋ

  • @8lllllllD
    @8lllllll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저거도 예술이고 만드는 실력으로 봐야한다 직접 사람이 그리지 않는 사진도 예술로 취급해주는데 도구가 다를뿐 저것도 예술이다

  • @ghostrain_311
    @ghostrain_31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에 매몰되지않고 최종 수상으로 인정하는 주최나 작곡가님 모두 멋있는듯

  • @아바투르GD
    @아바투르G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Ai 완벽을 추구.. 그러나 완벽은 없음 완벽이란 목표는 계속변함 멈추지 않음..따라갈순 있지만 붙잡을 수 없음.. 허나 인간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완벽에 가까운 진화를 거듭하는것은 ai..

  • @Shauwuqjajzjsjjdjaja
    @Shauwuqjajzjsjjdjaj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Ai 쓰든 어쨋든 사람이 개입해야 결과물이 나오긴함 만드는것만 ai가 도우는거지 여튼 편해져서 좋긴하겠다

  • @user-xw2zz2wv2x
    @user-xw2zz2wv2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9 미래세대를 위한 박람회의 주제에 부합해서 선정! 선정한 분들이 가장 깨어있으시네. 전인교육에 부적합하다며, 탈락시켜도 크게 뭐라 안 했을텐데.

  • @시안-k6x
    @시안-k6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전문가도 구분못하는데 출처가의미가있음? GMO마냥 인체에 영향이 불확실하다 이런것도 아니고

  • @문준식-t8c
    @문준식-t8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걸 이제 Ai에게 맡긴다 라고 표현한다면 안돠고 Ai를 이용한다라고 표현해야함 학문,예술 분야 모두 Ai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이끌게 돼있음

  • @new_h
    @new_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예언하건대 이제 몇년안에 인간들의 생각하는 수준이 현저히 떨어질것이다. 지금보다 더 많이.

  • @NASDAQLOGI
    @NASDAQLOG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 노래 사이트 뭐 별다른 조작 없이
    진짜 그냥 내가 지금 여기에 쓰는 댓글처럼 글만 입력 해도 자동으로 노래 나오는 건데;;; 어제 저걸 써봐서 그런지 겁나 어색하고 그 뜬금 없는 템포가 귀에 거슬리게 들렸는데

  • @metaphor09
    @metaphor0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결국 예술이란건 평가하는 사람들의 주관에 따라, 지위에 따라, 그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걸 보여주네요. 아무튼 AI 판독기는 꼭 필요한것 같네요.

  • @셀리-q6g
    @셀리-q6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많이 들어본 노래

  • @Iwillbeapositivepersoneveryday
    @Iwillbeapositivepersoneveryda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이제부터 모든 공모전에 AI사용은 배제시키자... 솔직히 저건 공정성이 떨어지지. 공모전은 자기 스스로가 창의성을 발휘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대회인데 AI를 사용해서 참여하는건 창의성이 아니라 그냥 모방이지.. 대회를 여는 의미가 없지...

    • @ysk9601
      @ysk960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대체 공정성이 어디서 나오는거임?
      기술이 발전하는데 해당툴을 안쓰고
      과거의 기술을 쓰는게 공정한것임?
      스포츠임?
      마라톤하는데 옆에서 배츠타고 이겼음 이게 아니잖음
      Ai툴도 아무 노력없이 잘쓰는거아님 해보세요 좋은 작품이 나오나 그럼 벌써 그거갖고 다들 때돈벌지 꽁으로 먹어지면 개나소나하지

  • @heheheehee
    @heheheehe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내가 AI다 ~

  • @OneSixEight_Moca
    @OneSixEight_Moc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개메ㅈ~ 떄려잡는 신두장군님 오 오 G O A T

  • @vertigo4441
    @vertigo444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국회, 법원, 은행, 학교, 학원이 하루빨리 AI로 대체되길.

  • @Seongjae139
    @Seongjae13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받아들이고 허점들을 보완해나가야지

  • @usseumnoon
    @usseumno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딸깍 한번으로 멜론 1위 두개재~

    • @후프냥
      @후프냥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거는 짧아서 가능한거지
      멜론은 안됨

    • @와우-l7w
      @와우-l7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후프냥 그냥 한 스트리머가 한 컨텐츠로 드립친거에요

  • @binliu7317
    @binliu7317 7 дней назад

    요즘 AI 는 무서울정도다 기가막히게 분석을 해주고 판단도 내려준다

  • @FightAgainstDogsPigs
    @FightAgainstDogsPig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3

    작곡 공부하는 사람들 방향 설정 잘 해라. 인간은 위험을 막기위해 통제할 뿐이지 AI는 그 이상의 것을 할 수 있게 되는 건 시간문제이고 이 시간은 1~2년 안팍이다.

    • @g4df74g1h
      @g4df74g1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뭐래 변신이 또 아는 척할려고 나댄다. 그럼 너부터 그냥 살지마 그게 더 사회에도 더 낫쟎아

    • @UUU1U1
      @UUU1U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그 통제 조차 AI가 가능해지는 시대가 올 텐데 왜 작곡 공부에만 신경을 쓰지?

    • @HAZYBAY
      @HAZYBA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뭐래 모든 분야가 골고루 따라잡히는데 지금 한 예시로 작곡인거고, 그냥 다 똑같다. 그냥 각자 자기가 하고 싶은 분야나 자기가 밥 벌어 먹고 사는 분야 열심히 계속 하는 게 최선이다.

    • @ddagy77777
      @ddagy7777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HAZYBAY 공감.. 작곡가에게 특별할건 없음 모든분야 모든사람에게 똑같이 닥칠일같은데..

    • @FightAgainstDogsPigs
      @FightAgainstDogsPig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래 그렇게들 합리화 하고 위안 삼아들...

  • @Q23Bie543s
    @Q23Bie543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솔랭의제왕애디~

  • @ppoong119
    @ppoong11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의도적으로 ai를 허용할 목적이라면 상관이 없지만 예술계에서 특히 순위나 값어치를 매기는 부분에서는 ai는 배제해야함.
    기존 작품들의 빅 데이터화와 모방을 통해 만들어지는 Ai작품의 특성상 근간이 인간의 창의성이기 때문에 인간의 창의성을 더욱 장려해야함.

  • @monellycoco8675
    @monellycoco867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렇게 새로운게 생기고, 또 계속 기준점이 생겨가겠지

  • @lightstar4499
    @lightstar4499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AI 가 세상에 만연해지고 당연해지게된다면 예술의 깊이가 많이 없어질것같은 예감이 든다
    밤새 고민하고 또 고민하고 지웠다 썼다를 반복하며 드디어 만들어진 산물이 더 깊이있고 의미있을까 아니면 aI가 몇분만에 만들어낸 결과물이 더 깊이있고 의미있을까?
    나는 aI곡이 더 좋다할지라도 사람이 직접 쓴 작품이 더 듣고싶을것같다

    • @Blurredblues-o
      @Blurredblues-o 10 дней назад

      @lightstar4499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 @팩트-t9o
    @팩트-t9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누군가 말했던 딸깍 가요제 진짜 한번 했으면 좋겠다 ㅋㅋㅋ
    작사 작곡을 모두 AI가 하는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

  • @tv-eq5tk
    @tv-eq5t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근데 솔찍히 노래 잘 만든건지 모르겠는데. 나만 별로이고 이상한가?

    • @Poiojop
      @Poiojo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참여한 곡들이 다 저거보다 별로인가보제

  • @zuzuru374
    @zuzuru37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ai가 작곡했다는것보다 공기관에서 미래세대를 생각하여 변화를 줬다는게 충격이네ㅋㅋㅋㅋㅋㅋㅋ

  • @제로-c8e
    @제로-c8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ai 딥러닝 학습은 저작권 개무시하고 하는건데 당연히 저거 취소해야지 ㅋㅋㅋ 그리고 작곡가들은 뭐 바보라서 ai안쓰나 ㅋㅋㅋ

    • @kimjaehan9393
      @kimjaehan939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표절인지 아닌지도 모르잖아요.

    • @제로-c8e
      @제로-c8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kimjaehan9393 애초에 태생부터 표절이란 뜻입니다.

    • @kimjaehan9393
      @kimjaehan939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로-c8e 인간에게 그렇게 하듯 인공지능한테도 똑같은 잣대로 표절검증 실시하면 되겠네요. 얼마나 검증에 성공할지는 모르겠지만.

    • @비얌-r6f
      @비얌-r6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kimjaehan9393 아니 인공지능이라는 것 자체가 여러 사람들에게 "학습" 을 해서 돌아가는 시스템인데, 학습시킨게 유명한 사람들의 노래부터 이것저것 다 들어간다고요 ㅋㅋ 코드 덩어리가 그냥 자동으로 노래 뽑아냅니까? 다 여러곳에서 배껴온거예요. 이걸 도덕적 잣대로 해석하시네

    • @kimjaehan9393
      @kimjaehan939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비얌-r6f 현대 사회에서 모방 아닌 순수 창작이 어디 있나요? 모방과 창작 사이의 경계선은 누가 무슨 잣대로 정할 수 있을까요? 잘 생각해보세요.

  • @일침전용계정
    @일침전용계정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래지향적인 콘셉달고 AI 주제가를 선정하면서 마케팅하면 됨. "미래교육" 이니까.
    다음부턴 공모전할 떈 AI 가 만든 건 걸러낸다는 문구를 꼭 넣어야 됨.
    아니면 그냥 공모전 열 필요가 없지.
    싼 값에 물건 얻으려는게 공모전인데 걍 지가 직접 AI 돌리면 되니

  • @희원강-s6n
    @희원강-s6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젤 먼저 정복당함ㅋㄱㅂㄱㅋ

  • @Idontmindyouronion
    @Idontmindyouroni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들어봤는데 나만 AI인거 바로 알았나..?? 나 저거 결제해서 똥마려워같은 가사넣고 노래만드는데 ㅋㅋㅋ

    • @sxulxlx_06
      @sxulxlx_0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런 프로그램 안쓰는 일반인은 잘모르져

  • @something95011
    @something9501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AI는 구현하는 도구일 뿐이지 그사람이 ai를 이용해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낼수 있는지 그 상상력이 중요함

  • @greatmeerkat
    @greatmeerkat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내가 음악을 들을 줄 알고 부를 줄 알지만 만드는 법을 몰라서 창작을 못했던거지 누구나 쉽게 만드는 도구가 있다면 창작은 누구가 가능한 거지요. 창작은 특별한 사람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 @상납견의삽입리스크
    @상납견의삽입리스크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그림을 그릴때 화가가 붓을 썼다고 그림을 화가가 아닌 붓이 그렸다고 할수있나요? 그냥 지금은 도구가 붓 대신 AI로 바뀐거 뿐입니다. 노래도 마찬가지고요. 사람이 창의적으로 AI를 쓴다면 AI는 결코 무서운 존재가 아닙니다.

  • @국밥-t5w
    @국밥-t5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옛날 영화나 미디어를 보면 로봇은 단순 노동이나 하고 미술이나 작곡 같은 예술성 창작은 인간의 몫인 것처럼 표현 하던데 오히려 인간이 단순 노동을 하고 있고 창작을 AI가 하네요.

  • @ppaseung
    @ppaseun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에이, 아이지 이건!!!

  • @전진-q1f
    @전진-q1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솔랭의 제왕 애디 넣었네 저거

  • @narisett1350
    @narisett135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Ai창작이 문제가 아니라, Ai도용이 문제.
    A곡40% B곡30% C곡30% 느낌으로 섞어서 만드는 식이라…
    훔치지않았다고, 학습시킨 소스를 명확하게 제시해애하지않을까?

    • @덴이-s6d
      @덴이-s6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수십 수만개의 곡들을 다 학습하는데
      무슨 수로 밝힐건데?
      Ai 딥러닝이 몇개 짜집기 해서 만들어지는걸로 아는거임?

    • @Hiphop_Player
      @Hiphop_Playe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그게 인간이 하는거랑 무슨 차이가 있는건지 설명가능함?

    • @JYC-z9z
      @JYC-z9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원래부터 인간이 짜깁기 하던걸 ai가 하는거임

    • @버질e
      @버질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사람도 곡 만들때 참고 하고 레퍼런스 삼았던거 다 밝히자 ㅋㅋ

    • @서동준-z4x
      @서동준-z4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사실 엄밀하게 파고들면 현존하는 노래들은 전부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가 않음. 결국 테마에 맞는 코드 조합으로 작곡을 하는건데 지금껏 만들어진 곡들이 많아도 너무 많음. 고의적으로 도용한건지 아닌지 파악하기도 힘들고 만드는게 ai인 시점부터 그닥 의미도 없는듯

  • @김정아-s9u
    @김정아-s9u 3 месяца назад +2

    AI특유의 음색인데 작곡가들이 이걸 모르나?

  • @parkjh0821
    @parkjh082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근데 AI라곤 해도 프롬프트로 만들사람의 창작의도가 입력되었으니 작곡 프로그램 써서 노래만드는 작곡가나 AI에 프롬프트 넣어 원하는 노래 뽑아내는 사람이나 사실 뭐 다를게 있나?

    • @가나다라마-n9k
      @가나다라마-n9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병신이라고 광고좀 그만해라.

    • @무슨반응
      @무슨반응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ㄹㅇ 사람이 손수 하잖아요 빼액 할거면 자신이 직접 치면서 악보부터 손으로 쓰던 시절로 돌아가야지 ㅋㅋㅋ 여러종류의 악기 하나씩 딸깍딸깍 해보다가 음 아니네 음 이거다 하면서 느낌을 비교해볼 수 있는것도 기술의 발전 덕분인데 왜 기술의 발전을 두려워하는건지

    • @nano5961
      @nano596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수학문제를 푼다고 치면 원래 종이에 연필로 치던걸 온라인 시험으로 바뀐게 종이 악보에서 작곡 프로그램으로 바뀐느낌이고, 지금 AI 작곡은 수학 공식 하나도 모르고, 문제 접근법 풀이법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 와서 간결하고 정확하게 문제풀이 해줘 라고 요청하면 수학문제가 자동으로 풀리는 급임.
      이렇게 단편적 도구의 발전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음.

  • @HelenNellier
    @HelenNellie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해외종목 다 있는데다가 INPLAY 까지 되는데 완전이득이구만 ㅎㅎㅎ 정&배&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