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이론] 20편. 연산증폭기 '종속접속' (문제풀이)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6

  • @dalgiii
    @dalgiii Год назад +4

    전자회로 배우고 있는데 살려주셔서 감사해요... 영어로 듣는거 넘 빡셌어요ㅜㅜ

    • @bosstudyroom
      @bosstudyroom  Год назад

      ㅎㅎ 도움이 되어드린 것 같아서 다행입니다.
      좋은 댓글 감사드려요 : )

  • @강승현-e2o
    @강승현-e2o Год назад +4

    전자 임용 준비중인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bosstudyroom
      @bosstudyroom  Год назад

      좋은 댓글 감사드립니다. 임용에서 좋은 성과 거두시길 바랍니다.

  • @user-zf3pt3qg8l
    @user-zf3pt3qg8l 2 года назад +4

    감사합니다.

  • @tlsgydbs
    @tlsgydb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미쳤다…. 감사합ㄴㅣ다……

  • @Aram_Trainee
    @Aram_Trainee Год назад +3

    훌륭한 설명 감사합니다!

    • @bosstudyroom
      @bosstudyroom  Год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

  • @옳소옳소-n2p
    @옳소옳소-n2p Год назад +2

    영상 잘 보고 있어요!! 도움이 많이됩니다!
    질문이 한가지 있어요!
    Vx가 -전압이고 두번째 증폭기의 전압이 0이니까 전류가 왼쪽방향으로 흐르나요??

    • @bosstudyroom
      @bosstudyroom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을 주셨군요 : )
      말씀하신 것처럼, (V1과 V2가 양의 전압 값이면) Vout은 양수이고 Vx는 음수이므로
      두 번째 증폭기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양의 전류가 흐릅니다.
      다만 첫 번째 증폭기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양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Vx가 정의된 마디에서 '마치 KCL이 적용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조건에서는 '출력 단자'에 전류가 흐르거나 흘러나갈 수 있으므로
      들어오는 전류의 합을 출력 단자에서 상쇄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KVL과 수동부호규약도 분명 만족 시켜야 하므로
      두 번째 증폭기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양의 부호를 갖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요.

  • @taehoonkim8593
    @taehoonkim8593 Год назад

    예제 회로에서 혹시 ideal opamp inverting와 non-inverting을 반대로 연결해도, 해석할 때 입력전압 = 0이라는 전제하에 한쪽은 gnd 연결이면 똑같은 결과가 나오게 되는데 그렇게 되는게 맞는건가요? 만약1st opamp -+ 2nd opamp +- 이렇게 연결 되면 최종 gain은 왠지 inverting되어야 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해석되나요?

  • @user-jx1tu3yl3d
    @user-jx1tu3yl3d 2 года назад +5

    전자회로 수강중인데 넘 도움이 많이 되네요! 앞으로도 많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ㅎㅎ 구독했ㅇ요

    • @bosstudyroom
      @bosstudyroom  2 года назад

      ㅎㅎ 친절한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드려요 :)

  • @김성우-e9k4n
    @김성우-e9k4n Год назад

    cascade stages를 공부하다보면 The voltage is not affected by the circuit on the right 라고 적혀있는데 왜 영향을 받지 안는지 궁듬해요

  • @닌텐도티비
    @닌텐도티비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교수님. ideal한 amp의 특성인 전류가 0이고 (v- + v+ = a(전압이득))인 점을 알겠습니다.
    질문1. Vx 전에 있는 노드에 전압이 0인데 어떻게 (V1 + v2)/R에는 전류가 흐르는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amp쪽은 전류가 없으니 위쪽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걸 알겠는데 amp입력단자와 연결되어있는 노드에 왜 전압이 어떻게 0인데 전류가 흐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다른 커뮤니티에 찾아보니까 가상 접지라고 하는데 도저히 이해가 안되어서요.. 전압이 0이면 동시에 전류가 절대 흐를 수 없는게 아니였나요?
    질문2. 마디전압법으로 Vx를 구하셨는데 Vx를 구하는 부분처럼 단순하게 전류와 저항값으로 구하는 부분과 마디전안법으로 구해야하는 부분을 구별하는 방법을 어떻게 하면 찾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수준낮은 질문 죄송합니다.

    • @bosstudyroom
      @bosstudyroom  Год назад

      제가 교수는 아니지만 답변드리겠습니다!
      답변1. 만약 v1과 v2라는 '전압원'이 없었다면, 말씀하신 것처럼 전류가 0입니다.
      전류 v1/R + v2/R 에서 v1=v2=0 이라고 두면 그 전류도 0인 것으로도 설명할 수 있죠 : )
      아마 v1과 v2 전압원의 밑 부분이 접지되어 있어서 헷갈리신 것 같은데
      결국 그 접지 위로 v1과 v2라는 전압 값 만큼 전위가 올라가기 때문에
      전류가 흐를 수 있죠.
      좌측에는 v1, v2가 걸려 있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amp 입력단자에는 전압=0 이므로, 오히려 전류가 흐릅니다.
      답변2. 마디해석법은 전류를 값으로 직접 구하기 어려울 때, 주어진 전압과 저항의 값으로 그 전류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그와 달리 옴의 법칙은 전류와 저항이 주어져 있을 때(또는 계산으로 쉽게 구할 수 있을 때)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계산하는 방식이죠.
      즉, 어떤 것이 주어져있는지와 어떤 풀이법이 편리한지에 따라 다릅니다 : )
      결국 I = V/R 로 계산할지 V = IR로 계산할지의 차이라는 것으로 답변2를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 @bosstudyroom
      @bosstudyroom  Год назад

      +) 맨 왼쪽 아래에 접지된 부분에서
      (v1이라는 전압원에 의해) 전압원 바로 위쪽 (도선을 꺾어서 그린 부분)의 전압이 v1이라는 것을 이해하시면 더 쉽습니다.
      댓글에 남기신 질문은 전혀 수준이 낮은 질문이 아닙니다! 원래 전기회로이론이 초반에는 헷갈리는 요소들이 많아요.

    • @닌텐도티비
      @닌텐도티비 Год назад +1

      @@bosstudyroom 정말 감사합니다...

    • @도승완-y1m
      @도승완-y1m Год назад

      @@닌텐도티비 와 좋은 질문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다른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보려고 댓글 보고 있었는데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OFFICIAL_GAMST
    @OFFICIAL_GAMST 2 года назад +2

    혹시 비반적 증폭은 따로 정리된게 없나요?? 감사합니다!

    • @bosstudyroom
      @bosstudyroom  2 года назад

      반전증폭기는 op amp영상에서 예제로 다룬적이 있는데, 비반전 증폭의 영상은 제 채널에는 없습니다 ㅎ
      댓글 감사드려요 :)

  • @바이레도레미
    @바이레도레미 Год назад

    Practical 증폭기없나요 저 오늘 시험인데

  • @김지훈-f3k
    @김지훈-f3k Год назад

    다 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