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난리였던 저울 문제.. 교수님과 실험해봤습니다 (생각보다 어려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апр 2024
  • PD도 틀리고 메이커도 틀리고 모두가 틀린 저울 문제.. 교수님은 답을 알고 계실까?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님 (‪@beomphysics‬) 을 모시고 함께 실험해봤습니다!
    -
    📗긱블 만화책 '긱블 제작소' 출간🛠️
    괴짜 천재들의 과학 공학 학습 만화!
    과학 원리를 활용해 쉽고 재미있게 과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YES24 : bit.ly/48N7Owd
    •교보문고 : bit.ly/3u8c6iK
    •영풍문고 : bit.ly/3OgiKdM
    •알라딘 : bit.ly/3OfOShy
    -
    🍀 긱블 커뮤니티 👉 bit.ly/Geekble_Community
    🏠 긱블 홈페이지 👉 bit.ly/Geekble_Official
    🎓 긱블 에듀 👉 bit.ly/Geekble_Edu
    📷 긱블 인스타그램 👉 bit.ly/Geekble_Insta
    -
    📬 긱블팬이라면 모두!
    긱블이랑 “카카오 플친” 맺기 👉 pf.kakao.com/_dWPQK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1,7 тыс.

  • @geekblekr
    @geekblekr  2 месяца назад +190

    💡김범준 교수님이 도전하신 또다른 문제들! 채널에서 확인해 주세요😊
    ▶ ruclips.net/video/9BXeMmhB8yI/видео.html

    • @shouheishun2239
      @shouheishun2239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잘 이해가 안되서 여쭤보아요. 부력의 반작용으로 비커안의 있는 쇠구슬이 displace 하는 물의 부피의 해당되는 무게로 인한 force 가 생기면 (쇠구슬의 무게와 상관없이) 만약 탁구공이 쇠구슬의 부피와 똑같고 다른 비커 안에 쇠구슬과 같이 완전 침수되어 있다면 탁구공이 displace 하는 물의 부피의 해당되는 무게는 쇠구슬 비커와 같으니 13:29 처럼 balance 가 되는건 이해하는데 탁구공을 줄로 비커와 연결시키면서 왜 부력의 force 가 사라지는지는 잘 이해가 안가네요. 줄을 묶어놈으로서 부력의 반작용의 힘이 약해지는거 같은데 어떤 물리작용이 있는건가요. 영상에서 설명하셨다면 잘 이해가 안갑니당. 수정: 한글이 모국어가 아니어서 이해 못했을수도 있네요.

    • @manukpark4668
      @manukpark4668 2 месяца назад

      @@shouheishun2239 외부와 연결 되어 있느냐 아니냐로 달라지는거 같아요

    • @manukpark4668
      @manukpark4668 2 месяца назад

      @@shouheishun2239 10:15
      the point is that the metal ball is connected with outside of the beaker.

    • @siksik0226
      @siksik0226 2 месяца назад +1

      15:55 이 장면 설명이 살짝 잘못된 것 같습니다. 이동하는 물체가 속력 (에너지)를 가진 것이 아니라, 포탈의 입구가 움직여서 물체를 이동시키는데도 물체가 튀어나가야 하나요? 물체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해서 가만히 정지한 채로 이동해야 하는것 아닌가요? 포탈이 물체를 받치는 밑면까지 이동시키는게 아니라, 포탈은 밑면에 부딪히면서 물체만 이동한다면 B처럼 이동한다고 보기 어려운것 같습니다

    • @user-yr6hl8dl5q
      @user-yr6hl8dl5q 2 месяца назад

      @@shouheishun2239 부력은 위로 솟구치려는 힘이죠. 그 반작용으로, 즉 완전히 똑같은 크기의 반대쪽 힘으로 장력이 생기니까 둘이 상쇄되네요. 남는 건 탁구공 무게만 남습니다.

  • @hjc3566
    @hjc3566 2 месяца назад +379

    교수님 찐텐으로 즐거워하시는거 처음본거같아요 ㅋㅋㅋㅋㅋ

    • @cdr7738
      @cdr7738 Месяц назад +9

      여기 말고도 다른 채널들에서도 교수님들 모시고 실험하는 영상 보니까 교수님들은 하나같이 실험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너무 즐거워하시더라구요... 역시 그런 사람들이 교수가 되는 것 같아요. 그 학문이 너무 재미있고 그 학문을 공부하는 게 너무 즐거운 사람...

    • @user-sn2me4et3s
      @user-sn2me4et3s 11 дней назад

      ↖🏵

    • @리혜
      @리혜 5 дней назад

      ⏫🕋

    • @온결므흣자료
      @온결므흣자료 4 дня назад

      👆👈

    • @user-dm4ix5im3y
      @user-dm4ix5im3y 3 дня назад

      ↖🙄

  • @user-cy5ns2uw2p
    @user-cy5ns2uw2p 2 месяца назад +183

    다른 과학 실험 영상보면 잘 아는 몇명 나와서 딱 그것만 보여주고 이렇게 된다는거 보여주고 끝내서 아쉬웠는데
    이영상처럼 그럼 이렇게 하면.. 그럼 저렇게 하면... 여러 상황에서 어떻게 되는지까지 보여주는거 참 좋습니다.

  • @haneul7097
    @haneul7097 2 месяца назад +43

    데이터물리학 전공수업때도 신기한 물건들 가져오셔서 어려운 것도 최대한 재밌게 수업해주셨던 기억이 나네요
    멋지십니다 존경합니다 교수님!

  • @user-jj1wx8nd9j
    @user-jj1wx8nd9j 2 месяца назад +14

    김범준 교수님 너무 좋아요 😍 😍😍

  • @user-te5fy5fj2n
    @user-te5fy5fj2n 2 месяца назад +910

    나 저 박사님 너무 좋아 말도 너무 기품있게 하시고 나긋나긋하니 평생 화도 안내보셨을거같음….
    식사하면 항상 자리가 깔끔한 사람일것 같은 느낌

    • @Smell835
      @Smell835 2 месяца назад +224

      저런분이 화내면 개무서움

    • @user-te5fy5fj2n
      @user-te5fy5fj2n 2 месяца назад +32

      @@Smell835 맞죠 맞죠

    • @MrJeongsoopark
      @MrJeongsoopark 2 месяца назад +258

      대학원생들 이야기 들어봐야함 ㅋㅋㅋ

    • @STH-hi8mw
      @STH-hi8mw 2 месяца назад +84

      @@lftys5543ㅋㅋㅋㅋㅋ
      C 뿌리는 교수님

    • @dodooodooo1252
      @dodooodooo1252 2 месяца назад +2

      ㅋㅋㅋㅋㅋㅋㅋ깐깐하긴 할 듯..​@@STH-hi8mw

  • @parkgt3237
    @parkgt3237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너무너무 유용하고 재미있는 컨텐츠네요 시리즈로 계속 나왔으면 좋겠어요 ㅎㅎ 잘 봤습니다~

  • @official_Berry
    @official_Berry 2 месяца назад +69

    교수님 너무 좋으신 분인게 느껴지네요 승승장구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컨텐츠 너무 좋네요.. 제 생각에도 오류가 있었는데 완벽하게 이해했어요

  • @Maclos
    @Maclos 2 месяца назад +873

    0:35 이 멘트를 긱블에서도 듣네ㅋㅋㅋ

    • @user-gw7ly7gn2p
      @user-gw7ly7gn2p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ㅋㅋㅋㅋㅋㅋㅋㅋ진짜요ㅋㅋㅋㅋ

    • @user-xc6gs4bc8d
      @user-xc6gs4bc8d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보다 ㅋ

    • @섹스신
      @섹스신 2 месяца назад +122

      ???: 나는 은하들의 충돌과 진화를 연구하는 우주먼지야

    • @eyebrows5318
      @eyebrows5318 2 месяц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내말이

    • @user-yk1ts1po4u
      @user-yk1ts1po4u 2 месяца назад +14

      ㅋㅋㅋ 근데 교수님 소개할 때 항상 각도가 저 각도이시네 긱블에서도 그렇고

  • @cnj0050
    @cnj0050 2 месяца назад +132

    유툽에서 과학채널을들 순방하는 맛이 바로 이럴때지!
    사실 뉴턴의 제3법칙이 뭐였는지 기억은 안났지만 교수님의 부력을 듣고 아! 하고 원리를 이해하니 제3법칙은 작용 반작용?인가? 맞네! 했을때의 쾌감!

  • @gh6qo4
    @gh6qo4 2 месяца назад +38

    우와...공부보단 게임이나 놀이 같았어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재밌게 봤네요😂

  • @user-tw2du9yz2c
    @user-tw2du9yz2c 2 месяца назад +46

    유익한 실험이네요!
    간단하게 뉴턴의 제 3법칙과 계 (system)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재밌는 실험이네요.!!

  • @skytime026
    @skytime026 2 месяца назад +76

    이번 영상 너무 재미있네요 :) 이론적으로만 설명하려고 하는것을 실험으로 보여준다는 것 자체가 좋은 취지 인 것 같아요!

  • @dlwlrma3457
    @dlwlrma3457 2 месяца назад +30

    설명을 되게 이해되기 쉽게 설명해주시네

  • @parks-music-cafe
    @parks-music-cafe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대단합니다.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좋은거 많이 올려주세요 ^^

  • @Wealthy_for_freelife
    @Wealthy_for_freelife 2 месяца назад +9

    두분 다 진심으로 학문을 사랑 하시는 게 느껴지네요~

  • @neri2150
    @neri2150 2 месяца назад +56

    교수님 긱블에서 뵈니 너무 반가워요!! 오늘 실험도 재밌네요!!

  • @user-tg4wp1su4o
    @user-tg4wp1su4o 2 месяца назад +94

    와 개재밌다. 내가 과학을 이래서 좋아했지;; 너무 오랜만에 과학의 재미를 느꼇네요 감사합니다.

  • @plepur319
    @plepur319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진짜 재밌게 즐기고 가시는듯한 느낌을 받아 영상 내내 저도 같이 흥미있게 즐겼습니다. 감사합니다!

  • @LJSinJKT
    @LJSinJKT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너무 재미있네요. 실험과 질문과 설명을 동시에 하니, 더 이해가 잘 되네요!!!

  • @cute_loppy
    @cute_loppy 2 месяца назад +86

    이번 영상 너무 재밌게 보고가요!! 앞으로 이렇게 재밌는 컨텐츠 해주세요🤓

    • @user-gp1ki6ki5y
      @user-gp1ki6ki5y 2 месяца назад

      워.. C... 켜자마자 오킹인줄 알고 나갈 뻔 했네..

  • @user-mr8wz7gd8n
    @user-mr8wz7gd8n 2 месяца назад +68

    범준을 물리다 구독한 보람이 있게도 문과임에도 정확하게 정답과 이유를 맞춘 ㅠㅠㅠ. 덕분에 또 재미난 채널을 찾아서 더욱 기쁘네요!

  • @hungryboooom
    @hungryboooom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와 이번 영상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 @user-zn2gs7tt4t
    @user-zn2gs7tt4t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너무 재밌어요!!!😂

  • @bubblelove7
    @bubblelove7 2 месяца назад +32

    지렸다
    물리 영상 보고 지리기는 처음이네요

  • @GIRL4EVER777
    @GIRL4EVER777 2 месяца назад +22

    와 제가 좋아하는 두채널의 합방이라니!!!!
    정말 이런 컨텐츠 많이 해주세요!!

  • @LSEO0815
    @LSEO0815 2 месяца назад +3

    교수님 말씀처럼 실험 자체가 정말 좋은 실험인 게 보이네요. 단순히 해답을 찾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 원리대로라면 조건을 하나씩 변경 했을 때에 현상이 어떤 식으로 바뀔 수 있을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생각을 하게 해주는 실험이라서 정말 좋다고 생각해요.
    볼펜을 넣으면 어떻게 될까?
    실에 연결하지 않은 탁구공과 비교하면 어떻게 될까?
    쇠구슬 대신에 물 속에 담근 탁구공과 비교하면 어떻게 될까?
    계속해서 바리에이션이 나오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 @F117-NH
    @F117-NH 2 месяца назад +7

    교수님 즐거워하는 눈빛은 정말 순수하고 맑으시네요
    학문을 진정으로 사랑하고 즐거워하심이 느껴지는 대목이었습니다 👍👍👍

  • @wjdwodbs1
    @wjdwodbs1 2 месяца назад +31

    역시 믿고보는 교수님!! 이해를 너무 잘 시켜주시네요 ㅎㅎ

  • @SJ-kc3dn
    @SJ-kc3dn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너무 잼있었습니다~^^!

  • @user-nq6hu7ng2m
    @user-nq6hu7ng2m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과학 별로 안좋아하는데 이영상은 신기하고 재미있어서 계속 보게되고 이해하니까 더 재밌네요

  • @selfmadedavinci8852
    @selfmadedavinci8852 2 месяца назад +22

    13:30 이 부분이 실험물리학의 매력

  • @cambox
    @cambox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멋지십니다. ^^ 귀에 쏙쏙 들어와요~

  • @seung-mim_kim
    @seung-mim_kim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진짜 재미있는 실험이네요

  • @waterpeaches
    @waterpeaches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오랜만에 물리 보니까 너무 재밌다..

  • @user-uk7vw1ip1b
    @user-uk7vw1ip1b 2 месяца назад +35

    실험에 이론까지 더해지니 완벽하구나!

  • @doyouknow_MTE
    @doyouknow_MTE 2 месяца назад +102

    김범준 교수님 문제 보시자마자 물리학으로 바로바로 설명 들어가는게 진짜 섹시하심

  • @gdinhoo
    @gdinhoo Месяц назад

    어쩌다 들어와서 보게됐는데
    새로운 궁금증에 궁금증에 궁금증에 교수님이 다 풀이도 해주시고
    유익하기도 하고 재밌는걸 알아가게 되어서 좋네용
    제 취향과 맞는거 같아 구독 누르고 갑니당

  • @dkwldi5285
    @dkwldi5285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왕 굿!너무 재밌었습니다

  • @user-ye5pc7gk7u
    @user-ye5pc7gk7u 2 месяца назад +18

    물리 수업할 때 보여주기에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 @o.o_m
    @o.o_m 2 месяца назад +26

    범준에 물리다에서 질문이 두개밖에 없어서 아쉬웠는데 마침 등장한 새로운 영상 너무 좋다

  • @SweetHoney-Sweet
    @SweetHoney-Sweet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넘 유쾌하셔서 재밌게봤어요~~ ㅎ

  • @choiyenanim
    @choiyenanim 15 дней назад

    과학 덕후들의 찐텐 즐거움 너무 보기 좋아요 !!!❤

  • @user-bf6ii9sr7i
    @user-bf6ii9sr7i 2 месяца назад +137

    안녕하세요,저는 도덕 수업과제로 선플 달기 챌린지에 참여하게 된 봉은중학교 학생입니다.평소에 긱블 영상을 자주 보는데,이번 도덕 수행으로 댓글을 달게 되었습니다!일단,항상 재미있는 영상들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평소에 쉴때 가장 많이 보는 영상들 중 하나가 긱블입니다.쓸모없지만 재미있고 누구나 한번쯤은 만들어보고 싶었을 것 같은 기계들이나 장치들을 만드시는게 정말 재미있고 신기한 실험들이나 착시현상 등으이 매우 유익하고 흥미롭습니다.이번 영상에서 교수님과 함께 알려주신 두 문제들도 정말 신기합니다.앞으로도 좋은 영상과 활동 부탁드리고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oo7ko9kp7w
      @user-oo7ko9kp7w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화이팅 후배님^^

    • @user-mw1kp1br7v
      @user-mw1kp1br7v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요즘 중학교 이상한거 시키네.. 열심히 해라

    • @user-ls1ef7ul5k
      @user-ls1ef7ul5k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봉은중 화이팅!

    • @user-xg6ww6wr3r
      @user-xg6ww6wr3r 2 месяца назад +17

      선한 사람이 만들어져야하는 곳에서 선한척하는 법을 배우시네
      K-교육 미쳤다

    • @bank144
      @bank144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user-xg6ww6wr3r위선도 선이다

  • @user-wo4yu2pf1u
    @user-wo4yu2pf1u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이론+실험 너무 재밌네요

  • @NotoriousThug901
    @NotoriousThug901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고등학교 물리1만 배우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개념이지만 저걸 상황만 보고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이해도를 갖기는 쉽지 않죠. 오랜만에 이런 개념을 생각해보고 실험으로도 확인해볼 수 있어서 물리1 배울 때 정말 즐겁게 생각했던 시절이 떠오르네요 ㅎㅎ

  • @vocaltip
    @vocaltip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께 빠지는 영상이네요... 물리학을 정말 사랑하시는게 느껴지네요

  • @majikayo-gb5oe
    @majikayo-gb5oe 2 месяца назад +66

    아이같이 좋아하는 모습의 교수님이 멋지네요

  • @Holy-water
    @Holy-water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최대한 쉽게 설명해주시려는 모습과 과학을 정말로 좋아하시는 모습들이 존경스럽네요...

  • @user-kh9xy2wn3d
    @user-kh9xy2wn3d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엄청 좋아하시네요ㅋㅋㅋ
    이런식으로 알아가면 정말 유익하고 너무 재밌는데
    이론적으로만 다가가면 흥미가 뚝 ㅋㅋ ㅠㅠ

  • @user-jk4bm7wz9c
    @user-jk4bm7wz9c 29 дней назад

    재밌는 실험영상 유익했습니다!

  • @aegis9090
    @aegis9090 2 месяца назад +66

    그냥 작용하는 힘을 계산하면 됩니다.
    물의 무게: W (양쪽 동일)
    탁구공의 무게: A
    쇠구슬의 무게: B
    실의 장력: T
    공에 작용하는 부력: F
    왼쪽 비커의 무게 : W + A
    오른쪽 비커의 무게: W + B - T
    (비커의 무게는 생략, 실의 무게는 무시)
    쇠구슬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식
    B = T + F
    을 오른쪽 비커의 식에 대입하면
    W + (T+F) - T = W + F
    따라서,
    왼쪽 비커 : W + A(탁구공의 무게)
    오른쪽 비커 : W + F(부력)
    물의 부력 F = (잠긴 물체의 부피와 같은 양의 물의 무게) 이고,
    물의 밀도가 탁구공의 밀도보다 크므로
    A < F
    따라서, W+A < W+F 이므로,
    저울은 오른쪽으로 기운다.
    글로 쓰려니 길어졌지만.. 부력의 크기가 어떻게 되는지만 알면
    식 몇줄로 끝나는 간단한 문제입니다.

    • @elgb5671
      @elgb5671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비커 무게 생략할것도 없이 W에 포함시키면 끝나겠네요

    • @laznay77
      @laznay77 2 месяца назад +9

      그냥... 왼쪽비커 = 물 +탁구공 무게, 오른쪽 비커 = 물 + 쇠구술 부피만큼의 물무게
      당연히 오른쪽이 무겁다. 끝 이게 직관적으로 이해가 안되면 열심히 공부해서 의대에 가세요..!

    • @KB-pv2ru
      @KB-pv2ru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왼쪽 비커 공의 부력은요??

    • @drlee7715
      @drlee7715 2 месяца назад +1

      ​@@KB-pv2ru왼쪽 비커에서 부력 및 실의장력 등은 계 내부의 힘이기 때문에 크게 고려할필요가 없습니다.

    • @drlee7715
      @drlee7715 2 месяца назад

      물의높이가 같다 -> 어차피 물이 비커바닥을 누르는 힘은 양쪽이 똑같음.
      -> 왼쪽은 탁구공에 연결된실이 비커를 당긴다.
      -> 오른쪽으로 기운다.

  • @8jiNo4
    @8jiNo4 2 месяца назад +34

    포털 문제에서 제시되지 않았지만 명쾌한 조건이 있었네요!
    김범준 교수님의 설명에 감탄하고 갑니다~

  • @user-us2ti8cc7m
    @user-us2ti8cc7m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진짜... 배울게 너무 많은 영상이었어요

  • @KangHaeSang
    @KangHaeSang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집중하며 즐거워하시는 모습을 보니까 참 좋네요 ㅎㅎㅎ

  • @bgmradio2024
    @bgmradio2024 2 месяца назад +17

    외부 물리력 - 부력으로 무게의 변화가 신기~
    추가 실험에서 탁구공을 눌렀을 때 탁구공쪽의 비이커가 내려갈지 알았는데
    균형이 잡힌다니 신기하네요 최고!!

  • @khj33689743
    @khj33689743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두분 너무 좋아하는 분들의 콜라보 영상! 수드님 요즘 긱블 영상에 잘 안보여서 아쉽던 차에 이렇게 나와주시네요 ㅎㅋ

  • @user-sq9sj6wm2h
    @user-sq9sj6wm2h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너무 멋져요 🎉

  • @benjamink8473
    @benjamink8473 2 месяца назад

    수학때문에 물리는 포기했지만 물질의 실체적인 움직임과 그에 따른 근거나 이론들을 들으면 참 경이롭고 신기하기 그지없네요 좋은 관찰실험 했습니다ㅎㅎ

  • @Jeong_Han
    @Jeong_Han 2 месяца назад +3

    TV에서 과학 채널보던 어린아이로 돌아간 거 같네요. 신기하고 이론도 재밌었습니다.

  • @user-lu1nf4lm2p
    @user-lu1nf4lm2p 2 месяца назад +23

    어쩜 이리도 아이같으실까..ㅜㅜ 넘 귀여우시고오 ㅜ 볼때마다 빠져드는 범준좌

  • @Nain_Wiz
    @Nain_Wiz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는 물리학 석사인데 두 문제 모두 보자마자 교수님이 생각하신 것과 똑같은 예측은 했지만 저걸 쉽게 설명하기를 조금 어려워했는데 쉽게 풀이해주시는 것을 보고 역시 교수님은 다르구나 생각하게 되네요!

  • @unknown-te2gk
    @unknown-te2gk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 문제를 보고 예전 물리쌤이 항상 하던 말씀이 떠올랐죠... 작용반작용; 미는 만큼 밀려진다; 이렇게 또 실험으로 보여지네요.. 와우

  • @eol9147
    @eol9147 2 месяца назад +4

    흥미로운 실험 재밌어요! 저도 쇠구슬 쪽으로 기울 거라고 생각했는데 실험으로 보여주니 더 좋아요

  • @user-wm4oi8rl9l
    @user-wm4oi8rl9l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김범준 교수님 너무 설명 잘해주시네요
    수드래곤님이랑 너무 잘어울려요❤

  • @gotochitos89
    @gotochitos8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휴... 보다에서 김범준 교수님의 재미있는 물리 이야기 듣고 물리공부 해볼까 하다가
    긱블에 나온 김범준 교수님의 저울문제 이유듣고 접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휴~

  • @user-wh2lj3mn2v
    @user-wh2lj3mn2v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담번에 혹시나 범준교수님 섭외하실땐!!!! 빵을 꼭준비하시길바랍니다.

  • @kwonhyoukkyu
    @kwonhyoukkyu 2 месяца назад +31

    진짜 공부만 하고 똑똑한 사람들은 대충알면서 허세부리는 사람들의 그런 것들이 없다. 보다에서도 보면 다른 분야의 학자들을 서로 존중하면서 이야기하는거 넘 보기좋음.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더니 ㅎ

  • @user-mq7tq8vn1n
    @user-mq7tq8vn1n 2 месяца назад

    많이 생각하게 되는 재미있는 실험이네요.

  • @Kudax
    @Kudax 2 месяца назад

    물리 문제 풀면서 항상 문제에서 주는 상황 직접 만들어보고 싶다 생각했는데 직접 비슷한 상황 재현하는거 보고 신기했고 그걸 이론으로 풀 수 있다는게 새삼 대단해지네요...😮😮😮

  • @tamasi1ok
    @tamasi1ok 2 месяца назад +7

    과학 대통합!!! 너무 좋다. ㅠㅠ 긱블, 보다, 범물, 안될 ㅠㅠㅠㅠㅠㅠㅠㅠㅠ

  • @ssw-um4fr
    @ssw-um4fr 2 месяца назад +722

    감사합니다 나는 생각보다 멍청하다는걸 알게 됐습니다 아이큐 두자리올림

    • @user-ox1nx4wd2d
      @user-ox1nx4wd2d 2 месяца назад +14

      이런거가 뭐가중요함 ㅋㅋㅋㅋㅋ

    • @ssw-um4fr
      @ssw-um4fr 2 месяца назад +50

      @@user-ox1nx4wd2d 나의 동지인가요

    • @jmc9678
      @jmc9678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젊다면 된겁니다

    • @user-lh9jr4ng6g
      @user-lh9jr4ng6g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천재시네요 저는 한자리 입니다

    • @user-ib6td7fc9z
      @user-ib6td7fc9z 2 месяца назад +13

      @@user-ox1nx4wd2d님한테 중요한건 뭐임?

  • @melotoha
    @melotoha 29 дней назад

    저두 덕분에 재밌었습니다 감사해요❤️💓

  • @suwnoopark7626
    @suwnoopark7626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진짜 재밌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ed4yq6rx9p
      @user-ed4yq6rx9p 2 месяца назад

      쇠공이 내려가겠지
      1. 물 용량이 같으면 수평
      2. 탁구공을 넣으면 탁구공은 물위에 뜨는데 못뜨게 막았으니 왼쪽이 더 가벼워짐. 물에 영향을 미치는 중력 - 뜰려는 부력. 따라서. 오른쪽이 내려감
      3. 오른쪽에 쇠구슬을 넣음. 하지만 기둥이 있어서 기둥이 중력에 대해서 값지불함. 저울에 미치는 영향은 0

  • @user-od2dl9gg3l
    @user-od2dl9gg3l 2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재미있는 실험이네요.
    좋은 공부 하고 갑니다.

  • @jeongmok.h66
    @jeongmok.h66 2 месяца назад +9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 설명을 엄청 잘해주시네요

  • @human_tailmeat
    @human_tailmeat 2 месяца назад +2

    Moving Portal 문제는, 일단 포탈이라는 불리적 아노말리가 존재한다고 가정한 환경에서, 포탈을 통과한 후의 사물의 운동량이 포탈을 통과하기 전 사물의 운동량만 고려해야 하는지, 포탈의 운동량도 함께 고려해야 하는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설령 사물이 가만히 있었다고 하더라도 포탈이 사물을 향해 빠르게 움직여서 사물이 포탈을 통과한다면, 면을 기준으로 하는 사물의 상대속도가 빠른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user-vr2vb4th3j
    @user-vr2vb4th3j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말씀에 숙연해 지네요. 연구 이유가 상업적이 아닌 궁근해서 하는 것이다 라는게 참 대단하십니다!

    • @jhk5400
      @jhk5400 Месяц назад

      그렇죠 그걸 이 세상에 도움이 되는 형태로 구현하는 건 엔지니어들 역할

  • @user-cl9nh7oo8w
    @user-cl9nh7oo8w 2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확실히 말이나 글로만은 이해가 될듯말듯한걸 실험으로 직관적으로 보면서 잘된 설명까지 더해지니깐 제대로 이해가 된다ㅋㅋㅋㅋ

  • @user-qu4fg4rl9h
    @user-qu4fg4rl9h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물리 포기자로서 이런 질문들을 보면 학생때는 왜이렇게 재밌게 공부하지 못했나 후회가 많이 되요
    김범준 교수님과 긱블에게 너무나 감사드리고 잘봣습니다.

    • @multiari5648
      @multiari5648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물리는 직접 실험을 해야 경험적으로 습득이 빠르고 재미를 느끼게 되는데, 위험한 것도 있고
      여러 학생들한테 여러 시간대에 다양하고 동일한 실험을 같이 보여줘야하니 학교 재정적인 제한도 있겠고,
      모든 학생이 그대로 따라오는 것이 아닌 외생변수가 나오면 그것대로 문제될 수 있어
      이론 수업만 하는 곳이 많은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도 실제 저런 실험을 하는 걸 직접 보고 동시에 이론수업도 같이 했다면 물포가 안됐을듯^^...

    • @user-hw8pv3qn4q
      @user-hw8pv3qn4q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렇게 설명하는 것까지는 재밌지만 이제 계산해서 문제 풀어야 되면 노잼이라 그런 겁니다

  • @soutienne.
    @soutienne.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우와 과학 관심 없던 사람도 관심 갖게 만드시는 교수님의 설명과 순수한 열정, 수드님의 센스도 너무 좋네요😊😊

  • @cakduki1
    @cakduki1 2 месяца назад

    재밌는 주제를 전문지식으로 쉽게 풀이해 주셔서 너무 이해하기 쉬웠고 흥미로운 생각들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ignis5051
    @ignis5051 2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 흥미롭고 재밌다

  • @user-uq4wi4sf2n
    @user-uq4wi4sf2n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수용씨 앞으로도 이런분들 많이 초대해주세요

  • @user-nk8qm9ug6l
    @user-nk8qm9ug6l 2 месяца назад +5

    김범준 교수님을 고정게스트로 매주 모십시다

  • @user-dr1xq2ri3r
    @user-dr1xq2ri3r Месяц назад +1

    두분 다 신나신게 나한테까지 느껴지네ㄷㄷ
    진짜 과학 좋아하시나보다.

  • @GuJa-he3ng
    @GuJa-he3ng 2 месяца назад +9

    한가지 궁금증은 비커에 탁구공과 쇠구슬이 있는 상태에서 둘의 수위가 같게 물을 넣어도 결국 저것과 같은 결과가 나오는건가요 실험과저에서 물의 양이 같게 넣었는데 그림의 문제는 둘의 수위가 같아보여서요 혹시 그게 그거인것인가요 저는 같은 부피에 의해 변하지 않을꺼라 생각해서 조금 어렵기도하구? 그냥 궁금해서요

    • @AceaIvalia
      @AceaIvalia Месяц назад

      물에 부피가 동일한 둘이 완전히 잠겨있다면 수위도 같습니다. 다만 탁구공이 묶여있지 않다면 뜨니까 수위를 맞춘다면 잠기지 않은 부피만큼 물이 더 들어가겠지요.

    • @user-yy9vj9gc3r
      @user-yy9vj9gc3r 15 дней назад

      ]

    • @S-MKim
      @S-MKim 14 дней назад

      질문이 틀렸다가 정답입니다.

  • @user-dt1mc6md1v
    @user-dt1mc6md1v 2 месяца назад +7

    물리에 흥미가 있거나 공부 중인 학생들(특히 고등학생)을 위해 간단한 설명 덧붙이겠습니다.
    교수님 말씀처럼 비커 포함 그 내부 전체를 하나의 '계'로 정의한 후 계의 내력의 알짜힘이 0이라는 관점에서 저 내부에서 무슨 짓을 해도 저울의 값이 "비커, 물, 탁구공의 무게의 합"이 된다는 사실을 분해해서 물체별로 따지기 위해선 부가적인 약간의 물리학적 상식만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힘(N)을 다룰 땐 작용점이 중요합니다. 탁구공을 위로 밀어올리는 힘인 부력은 '물'이 '탁구공'에게 주는 힘(a)이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부력의 크기만큼의 힘(b)을 '탁구공'이 '물'에게 주게 됩니다.(뉴턴의 법칙 제 3법칙에 의해 a+b=0이 되겠죠?)
    실의 무게는 워낙 작으니 무시한다면 저울에 인식되는 무게(질량이 아니라 힘입니다)는 비커바닥이 저울을 누르는 힘의 크기이고, 이는 곧 (비커의 무게 + 물의 무게 + b - 장력)이 되겠지요.
    그렇다면 장력(T)는 어떻게 구할까요? 이것도 뉴턴의 법칙 제 1법칙(관성의 법칙)을 아시면 됩니다. 즉, 물체에 가해지는 알짜힘(F)가 0이라면, 물체의 운동상태가 변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탁구공은 정지한 상태, 즉 운동상태가 변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즉 탁구공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0이라는 뜻입니다. 탁구공에 작용하는 힘은 교수님 말씀대로 탁구공에 작용하는 중력(mg)과 장력(T), 그리고 부력(a)이 있습니다. 즉 알짜힘 F0 = mg + a + T = 0 이 성립합니다. 따라서 장력은 T = -a - mg 가 되죠.
    이를 비커바닥이 저울을 누르는 힘의 크기의 식에 대입한다면, (비커의 무게 + 물의 무게 + b - T 이므로, (비커의 무게 + 물의 무게 + b + a + mg)인데, 위에 작용 반작용 법칙에 의해 a+b=0이니 결국 저울의 값은 "비커, 물, 탁구공의 무게의 합"이라는 간단한 결론이 나오개 됩니다.
    애초에 계를 묶어서 본다면 이런 과정이 필요 없을지도 모르지만, 이런 분석이 실제로 이해하기 어려운 뉴턴역학 분석상황에서 도움이 되기도 하고, 이런 분석을 좋아하시는 분들도 분명 계실테니 조심스럽게 올려봅니다 ㅎㅎ,,

    • @user-dt1mc6md1v
      @user-dt1mc6md1v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추가적으로 오른쪽 비커의 경우는 같은 방법을 통해 저울의 측정값이 "물의 무게 + 쇠구슬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가 됩니다. 일반화하자면, 밀도가 물보다 큰 물체를 아무거나 저런 방식으로 둔다면, 양측 물체의 부피가 서로 다르더라도 물과 물체의 부피의 총합이 동일하다면 저울은 수평을 이루게 됩니다. (비커 무게가 다르다면 총부피에 해당하는 만큼의 물의 무게가 비커의 무게차이만큼 나야하는데 이건 굳이굳이라 생략)
      즉, 저울 양측의 같은 비커에 동일한 방법으로 크기와 무게가 다른 쇠구슬을 각각 설치하더라도, 비커의 높이가 동일해진다면 저울은 수평을 이루개 됩니다!! 이런 신기한 추론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여러분들도 흥미로운 다양한 상황들을 생각해보시며 공부해보시길 바랍니다. (꾸벅)

    • @user-greekyogurt
      @user-greekyogurt Месяц назад

      mg (왼쪽) vs 공의 잠긴부피만큼 물 무게(오른쪽)
      싸움이군요!

  • @HemmingKIO
    @HemmingKIO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진짜 나긋나긋 말씀하시는데 정말 좋으신 분같아요

  • @ryan_0410
    @ryan_0410 Месяц назад

    주제, 실험 자체도 흥미로운데
    교수님께서 정말 즐거워 하시는 모습도 정말 보기 좋네요 :D ㅋ ㅑ

  • @giseokchoe
    @giseokchoe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쇠구슬을 매단 줄이 고무줄이라면 물에 들어갈 때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을겁니다. 부력만큼 장력이 줄어드니까요.

    • @mygeneral79
      @mygeneral79 2 месяца назад

      당연한.

    • @user-dn8hb9ex6b
      @user-dn8hb9ex6b 2 месяца назад +3

      @@mygeneral79당연하다고만 볼게 아니라 저 실험결과를 결정하는 힘을 직관적으로 볼수있는 케이스라는걸 설명하는거죠 실제로 일반줄에서는 장력의 변화가 있더라도 합이0이라면 그걸 시각적으로 볼수는 없으니깐요 하지만 고무줄로 바꾸면서 탄성력이라는 힘이 추가돼서 시각적으로 줄의 변화까지 볼수있게 되는거죠

  • @kwon_awe_some
    @kwon_awe_some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와 진짜 신기하다👍👍👍

  • @SB_K.
    @SB_K. 2 месяца назад

    제발! 1시간영상!! 제발!

  • @user-qw9ri9uz3d
    @user-qw9ri9uz3d 2 месяца назад

    재미난 실험이네요. 실제로 실험을 해서 그 과정과 결과를 보는 즐거움이 정말 크네요.

  • @Imboredas
    @Imboredas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포탈 논쟁의 핵심은 포탈에 입장하는 물체의 운동에너지를 무엇을 기준으로 정의해야 하느냐라는 문제입니다 (reference point 의 관한 문제). 물체가 있는 땅을 기준으로 삼으면 물체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운동에너지가 0 이 되겠지만, 물체를 향해 내려오는 포탈의 입장에서 보면 상대적 운동에너지가 발생한다는 것이죠. 또 다르게 해석해보면, 모든 것이 멈춰있고 포털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것인가 (A) vs 사실 포털은 멈춰있고 나머지 모두가 위로 올라가고 있는 것인가 (B) 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주어진 system 바깥에 reference point 가 없기 때문에 둘 중 무엇이 정답인지 정확히 알 수 없고, 각 이론별로 reference point 를 설정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토론하는 것이 재밌는 주제인 것 같습니다.

    • @Davaraya
      @Davaraya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런데 땅을 달리는 자동차나 땅이없는 비행기와 배는 움직이는데요?
      RP를 정의할수없는건 실험자 입장에서 관점이지, 사실 모든것은 조건이맞아야 물리적 사건이 일어난다에 중점을 준다면, 하늘에서 우리는 자이로스코프와 나침반을 만들어 비행기로 방향를 찾아 이동할수있고
      자동차같은경우 땅이 기준으로 나침반만 있으면 목적지까지갈수있지않나요?

    • @user-uu2eq8mm5r
      @user-uu2eq8mm5r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와 영상 재밌게봣는데
      이댓글 보자마자 과학 왜싫어했는지
      대학교 교양수업도 왜싫어했는지가 바로 기억났가

    • @Imboredas
      @Imboredas 2 месяца назад

      @@Davaraya 주장하고자 하시는 바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말씀하신 모든 상황은 RP가 존재하는걸요.

    • @user-pk1un5hs1d
      @user-pk1un5hs1d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문제가 애초에 상황을 자세히 설명을 안해놨고 어느 상황이냐에 따라서 정답이 나눠지니 교수님은 애초부터 상황을 잡고 시작하신거군요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 @Nain_Wiz
      @Nain_Wiz 2 месяца назад

      상대성이론을 바탕으로 생각하면 둘의 차이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물체가 움직이건 포탈이 움직이건 결과적으로 나가는 포탈을 기준으로 관측할 때는 두 움직임에 차이가 없습니다.

  • @user-wg1em7cw4t
    @user-wg1em7cw4t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오히려 물리알못은 쇠구슬이 무거우니 오른쪽인줄 알았는데 설명을 들어보니 부력과 외부작용 부피라는 명쾌한 결론이 있네요. 저도 알 정도로 쉽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네요..

    • @ab-norm
      @ab-norm 2 месяца назад +5

      공이 바닥에 연결되어 있을 때는 하나의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라 물이 공에게 가하는 부력의 반작용이라는 게 존재할 수 없는데(작용 반작용은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개념이기 때문. 교수님께서 설명이 어렵다고 한 것은 공과 바닥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 계 전체를 하나의 물체처럼 생각해야 하는가? 에 대한 질문에도 답해야 하는데 그게 어렵기 때문.) 반대로, 공이 바닥에 연결되지 않고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공은 물(비커)과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부력의 반작용이 물에 가해짐. 따라서, 공을 어떤 방식으로 들고 있든(누르고 있든) 비커 내부와 공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항상 그쪽으로 기울 것.
      저는 수능 물리 안 틀린 사람인데, 제 답이 명쾌한지는 잘 모르겠거든요. 근데, 외부작용 부피라는 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요?

    • @uuu3684
      @uuu3684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 이설명 들으니까 한번에 이해되네 ㄷㄷ

    • @uuu3684
      @uuu3684 2 месяца назад

      결국 외력이 있냐 없냐 차이구만

    • @Horcruxify
      @Horcruxify 2 месяца назад

      @@ab-norm 근데 공이 얼마나 무거운지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거 아닌가요? 예를들어 쇠구슬 무게가 탁구공 무게가 동일했다고 하면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으로 기울겠죠?

    • @ab-norm
      @ab-norm 2 месяца назад

      @@Horcruxify 공의 질량은 관계 없습니다. 크기만 영향을 미칩니다.

  • @ResponseEntity
    @ResponseEntity Месяц назад

    말씀을 어쩜 저리 논리정연하게 잘하실까.. 배울점이 많구만

  • @younglee5173
    @younglee5173 2 месяца назад

    부력 제대로 배우고 갑니다 ㅎㅎ

  • @jarakim3100
    @jarakim3100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쇠구슬이 들어있는 비커는 쇠구슬 부피만큼의 물이 더 들어간것이고 실에 걸리는 장력은 쇠구슬무게-부력... 매우 기초적인 물리문제이지만 외력과 내력을 구분해야하는 꽤 생각을 많이 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 @Atrocityexhibition2016
      @Atrocityexhibition2016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아 그럼 왼쪽 비커에는 탁구공 질량+물의질량+비커 질량이고 오른쪽 비커는 물의 질량+쇠공 부피만큼의 물 질량+비커 질량인 것인데 (탁구공과 쇠공의 부피가 같다고 가정했을 때) 탁구공은 물보다 밀도가 낮으니 오른쪽으로 저울이 기우는 것인가요?

    • @user-jj3hh6et3z
      @user-jj3hh6et3z 2 месяца назад

      ​@@Atrocityexhibition2016맞는 것 같습니다

    • @user-fc6sf7qr8l
      @user-fc6sf7qr8l 2 месяца назад

      제가 이해한게 틀린게 아니었네요!

    • @handle_Gretel
      @handle_Gretel 2 месяца назад

      물의 양은 처음에 같게 한것아닌가요? 왜물이 더들어간것인가요 제가 이해한것으로는 두개모두 물의양 부피는 같지만 왼쪽은 닫힌계라서 작용반작용이 무시되고 오른쪽은 열린계라 쇠구슬이 누르는 작용반작용이 적용되어서 무게가 더무거워진것아닌가요?

  • @Heo0hwan
    @Heo0hwan 2 месяца назад +4

    포탈 문제는 포탈이 두 공간을 이어주는 구멍이라고 생각하면 책상에 큐브를 놓아두고 종이에 구멍을 내고 구멍이 큐브를 통과하게 종이를 움직였을때 큐브는 계속 정지해 있을테니 A가 정답일거라 생각함

    • @user-oy3oi8rb5z
      @user-oy3oi8rb5z 2 месяца назад

      제 생각은 다릅니다 그 구멍을 20kg원판이라 생각하고 지면에 있는 탁구공이 그 구멍 안으로 들어갔다고 생각하면 튀어오르겠죠. 님이 말씀하신 종이의 예시는 탁구공을 튀어오르게 할만큼의 에너지가 없을 뿐 지면에 가한 충격만큼 그 에너지가 전달되게 됩니다.
      이 때문에 영상에서 물체와 포탈이내려오는 속도에 따른 운동량이 중요할것 같다고 말씀하신거고요.
      후에 중력도 공기저항도 없는 우주에서 포탈이 달린 판이 에너지를 가지므로 에너지 보존법칙에서는 전달이 되어야하고 최종 산물에는 물체 밖에 없으므로 반드시 물체는 에너지를 가져야합니다. 따라서 b가 맞습니다

    • @user-jh6by5ic1q
      @user-jh6by5ic1q 2 месяца назад

      단순히 두 공간을 이어주는 구멍이라 가정하고 지구중력 환경을 그대로 적용한다고 쳐도 A냐 B냐는 큐브에 가해지는 운동에너지에 따라 달렸다고 봐야죠.
      그 운동에너지가 지구중력을 일정시간 충분히 거스를 정도로 크다면 B처럼 나갈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A처럼 비탈따라 내려오겠죠.

    • @uwa285
      @uwa285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jh6by5ic1q 포탈 자체를 프레스 기계로 이동시킨다는 것은 포탈 속 공간을 통째로(공기 포함) 이동시키게 되는 거니까, 내리꽂는 운동에너지만큼 포탈 속 공기와 강하게 충돌하게 될 텐데 과연 b처럼 될까요?

    • @user-jh6by5ic1q
      @user-jh6by5ic1q 2 месяца назад

      @@uwa285 대기의 존재(대기압, 강풍 등)을 고려하면 훨씬더 복잡해지는데, 보통 중고등학교의 물리학 관련 문제나 일반물리학 수준의 레벨에서는 시스템을 좀 간략화 하기 위해 '공기저항 무시'라는 단서가 붙습니다. 이 경우도 바람을 고려하면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좀더 생각을 해봐야겠습니다만, 공기저항 무시라는 단서가 붙는다면 충분한 운동에너지가 주어진다면 B로 갈 확률이 높습니다.

    • @uwa285
      @uwa285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jh6by5ic1q 무시하기엔 너무나도 큰 조건이지 않나요? 프레스 기계가 중력을 거스를 만큼의 충분한 운동에너지를 가지려면 큐브의 무게에 걸맞은 힘으로 내리꽂아야 하는데, 포탈 속 세상은 꿈쩍도 안 할 테니 그게 그대로 풍압이 돼버리잖아요. 큐브가 가벼우면 약한 풍압이어도 치명적일 거고, 큐브가 무거우면 그만큼 더 강한 힘이 필요할 테고, 또 그만큼 풍압도 강해질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