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우리 아파트 점검 좀 해요" 공포감 느끼는 자이 입주예정자들 / KBS 2023.06.29.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1,5 тыс.

  • @처리-w5z
    @처리-w5z Год назад +465

    1군 브랜드랍시고 분양가도 높게 받으면서
    서민들목숨값 가지고 장난치면 안되지않는가..정부에서 대책을 마련해야합니다

    • @레비아탄-v8u
      @레비아탄-v8u Год назад +8

      1군 아파트 입주하는분들이 서민인가요? ㅎㅎ

    • @정창훈-k5i
      @정창훈-k5i Год назад +6

      기술 자격증 없는 분들도 하청에서 일하던데 거의 대기업ㅊ브랜드임

    • @미나의견생
      @미나의견생 Год назад +7

      다 아파트사는데 서민도 급나누나?

    • @알로하-q5z
      @알로하-q5z Год назад

      이런애들이 분양에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애들이지ㅋㅋ 1군이라고 다비싼게아니다 중소 건설사도 다 비싸게 받어 주변시세대비 해서 분양가 내는건데 ㅋㅋㅋ 수도권 대부분 분상제걸려서 그거에 맞게 분양한다 등시나ㅋㅋㅋ

    • @lartois8129
      @lartois8129 Год назад +3

      ⁠아~ 1군이고 뭐고 분양가는 건설사랑 상관 없다고

  • @mcholic6733
    @mcholic6733 Год назад +197

    지금 짓고 있는 신축 아파트들은 다 저런상황이라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자재비, 인건비 폭등에 자기들 수익을 남기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자재 빼먹기입니다.

    • @5555-y4q
      @5555-y4q Год назад +7

      그니까 자이만 저러겟냐고 ㅋㅋ

    • @parknasa
      @parknasa Год назад

      ​​@@5555-y4q오히려 작은건물들이 더 안전하고 철근 많이 들어감
      감리가 관리하기도 쉬워서 더 꼼꼼히봄
      큰 건물은 비엣남하고 장궐라들이 개판쳐놓고 솔직히 감리가 다 못봄

  • @벚꽃나무-l8s
    @벚꽃나무-l8s Год назад +1036

    90년대의 삼풍백화점, 성수대교와 같은 부실시공과 비리로 얼룩진 사건을 마주했던
    나로써는 아무렇지 않게 안전에 대한 건설사의 의식수준이 뒷걸음질 하고 있다는 것이 한탄스러울 뿐 입니다.

    • @ByungXin_of_Dead
      @ByungXin_of_Dead Год назад +3

      그사이에 건물이 무너지고 그런거는 거의 없었는데... 그거는 무엇으로 설명해야할지..

    • @user-qd5ox8ug4z
      @user-qd5ox8ug4z Год назад +26

      당장은 안무너지겠지 근데 10년 지나서 지진이나 나면 폭삭 망할듯...

    • @벚꽃나무-l8s
      @벚꽃나무-l8s Год назад +49

      @@ByungXin_of_Dead 마우나 리조트 부터 최근 HD현대산업개발의 아파트까지 무너진게 없을까요? 정신차리세요~

    • @ByungXin_of_Dead
      @ByungXin_of_Dead Год назад +3

      @@벚꽃나무-l8s그사이 건물이 2개만생겼나 보네요.. 알겠습니다. 당신의 생각대로 걱정하며 평생 사세요.

    • @벚꽃나무-l8s
      @벚꽃나무-l8s Год назад +1

      @@ByungXin_of_Dead 하.. 예를 2개만 든거지.. 거지.. 거지.. 든거지... 수준 떨어져 대화 섞기 싫러요~♡

  • @kaistmommyson
    @kaistmommyson Год назад +282

    철근을 빼먹었으면, 철근을 다시 넣든지, 재시공 하든지 해야죠. 강한 처벌을 해야 앞으로 건설사들이 정신을 차릴 것 같습니다.

    • @조용민-t4f
      @조용민-t4f Год назад +31

      철근을 다시 넣을 방법이 없으니 유일한 해결책은 모두 허물고 새로 짓는 것뿐이겠지요...

    • @asi4986
      @asi4986 Год назад

      그냥 살아~

    • @Teddy_bear681
      @Teddy_bear681 Год назад +2

      허물고 다시 짓는다네요

    • @cherLEE86
      @cherLEE86 Год назад +4

      처벌은 안할듯
      정부는 건설회사 편이거든~~

    • @강민우-p2c
      @강민우-p2c Год назад +3

      그냥 부장 이상 북송 시키고 아오지 탄광 보내면 고쳐짐

  • @ykmoon5534
    @ykmoon5534 Год назад +692

    고위 임원이 뭘 안다고 점검을 합니까? 안전진단 전문기관에 의뢰를 해서 안전점검을 받아야지요~~~

    • @주달이쭈주
      @주달이쭈주 Год назад +32

      안전진단 업체 대부분이 알바생들 모아다 대충 가르치고 현장 내보내는 데 뭘 안다고..... 참고로 안전진단 업체 3년 있었음.

    • @이창민-r9o
      @이창민-r9o Год назад +26

      입단속 시키로 간거짆아.. 뭘물어

    • @끄끄-e1s
      @끄끄-e1s Год назад +43

      입단속하러 다니는겁니다 ㅋㅋ

    • @넌D졌다-z7r
      @넌D졌다-z7r Год назад +15

      건물은 중국인이 다짓는당께

    • @kimjuheon2498
      @kimjuheon2498 Год назад +16

      가서 10분~20분있다가 이동했다는데? 그냥 생색만 내는거고 입단속 시키는거지 머 잇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김김현민-j7z
    @김김현민-j7z Год назад +241

    적발시 기업이 존폐 위기에 직면한다는 것을 무겁고 엄중한 처벌로 보여준다면 건설사들이 알아서 튼튼하게 잘 짓는다 답은 나와있다 행동으로 이행하지 않아 반복될뿐이다

    • @yskim7827
      @yskim7827 Год назад +1

      K- 판새: 우리가 지켜즌다ㅎㅎ

    • @crazyb8421
      @crazyb8421 Год назад

      노놉. 저 잡것들 또 교묘하게 빠져나갈 궁리만 하지 건물튼튼하게 자재 다 넣어서 공기 넉넉하게 지을 생각절대로 안함. 어떻게든 많이 남겨먹고 안걸릴려고 짱구 굴릴뿐. 종족 자체가 그런종족임.

  • @Oaowjdn
    @Oaowjdn Год назад +843

    이제 후분양으로
    층간소음검사나 철근상태검사 등
    여러가지 해보고 입주하는걸로 바뀌어야한다

    • @율라우-p3i
      @율라우-p3i Год назад +19

      후분양무새.후분양으로 돌리면 대형건설업체 빼곤 나머지 아파트 올리지도 못 함. 지금도 집값 비싸다고 징징거리는 주제에 후분양해서 1.5배로 뛰면 그때도 징징거리게?

    • @LOFIJOE0707
      @LOFIJOE0707 Год назад +23

      후분양 소리치는 놈들은 걍 미분양된 아파트 사서 들어가면될껀데??ㅋㅋ 층간소음검사 철근상태검사 스스로 업체 붙여서 확인하고 사면됨

    • @dakkakimasao
      @dakkakimasao Год назад +32

      @@율라우-p3i 그래서 니네집이 무너져 내리면 그래 어쩔수 없지 그래라

    • @whaleson4808
      @whaleson4808 Год назад +31

      @@율라우-p3i 요새 꼬라지 보면 설계도면 대로 그리고 층간소음 없게 시공하기만 해도 건설비용 1.5배로 뛸것 같은데 그냥 다 조지고 대형 몇 개만 남기는게 낫지 않아요?

    • @찌아찌유
      @찌아찌유 Год назад +16

      능력안되면 업 안해야지....

  • @youngjunpark1714
    @youngjunpark1714 Год назад +34

    가장 아래층에서부터 위로 대부분의 하중을 부담하고 책임지는 설계이기 때문에 지하층이 붕괴하였다는 뜻은 언제가 밑에서부터 위로 차례대로 무너질 수 있는 증거인데 해당 부분 보수 수리로 끝낼 수 없는 문제이고 상황이다 굉장히 큰 문제로 봐야한다

  • @jongseonkim4677
    @jongseonkim4677 Год назад +296

    최근 건설된 자이 아파트 전면적으로 점거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 @Oaowjdn
      @Oaowjdn Год назад +1

      아파트 브랜드중에 제일 튼튼하고 층간소음 없게 짓는브랜드가 어딘가여??

    • @estherss5968
      @estherss5968 Год назад +11

      맞습니다 동천동 자이도 외벽이 툭툭 떨어지고 있습니다

    • @trodoro
      @trodoro Год назад +1

      @@Oaowjdn 현대랑 자이가 층간소음 개선에 적극적이긴 했는데.. 이제는...

    • @trodoro
      @trodoro Год назад

      그냥 롯데가 지은 오피 쪽으로 가세요 옛날부터 빌딩은 기깔나게 짓는 회사

    • @tjkwon4800
      @tjkwon4800 Год назад +6

      @@trodoro ㅋㅋㅋㅋㅋ 그냥 웃습니다.

  • @whatagash
    @whatagash Год назад +9

    모든 건설 현장은 공기와의 싸움입니다. 하청업체들은 최저가 입찰이기 때문에 공기를 줄이는 것만이 살길입니다. 그리고 부실공사는 그 과정에서 생깁니다. 누구보다도 일하는 사람들이 더 안전하게 일하고 싶고 더 품질 좋은 결과물을 내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돈의 논리는 모든 욕망보다 가장 위에 있죠.

  • @손광현-p6u
    @손광현-p6u Год назад +446

    규정대로 합시다.
    규정대로 설계도면 그대로 시공하면 튼튼하고 안전에는 문제없어요.
    중간에 철근하나 덜 넣고, 이렇게 중간에 부실시공으로 이익보는 파렴치범때문에, 안전에도 문제가 생기고 주민들은 불안해하고 건설사의 신뢰도도 추락하는 겁니다.
    삼풍백화점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 @fun22smile
      @fun22smile Год назад +14

      설계도도 부실이래요~

    • @오일남-l7h
      @오일남-l7h Год назад

      규정대로인데가 어디있어요ㅋㅋ 규정에도없는걸로 헛소리하는 기업과 정부기관이 얼마나 많은데요

    • @upinthesky5283
      @upinthesky5283 Год назад +5

      국토부 층간소음 검색해 보세요. 규정이라는걸 어떻게 했는지.

    • @han002k
      @han002k Год назад +2

      이번에는 설계부터 문제 였음 ㅡㅡ

    • @TV-ly4em
      @TV-ly4em Год назад +5

      규정대로하면 층간소음은 못잡음 규정이 ㄱㅂㅅ같이 만들어놔서 90년대 노태우시절 충간소음관련 완하하기시작함 그게 지금까지 이어지고있음 건설사들은 이미 해결책을 알고있으면서도 법이 바뀌지 않는한 해결안함 규정대로하는거라..

  • @와쟤무서워
    @와쟤무서워 Год назад

    Gs건설은 1월 초 104동 건물 지하 기초 공사를 하면서 광주시로부터 주택 건설 사업 계획 변경(설계 변경) 승인도 받지 않고 멋대로 말뚝을 박지 않은 채 바닥면 전체에 통으로 기초판(정리된 땅 위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최하부 콘크리트 구조)을 100~130㎝ 두께로 불법 시공했다. 애초 설계도면엔 직경 60㎝짜리 말뚝 85개를 박은 뒤 그 위로 두께 80㎝의 기초판을 시공하도록 돼 있다.

  • @콘파냐-y9t
    @콘파냐-y9t Год назад +486

    나라 전체가 부실 투성이구나
    세금도둑이 넘쳐나는 나라

    • @hjs6198
      @hjs6198 Год назад +5

      가장큰건 나라가 삥뜯는 국민연금을 좋다고 내고있는거 아직 40년가까이남았는데 받겠냐 ㅆ/ㅂ 아우 돈아까워

    • @7603st
      @7603st Год назад

      ​@@hjs6198대중이한테 따져 그리 반대해도 밀어부친게 누구냐

    • @인생헬
      @인생헬 Год назад

      저희 사장님이 연금 안내면 통장 막힌다고 불평불만을 얼마나 쏟아내시던지... 찐강제로 연금내야하는 나라...

    • @하루하루-p2t
      @하루하루-p2t Год назад

      대통령부터 정치범들도 도둑놈들인데
      대한똥국은 범죄자들 천국임

    • @국익최우선
      @국익최우선 Год назад

      세금도둑이 보단 사기꾼 공화국이 되어가고 있음!

  • @jse5217
    @jse5217 Год назад +27

    아이파크에 이어... 자이도 일단 피해야겠네요. 다른 건설사도 비슷하겠지만 일단 두곳은 명백히 드러났으니..

    • @길꽃잎
      @길꽃잎 Год назад +1

      전주 한화건설 포레나 부실공사 퍼펙트요

    • @user-ex6cx3yj8h
      @user-ex6cx3yj8h Год назад

      @@길꽃잎니가 뭘안다고 퍼펙트래

    • @왜사냐건
      @왜사냐건 Год назад

      울아파트 이름이 자이아이파크 ㅋㅋ

    • @길꽃잎
      @길꽃잎 Год назад +1

      머리에든게없으니 ㅉㅉ 뉴스좀봐라

  • @angreu7150
    @angreu7150 Год назад +133

    자이 아이파크 정말 심각 합니다.
    😢

    • @박은주-e1j
      @박은주-e1j Год назад +9

      제 생각에 관례처럼 거의 비슷할듯요

    • @seeartziwon
      @seeartziwon Год назад +15

      그 둘 뿐이면 참 다행이죠 ㅋㅋㅋ

  • @donhyunkim5243
    @donhyunkim5243 Год назад

    GS건설… 유명 배우 cf모델로 써가면서, 국민은 기준을 잘 알수없는 시공순위 상위권에 올리고 고급브랜드화에 성공은 했지만, 현실은 대형 하자가 많았고 결국 큰 게 터졌음. 특히 물난리난 gs 아파트들 많았음.

  • @이승민-q9h
    @이승민-q9h Год назад +189

    15분 검사: 방문하고 책임자부르고, 커피한잔마시면서 "잘하고 있제? 아시다시피 현재 상황 알죠? 여기도 보니깐 큰문제없을꺼라 믿습니다. 잘합시다 예? "라고 했을듯

    • @abcdefg685
      @abcdefg685 Год назад +8

      소름ㅋㅋㅋㅋ

    • @eugenejang3208
      @eugenejang3208 Год назад +6

      현장을 너무 잘아시는거 아닙니까 김사장~
      고소하겠습니데이~

    • @turu-b4g
      @turu-b4g Год назад +1

      와 보고오셨소 소름 돋네

    • @부록님
      @부록님 Год назад +1

      담당자였냐

  • @마이송송
    @마이송송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GS건설은 기초부터 완공까지 부실하지않은곳이 없다 가장중요한 전기 수도시설 누수 이런필수시설이 안전하지않다 지은지1년후부터 전기시설에 중대한문제가생기고 화재위험성이 있어 주민들이 밤잠못잔적도 있음 GS는 건설업에서 퇴출시켜야한다 걸려있는수많은하자소송또한 부실이 원인이다

  • @feetajfkwcvtxty
    @feetajfkwcvtxty Год назад +13

    이미 관습적으로 직접 시공하는 하청을 쥐어짜니 안 빼먹으면 시공이 안됨 입찰이 불가능하다고 보면 됨 아예 단가 자체가 빼먹기를 염두에 두고 낙찰이 진행된다고 보면됨 한마디로 관습적 빼먹기임 ㅋㅋㅋ 근데 문제는 설계팀은 항상 '최저한'의 비용을 압박 받음. 예전에는 계산이 정확하게 안되니 눈대중으로 대충 안전계수 높게 잡고 설계를 했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정확한 시뮬레이션과 설계가 가능해짐, 이에 따라서 설계팀은 안전계수를 낮춰서 설계하고 시공비용을 줄임.
    이렇게 되니 설계팀에서 철근 빼고 현장에서 빼먹는 현상이 벌어지고 결국 하자나 부실로 이어지게 되는 악순환이 발생함 ㅋㅋㅋ 설계팀과 현장팀이 소통할 일이 없고 그냥 하청을 줘버리니 발생하는 문제... 그러나 공사 현장도 없는데 수 많은 인부를 고용해가면서 한 회사 진행하는게 불가능하고, 이미 낙찰받으려면 빼먹어야 남는 (안빼먹으면 시공회사 파산하고 실제로 단가 상승, 공가기간 증가 등으로 파산하는 하청업체들 널렸음) 그렇다고 설계팀에서 쓸때 없는 자재까지 넣어서 설계할 수도 없는 노릇... 감리? 감리 빡세게하면 시공업체는 그냥 연장 털고 나감 ㅋㅋㅋ 손해 볼게 뻔히 보이는데 누가 시공함?? 다들 알면서도 쉬쉬하던 거지.. 하청주는 업체는 싸니까 좋고, 시공 업체도 감리 안하니 작업 편하고 대충 빨리빨리 해서 이윤 챙기고 입주민도 단가 내려가고 나름 서로 WIN WIN WIN ㅋㅋㅋ 결국 모든 문제의 시발점은 '돈'이다.
    정당하게 업체 운영?? 그냥 망한다 ㅋㅋㅋ 입찰도 못 받고, 받아도 공사 늦고, 툭하면 돈 더 달라, 자재 부족하다, 시간이 모자란다, 시공에 문제가 있다 하는 업체 누가 쓰고 싶음?? 근데 현장에서 일을 하면 문제가 없을 수가 없다. (설계와 현장은 다르기 때문에 당연히 설계대로 시공이 안되는 경우가 왕왕 생긴다. 예를 들면 연장 넣을 틈이 없거나 하는)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정당하게 일하는 업체가 성공할 수 있도록

    • @aisle11
      @aisle11 Год назад

      진짜 문제가 많네요...

  • @별아롱-f1f
    @별아롱-f1f Год назад

    한국 아파트의 시멘트는 해외 안전 기준법과 달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요. 시멘트에는 석회, 규석, 점토를 고온에서 구워서 만든 재료인데, 기본 석면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1급 발암물질이 있음에도 거기에다가 정부는 쓰레기들을 모아 시멘트업체에게 돈을 주면서까지 배합하라고 하다보니 예전의 강도가 나올 수 없는 현실. 일본 오염수 방류처럼 바로 피해가 나타나지 않을 뿐이지 현재 아파트들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일본 오염수가 향후 15년후에 증상이 나타난다면 시멘트는 7~10년뒤에 강도로 인한 균열부터 암유발이 증가할 거에요.

  • @starlightknights
    @starlightknights Год назад +74

    20년간 국토부가 건설사 뒤를 봐주고 있기 때문에 바뀔 이유 없습니다. 그냥 부실한 아파트에서 살아야죠. 안 무너지게 조심하면서요. 요즘 층간소음 아파트 많죠? 층간소음 자체가 부실시공인데, 그것도 알고 보면 국토부 작품 입니다. 게다가 선분양 자체가 부실위험을 더욱 가속화 하는데 크게 신경쓰는 사람 없잖아요, 대충 지어도 잘 팔리잖아요.

    • @Oaowjdn
      @Oaowjdn Год назад

      아파트 브랜드중에 제일 튼튼하고 층간소음 없게 짓는브랜드가 어딘가여?

    • @도하최
      @도하최 Год назад +1

      ​@@Oaowjdn건설 종사자인데 그런곳 없습니다

    • @HYO8259
      @HYO8259 Год назад +1

      ​@@Oaowjdn그나마 래미안

    • @지해-y7v
      @지해-y7v Год назад

      그나마 롯데캐슬

  • @왕십리보안관
    @왕십리보안관 Год назад +1

    최근 GS건설에서 부실 시공으로 25층까지 지은 아파트 건물을 재시공 한다는 기사를 접했었는데 이미 같은 건설사가 지은 건물에 입주예정이 되신 입주에정자분들은 정말 불안할 듯합니다. 앞으로 입주하시는 분들이 마음이 편안하기 위해서는 시공 점검을 면밀히 하게 할 필요가 있을 듯하네요. 이렇게 입주예정자분들의 목소리를 전달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피코데블몬
      @피코데블몬 Год назад

      재시공 공개적으로하면 그집보다 튼튼하고 신경쓴집 최근사이 없을듯
      자이 이미지 회복이 걸린아파트인데

  • @thm1583
    @thm1583 Год назад +50

    시행사,시공사,감리사 다 못믿으니, 입주예정자들이 직접 고용할 수 있는 완공 후 입주전 건물 안전검사 대행업체도 있으면 좋겠네. 입주전 하자검사 대행업체도..
    현실로는 쉽지 않겠지만

    • @소문난집
      @소문난집 Год назад +1

      ㄹㅇ 어떻게 한새끼도 제대로 일을 안했냐

  • @ssv-c2u
    @ssv-c2u Год назад

    시공사 시행사 발주처 감리 에 하청 하청에 하청 을 하면서 공룡으로 변한 대기업은 관리감독만 잘해도 부실 시공은 없는데 비리와 감리의 부정부패가 부실시공을 낳고 결국 대기업은 망해도 남는 장사를 하고 하청만 이윤을 남기려고 하청에 하청때문에 더욱더 부실 시공이 생긴다.. 본청이 책임지고 시공하는 아파트 즉,본청에서 직영으로 관리하고 철저하게 감리를하고 원칙대로 설계대로 시공하고 많이 남는장사하기위해 눈감아주고 돈주고 애쓰지 않으면 된다.. 의식주로 장난치는 새끼들은 다 사형시켜야 한다.. 의식주의 신뢰가 우선이다.

  • @국과수-p7k
    @국과수-p7k Год назад +73

    GS 신상 뼈없는 아파트 - 순살 자이 !!!!!!!

  • @nemom7794
    @nemom7794 Год назад

    딱 요거만 체크하시면되요.. 현재 불량시공사 에 관련된 감리, 납품업체, 시공 하청등이 전국적으로 동일한곳이 단한곳이라도 있다? 그럼 100프로 붕괴입니다. ㅎㅎㅎ 시간 버리고 더운데 먼곳까지 갈 필요도 없고, 딱 서류던지 계약서 몇장 만 확인하면 싹다 잡아 쳐넣을수 있읍니다. 헤헤헤.

  • @user-hackgosu
    @user-hackgosu Год назад +165

    건축이나 건설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해야 할 국토부는 건설사와 꿍짝이 돼서 지들 배불리고 모르는 척 하기 바빠요. 국가기관은 부실공사를 용인하고 건설사는 이를 이용하고 새집 들어간다는 기쁨에 찬 입주자들은 막상 입주 후 고통스럽구요. 계속 반복되는 부실공사, 앞으로 계속 반복될 부실공사는 건설사도 문제이지만 국가의 책임이 큽니다. 층간소음으로 윗층과 아래층 입주민 사이에서 칼부림이 납니다. 입주자들 어느 누구도 살인청부업자나 살인자가 아닙니다. 넓은 시각과 트인 생각으로 바라본다면 이 모든 책임은 건설을 관리감독해야할 국토부에 있습니다.

  • @Super_sonny_guy
    @Super_sonny_guy Год назад

    95년도 삼풍백화점 붕괴때 건설업계가 제대로 각성 했었죠 그 덕분인지 한동안 큰 고층건물 붕괴사고가 일어나지 않았구요
    그래서 단순히 생각해보면 90년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 준공된 아파트들이 안전성 면에서는 제일 신뢰가 갑니다

  • @당당구리-q3u
    @당당구리-q3u Год назад +141

    전면 재시공해서 건설사들에게 확실한 경고를 줘야합니다

  • @josebkim685
    @josebkim685 Год назад

    아파트 공사현장의 현실
    아파트 기초 공사부터 아파트의 뼈대 철근 작업 목수작업의 80%가 베트남 조선족 중국 사람
    그마저도 돈 벌려고 온 젊은 20대 애들.
    한국의 20대들과 동남아 20대들과 사고방식이 비슷할지는 모르겠지만
    노가다판에서 과거세대의 일하는 자세와 요즘 세대의 일하는 자세는 다르지 않을까.
    중요한건 주 인력층인 외국인노동자들이 공사를 하는 아파트를 한국 사람들은 영끌까지 해가며 살라고 한다는거.
    건설사들은 좁아터진 한국땅에 돈 되는 아파트만 많이 짓고 있는 현실.
    인구수는 계속 줄어드는데 시간 지나면 아파트값 많이 떨어질테고 장기적인 시점에서 건설사는 조금이라도 인구수가 더 많을 때 돈 벌려니까 아파트 열라게 짓는거지. 그것도 빠르게 많이 완공하는게 목표.
    치고 빠지기.

  • @살기힘들다-p5j
    @살기힘들다-p5j Год назад +7

    이게19년 20년 이후에 지어진 아파트들이 문제라고 수년전부터 돌던 이야기인데.... 이렇게 여러군데 무너지고 나니까 그게 사실이었다는걸 알겠네 .. 도대체 어떤 생각으로 저렇게 한걸까 ? 나중에 일터질거 분명히 알았을텐데... 윗선이 모르고 한건지 아니면 알면서도 저렇게 한건지 ... 저 빼먹은 돈은 다 어디로 간거고 ....

  • @마히마히-z4h
    @마히마히-z4h Год назад +1

    집볼때 가격이랑 주변 여건도 중요하지만 제일 중요한게 건물 상태 먼저봐야함 일단 아파트 돌아보면서 벽면이나 바닥에 금가있는지 봐야함 페인트로 덧칠해도 티나는 분위 많으니 잘 살펴봐야함

  • @두리우리-k4q
    @두리우리-k4q Год назад +37

    설계도 짓는것이 어려운건 아닐테고~ 시공사가 임의대로 제대로 짓지 않았다면 책임져야지? 이런것도 사기 아닌가? 어디 수산시장 게를 샀더니 다리가 다 끊어진 게를 포장한것처럼 말이야....

  • @ysp337
    @ysp337 Год назад +73

    철근빼먹은 주체들 중형으로 처벌해야하고 손해배상책임도 지게해야함.

  • @hini-f7z
    @hini-f7z Год назад +6

    아는분이 아파트살때 집중 건축기간에 장마기간껴있나 상당히 중요하게 보라더만.. 콘크리트 양생 습기 곰팡이도 그렇지만 비오면 부실증거도 잘 안남고 모두가 대충대충하는 분위기

  • @윤진호-l4o
    @윤진호-l4o Год назад

    사후 약방문일 수도 있지만.
    입주자협의회에서 다지어진 건물이라고 할지라도 요즘 계측장비가 너무나도 우수합니다.
    레미콘 함유량과 철근 굵기 갯수 전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시중에 많아요.
    소송을 하신다면 용역의뢰해서 부실시공을 밝히세요.
    어짜피 법정으로 가면 증거가 우선이니 착착 자료를 모우시는 작업도 병행하셔야합니다.
    건설사
    감리사등은 부실시공에 따른 민형사상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 @thevanguard1989
    @thevanguard1989 Год назад +40

    진짜 이제는 아파트 브랜드 믿고 비용지불하는건 멍청한 짓이다. 어짜피 외노자들이 짓고 브랜드만 붙이는것 뿐인데.. 우리는 왜그리 열광했던 것일까.

  • @NewYork7914
    @NewYork7914 Год назад +1

    얼마나 많은 아파트들 주인들이 집값 떨어질까 말도 못하고 가슴않이 하며 지낼까(?) 도 상상이된다. 앞으로는 자재, 인권비, 아파트시세 폭락으로 부실공사가 점점 더 심해질텐데,,

  • @nadana4u9
    @nadana4u9 Год назад +8

    우리 아파트는 신축인데 기둥 타일 떨어지고 비상계단 바닥 타일 일어나고 주차장 곰팡이 피고 주차장 상부에서 물 질질 세서 비닐로 쳐놓고 지하주차장1층 바닥에서 물 세서 폼으로 떼워놓고 비 ㅈ나 오면 지상 1층 공동현관문으로 물 다 들어와사 비상계단이랑 엘리베이터까지 다 물 테러 당해서 엘베 멈추고 심심하면 월패드 맛탱이 가고 그걸 또 그냥 재부팅 하면서 살아라 하고ㅋㅋㅋㅋㅋㅋㅋ아주 그냥 난리도 아님

  • @우리나라흑사회
    @우리나라흑사회 Год назад +3

    입주자들 계약할때 피해 입을시 긴말 필요없이 무조건 100배 1000배 보장 받고 계약하면 문제없음 계약 성사 될때까지 무조건 이보장 받아내시면 문제없습니다

  • @이재선-x7i
    @이재선-x7i Год назад +27

    양파껍질처럼 하나씩 하나씩 나오는 부실흔적… 모두 모아보면 답이 없다.. 설계도 부실, 시공은 더 부실, 조사도 대충… 꼼꼼하게 감리 받으먀 전면재시공 말고는 답이 없다.

  • @김딱따구리-x8f
    @김딱따구리-x8f Год назад

    건축물은 세움터에 도면 및 기타 자료가 업데이트 되어 있습니다. 자료는 있으니 시간과 노력만 있으면 전국 아파트 전수 검사 가능합니다. 장난질을 치다 걸리면 합당한 보상과 벌을 받아야 합니다

  • @최희선-q4k
    @최희선-q4k Год назад +43

    문제있는건설사는 반드시 해체시켜라~~목숨을 담보로 돈버는 건설사는 퇴출이답이다

  • @죠스-n1x
    @죠스-n1x Год назад

    투자겸 내집마련으로 대출받아서 매매했는데 이제는 똥값될일만 남았네 저런집을 누가 사서 들어가겠냐 허물어서 다시 만들어야지 집값 반등은 커녕 똥값되겠네 차라리 입주자들이 감리를 외주로 맏기는게 현명할꺼 같은데 저렇게 하자있는 아파트는 이제 낙인 찍혀서 집값도 나락갈일만 남았지 모

  • @eonjoonahn2666
    @eonjoonahn2666 Год назад +11

    저길 들어가서 어떻게 맘편하게 사나. 현대산업개발, GS건설이 최근에 짓는 아파트는 지진 큰거 한방오면 다 무너질듯.

  • @당면순대는가짜순대
    @당면순대는가짜순대 Год назад

    국토교통부랑 건설사들이랑 사실상 한편이라니까? 국교부 고위공무원이 퇴직하면 건설사 임원으로 전관예우받고 취업할텐데 건설사한테 잘 보여야지 ㅋㅋㅋ 뒷돈은 또 얼마나 받아먹었을까
    그냥 고위공무원들 퇴직하면 그대로 끝내고 각종 사기업 공기업 임원으로 절대 재취업 못하게 법안을 마련해야됨 이러니까 유착이 발생하지

  • @한글-q8s
    @한글-q8s Год назад +5

    대기업 브랜드가 이런 시공을 하고도 문제 없다고 하는거보면~~~~진심 걱정된다~ 모든 기업들 아파트 설계도면하고 초음파 검사해봐야할듯~~~~~~~~~

  • @흠냐-j8e
    @흠냐-j8e Год назад +39

    삼풍백화점 이후 몇년간 지어진 아파트가 그나마 가장 꼼꼼히 지어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 @김현우-u6i6t
      @김현우-u6i6t Год назад

      주공이나 옛날아파트 보성 청구 등등

    • @ttl6579-e8k
      @ttl6579-e8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삼익추가
      망치로 못도 안박힘ㅠ
      요즘 아파트는 주먹으로 쳐도 부술수 있음

  • @kimberly-hs2nd
    @kimberly-hs2nd Год назад +106

    취재가 시작됨에도 불구하고 자기네들 회사 쉴드치는 GS 사원들이 참 대단하다고 느낍니다.

  • @천검-u4j
    @천검-u4j Год назад +1

    자이.. 예전에도 부실 자주 거론되었던거 같은데..이렇게 빼먹고 있었군.. 입주전 무너져서 얼마나 다행이야..

  • @이정환-d3c
    @이정환-d3c Год назад +38

    걸렸을때 망한다는 본보기가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대기업이면 효과는 더욱 좋구요, 현대든 GS든 향후 국내에서 벌어지는 모든 시공에 참여를 제한시켜야 합니다.

    • @소장미-m9t
      @소장미-m9t Год назад

      크게 공감합니다
      본보기를 보여야 합니다
      건설사들 정신번쩍 들게요

  • @3kguru3kguru
    @3kguru3kguru Год назад +36

    분양도 하자가 있으면, 취소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 @김귀만-f4r
    @김귀만-f4r Год назад

    H건설이 강동구 고덕동 건설중인 9월 입주 아파트도 일방적으로 입주 연기에 불안하다
    입주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
    돈 받아가는 건 그동안 1원 하나도 에누리 없이 받아간거 보면
    대기업이라 잘 하리라 믿었지만 갑자기 3달 남기고 일방적으로 연기하는게 영 꺼림찍하다

  • @sooya_record
    @sooya_record Год назад +8

    저희 동네 gs건설이 지은 아파트
    라돈 아파트지만 (주민은 매일 창문 열고 살아요)
    집값 떨어질까봐🤣 쉬쉬하는 웃긴 현상

  • @slayerjo1
    @slayerjo1 Год назад

    철근 10개 들어가야 할 자리에 설계에서 7개 빼고 시공할때 2개 추가로 제거..결국은 하나..그러니 무너지지..순살자이에 들어가는 순간 목숨걸어야 할거다.

  • @정상훈-h8b
    @정상훈-h8b Год назад +66

    원래 저정도면 감리사들은 아무 문제가 없는건지.
    건설사 하청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람목숨이 달려있는데 감리 처벌을 강화합시다

    • @정곤잘레스
      @정곤잘레스 Год назад +5

      감리 깐깐하면 교체됩니다. ㅎㅎ

    • @아비투스-h6c
      @아비투스-h6c Год назад

      감리가 에프엠 대로 하면 일할곳이 없어요 ㅋㅋㅋ

  • @my7promise
    @my7promise Год назад

    아파트 기둥에 레이저 쏘면 철근 몇개 얼마나 있는지 다 알수 있습니다. 최근 아프트 전수 조사 해야합니다. 쓰러지면 그때 후회하면 늦습니다. 아파트 가격도 소중하지만 목숨은 하나자나요

  • @호재림
    @호재림 Год назад +40

    본보기로 전면 재시공만이 해결책
    대기업 1군 건설사 마저 아파트를 개판으로 시공하는것을 미온적으로 처벌한다면 대한민국의 미래가 없다

  • @손병갑-s6j
    @손병갑-s6j Год назад

    세계의 유수 플랜트를 건설하는 대한민국.. 공장은 그렇게 잘 건설하고.. 전세계 최고의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는 국가인데... 사람도 똑같고...
    엔지니어도 나름 유수의 명문대 나오셔서 석박사 분들도 꽤 분포되어 있는 곳이 대기업 건설사 입니다.. 헌데.. 꼭 아파트 건설하면
    1. 해결않되는 층간소음..
    2. 부실공사..
    3. 완공전 붕괴...
    왜그럴까요??? 답은 딱 한곳... 그만큼 이익내서 지들 배 쳐불릴려고.. 사내 직원 않쓰고.. 모두 하청에 재하청 주니 개판됩니다.
    현대, 삼성, GS , 롯데... ENG와 20년 일했습니다...
    아파트 건설은 그져 그져.. ????????????????????? 라고 최소 3단계 아래급으로 엔지니어로 취급도 않더군요..

  • @baremable
    @baremable Год назад +16

    다지은 주차장 파리한마리도 안올라왓는데 주차장이 무너지고 놀이터에 아이들이 깔려죽을뻔했다 검사가 무슨 소용이냐 전세대 재시공 아니면 죽음뿐이다

  • @뭄바이-l9n
    @뭄바이-l9n Год назад

    Gs건설 전국공사현장은 즉시 공사중단하고 젼부다 안전점검실시하여 이상없다고 판정하는곳만 공사할것

  • @손미정-h1v
    @손미정-h1v Год назад +15

    아이파크 사고났을때 대기업도 못믿을게 건설사란게 밝혀진거였네 부실공사 눈감아준 정부가 책임져야지

  • @닝기리-z2d
    @닝기리-z2d Год назад +1

    철근 콘크리트 포함 모든 자재가 감당못헐 정도로 폭등한게 부실시공의 원인임 ... 인건비도 소폭 올랐고 ...

  • @jordyjo7029
    @jordyjo7029 Год назад +6

    이야
    인구감소를 위해 노력하는 gs
    칭찬해😊

  • @푸른망고-h6u
    @푸른망고-h6u Год назад

    사고나야 바뀔꺼냐는 댓글들이 많던데.
    사고가 나도 안바뀌는게 문제죠. 지금이야 화르르이지만 좀 있음 식을테니 버티기 들어갈게 뻔합니다. 이번에도 얼렁뚱땅 넘어갈듯요.
    아2Pa크때 보세요. 대책마련한다고 하고 눈속임으로 법안 슬쩍 올려놓곤 지금 바뀐거하나 없습니다. 처벌자도 밑사람이고.
    시공단계부터 주기적으로 비파괴검사하면 될건데 감리들도 한통속이니 이런 비리가 계속 이어지는겁니다.
    중국인 노동자 많다는 어쩌고가 중요한게 아닙니다. 어차피 윗사람이 시키는데로 하는 작업자일뿐입니다.
    설계대로만 한다면 중국인노동자 써도 됩니다.

  • @정진호-i1m2t
    @정진호-i1m2t Год назад +39

    순살자이가 건설한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뛰어놀고 붕괴되어 공동묘지자이가 되고싶은것인가? 안전과는 절대 타협해서는 안된다
    Gs는 전면 재시공하라

  • @judosin267
    @judosin267 Год назад +1

    철근 제대로 엮어서 하는 현장이 별로 없다. 철근 시공시 철근끼리 사람이 엮어줘야 하는게 있는데, 인부들이 귀찮다고 안 엮어주고 그냥 콘크리트 부어 버리는 경우도 많아요.시공할때 밀착해서 일일이 지적해야 합니다. 그런데 그러면 인부들이 엄청 싫어하죠.

  • @차용호-i4o
    @차용호-i4o Год назад +63

    수능을 건드릴게 아니라, 이런 분양 사건을 건드려야죠. 윤석열아. 우선순위 좀 두고 일하자.

  • @동현-z9x
    @동현-z9x Год назад

    예전에는 GS 하면 명품아파트라고 주위에서 다 좋아했는데 요즘은 순살건설이란 소리밖에안함.. 제가 사는 지방에서도 이미지 나락가버림

  • @user-lz3gv1my1n
    @user-lz3gv1my1n Год назад +12

    GS 본인들이 허접하게 지어놓고 그걸 또 GS 가 나와서 점검을 해?
    이게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 @elanjey8554
    @elanjey8554 Год назад +1

    철근을 한번 빼먹어도 문제가 심각한데... 거기다가 한번을 더 빼 먹었으니.... 안무너지는게 오히려 더 이상하지...

  • @tongsupchoi
    @tongsupchoi Год назад +39

    GS건설 클라스 ㄷㄷㄷ

  • @hhh-tc7yc
    @hhh-tc7yc Год назад

    사람 죽어야 문제가 되려나 부실시공은 살인미수로 수준으로 여겨야하는데 기업형 범죄는 벌금형이 최선이니...

  • @박존-t3n
    @박존-t3n Год назад +4

    아파트 공사는 물론이고 대형 건축물 공사의 90%이상이 철근 규정대로 들어가는 곳 없습니다. 딱 건물 안 무너질 만큼 철큰 빼돌려서 정상적으로 철근 다 들어간 것 처럼 처리합니다.
    이런 일을 하든 사람에게 직접 들은 예기 입니다.

  • @라온하제-p2n
    @라온하제-p2n Год назад +1

    블라인드에 GS에서 일하던 직원이 올렸던 글 생각나네 공사할 때 부실 심할거라고 욕먹었는데 진짜였어...

  • @perry1055
    @perry1055 Год назад +33

    아니, 그니까, 난, 진짜 왜??? 그리 아파트들 타령인지 모르겠다... 아니, 아파트에서 무슨 노다지라도 나오냐??? 툭하면 아래위 싸움질에 살인도 종종 일어나는 걸, 왜??? 못 가져 안달들이냐고??? 서울, 수도권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사람이 없어 살 사람도 없는 시골 촌구석까지 왜??? 그리 아파트들을 때려 짓냐고???

  • @강건우-y2h
    @강건우-y2h Год назад +1

    방법을 적어줘보까?
    (나도 건축밥 먹는 사람이라 내부 고발성향)
    건설사 현장을 다른 건설사3게 + 민간 2개..
    총합 5개 정도 점검단을 만들어서 크로스체크
    문제점을 지적할때마다 시공사 입찰에 대해서
    1. 입찰 도급액 제한
    2. 입찰 홧수 제한.
    위에 2가지 n/5해서 각각 업체에게 지급해주고
    점검단 5곳은 무조건 도급공사 1건 수의계약..
    그러면 부실공사 어지간히 없어진다.

  • @여은하-f4e
    @여은하-f4e Год назад +9

    신축아파트보단 무조건 구축이 정답인듯..

  • @Kang-wo7mp
    @Kang-wo7mp Год назад

    Gs가 건설한 아파트를 GS에 점검해달라고 하는게 맞는건가요? 고양이에게 생선 앚기는거랑 뭐가 다르지?

  • @hyeokjun2216
    @hyeokjun2216 Год назад +5

    왜 아무도 구속이안돼지???
    압수수색안함? 국세청은머함? 저건탈세아님?

    • @부록님
      @부록님 Год назад

      안돼지는 무슨 돼지에요?

  • @유터락
    @유터락 Год назад +1

    돈돈돈만 밝히는 이윤추구가 모두인 건축업자 건설회사등등은
    설계와 법대로 시공바라고
    설계사도 원가절감 배제하고 튼튼하게 설계
    감리도 철저히 해야됩니다
    어기면 면허정지

  • @호로록-u8v
    @호로록-u8v Год назад +19

    진짜 기업정신이라고는 1도없는gs내 망하고 시펏던거야 망하게해줘라

  • @super_tile
    @super_tile Год назад

    임원이 5분만써서 조사만 지시해도 1군건설업체들은 충분히 전수조사 됩니다.
    그간 실행해온 도면이나 모든 공정기록. 데스라가 보존되니 굳이철근확인안해도 부실시공 구간과 업체가 탄로나구요. 무쪼록 안심들하시길..

    • @허쉬-w7j
      @허쉬-w7j Год назад

      기록을 믿나요?

    • @super_tile
      @super_tile Год назад

      @@허쉬-w7j 재시공 하자나요. 걍 1군은 믿고기다리믄됩니다

  • @gregre538
    @gregre538 Год назад +3

    철근콘크리트 아파트가 30년도 안되 부실시공 재건축 얘기가 나오게 만드는 기술은 국내 건설사가 세계 제일이 아닐까!!

  • @Ulsanman3
    @Ulsanman3 Год назад

    정부가 지금 시공중이거나 2~3년 안에 완공된 아파트 전수 조사 해야한다고 생각함
    그리고 문제가 발생되면 감리화사와 시공사에 전액 보상하도록 해야함
    재시공을 해야한다면 시공사 감리회사 부담으로 재시공을 해야하고 그냥 넘어갈 일은 아닌듯
    그리고 정부는 조사한 결과를 전부 공개해야함
    가명 쓰지 말고 전부다 공개해서 쓰레기 기업 자동 퇴출되도록 해야함
    현대산업개발만 문제 있는줄 알았는데 gs건설도 같은 놈들이었네요

  • @산바우
    @산바우 Год назад +11

    GS건설이면 자이아파트 아닌가?
    GS 자이 아파트 수준이 이런 지경이라니~

  • @흔적-i2w
    @흔적-i2w Год назад

    전면 재시공하면 추가금 달라고
    시공사들 난리필건데
    답도 없는 싸움이 곳곳에서 벌어지는구나.
    준공이 떨어져도 들어가기가
    쉽지는 않을듯.
    저아파트 가격 폭락은 당연하것네😑

  • @이종현-b2k
    @이종현-b2k Год назад +11

    입주거부하고 점검도 국내업체 말고 외국업체에 의뢰해야 한다. 건설 카르텔이 있는한 제대로 점검할 리가 없다.

  • @권오철-g3g
    @권오철-g3g Год назад

    차라리 입주전이니 이렇게 검증해 주세요! 라도 하지 서울 불량시멘트로 지은 아파트엔 이미 입주해서 집값 떨어진다고 다들 말 안하고 국토부조차 공개되면 집값에 영향을 끼쳐서 공개 안한다고...

  • @오하이요-i9d
    @오하이요-i9d Год назад +9

    문제는 입주자들도 집값떨어질까봐 쉬쉬함 ㅋㅋㅋ
    이러니 건설사가 각성하겠나

  • @생각하는사람-r7x
    @생각하는사람-r7x Год назад

    건설회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정부와 국회의 문제이기도 하다
    법과 감독기능이 철저하다면 이럴 수가 있을까?
    시장을 위해 규제가 느슨하다고 변명이 아니라 안전에 관한건 철저함이 지나쳐야한다 그렇게 신뢰가 쌓이고 고품질이 되면 더 발전하고 경제가 잘되는 원동력이 된다

  • @오지연-y1g
    @오지연-y1g Год назад +32

    자이는 총체적 부실공사 대표 건설업체다. 사람 목숨 가지고 장난치는 회사는 퇴출시켜라!

  • @bbcomc
    @bbcomc Год назад

    저렇게 분양을 앞둔 아파트도 저렇게 문제인데
    1~2년 전부터 건축자제 비용 급등하고
    건설사들 위태위태한 시점에서 시공 들어가는 아파트들은 각오 좀 해야할듯.

  • @tokpela1
    @tokpela1 Год назад +41

    저런 건설사를 퇴출하는 법안을 제도적으로 확립해야 한다. 우리나라 감리체계는 너무 허술하고 약하다. 방음, 방열도 의무화해야 한다.

  • @더덜티
    @더덜티 Год назад

    김대중 시절 부터 지어진 아파트..글쎄요.. 어지간하면 도시 외각 주택이 좋습니다.. 김대중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 지금은 상하수도 노후 말고는 층간소음 하다 못해 옆집에서 벽에 못질을 해도 소음을 거의 못느끼고 살았던..

  • @신종예-p8e
    @신종예-p8e Год назад +3

    어휴 !!!!!!무서워 GS가 짓는 아파트는 가지 말아야지 저러다 무너지면

  • @reunmalba5367
    @reunmalba5367 Год назад

    우리나라 규정상 행정상 이론으로
    과도한 완벽 안전장치 철근갯수 지정했을텐데
    아마도 건설사들이 느끼기에 이정도 까지는 안해도 된다고 느꼈을듯 그러니 사방팔방 다들 이러지
    설마 무너지는거 알고 건설하진 않을듯 안무너 지니 했을듯
    그래서 원가절감

  • @belleisure-y7k
    @belleisure-y7k Год назад

    얼마나 대기업만 살찌워 줬는지 전국에 80개 현장이면 500세대~1000세대만 잡아도 5만세대 정도일덴데
    정말 업청난 일감이고 물량이다. 그런데 부실공사. 왜경쟁이라고 해도 계열사 통해서 일감 다시받고 해서
    건설하는 시공사들 전부 전수조사해서 중소기업에 일감좀 주고 브랜드 경쟁력을 키워라 제발 ㅠㅠ

  • @michaellee1008
    @michaellee1008 Год назад +7

    이 회사를 포함한 대기업이 건설사를 하는 이유는 자재 빼고 하도급 때려서 회장 비자금 만들기 위해서다. 그래서 모두 후분양으로 바꾸어야 한다.

  • @동심동산
    @동심동산 Год назад

    골조 목수님들 철근 빼먹어도 양생 및 서포트 설치 잘하면 강도 하고 하중 나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