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동모터의 전극연결도 기가막힌 아이디어죠. 그런데..와이퍼를 잘 들여다 보면 상당히 복잡한 메커니즘이 들어가 있습니다. 절묘한 스프링장력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유리에 균일하게 누르는 방청 판스프링. 거기다 흑연가루를 품은 날카로운 각도를 지닌 고무 블레이드! 가금씩 움직이도록 한 인터벌 장치까지.. 요즘은 레인센서가 붙어서 완전 자동으로 움직이죠. 수학적 계산위에 기계 전기 전자 화학까지 집약된 기계장치입니다.
나랑 같은 생각 ㅋㅋ 나도 벤츠의 그 하나 짜리 와이퍼에 매료되어서 소실적에 벤츠 c230 kompressor 사서 ㅈㄴ게 쎄게 밟고 다녔는데,, 그땐 여자들 엄청 꼬시고 다녔음,, ㅋㅋ 꽁떡은 아니지만 떡값으로 충분히 차 값 + 유지비 다 뽑았다 생각듦.. 그중에서 최고 쫄보가 ㅅㅇ인데,, ㅈㄴ 쪽득해서 차에서도 먹고, 차 타고 여행다니면서 가장 맛있게 먹었던 뇬인데,, 지금은 시집가서 애 낳고 잘 사는지 모르겠네 ㅋㅋ
최고👍 입니다
카메라 각도 개킹받네 ㅎㅎㅎ
세상천지 만재가 드글드글하다
하 어깨를 들썩일 정도의 리듬감
연기천재
왔다갔다가 아니라 한쪽으로 도는 운동이었군요! 훨씬 효율적이네요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죠~
아..지난달 암 부러져서 직접 설치해봤는데...설치 후 와이퍼 수평잡는게 너무나 힘들었네요.
벤츠 외날 와이퍼는 진짜 작품 이었다.
회전운동과 왕복운동의 전환은,,, 증기기관차를 동작시킬때부터 사용했던 메카니즘.. 많은 곳에 사용해요. 엔진 피스톤이 엔진피스톤을 움직이는 것도..
회전으로 직선운동이...캠과....링크로....캬...링크의 길이로 회전 각 조정까지...캬....
으마으마하지요..
선풍기 회전과 같은데요.
이게 예전 선조부터 사용한 과학원리인데 단순과학 아닌가요.
회전이동을 축이동으로 바꾸는 것으로 압축 펌프 원리인데...이걸 반대로 하면 엔진이고...
엔진만든 사람 천천재. 바퀴만든 사람 천천재. 브레이크 만든 사람 천천재..
그리고 작동후에 멈추면 그자리에서 멈추지않고 제자리토 되돌아가서 멈추는 원리도 설명 해주시길ᆢ
정면샷을 사용하시는게...째려보는거 같아요 ㅎ
와 와이퍼 이렇게 작동하는군요 저는 개별적으로 모터 하나씩 있고 신호제어로 정.역회전 제어식 인지 알았는데 모터하나로 모두 제어하는거 이었군요
구동모터의 전극연결도 기가막힌 아이디어죠.
그런데..와이퍼를 잘 들여다 보면 상당히 복잡한 메커니즘이 들어가 있습니다.
절묘한 스프링장력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유리에 균일하게 누르는 방청 판스프링.
거기다 흑연가루를 품은 날카로운 각도를 지닌 고무 블레이드!
가금씩 움직이도록 한 인터벌 장치까지.. 요즘은 레인센서가 붙어서 완전 자동으로 움직이죠.
수학적 계산위에 기계 전기 전자 화학까지 집약된 기계장치입니다.
졸라멋짐
증기기차도 그 원리로 몇백년을 달려 왔단다~~~ 단 역작용의 구조일뿐
엔지니어란 저런걸 설계 제작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엔지니어들이 만들어 놓은걸 정비하는 사람은 메카닉 정도로 부르는게 맞구요.
빗길안전은 와이퍼가 지켜주고
내집안전은 와이프가 지켜준다.
증기기관의 바퀴가 떠올려지는군요
단순한데?
엔진 밋션에 비하면
껌이지....
겁나 단순한대 누구나 고민하면 바로 만들듯요 개인적으론 tv엑정화면 만든사람이
천재같음
... 저건 기계공학과에서 기구학 배울때 기초 링키지 소개할때 4bar 링크로 나오는데..
특별할것 없어보이는 대표적 시스템으로 보이는데..
저건 1960년대부터 있던기술이고 릴레이를 만들어서 운전자에게 와이퍼가 눈에 거슬리는걸 방지한 교수가 더 대단하다 개인적으로 생각함
모터 잘 만들었네 내차도 15년동안 고장 안나고 잘 됨
저도 처음 알았네요 ^^
저거 내가 알기론 미국의 한 개인이 발명한 건데 포드에서 기술을 가로채서 먼저 특허를 내버리고 뺏어간 걸로 알음
죽을때까지 모를뻔 한것들중 하나 였습니다
생각해보면 와이퍼 모터는 폐차할때 까지 고장나는경우 거의 없을 정도로 내구성 겁나좋음
표정 변화 없는 진짜 로버트같네요..ㅋ
그럼 1945년에 만든 오토미션은?
컴퓨터는? 제트기는? 뭐니?
화난 백종원인줄ㅋㅋㅋ
이런걸 천재라고 한다고?
반도체 제작과정 보면 이건 원시적인거다.
무슨 천재까지...
와이퍼 풀세트 작동 영상 감사 드립니다.
항상 건강과 안전 유의하시고, 행복한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난 릴레이로 모터가 좌우로 작동하는줄알았는데..
기구학은 리얼 천재적인 학문임..
증기기관차 닮았네요ㅋㅋ
저도 정비사이지만...와이퍼는 진짜 대단함.... 특히 회로도는 첨봤을때 멍했는데.....
쳇!!! 이게 뭐라고
뭐 원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바꿨다고?
이런거말고
미싱이 옷감에 자동으로 실박는거 봐바
그게 찐이다
그리고 그 미싱덕분에
바느질에서 해방된 여자들 이게 더 대단하지 않음?
증기기관차 바퀴가 생각났어요.
ㅇㅎ 그냥 서보모터가 아녔네요
움직이는게 스팀이 내 지갑에서 돈빼가는 엄짤같네
엣킨슨 사이클 와이퍼!
자전거 패달과 같은 회전운동을 좌 우로 바꿔주는 크랭크네요
모텔에도 비슷한원리에 도구가 있더라구여 ㅋ
하나로 연결되어있었군요. 처음 알았습니다.
대부분 기계가 저래 작동함…
와이퍼 작동시
A필러 때리는거 너무 짜증난다구요
이거만든사람 포드가 배껴서 십년넘게 소송해서 이김
저두 첨 봤네요.
자동차 전기먹는것중에 와이퍼가 전기 제일많이먹음...
그리 대단한 기술은 아닌 예전 있던 기술로 어그로 끌기에는 2%가…
증기기관 기차랑같네요.
벤츠와이퍼는 조수석쪽에 4절링크를 추가하여 삼각형 사각지대를 없앴죠 그것도 기회되면 부탁드려요
와이퍼도 엔진처럼 돌아가면서 작동하구나 첨암
기구학배우면 첫장에 나오는내용
정비 하시는분도 천재!천재👍👍👍
회전운동을 반복 운동으로
기구학에 기초가 와이퍼지
딱보면 기관차 바퀴생각남
버스 와이퍼는 두 날의 움직임이 대칭인데, 그것도 원리가 같나요?
짤에 사설이 기네요
오 신기방기
지나가던 구독자 공돌이 입니다.
4절링크 공부하시면 만드실 수 있으십니다.
수고 많으십니다
와이퍼 작동의 신세계는
구형 벤츠와 체어맨에 적용되던 원 암, 외날 와이퍼죠 ^^
그리고 벤츠의 조수석 전체적으로 닦아주는 와이퍼는 최고인듯합니다 ㅎ
나랑 같은 생각 ㅋㅋ 나도 벤츠의 그 하나 짜리 와이퍼에 매료되어서 소실적에 벤츠 c230 kompressor 사서 ㅈㄴ게 쎄게 밟고 다녔는데,, 그땐 여자들 엄청 꼬시고 다녔음,, ㅋㅋ
꽁떡은 아니지만 떡값으로 충분히 차 값 + 유지비 다 뽑았다 생각듦.. 그중에서 최고 쫄보가 ㅅㅇ인데,, ㅈㄴ 쪽득해서 차에서도 먹고, 차 타고 여행다니면서 가장 맛있게 먹었던 뇬인데,, 지금은 시집가서 애 낳고 잘 사는지 모르겠네 ㅋㅋ
@@jamesb9451 형님2편은 없습니까?
@@jamesb9451 ㅋㅋㅋ
회전운동->직선운동-> 닦이
정비사 라면 알겁니다!
아무생각없이 탈부착 하려 하다 영점 잘못 맞춰 조립하면 그때부턴 괴상하게 움직이며 헬게이트가 시작되는 와이퍼링크와 모터...
엔진하고 똑같구만..
카앤맨인지 모르고 눌렀다가 어디서 많이 본 사람인데? 하고 확인해보니 카앤맨이네요!
자동차는 물리 화학 과학등의 집합체다.
로버트 잘생겼다.
와이퍼 작동을 보게되다니~
잘봤습니다~신기하네^__^
리도동 닮으셨다
와이퍼 개발하신분 이야기 "플래쉬 오브 지니어스" 영화가 생각나네요
와이퍼갓은소리하네 연병
의외로 와이퍼 모터가 고장이 잘 안나는 이유가 있군요…엄청 간단한(?)구조네요
모터 하우징 코어조립 어쌤블리 완본체 만드는 회사에서 일했었는데 하루에 2만개씩 찍어냈더랬쥬..
기계공학
로보트 는 어떠한 메카니즘 으로 움직이는지 알고 싶습니다.
엔진만든 사람은 바본가?
증기기관차 바퀴같네여
이번영상말고 양쪽으로 와이퍼작동되는영상 올려주세요 ㅋㅋ
로버트~ 머리스타일 최선입니까?
내가 동작을 이해할 정도니. . 좀 단순하네요.
단순한데?
👍🏼👍🏼👍🏼👍🏼
겁내 단순한데..
자동차의 명장 가제트도 천재 아닐까요안주천재!
저 와이퍼가 없었더라면 물이 묻지않는 유리 기술이 더욱 발전했을수 있지 않을까...?
와이퍼 : 살려줘
유리 : 살려줘
궁금했던건데 이렇게 알게되네....
0:42(feat 가제트해장님의 뒤통수)
카멘 30만 구독 가즈아!
시바.!
이거 그냥 기차바퀴보고 만든거ㅋㅋㅋㅋ자동차는 그냥 모든게 다 모터로 움직인다고 보면 됌ㅋㅋㅋ
기구학 공부하면 10분이면 답나옵니다
단순하다.
단순해 보이는데...
첨 보는사람은 신기하겠네.
엔진이랑 똑같구만 머
크랭크축이구만
야.. 너두..
자네도 할 수 이써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