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9강: ‘불멍’과 ‘물멍’의 문화적 의미 - 물과 불, 그리고 바라봄에 대한 동서양의 통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K-SemiosisTV
    @K-SemiosisTV  Год назад +1

    00:31 [1]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멍 때리기' 휴식
    05:04 [2] '멍 때리기'의 효과
    - 주위 회복 이론: '애쓰지 않는 주의(efforteless attention)'를 통한 일상의 주의력 회복
    - 반수면·반각성 상태에서 발현되는 창조성
    09:55 [3] 왜 '불멍'과 '물멍'인가?

  • @yudirect1
    @yudirect1 Год назад

    현대 문명을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저의 정신 생활에 대해 곱씹어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바라본다'라는 행위를 여러 층위에서 설명해 주셔서 그 행위의 근저에 대해 성찰해보게 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