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Видео 58
- Просмотров 25 774
한국외대 K-세미오시스 TV
Добавлен 5 апр 2022
세미오시스 연구센터 세미오버스(SEMIOVERSE)의 공식 RUclips 채널입니다.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32강: 『라 셀레스티나』 에 드러난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미학
스페인 중세문학의 마지막 작품인 『라 셀레스티나』 (1499)에 드러난, 유머와 풍자를 통해 자신의 시대를 날카롭게 비판하는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의 여러 양상들을 살펴봅니다.
📍발표자: 장재원(고려대학교)
📍발표자: 장재원(고려대학교)
Просмотров: 237
Видео
우리가 몰랐던 K템 22강: 한국의 공예템: 조선백자-도자기에 담긴 아름다운 회화
Просмотров 138Месяц назад
조선시대 백자공예의 문양으로 표현된 당대 회화의 의미와 미학을 알아본다. 📍 강연자: 김문정(인하대학교)
우리가 몰랐던 K템 21강: 한국의 생활템: 미술매체로서의 한지 1 - "한국 추상미술에 나타난 한지작업"
Просмотров 2663 месяца назад
전통적 재료인 한지가 한국 추상미술의 한지작업으로 다양하게 변모된 양상을 살펴본다. 📍 강연자: 노은희 (조선대학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31강: 제임스 조이스와 애러비 소개
Просмотров 2583 месяца назад
영문학에 다가가기: 모더니즘 영문학을 대표하는 제임스 조이스의 문학적 특징과 함께 그의 단편 애러비 살펴본다. 📍 강연자: 이영심(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30강: 원주민 문명 몰락의 진실과 『총, 균, 쇠』 꼼꼼히 들여다보기
Просмотров 4,6 тыс.3 месяца назад
역사 기록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라틴아메리카의 현실 때문에, 현재 과학적 연구가 상당히 진전되었으나 사관이 쓴 정사 삼국지와 나관중이 쓴 삼국지연의 사이의 차이와 흡사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본 콘텐츠는 이런 차이를 줄여나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 강연자: 최명호(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29강: 티르소의 희곡 『타마르의 복수』: 성경과 나르시스 신화의 조화
Просмотров 6995 месяцев назад
17세기 스페인 극작가 티르소 데 몰리나는 성경 에피소드의 골격에 그리스 신화의 나르시스 심리를 등장인물에 적용하여 심리희곡 『타마르의 복수』를 창조하였다. 📍 강연자: 서주희(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28강: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를 통해 철학하기
Просмотров 2,3 тыс.5 месяцев назад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를 통해 실존철학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하도록 돕는 강의 📍 강연자: 박은미 (철학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우리가 몰랐던 K템 20강: 한국의 공예템: 분청사기-도자기에 담긴 아름다운 문양
Просмотров 2165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국 도자기의 역사와 분청사기의 종류 및 문양에 대해 알아본다. 📍 강연자: 김문정(인하대학교)
우리가 몰랐던 K템 19강: 한국의 음식템: 한국의 향토음식
Просмотров 777 месяцев назад
삼면이 바다인 한국은 국토가 그리 크지 않지만, 지역별로 기후나 사투리, 향토음식 등의 특색이 강한 편이다. 지역별 향토음식의 배경과 특색을 알아본다. 📍 강연자: 신혜령 (세명대, 향토음식개발연구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27강: 그림으로 알아보는 탈식민주의적 관점
Просмотров 1,8 тыс.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림을 해체구성적으로 해석하여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진실에 다가가는 인문학 특강, 콜럼버스의 신대륙 도착 장면을 중심으로 해석하는 역사적 진실에 다가갑니다. 📍 강연자: 최명호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26강 : 스페인 종교재판소와 사회
Просмотров 531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번 시간에는 스페인 역사 문화에서 특이한 현상인 종교재판소의 활동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 강연자: 이은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우리가 몰랐던 K템 18강: 한국의 음식템: 한국인이 사랑하는 떡
Просмотров 1159 месяцев назад
떡은 하나하나 특징과 맛과 멋을 지니고 있는 음식이다. 기쁠때나 슬플때 함께 나누던 가족과 이웃과 함께 사랑을 나누던 우리만의 고유한 음식인 떡에 대한 역사, 쓰임새 등을 알아본다. 📍 강연자: 신혜령 (세명대, 향토음식개발연구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25강: 남북일의 재일문학
Просмотров 2489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반도의 남과 북, 그리고 일본에 걸쳐있는 재일코리안의 삶을 보여주는 재일문학의 한 작품을 소개합니다. 📍 강연자: 김계자 (한신대학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24강: 인간과 요괴
Просмотров 160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본문화에는 왜 요괴에 관련된 콘텐츠가 많은지 전근대 시대의 사상적 배경과 역사의 흐름에 따라 알아봅니다. 다양한 요괴를 만들어 내고 그것을 시각화했다는 것은 일본만의 특징으로, 이러한 요괴가 인간의 어떠한 면을 드러내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 강연자: 김정희 (경기대학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23강: 고전과 현대 문학의 만남과 영원한 전통 만들기
Просмотров 211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소린은 소설 《카스티야》(1912)에서 고전 예술의 재발굴을 통한 국가재건의지를 표명한다. 고전 예술과 모더니즘 미학의 조화를 통한 민족혼의 영원성을 보여준다. 📍 강연자: 정수현 (서울대학교)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9강: ‘불멍’과 ‘물멍’의 문화적 의미 - 물과 불, 그리고 바라봄에 대한 동서양의 통찰
Просмотров 130Год назад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9강: ‘불멍’과 ‘물멍’의 문화적 의미 - 물과 불, 그리고 바라봄에 대한 동서양의 통찰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8강: 기생과 신여성 - 변화하는 시대, 겹치는 행로
Просмотров 300Год назад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8강: 기생과 신여성 - 변화하는 시대, 겹치는 행로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7강: 스페인 황금세기 문학이 문학장치 속임수를 많이 사용한 까닭
Просмотров 353Год назад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7강: 스페인 황금세기 문학이 문학장치 속임수를 많이 사용한 까닭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6강: '좋은 게 좋은 거다'의 심리에 대한 철학적 검토
Просмотров 517Год назад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6강: '좋은 게 좋은 거다'의 심리에 대한 철학적 검토
우리가 몰랐던 K템 15강: 한국의 공예템: 상감기술 "금속공예, 전통 장식기법 입사(入絲)"
Просмотров 265Год назад
우리가 몰랐던 K템 15강: 한국의 공예템: 상감기술 "금속공예, 전통 장식기법 입사(入絲)"
우리가 몰랐던 K템 14강: 한국의 단장템: 비녀-치레의 멋, 쓰임의 미, 비녀
Просмотров 130Год назад
우리가 몰랐던 K템 14강: 한국의 단장템: 비녀-치레의 멋, 쓰임의 미, 비녀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4강: Culture Invasion (문화 침공)
Просмотров 164Год назад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4강: Culture Invasion (문화 침공)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3강: 17세기 스페인 연극과 극작가 로뻬 데 베가(Lope de Vega)
Просмотров 317Год назад
인문학으로 생각하기 13강: 17세기 스페인 연극과 극작가 로뻬 데 베가(Lope de Vega)
우리가 몰랐던 K템 13강: 한국의 기록템 - 조선의 세계기록유산, 실록
Просмотров 167Год назад
우리가 몰랐던 K템 13강: 한국의 기록템 - 조선의 세계기록유산, 실록
00:00 『라 셀레스티나』에 드러난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미학 01:00 『라 셀레스티나』 02:45 『라 셀레스티나』의 판본과 제목의 변화 과정 04:00 『라 셀레스티나』의 기본 줄거리 07:10 『라 셀레스티나』의 주요 등장 인물 08:50 『라 셀레스티나』의 한 특징: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10:15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11:00 그로테스크 12:08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주요 특징 13:40 미하일 바흐친 14:15 『라 셀레스티나』에 드러난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적 요소들 27:50 『라 셀레스티나』의 중요성
00:16 조선 백자와 이를 담은 회화 작품 01:16 조선 후기 회화 <책가도> 소개 02:33 <책가도> : 1폭과 2폭 분석 04:09 <책가도> : 3폭과 4폭 분석 05:11 <책가도> : 5폭과 6폭 분석 06:19 <책가도> : 7폭과 8폭 분석 07:09 <책가도> : 등장하는 사물의 의미 08:05 <책가도>의 메세지를 담은 도자기 사례 : 백자 청화 문방구 칠보무늬 접시 10:29 궁중장식화 <봉화모란도>의 메세지를 담은 도자기 사례 : 백자청화모란봉황무늬병 11:46 조선 중기 백자와 조선 중기 회화 <사군자> 12:31 <사군자>의 메세지를 담은 도자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00:15 한국 추상미술 운동의 전개 02:44 소개 작가(이항성, 정창섭, 정영렬, 최종섭, 박서보, 함섭) 02:55 이항성 05:45 정창섭 09:50 박서보 13:35 정영렬 06:08 최종섭 18:32 함섭 22:25 한국의 전통재료 닥의 섬유질 - 한지의 가능성 제시
00:00 제임스 조이스 (1882~1941) 00:42 캐리커처 01:01 초상화 01:16 어린시절 01:31 벽화에 그려진 모습 05:18 생애 10:17 주요 작품 11:40 조이스 문학의 특징 15:42 아일랜드 1 16:17 아일랜드 2 17:50 About 더블린 사람들 18:05 주제와 기법 마비&탈출 Epiphany(현현)
의도는 좋은데
05:18 물류의 이동 10:56 중세 유럽의 심장부 13:26 유럽의 변화 16:37 돈키호테 18:15 유럽 문화의 정점 21:21 총,균,쇠 25:21 꽃의 전쟁 26:34 아스테카의 멸망
좋은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 성찰과 깨달음.. 그리고 너무 재밌어요!!
강의를 진행한 김문정 강사입니다. 본 강의의 음향이 일부 고르지 않아 혹시라도 시청에 불편함이 있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셔서 영상을 시청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ruclips.net/video/dthfg6ZtzzU/видео.html
0:14 시작 9:44 티르소의 암논 20:00 티르소의 압살롬
00:50 쇼펜하우어, <소품과 부록> 중에서 03:54 인간은 쓸쓸할 때가 제일 제 정신 같아요 10:40 현존 11:32 실존 14:09 인간은 가능실존이다 18:05 고독을 회피하고자 하는 이유
00:24 도자기는 무엇인가 01:09 도자기는 예술이다, 그래서 삶은 예술이다 02:02 한국 도자기의 전개_토기 05:00 한국 도자기의 전개_자기 06:15 분청사기의 다양한 종류 06:55 상감 분청사기 08:16 인화 분청사기 09:35 철화 분청사기 10:38 박지 분청사기 11:43 귀얄 분청사기, 덤벙 분청사기
00:10 향토음식이란? 04:30 김치의 종류 04:40 떡국 06:28 서울지역 07:20 경기도 08:05 강원도 08:50 경상도 09:45 전라도 10:46 제주도
1:10 그림으로 알아보는 탈식주의적 관점 9:54 탈식민주의 Post colonialism 12:04 콜럼버스 항해일지
0:34 종교재판소 2:56 이슬람 세력의 스페인 지배 역사(711년~ ) 4:00 기독교 세력의 남하와 국토회복(Reconquista) 5:53 공존 -> 불관용 9:33 거짓 개종자에 대한 의혹 12:00 혈통적 자부심 14:15 종교재판소의 흔적_스페인 성 주간(Semana Santa) 행렬의 참회자들 15:26 스페인의 통치_카스티야 vs. 아라곤 왕국 16:39 스페인 종교재판소의 전국 분포 17:49 스페인 마드리드의 마요르 광장 18:02 종교재판소 판결식, [Auto de fe] 18:57 종교재판소의 낙인 효과 21:05 종교재판소 활동 영역의 확대 23:01 스페인 종교재판소에 대한 프레임 23:18 스페인 종교재판소에 대한 평가
00:05 한국인이 사랑하는 음식 - 떡 00:25 떡의 역사 03:03 한국의 세시풍속과 떡 05:23 통과의례 떡 06:54 환영받는 별식 떡 08:05 선물용 떡 09:23 식사대용 떡 10:54 새롭고 건강하게 떡 12:06 약초를 넣어 만든 떡 13:31 떡 가공과 산업
0:25 해방 후의 재일코리안 2:32 1960년대 한일관계 변화 4:58 재일코리안 북한 '귀국사업' 8:08 남북일에 걸친 재일코리안 이야기 11:20 후카자와 우시오
2:27 왜 일본 애니메이션에는 요괴가 많을까 3:27 이계란 무엇인가? 7:03 이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 13:31 '요괴'의 정의 23:57 요괴 퇴치법 27:03 요괴에 대한 인식의 변화 30:25 인간에게 이계와 요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00:32 아소린의 소설 『카스티야』(1912)의 역사적 배경: 1898년 스페인 대재난과 98세대 지식인 운동 04:25 『카스티야』와 고전의 재발굴 (1) - 『셀레스티나』(1499)의 재구성 13:15 『카스티야』와 고전의 재발굴 (2) - 『라사라요 데 토르메스』(1554)의 재구성 21:18 고전문학을 읽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의 중요성
00:19 한지공예 기법 (1) - 지호공예 04:39 한지공예 기법 (2) - 후지공예 06:49 한지공예 기법 (3) - 줌치공예 08:38 한지공예의 무한한 가능성: 과거와 현대의 다양한 활용 예시
04:03 페티쉬(fetish, 물신)와 페티쉬즘(fetishism, 물신숭배) 05:35 현대 사회 페티쉬즘의 양상 ① 성적 페티쉬즘(sexual fetishism) 08:39 현대 사회 페티쉬즘의 양상 ② 상품 페티쉬즘(commodity fetishism) 16:16 『오셀로』에 나타난 페티쉬즘: '손수건'의 인격화
감사합니다
그리스 문명이 왜 인본적인지 알 수 있는 강의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1:17 그리스 문명권의 지리적 조명 및 중요성 3:48 그리스 문명 역사 소개 10:00 그리스 문화의 특징 11:15 그리스 문화의 특징이 잘 드러난 그리스 신화 예시 : 일곱 왕자와 일곱 공주를 가진 니오베 왕비 15:33 그리스 문화의 특징이 잘 드러난 그리스 신화 예시 : 베 짜기의 달인 아라크네 20:17 그리스 문화가 인간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이유 24:18 인간적 그리스 문화 사례 : 비극 '오이디푸스 왕'
00:04 쿠바 음악 Son의 문화와 역사 00:22 럼주와 시가 01:18 복싱과 야구 01:31 아바나(La Habana) 02:42 Che Guevara, Fidel Castro 03:08 Malecón, 바라데로 04:08 산 까를로스 데 라 카바냐 요새(Fortaleza de San Carlos de la Cabaña) 04:25 ¿쿠바의 음악은 맛있다? 09:54 노예무역 11:08 Yoruba족 11:32 ¿아프로 쿠바 음악? 12:50 산떼리아(Santería) 14:32 쿠바의 Son 16:55 손(Son)의 악기 구성 17:45 손(Son)의 리듬 19:05 Buena Vista Social Club, “찬찬Chan Chan”
현대 문명을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저의 정신 생활에 대해 곱씹어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바라본다'라는 행위를 여러 층위에서 설명해 주셔서 그 행위의 근저에 대해 성찰해보게 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00:31 [1]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멍 때리기' 휴식 05:04 [2] '멍 때리기'의 효과 - 주위 회복 이론: '애쓰지 않는 주의(efforteless attention)'를 통한 일상의 주의력 회복 - 반수면·반각성 상태에서 발현되는 창조성 09:55 [3] 왜 '불멍'과 '물멍'인가?
1:24 조선시대 기생의 예외적 보편성 2:26 신분제의 최하층, 천민 계층의 여성 '기생' 5:10 신윤복 그림 속 기생, 기생의 모순적 지위 8:44 화려한 연회의 주역, 기생 10:32 드라마 <대장금>, 지워진 의녀=기생의 역할 12:47 이능화, '조선해어화사' 속 명기 열전 15:27 1908년 관기 제도의 공식적 폐지, <기생 단속령> 16:46 기생조합과 기생학교, 근대 기생의 근거지 18:08 조선엽서 속 그녀는 누구인가? 20:05 기생이자 여학생, 단발랑(斷髮娘) 강향란 21:59 첫 단발랑, 강향란의 인생 6막 24:33 기생-여배우-카페 여급의 성적 경제 25:52 우리도 노동자다, 기생의 당당한 외침
흥미로워요!
0:20 스페인 황금세기 문학이 속임수를 많이 사용한 까닭은? 1:37 스페인 황금세기 문학이란? 2:13 문학장치 속임수와 시대정신과의 연관성 3:02 스콜라주의 3:48 종교개혁 4:14 반종교개혁 4:53 스콜라주의의 재부흥 6:23 코페르니쿠스의 재발견 7:21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이론 9:45 스콜라주의의 붕괴 13:15 속임수 활용 목적
00:03 한지공예의 개념 01:01 한지공예의 종류 (1) - 전지공예 10:30 한지공예의 종류 (2) - 지장공예 12:36 한지공예의 종류 (3) - 지승공예 18:32 한지공예의 우수성
0:20 Q. 어떤 입장이신가요? '좋은 게 좋은 거다' VS '따져야 할 것은 따져야 한다' 0:51 위 질문에 대한 윤리학적 쟁점 - '효용성' VS '원칙' 2:18 벤담의 공리주의: '좋은 게 좋은 거다'의 근거 9:19 칸트의 정언명령 12:08 공리주의에 대한 칸트의 비판 ① 13:44 공리주의에 대한 칸트의 비판 ② 14:54 도덕과 행복에 대한 칸트의 입장
1. 마스터플롯과 그 기능 00:46 마스터플롯의 개념 04:07 마스터플롯의 기능 2. 보편적이며, 지역적인 마스터플롯: 한, 미, 일의 재난-자경단 마스터플롯 11:30 한국 (가족서사, 희생적) 14:16 미국 (영웅서사, 협력적) 16:58 일본 (관료서사, 집단적) 3. 재난과 국가의 실종 20:22 IMF와 국난 극복의 마스터플롯 / 포스트 IMF 시대와 재난의 상상력 4. 가족이라는 이름의 자경단 23:42 국가의 실종과 가족의 재발견 / 재난이라는 문제와 자경단이라는 문제 해결
01:53 입사기법의 출현 03:34 입사와 상감의 차이 08:03 입사기법의 종류 11:04 입사기법의 제작순서 12:13 우리나라 대표 입사기법 공예품
00:18 비녀의 쓰임새와 형태, 비녀는 여성의 전유물이었을까? 05:10 글로 읽어보는 비녀 07:08 그림으로 보는 비녀: 조선 초기 → 조선 후기 11:08 비녀 안에 잠재된 의미들, 재창조된 이미지
00:47 Culture (문화)의 개념 03:50 Culture Invasion (문화 침공)의 개념과 'Soft power로서의 문화 침공'(문화 외교) 06:44 British Invasion과 Beatles 18:21 Korean Invasion과 BTS 22:17 결론: K팝이 나아갈 방향
스페인의 흑역사 종교재판은 프랑코까지 간다
01:01 극작가 로뻬 데 베가(Lope de Vega) 03:02 로뻬의 문학사적 업적: 국민연극(teatro nacional)을 통한 연극의 대중화 06:32 로뻬의 <신극작술 Arte Nuevo de hace comdias> 17:58 꼬랄(corral): 국민연극의 무대 22:40 꼬랄의 실제 모습: 설계도와 좌석배치, 그림들
00:13 우리나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현황 01:42 우리나라 기록문화의 우수성 04:14 조선시대 기록문화의 발달 이유 06:26 조선시대 최고의 기록물, 『실록(實錄)』 08:33 실록을 만든 사관(史官)의 기록정신 11:15 실록이 완성되면 12:31 동아시아(유교 문화권) 왕조 실록 비교·대조
01:05 월성(月城), 대릉원의 항공 사진 02:14 대릉원에 대하여 04:06 황금과 왕릉의 나라, 신라 05:14 5세기 전후 신라 무덤 양식의 변화 06:44 신라 고분 발굴의 시작: 일제강점기~1970년대 11:40 황남대총(皇南大塚), 신라 최대의 무덤 12:26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들 18:20 찬란한 황금 전성기의 내리막
00:26 '교양' 개념 소개 02:26 교양의 세속화 : 신으로부터가 아닌 스스로로부터 모범을 찾기 시작하다 05:57 헤르더가 바라본 교양의 개념 - 인본주의와 진보 중심의 정의 08:17 괴테가 바라본 교양의 개념 - 생성과 과정으로 정의한 교양 11:20 프레드리히 쉴러가 바라본 교양의 개념 - 미학으로 바라본 교양
00:55 조선시대 의생활 연구와 출토복식 05:23 철릭의 주요 특징 07:46 초기 형태의 철릭 10:03 조선 중기의 철릭 10:40 조선 후기의 철릭 12:42 풍속화 속의 철릭
00:55 공동체의례 뜻과 한국의 동제 02:48 공동체의례의 개관 02:56 지역공동체의례란? 03:45 공동체의례의 현황 08:19 공동체의레의 요소 10:16 공동체의례의 유형과 분포 12:15 공동체의례의 지역적 사례 14:48 지역공동체의례의 원리 15:54 공동체의례의 의미
00:00 우리의 고유물성 '한지'에 대하여 01:53 '한지' 용어의 등장 04:13 닥나무로 종이를 만드는 법 08:56 한지의 우수성 09:49 다양한 한지의 종류와 명칭 12:14 한지의 활용: 일반 분야 및 응용 분야 14:29 한(韓)브랜드 15:04 한지 진흥을 위한 전국의 기관 및 공모전 소개 16:20 한지의 지속가능성
재밌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00:22 추리소설이란? : 정의와 갈래, 변형 01:43 1970~80년 한국과 스페인에서 추리소설이 사랑받은 이유 03:11 탐정 캐릭터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과 스페인 추리소설의 공통점 04:27 두 국가의 추리소설 속 탐정 캐릭터 비교 : '페페 카르발로', 스페인 09:50 두 국가의 추리소설 속 탐정 캐릭터 비교 : 한국 추리소설 탐정의 전형성 10:31 두 국가의 추리소설 속 탐정 캐릭터 비교: '형사 오병호', 한국 16:13 서사적 탐정의 탄생: 페페 카르발로와 형사 오병호의 눈을 통해 바라본 두 국가의 당대 사회 모습 17:00 두 서사적 탐정의 공통점 18:17 참고문헌
00:22 들어가기 05:36 <짐달언>의 <아기장수>적 면모 12:36 짐달언이 이룬 민중의 소망 21:40 마무리
K-세계관에 대한 교수님의 정밀한 분석을 통해 학문적 시야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대단한 분석입니다. 대단하십니다.
목소리 잘들립니다 잘듣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