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붕괴, 의대 정원, 대학 붕괴에 대한 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크리스마스 기념 썰이니 다들 각자도생을 위해 오늘도, 내년도 정진하도록 해요. 메리 크리스마스 :)
    #전공의미달 #출산율저하 #대학병원
    기획, 대본, 촬영, 출연, 편집 : 안과의사 이동익 겸 1인유튜버 유나으리
    카메라 : 갤럭시노트20울트라
    조명 : 방구석 형광등, 모니터
    삼각대 : 셀카봉
    편집 : 파이널컷프로

Комментарии • 122

  • @장혜창
    @장혜창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0

    이게 1년전이라고??? 당신은 대체...

    • @EMShch
      @EMShc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2년 12월이래요.

  • @게임-v2l
    @게임-v2l 2 года назад +64

    제가 의사는 아니지만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해 든 생각을 적어봅니다
    1. 공공의대정원을 확대하고 의무근무를 시켜도 결국 큰 수술은 기존의 큰 병원에서 할 것이다.
    2. 차라리 닥터헬기 보급을 확대해 신속한 이동을 보장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
    3. 실질적으로 비인기과 의료인을 늘리려면 수가를 늘리거나 대우를 좋게 해주거나 의료소송에 대해 최소한의 방어권을 보장해야 한다.
    4. 무작정 의료인 수를 늘리면 결국 의료질이 낮아질 것이다.

    • @kimminjae__
      @kimminjae__ 2 года назад +7

      정확하시네요.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4

      큰 병원에도 의사가 없습니다. 오죽하면 아산병원 간호사가 치료도 못받고 죽었겠에요

    • @보노보노-h2c
      @보노보노-h2c Год назад +4

      정확하시다!!!

    • @EMShch
      @EMShc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그게 아니고 아산이 개두술 신경외과 의사 고용을 안한거여요. 적자나는 수술이라서요.

    • @샤르-g6t
      @샤르-g6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와 비의료인이신데 통찰력 ㄷ ㄷ
      저도 배웁니다!!

  • @md12053990
    @md12053990 Год назад +11

    잘 보고 갑니다 고생하십니다

  • @호-v6f
    @호-v6f 2 года назад +30

    의대 정원을 가만히 두어도, 학력 인구 수가 줄기에 의대 컷은 떨어지게 되어있죠. 이는 필연적인 의료질 저하로 이어질테죠. 그리고 의사 수가 증가하면, 의료 서비스 특성상 국가의 의료비는 증가하게 되어있는데, 안 그래도 건보료 부족해서 수가 못 올리는 판에 정치인들 참 잘하는 짓들입니다.

    • @폭스-j5b
      @폭스-j5b 2 года назад +3

      성분명 처방만 시행되더라도 약제비 절감이 엄청날 것입니다. 하지만 의사들은 반대하고 있죠. 미국에서는 가능한 성분명처방인데..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2

      노령화로 의료비는 어차피 증가할수 밖에 없어요. 의료비 증가가 문제가 아니고 치료해줄 의사가 없어요

    • @호-v6f
      @호-v6f Год назад

      @@KLee-nb2rj 상대평가니까 의대 컷이 떨어지죠...? 의대 정원을 3000명이라고 했을때, 수능응시생 60만명일때 의대 들어가기 쉬울까요... 아님 수능응시생 20만명일까 의대 들어가기 쉬울까요...?

    • @호-v6f
      @호-v6f Год назад

      @@KLee-nb2rj 거래량은 증가하는데 건보료가 증가하지 않으니(의료비가 증가하지 않으니) 단가가 떨어지죠.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호-v6f 네 의대컷이 떨어지겠네요. 그런데 의대컷만 떨어지나요 공대 컷도 떨어지고 다 떨어지죠. 우리나라는 행위별 수가제를 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량이 치료횟수를 의미하면 의료비가 증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급격한 노령화로 의료비가 어차피 급증하고 있습니다. 단가는 수가로 정해지는데 단가가 왜 떨어지나요??? 비급여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없으니 더 오를거고요.

  • @jinsoomoon7249
    @jinsoomoon7249 2 года назад +15

    의대 증원을 제대로 하려면 4000-5000억... 매칭되는 대학병원 800병상 급을 지으면 또 5000억.. 1개소 의대-대학병원 패키지에 1조 들어갑니다. 왜 아무도 의대 증설에 들어가는 비용은 제대로 이야기 안 하는지.. 지방에 지으면 병원의 경우에 완전 적자 운영이 될 텐데 유지비용은? 견적서 뽑고서 논의를 해야지 ㅠㅠ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1

      한국 정부 돈 많아요. 교육예산 남는 것만해도 매년 수십조입니다.

  • @깜냥-x1b
    @깜냥-x1b Год назад +4

    일반인들이 이 문제점을 같이 이해할수있는 정보는 뭐든 나왔음 좋겠습니다 분명 의료인들의 답답한부분이 있기때문이니깐요

  • @호-v6f
    @호-v6f 2 года назад +16

    미국의 한 주보다도 작은 나라에 읍면리마다 의사가 있을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어차피 지방 소멸은 변수가 아닌 상수이기에(도시 사람들 보고 인프라 없는 지방가서 살라고 하면 아무도 안 살기에) 사실상 광역시들을 지방으로 인정하고, 광역시에 대규모 병원을 세운 후 읍면리에서 대규모 병원으로 환자 이송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문제의 해결 방안인 것 같습니다.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1

      읍면리도 사람 사는 곳입니다. 의사가 필요없다뇨 나참.

    • @호-v6f
      @호-v6f Год назад +7

      @@KLee-nb2rj 읍면리도 사람 사는 곳인거 알죠. 그렇게 따지시면 사람 있는데에는 무조건 의사가 있어야겠네요. 그럼 그 의사 월급은 누가 챙겨줍니까? 국가? 그러면 세금은 어디서 나오나요? 건보료 9%에서 30%로 올리면 읍면리마다 의사 배치 다 할 수 있겠지만, 30% 내고 싶으세요? 이상론을 펼치지 마시고 현실을 직시하시기 바랍니다.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2

      @@호-v6f 현실은 님이 보셔야죠. 사람있는데 당연히 의사가 있어야죠. 그래서 정부가 대신 의사에게 진료 독점권을 주는 것 아닙니까? 건보료 30%가 아니라 50%라도 필요하면 내야죠. 의사가 없으면 죽는데.

    • @호-v6f
      @호-v6f Год назад +4

      @@KLee-nb2rj 대한민국에는 당신 같은 훌륭한 분이 마니마니 필요해요!!!! 건보료 올려도 좋다는 K Lee님 같은 분이 많다면 진작에 이런 고민도 안 할텐데.... 눈물나네용... 감사합니당~ 저도 제발 건보료 올라서 수가도 올려주고 읍면리에도 암수술부터 뇌출혈 수술까지 24시간 가능한 의사가 다 있으면 좋겠어요!!!!!!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1

      @@호-v6f 건보료는 어차피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선진국으로 가는 길이고 급격한 노령화 때문에. 딴 선진국 처럼 포괄수가제나 성과연동지불제로 지나치게 병원 방문 안하게 하면 건보료 오르는 걸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 @정재성-c1l
    @정재성-c1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문제는 의대정원을 늘려 의사를 늘리더라도 의사들이 가려는 분야가 미용성형외과같은것들에 몰리고 공부하기 힘들고 어려운 분야인 중증외과분야등은 기피한다면 의사들 늘린 효과가 하나도 없는 셈입니다. 그러니 의사를 늘리려 할 경우 분야별로 구분을 해야 합니다. 진짜 늘릴필요가 있는 부분은 힘들고 어려운 큰 수술을 해야 하는 분야들입니다. 미용성형같은것들은 되려 줄여야 할것입니다.

  • @kyungjinlee8619
    @kyungjinlee8619 2 года назад +3

    나라에서 병원숫자 양보다 난치병 불치병들에 대한 연구비를 지원해서 규명되지 않은 난치불치병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수있게 정책을 잡으면 좋을텐데 그런 환자가 많이 않으니 힘들겠죠

  • @Biitcoiinlover
    @Biitcoiinlover 2 года назад +6

    각자도생~~~~

  • @jnote5568
    @jnote556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ㅋㅋㅋ 형 작두 탔어요? ㅋㅋㅋ

  • @룰루랄라-k3m
    @룰루랄라-k3m Год назад +3

    간호사 합격후 지금 1년넘게 대기중입니다.ㅠ

  • @checkmaprofile885
    @checkmaprofile885 2 года назад +6

    안그래도 요즘 걱정이 많았는데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skorea
    @userskore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2024년 7월입니다..😢

  • @blit7603
    @blit7603 Год назад +9

    애들이 없어서 대학정원은 줄이고 있는데 의대는 정원 동결 중이라 늘려라? 앵무새처럼 앞뒤 다른 말을 반복하는데 핵심적으로 뭐가 문젠지 모르는 사람들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OECD도 의사수 늘리라고 권고했습니다. ㅋㅋㅋ

  • @yoh7945
    @yoh7945 2 года назад +1

    메이저 아닌 의대(한양 경희)랑 지금사는 동네 지거국 의대 어딜 가는게 좋을까요..? 지거국 나오면 계속 여기서 살생각인데 그래도 한양 경희 가는게 좋을까요?

    • @박창수-n5i
      @박창수-n5i 2 года назад +3

      고민의 대상이 아닐것같네요

  • @PTS_Driver
    @PTS_Driver Год назад +9

    확실한 건 문과들이 나라 잡으면 안됩니다. 뜬구름 잡는 이야기 하는 사람들 죄다 문과 과학적+합리적=이과
    이과가 나라를 다스려야 하고 그 최고봉은 당연히 의사여야 합니다. 문과나와서 영업하고 말로 먹고 사는 사람들 말고 기술과 능력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 이성과 상식을 중요시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라를 다스려야 합니다

  • @깨갱-h5f
    @깨갱-h5f Год назад

    지방 3만군단위에정형외과2개를비롯해의원10개. …먹고사는게신기하다

  • @kim1884
    @kim1884 2 года назад +4

    Gp들이 미용가서 레이저 쏘는 정도 일은 연차 쌓인 간호사나 피부 미용사들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그쪽 면허를 다른 직역사람들한테도 개방해서 미용gp만으로 꿀 빨 수 있는 환경을 제한하고. 의대 정원 늘리면서 바이탈과에 수가를 추가적으로 지원하면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 @호-v6f
      @호-v6f 2 года назад +8

      그러면 의대 컷이 점점 낮아지고 이는 곧 의료질 저하로 이어질 것입니다.

    • @leedik
      @leedik  2 года назад +12

      과연 고객들이 의사를 선택할지 다른 직역을 선택할지 그또한 시장이 알아서 선택할 겁니다. 결국 젊은 의대생 집단이 어떤 선택을 할지도 마찬가지일 것 같구요..

    • @kim1884
      @kim1884 2 года назад +2

      @@호-v6f 8-90년대 지방 사립 의대는 15% 정도 찍어도 갈 수 있었습니다. 그분들이 다 개원하시고 의대에서 교수하고 계시는데 의료 시스템 잘 돌아갔죠??

    • @이용준-j5g
      @이용준-j5g 2 года назад +4

      @@호-v6f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에 대해서는 보다 합리적인 토론이 필요하겠지만.. 의대 정원이 늘어나서 의대컷이 낮아지고 의료질 저하가 된다는 것은 비약인 것 같습니다.
      의대에 우수한 인력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처럼 의대를 전교1등도 가기 힘든 현상은 분명 잘못된 것이고 자칫하면 의대를 들어가는 것이 공부를 극상으로 잘하는 아이들만이 가질 수 있는 특권으로 잘못 생각되어질 수 있습니다.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성적이 뛰어난 학생보다는 환자에 대한 이해심과 의사로서의 사명감을 가질 수 있는 학생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대학 들어갈 때만하더라도 연고대 갈 정도면 지방대 의대 갈 수 있는 곳이 많았습니다. 그 당시 지방대 의대 나와서 지금 지방대학병원 교수로 일하는 분들도 많을 거고요.. 그분들이 지금과 비교해서 수능성적이 낮아서 의료의 질이 떨어진다고 생각할 수도 없고.. 지금 아이들이 당시보다 훨씬 높은 수능점수와 내신을 받고 의대에 합격했다고 해서 의료의 질이 더 높아진다고 가정할 수도 없습니다. 의대 정원이 늘어나도 의대 경쟁률이 수십대 일이 넘는 현실을 본다면 정원 는다고 의대컷이 떨어지는 것은 미미할테고 의료의 질이 떨어질 가능성도 없어 보입니다. 긴글로 반대 의견을 드려서 혹시 언짢으셨다면 죄송하지만.. 그래도 의견을 드리고 싶어서 댓글 남긴 것이니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호-v6f 의대정원 늘면 질 떨어진다고 하는 사람들있는데 위에분 말씀대로 80~90년대초 의대 커트라인 서성한 수준이었습니다. 즉 커트라인이 서성한 으로 내려가도 아무 문제 없어요

  • @진실자유-g8i
    @진실자유-g8i 2 месяца назад

    선견지명

  • @KOEMDoc
    @KOEMDoc Год назад

    뭐 솔직히 나는 정원 좀 늘어도 상관없다. 내년에 입학한 학생이 보드 따려면 최소 11년 이고 그정도 하면 해먹을만큼 해먹었다고 본다. 물론 몇백명 의대정원 확대한다고 대한민국 의료계의 문제점들이 해결되리란 기대는 하나도 없지만... 딱히 더 나빠질 거도 별로 없다...

  • @자유주의-u4d
    @자유주의-u4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멀 정원가지고 싸우나요 정치 유튜브도 아닌데
    귀가 있어서 들리는 사람은 들리는데로 행동하면 되고
    귀가 없어서 안들리는 사람은 안들리는데로 행도하면 되는거지

  • @gg-ol6ec
    @gg-ol6ec 2 года назад +8

    의대증원은 이루어져야 하지만 의대증원만 이루어지면 안됩니다. 건보의무가입 폐지나 보장성 축소하고 의대증원 늘려서, 과도한 의료기관 방문횟수 줄이고 바이탈 의사들의 수입 증가, 논바이탈 의사들의 수입감소 (한국의 의사 수입은 각 국가 자국민 과 비교했을 시 OECD국가 중 단연코 1등입니다)가 필요합니다. 결국 형평성을 맞추기위해서 증원은 무조건 일어날것이고 정부도 슬슬 움직이고있습니다.

    • @leedik
      @leedik  2 года назад +16

      이미 도심의 의료접근성은 넘쳐나고있습니다. 구체적 계획없는 증원을 한다면 불필요한 공급이 불필요한 수요를 창출하게 될겁니다..

    • @dda1011
      @dda1011 2 года назад +8

      수입도 1위지만 진료환자수 및 의사로서 진료량도 1위입니다. 당연히 일을 타국가 의사보다 많이하니 수입도 많은거죠
      oecd에서 발표한 의사 수입은 단순 통장에 찍히는 액수만 비교한 겁니다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leedik 사람이 도심에만 사나요? 공급이 수요 창출하는건 어느 직종이나 마찬가지고요. 중요한건 적정한 숫자죠. 한국은 딴나라 2/3도 안되는 의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dda1011 진료횟수 많은건 과잉진료라고 OECD가 지적했습니다. 좋은 일이 아니에요

  • @college-of-medicine
    @college-of-medicine 2 года назад +8

    한국 최고의 지성들만 모여있는게 의사인데.. ㅋㅋㅋㅋㅋㅋ 어떻게 정치인들 따위가 왈가왈부하다니

    • @히히-r6k
      @히히-r6k 2 года назад +3

      지금 하는짓이 멍청해보이지는 정치인들이지만 공부 잘하는게 지성이라고 보면 정치인들도 공부 꽤 했던 사람들임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커트라인이 지성임? 그럼 8,90년대 커트라인 낮을 때 들어간 의사들은 지성이 떨어진다는겨???

    • @t3536104
      @t3536104 Год назад

      지성은 있는데 인성은 없네요.

    • @김앤-e1u
      @김앤-e1u Год назад

      ​@@t3536104 동감입니다ᆢ놀라버림ᆢ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기피과 수가를 수십년간 올려줬지만 해결책이 못됐습니다. 왜냐 설사 수가를 올려줘 기피과로 의사가 온다해도 그만큼 인기과 의사는 부족하게 됩니다. 그럼 인기과 소득은 올려준 기피과 수가보다 더 올라갑니다. 그럼 결국 기피과 의사들도 인기과로 갈수 밖에 없습니다.

    • @강우현-i3z
      @강우현-i3z Год назад +3

      다른나라에 비해 얼만큼 올려줬는지는 확인하셨나요?
      기본적으로 경제는 팽창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의해서 수가가 오르는건 당연한 것이고 그것만 가지고 단순히 ‘수가가 올랐다’라고 해석하는건 비약이라고 생각해요.
      수십년간 월급이 오르지 않은 직업이 있었나요😂😂
      올려도 원가 보전이 안되는 상황입니다.

    • @자유주의-u4d
      @자유주의-u4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건 머지 답정너 빼엑~~~~~~~~~~~~ 이건가 ????
      비판을 하고 싶으면 공부를 좀 하고 하세요

    • @KLee-nb2rj
      @KLee-nb2r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유주의-u4d 자기 소개인가?ㅋㅋ

    • @KLee-nb2rj
      @KLee-nb2r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강우현-i3z 원가 보전이 안되면 의사수입이 $ppp OECD 1위인건 어떻게 설명하실건가요? 아무도 대답을 못하더이다.

    • @자유주의-u4d
      @자유주의-u4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KLee-nb2rj ㅋㅋ 논리가 부족하면 나오는 답정놈이네
      메신져를 공격하고십으신가본데 그만큼 머리는 비었다고 광고하시는거죠?

  • @팩트로
    @팩트로 2 года назад +7

    20년간 동결 된건 의대정원밖에 없음....먼가 이기적으로 보이지 않으려고 교묘하게 말하는데 결국 늘어나서 경쟁이 되는게 싫은거지.....수가 올리고 의사도 늘려야 함.

    • @leedik
      @leedik  2 года назад +14

      그렇죠 필수의료과의 수가를 올려주면되는데 그 쉬운걸 20년째 안해주고 교묘하게 정원만늘리면 해결될 것처럼 정부에서 대응하는겁니다. 어차피 정원늘린다고 레지던트정원이 늘어나는건 또다른문제니 미용의사만 늘어난단 얘깁니다.

    • @leedik
      @leedik  2 года назад +14

      단순히 의사연봉이 마음에 안드시는 분이 많으신것같습니다. 지금 문제는 필수의료를 하겠다는 의사가 없어서 의료붕괴가 온다는 것이고 이유는 다 돈되는 미용의사 등 타분야로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 의사정원만 늘린다한들 젊은 친구들이 당연히 본인인생 챙길테니 이 기피현상은 심화될것이고 의료붕괴는 악화될 겁니다. 단순히 이상적인 이론으로 접근한다한들 젊은 개인들이 이성적으로 대처할 것이기에 해결되지않을거란 얘깁니다.

    • @leedik
      @leedik  2 года назад +9

      맞습니다. 어차피 시장이 결정하겠죠. 저희가 논쟁할 필요도 그리높지 않구요. 근데 내부 상황을 모르고 외부에서 그럴듯한 이론으로 대응한다면 문제해결이 전혀 안될거란 얘깁니다. 의사수만 딱늘리면 비보험과 의사들은 어차피 아예 노관심이고 절망하는 의사들은 그야말로 보험과 의사들. 특히 지금 젊은이들이 기피하고있는 비인기과 의사들일겁니다. 당연히 기피를 넘어 기존의료진들도 미용쪽으로의 탈출러쉬가 이어지겠죠. 영상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입장의 차이는 다 다를수있지만 의사를 늘리든말든 문제는 이 조그만 나라의 필수의료가 당장 무너지는데, 전혀 문제의 본질이나 내막, 현 mz세대의 예상되는 대응을 생각안하고 다들 기존 책 이론만 읊고있단 얘깁니다.. 내부시장논리를 조금만 파악해본다면 단순히 정원증가로 쉽게 필수의료기피를 살릴수있다는 1차원적 답변이 나오기는 쉽지않을 겁니다.

    • @no_nanne
      @no_nanne 2 года назад

      @@leedik 그럼 의대정원증가에 포커싱해서 그토록 반대해야할 이유가 있나요. 결국은 의대정원이 증가하든 안하든 지금 정부가 의도하는 방향에 적합하고, 의사들이 원하는 방향에 맞는건 결국 수가증가 및 조정이고 궁극적으로는 의료보험부담을 늘려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럼 그 부분에 포커싱해서 주장하면 될 일이지, 명분이 부족한 '의대정원증가반대'에만 골몰하고 있으니 국민여론이 바닥을 치는거라 생각합니다. 의대정원증가가 적절한 방향이 아니다뿐이지 궁극적으로는 수가 조정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필수적인 요소로 보이거든요.

    • @leedik
      @leedik  2 года назад +16

      정부는 수가 못올릴겁니다. 이미 포퓰리즘으로 보험재정이 파탄상태입니다. 결국 건강보험료 현실화얘기나오면 결국 국민들세금이 늘어나는꼴이니 도돌이표입니다. 사실 이걸 정부나 의사나 뻔히 알기때문에 서로 평행선을 걷는거고 정부가 시늉이라도 한다고 의대정원을 늘리면 정말 필수의료는 걷잡을수없이 무너지게될겁니다. 이걸 이기주의라고 하면 어쩔수없겠지만 불편해도 젊은 세대가 그만큼 현실적이라고 무작정 비난할수도 없을겁니다.

  • @dltjscks6396
    @dltjscks6396 2 года назад +1

    아직 경쟁에 덜 노출된 직업군들…아직 특혜가 남아 있는.
    제한없는 경쟁에 상시 노출되면 3d 섬에도 먹고 살기위해 기어들어갑니다.
    직업인은 없어지지 않아요. 단지 직장과 울타리(권한있는 협회)가 없어질 뿐.
    의사, 정치인

    • @leedik
      @leedik  2 года назад +19

      요새 똑똑한 mz 친구들은 죽었다깨어나도 3d섬엔 들어가기 싫다는 겁니다. 그냥 결혼을 늦게하고 애를 안낳더라도 힘들건 안하겠다는게 예전과는 다른 거고 비단 의료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것같습니다.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leedik 그럼 왜 지방에 온갖 전문가들이 있나요. 시골이 싫어도 경쟁에 밀려서 가는거죠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user-nf5gp8sd7b 그럼 의사될 사람은 지방에선 안 태어나고 안 자라나요???? 의사라고 다를게 없어요.

    • @jkim2017
      @jkim201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KLee-nb2rj시골에는 경쟁에서 밀린 실력없는 의사가 있겠네요. 진료 받고싶으세요.

  • @졸레졸레
    @졸레졸레 2 года назад +4

    의사는 반드시 양적으로 늘어나야 합니다.

    • @leedik
      @leedik  2 года назад +13

      문제의 본질이 아닌 막연한 주장은 미용의사만 양산하게될겁니다ㅎ 단순하게 국회의원도 양적으로 늘어나면 심플하게 더 좋은 대한민국이 될텐데 말이죠 :)

    • @폭스-j5b
      @폭스-j5b 2 года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약사입니다. 2층 원장님이 환자분 플라빅스 드시고 있는데 어느날 갑자기 서울제약에서 나오는 플라벨로 바꿨습니다. 환자분의 약제비가 더 증가하게 되었고, 환자분께 물어보니 약 바꾼다고 들은 적도 없다고 합니다. 바꾼 이유를 알려주실 수 있나요?

    • @khj-bs4vp
      @khj-bs4vp 2 года назад

      ​@@폭스-j5b 훨

    • @KLee-nb2rj
      @KLee-nb2rj Год назад +2

      @@leedik 의사수 부족이 문제의 본질입니다. 오죽하면 OECD도 의사수 늘리라고 했을까요

  • @taesunkwon4100
    @taesunkwon41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의사들 증원해야 되는것 맞습나다 리베이트 보험실비등 비리가 많지요

    • @자면오르나-q2f
      @자면오르나-q2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증원하면 보험실비, 리베이트가 줄어든다는 인과관계가 과연 성립할까요?

    • @커피-q8n
      @커피-q8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런 신발 ㅋ

    • @Daltakealook
      @Daltakealoo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노인네야 와이프가 밥은 해주냐?

  • @고래시옷
    @고래시옷 Год назад +1

    절대적인 수가 부족한건 맞죠. 전공의 없어서 온갖 병원인력을 불법적으로 갖다 쓰면서 무슨..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겁니다.

    • @자면오르나-q2f
      @자면오르나-q2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공의가 없는건 전공의를 많이 안뽑은거지 의사가 적은게 아닙니다.

  • @hurryup13
    @hurryup13 2 года назад +32

    저도 의사인데, 의사로서도 살아남는다는게 이렇게 힘든데 다른 직장인은 얼마나 힘들까요. 문정권에 분노하지만 그러면서도 각자 살 길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의대신설은 그 지역구에 있어서도 표가 되는 일이기에 여야 할 것 없이 공공의대를 추진하죠. 민주주의가 차악이라는 것을 매우 실감하는 요즘입니다. 교수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 @williamhalsey-god
      @williamhalsey-god 2 года назад +3

      문정권에 분노하고 윤정권에 분노 안하는 2찍인가봐요 처맞을까봐 ㅋㅋㅋㅋㅋㅋㅋ

    • @asdfgqqq1573
      @asdfgqqq1573 2 года назад +11

      @@williamhalsey-god ㅉㅉ 한심 이런 사람들 보면 왜 장기적으로 봤을 땐 보수정권을 뽑으면 나라가 발전하고 진보정권을 뽑으면 나라가 후퇴하는게 맞는가보다. 이건 우리나라 뿐아니라 다른 국가에도 해당되지.

    • @태클-l3b
      @태클-l3b 2 года назад +5

      문정권에 분노하는데 윤정권엔 분노가 사그라드나요. 보아하니 이번정권에선 찍소리도 못하고 정원 늘리겠네요.

    • @호-v6f
      @호-v6f 2 года назад +4

      @@no_nanne 서남대 49명 정원은 전북대가 32명과 원광대가 17명 나눠 가졌습니다. 고로 서남대 의대 폐교로 의사 배출 인원이 줄어든 것이 아니지요. 그리고 공공의전원 만들면 입학할 때 형평성 문제로 반대하는 것이지요. 더 알아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 @no_nanne
      @no_nanne 2 года назад

      @@호-v6f 몰랐네요 그리고 형평성 문제에서 시민단체 이런건 솔직히 의협 선동에 가깝죠. 시민단체추천전형을 만들고 싶어하는 세력이 없는건 아니겠지만, 국회에서 공공의대법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때 시민단체추천전형을 넣으면 당연히 제대로된 대다수의 여야국회의원들이 반대할텐데 그게 통과가 될것처럼 말하는게 공포조장 선동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