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홍콩영화 최전성기일 때 우리나라에서 홍콩영화를 들여올 때 코믹한 느낌의 영화는 홍콩어 버전을 들여오고 진지한 분위기의 영화는 북경어 버전을 들여오곤 했어요. 다시 말해 그때 중국어(북경어)가 우리 귀에 나쁘게 들리지 않았다는 소리죠. 같은 중국어인데 왜 그때는좋게 들리던게 지금은 나쁘게 들리게 됐을까요?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나라의 이미지가 나빠지니 그 나라의 언어도 이상하게 들리게 된거라고 보는게 더 타당할 겁니다.
문화혁명때 지식인이 다 죽어 버림. 문화혁명이 끝나고 아이들을 가르칠 교사들이 부족해짐. 그 부족한 상황에서 자란 세대들이 지금의 40~60대들임.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음. 그리고 그걸 보고 자란 애들이 지금의 20~30대들임. 그래서 개판됨. 중국도 알고 있어서 예절교육 엄청함. 근데.. 잘 되지 않음,.. 하지만..지금 자라나는 세대들은..제대로 교육 받고 있는 세대들인데.. 세뇌교육 받고 있으니., 더 똘똘한,, ㅂㅅ이 됨. 중화사상에 찌들어 있음.
중화사상 때문에 자폐적인 성향이 강하고 정서발달도 자유세계 사람들만큼 발달하지도 않은 이런 사람들이 만드는 컨텐츠에 자유 세계 사람들이 매력을 느끼기란 쉽지 않음. 개방적이고 자유분방하면서 정서도 다채롭게 발달해있는 자유세계 사람들을 만족시키려면 최소 평균적인 역치값을 맞춰주거나 아니면 아예 역치 이상을 가서 압도하는 수준까지 가거나 해야 사람들이 만족함.
중국은 절대 보편적인 사람들, 보편적인 나라가 아닌 이상한 나라이기 때문에 보편적인 영화가 나올 수가 없음. 전세계 어느 나라가 수박과 고기를 실컷 먹는다고 부국, 선진국이라 생각하나.. 더구나 자기들 보다 수치적으로 3배 이상은 수입이 많은 국민들이 있는 나라에게. 쟤들은 본인들 수준에 맞는 영화를 잘 보고 사는 거라 봄.
문화는 인간의 발자취면서 삶 그 자체입니다. 있는 것을 없다고 할 수 없으며 동시에 없는 것을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문화는 자연과 같아서 멈추면 썩고 냄새나며 고집만 부립니다. 하지만 바람, 물 처럼 흐르면서 서로 만나기도 하고 헤어지기도 하여 여러 지역과 교류하며 어울려 지냅니다. 문화는 그 속에 내 것도 있지만 너의 것도 있습니다. 세상에 좋은 것만 다 가질 수 없어요. 남의 것을 빼앗고 약탈하며 필요할 때마다 손바닥 뒤짚듯 하여 남들과 갈등과 분란만 일으킨다면 어찌 문화가 잉태되어 자랄 수 있겠습니까. 남의 것만 탐내지 말고 자신의 것을 소중히 간직했다면 이토록 괴로울 일이 없었을텐데. 그래도 반성은 안 할겁니다.
중국의 정통 문화는 생각보다 놀라운것도 많죠. 허나 그건 어디까지 잠깐 놀라는 수준인것이지 대중화가 되는건 아닌것이죠.. 한국에는 맛있는 빵도 많고 비싸고 고급진 베이커리가 있죠. 허나 결국 가장 많이 팔리는건 초코파이라는것이죠. 비유를 하자면 그런겁니다. 중국의 대중문화는 음악이든 영화든 일반 문화든 느낌이 딱 하나 입니다. 꾸부정한 할배를 연상시킨다는것이죠.. 공산당 영화가 아니라도 중국 정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음악이나 현대 산업일지라도. 이런 꾸부정한 늙은이를 연상시키니.. 전혀 매력이 없는겁니다. 혹은 미련한 당나귀를 연상시키죠.. 중국의 문화산업이 이부분을 넘어서지 못합니다. 그러니 결국 할수 있는건 남의것을 모방하는겁니다.. 죽어라 모방을 합니다. 헌데 거기에도 결국 미련한 당나귀나 꾸부정한 할배의 색갈이 같이 들어 갑니다. ㅋㅋ 그러니 그나라에서만 소비 될뿐 다른나라에서 볼땐 엄청 구리죠..
성조어인 북경어가 시끄럽고 듣기 싫은 것도 한몫하는듯. 반면 예전 홍콩영화 광동어는 같은 성조언어였지만 정감있고 리듬감?이 좋아 거부감이 전혀 없었음. 예전 천장지구, 얼혈남아 같은 영화들을 광동어에서 보통어로 모두 재더빙하고 삽입곡들도 보통어로 바꿔서 재녹음한 버젼을 봤는데 전혀 오리지날 버젼의 광동어의 느낌이나 리듬과 다르다는걸 중국어 전혀 모름에도 알수 있었음. 최근에 나온건 모두 보통어 재더빙 버젼이라 일부러 십수년전 광동어 오리지날 버젼 영화cd를 구매함.
공산국가중에서 세계 대중문화에 성공한 국가는 없었다 이 한가지만으로도 공산주의 사상은 인간의 본성과는 안맞는 상상속의 이론이란 거다 모두 똑같이 일하고 똑같이 먹고 똑같은 재산을 갖고 이게 사람들 본성과 맞을수도 있을까 그리고 모두 평등해야 되는데 중국이나 북한을 보더라도 모든 부는 공산당이 차지 한다 청나라나 혁명을 일으켜 세운 공산인민국가나 뭐가 다른가 단지 상류층이 왕족에서 공산당으로 바꾼것 뿐 불평등은 청나라때나 지금의 중공이나 똑같다
한 문장으로.. "매력이 없으니까요" 화려한 것이 멋진 것과 동의어 가 아님. 화려한 것이 지나치면 굉장히 볼품없어짐. 황금으로 무작정 도배를 한다고 최고의 인테리어가 되는게 아님. 굉장히 촌스러워 지는거지. 중국의 것을 볼때 마다 느끼는게 굉장히 화려하게 치장을 했는데 품격이 하나도 안느껴짐.
갠적으로는 중국의 오랜 전통문화는 존중받야야 한다고 생각은 하는데, 지나치게 중화사상으로 접근하려는 저들의 안아무인적 태도 혹은 당의 선동때문에 그들 문화가 인정을 못받는거 아닌가 생각듦. 모든지 대화가 아닌 싸움식이나 강제로 주입하려는 호전적 사회체제다보니, 사람이 불편하니 문화도 관심이 없어짐
그 오래된 전통문화가 제대로 보존되어있지않는 것도 크다고 봅니다. 문화대혁명이 10년동안이나 진행되면서 중국의 오래된 문화재와 유적들 모조리 파괴하고 불태우고 그 지식인, 문화인마저 중국의 공산당을 방해하는 존재들로 낙인찍고 조리돌림하면서 고문시키고 추방시키고 심지어 죽이기까지 했던 그 행적들땜에 현재 중국에 제대로 남아있는 문화가 거의 없어요. 그러니 중국애들이 그저 좋다싶으면 남의 나라 문화를 자기들꺼라고 우기고있는거예요.
우리나라도 인기를 얻기시작한건 2010년대 중후반이였죠 그때는 일부 아는 사람만 아는 정도에 그쳤죠 그러나 코로나 터지고 우리나라의 훌륭한 코로나 대처로 좋은 이미지가 생겨났고 당시 집에 갇혀 있던 사람들에게 우리나라 드라마 영화가 노래가 엄청나게 인기를 얻어 지금이 되었습니다.
어떻게 먹고 사는가, 하는 경제생활 개념에 따라 그 나라의 문화 시장이 달라짐을 사회학과 경제학 등 관련 학문은 정의합니다. 일본의 거대 자동차 회사인 도요타가 좀 더 고급 품질을 개발하려 할 때 연구진들이 가늠 자체를 못하자 팀을 꾸려서 1년간 해외로 내보내 최고급 상류층 생활을 하도록 지원했고, 이후 수많은 문제점을 찾아내 1989년에 탄생한 차종이 한때 고품질의 대명사였던 렉서스입니다. 말을 조금만 바꿔서 '어떻게 생각하며 살아가는가'하는 관점으로 중국을 들여다 볼 수도 있습니다. 공산국가임에도 무산계급의 투쟁을 다룬 마르크스와 레닌 관련 서적이 모두 금서입니다. 반대로 중국 공산당은 반드시 옳다, 하는 세뇌 속에서 살아갑니다. 정부부터 그들 인민을 속이고 있다는 뜻입니다. 고교진학율이 기껏 40퍼센트였다가 가파른 경제발전에 못 미치는 교육투자가 불평등으로 국제사화에서 구설수를 타자 80퍼센트로 끌어올렸으나, 공산당원과 기득권층이 아닌 그 절반은 허접한 기술교육 위주의 직업학교나 다름없습니다. 농어촌의 교육환경과 사회 인프라는 아직도 우리나라의 1970년대에 머물기도 합니다. 학교만 덜렁 있을 뿐 제대로 올곧게 가르칠 교사와 자질은 턱없이 뒤쳐지거나 아예 숫자 자체가 부족해서 학생들의 탐구열을 채워주지 못해 진학과 졸업율을 더더욱 떨어집니다. 대학교조차 전공과목을 빼면 교양강좌보다 사상교육이 더 많습니다. 요즘은 유치원부터 군사놀이와 시진핑의 사상교육이라는 시사상을 가르칩니다. 쉽게 말해 저질교육이요, 저질 졸업장입니다. 억압과 통제로 돌아가는 사회일수록 그 욕구불만에 의한 피해의식이 자기만 옳고 자기만 위하는 단선적인 사고방식의 이기심을 부풀립니다. 상대성을 키운 연합사고와 전체의 통찰을 통한 문제접근은커녕 직장에서 일머리부터 떨어집니다. 그들 기업들마다 하나같이 유학파를 반기는 이유입니다. 돈벌이로 계급을 나누어 아랫사람에게 큰소리로 하대를 할수록 자신의 권위와 명예가 높아진다며 봉건시대나 다름없는, 사기꾼이 아니라 속은 피해자가 어리석은 잘못이라는 어긋난 윤리의식이, 어떻게든 살아남는 자가 승자라는 삐딱한 국민성이, 14억의 거짓말이면 어느 나라의 진실이든 쉽사리 덮어버릴 수 있다는, 우리에게 벌어지는 동북공정과 문화찬탈을 낳습니다. 중국인 두 사람만 모이면 장사 이야기를 한다는 시쳇말이 있습니다. 짧디짧은 왕조의 흥망성쇠 속에서 쉽고 빠르게 꾸릴 짐보따리로 재물을, 그 상업을 밝혀서 오늘날 이웃 국가인 동남아시아의 경제권을 과거의 피난민이었던 화교들이 움켜쥐고 있듯, 자기에게 이익인 인간관계만 챙기는 꽌시로 돌아가는, 체면치레를 위한 허풍과 자기과시가 당연지사라서 속임수와 물질만능은 역사에 이르러 그들의 생존본능이자 유전기억이기도 합니다. 어느 누구보다 중국인을 속이는 민족은 바로 한족이고, 그 나라는 그들이 자랑스레 우쭐대는 중화인민공화국입니다. 결국 중국 문화는 욕구불만과 피해의식에 의한 자기방어기제로 열등감만 찌들어 계속 문화찬탈을 일삼으며 거짓말만 나불거릴 수밖에 없습니다. 되짚어 한류가 자칫 한풀 꺾이기라도 하면 조공을 받던 봉건시대 황제의 꿈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시진핑의 지랄발광은 더 거침없을 터라 섬찟합니다. 가파른 인구감소와 출산율 저하로 아프리카 등 해외에서 근로자들을 들여오자는 설문조사에 85퍼센트를 웃돌게 반대하는 이유가 '단일민족인 한족 여성을 외국인들로부터 보호해야 한다'하는 기가막히고 어이없는 중화주의와 시사상의 우국화가 중국의 실체입니다. 그 자체로 역사왜곡과 소수민족 말살정책이 깔려 있으니, 세계와 소통하고 교감할 수 없는 민낯만 드러낼 뿐입니다.
수천년간 이웃한 대국으로 중국의 문화가 어마어마한 영향을 끼쳤는데 근현대 들어서 미국문화를 필두로 서양문화에 다 대체당했고 고정댓글처럼 탕후루,마라탕같은 먹거리로 한철 밖에 힘을 못쓰는 경우까지 내려온건 특기할만 함 그렇다고 중국풍 문화가 인기없냐면 과거 홍콩영화계가 그랬듯 자유스럽게 창작활동이 보장되어야 선택될텐데 지금 중국문화는 공산당의 감시하에 검열을 거친 작품 또는 출품되어도 검열에 의해 삭제되는 조치가 단행되니까 세계는 커녕 동아시아로도 뻗질 못한다고 생각함
@@liberaldemocracy9768 이거나 그거나 암튼 중국 과거 문화였지 아닌가요 ?ㅋㅋㅋㅋ 그렇게 말하면 빨리 56개 민족 갈라서야 답이죠 각자의 자기들 문화를 지키면서 사는게 훨신 좋은 삶이 될수 있어요 중국 공산당은 근본도 없는 중화민족을 앞세워 소수 민족들의 문화을 무시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본을 버리면 그들은 아무것도 아니게 됩니다 물론 개인이 우선이겠지만 말이죠
@@HS-gm7se ㅋㅋㅋㅋㅋㅋㅋ 것 봐요 그만큼 소재가 없으니까 요새 나온 서유기 게임을 들고 반박을 하는거죠 ㅋㅋㅋㅋㅋ 아시는것 같은데 그리고 게임이 재미있어서 하는거지 중국이 좋아서 하는걸까요? 단지 게임만 재미있어서 하는거지 어디서 만들어 건 상관 안해요 사람들은 ~
중국이 보편적인 이야기를 만들기 어려운 이유는 사고구조나 정서가 보편적이지 않기 때문임. 소재는 부차적이라고 생각함. 중화사상 때문에 이미 보편성이 없고 많이 다른데 거기에 인권의식도 부족하고 무엇이 옳고 그린지에 대한 도덕관도 자유세계와 좀 다름. 이것은 중국에서 물과 공기와 같은 것이라 반성되지 않음. 의식적인 게 아니라 무의식의 영역인 거지. 그게 고대로 만드는 사람의 정신에서 작품으로 옮겨가 투영되는데 중국 작품을 볼 때 자유세계 사람들은, 인간사 어느정도는 비슷한 점이 있으니 잘 보다가도 결국 어긋나는 지점, 그 중국식 사고구조와 정서와 마주치게 되는 때가 오는데 거기서 확 깨면서 이해와 공감이 안 되는 거임.
중국에 대한 모든 혐오나 편견 다 빼면 공산당이 제일 문제지 중국이 자본이 안되는 것도 아니고 그 많은 인구 중에 창의적인 사람이 없어서 못 만드는 거겠어? 제한 당하니까 못 펼치는거지 그정도로 만들어도 내수가 워낙 튼튼하기도 하고.. 공산당 다음은 중국인들이 해외에서 보여주는 꼴이 너무 민폐니까 저 사람들 문화는 들여다 보고 싶지도 않다하는 반감 때문이고..
식문화 빼고는 ㅋㅋ 문화적으로 대중성을 못잡는건 복합적인 이유지만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중국이란 국가의 이미지가 제일 큼 과거엔 좋은 작품들이 많았고 우리나라 국민들이 중국에 대해 그렇게 비관적인 이미지가 아니었음 근데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온갖 국제적인 민폐에 공산당색깔이 두드러지기 시작했고 그 피해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어떻게 그들의 문화를 호감있게 받아들일까 영화산업에서는 온갖 정의로운척 과거부터 예를 중시했던 표현한 작품은 ㅈㄴ 내면서 정작 그와 정 반대되는 행태를 하는데 좋아할리가 ㅋㅋ
근데 그렇다고 프랑스나 독일,러시아 이런 나라 사람들이 왜 자기네들 문화가 세계에 안 먹히냐며 부들부들 대고 그러지는 않잖아요. 오직 중국놈들만 저리 부들부들대며 자기네들 문화가 이토록 우수하다는 국뽕이나 한 동이째 들이부으며 남의 나라 문화를 자꾸 탐내고 지꺼라고 우기고......그게 틀려먹은 것이죠.
@@대막리지-연개소문 프랑스나 독일,러시아등 나라들도 자기네 문화가 세계에 선전하고 있어요..우리가 유럽에 넘 멀고 관심이 없어서 모르는것 뿐입니다..중국이 가깝고 맨날 중국만 주목하니까 부들댄다고 하죠...어느나라나 다 국뽕합니다..프랑스나 독일,러시아,일본도 다 국뽕해요...우리가 관심없어서 주목안해서 그렇지 ..그냥 중국에 신경끄면 모릅니다...우리가 너무 중국에만 주목해서 그럼...중국단어만 나와도 리뷰수거 몇만 몇십만 넘으니까...프랑스나 독일,러시아나오면 클릭도 안함...
문화가 미디어 컨텐츠가 다가 아닌데 왜 그것만 문화라 생각함..?? 프랑스는 하이패션-고급주류-파인다이닝 요리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고 그 외 프랑스어의 영향력, 관광지로서의 매력, 예술영화에서의 영향력, 미술이나 문학에서의 위치 등 소프트파워가 중국과 비교할건 아닌데요? 독일 역시 마찬가지구요.
진짜 중국이 신기한게 여러가지 문화유산들,개쩌는 신화,삼국지,초한지 등 여러 개쩌는 실제사례들,무림 등등 소재가 넘쳐나는데 그것들을 제대로 활용을 못함. 언어가 문제라고 할수있는데 그렇다기엔 홍콩영화들도 언어가 듣기는 썩 좋지는 않지만 그래도 개쩌는 스토리로 커버해나갔는데 중국은 그것들을 아예 못하지.
@@GrayBear-n7b 그래서 원신하는 외국인이 중국가고 싶어하고 중국 음식을 먹고 싶어할까? 매출액이 크면 그게 더 우수한 문화인가? 그럼 원신이 테일러 스위프트보다 인기가 많은건가? 드래곤볼 보다 문화적으로 더 큰 영향력이 있나? 영화, 드라마, 음악이 주는 영향력이 대부분 2030 남자들한테만 영향을 주는 원신보다는 더 클거 같은데? 언제까지 매출액 타령할건지 모르겠음
@@TheTruthYouWannaKnow 그냥 니가 아는 방향으로만 해석하니까 그렇지 ㅋㅋㅋ 원신을 하고나서 중국을 가고 싶어 하는게 아니라 원신을 하는 애들은 원신 서브 창작을 즐기는데 그 사람의 수로 치면 K-POP 흥한다고 한국 오는 사람보다 훨씬 많지. 그리고 문화를 얼마나 즐기냐를 따지는데 우수한 문화가 어쩌고 하는 것부터 네 수준이 보인다. 국수주의적으로 밖에 해석을 할줄 몰라 ㅋㅋ
@@GrayBear-n7b 문화를 얼마나 즐기는지가 그 문화의 영향력인데? 니가 서양식 복장을 하고 피자와 스파게티를 먹고 청바지를 입고 팝송을 듣고...ㅋㅋㅋㅋ 너는 단지 미소녀 그저그런 게임에 빠져 돈 쓰는 주제에 그게 중국문화라면서 떠 받들고 있는거지ㅋㅋㅋ 서브창작?ㅋㅋㅋ 그런 걸로 중국이미지가 개선될 수 있을까? 원신 때문에 사람들이 중국인에 대한 이미지를 쿨하게 느낄 수 있을까? 원신이 어떤 우수한 중국문화를 보여주는게 있나? ㅋㅋㅋㅋ 방구석에서 겜만 하는 겜 ㅍ인이라 그런지 수준이 처참하네?ㅋㅋㅋㅋ
중국문화라기 보다는 영화와 대중 가요에서 인기가 없다고 봐야할것 같다. 문화컨텐츠에는 수만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는 게임산업같이 중국이 잘하는것도 있습니다. 다른 컨텐츠들도 똑같이 중화사상, 당의검열에 영향을 받지만 그걸 뚫고 잘 나가기도 합니다. 제 짧은 소견에는 이런것들은 부차적인 이유라 생각이 듭니다. 중국의 영화, 가요가 세계인에게 인기가 없는 이유는 규모가있는 엔터테인먼트 회사가 없기때문입니다. 소규모 엔터회사라면 자국시장에 인기를 얻는것 만으로 큰돈이 벌리는데 위험한 글로벌시장에 투자를 할필요가 없죠.... 하지만 이런 소규모회사가 자국시장을 상대로 돈을 벌면서 규모를 키워간다면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중국시장이 작게느껴진다면? 그때는 중국에서도 세계인이 공감하는 영화, 가요를 만들거라 생각합니다
한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 이미지임. 자신보다 못사는 나라의 문화는 자신도 모르게 무시하게 될 수 밖에 없음. 우리나라도 개도국 시절에는 김치 냄새만 나도 인상 찡그리는 외국인들 많았지. 그동안 김치맛이 변한 것도 아닐 텐데, 지금은 외국인들이 김치 잘만 먹는다. 결국 중국 문화가 유행하려면 일단 중국이 선진국이 되어야 하고... 국가 이미지도 좀 깨끗해져야 함. 그게 선행되지 않는다면 거부감때문에 아무도 중국 문화를 거들떠보지 않을 거다.
중국은 본인들이 엄청난 문화 강국이라 생각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긴 역사 속에 수많은 이민족들이 섞이고 섞여 만들어낸 시간의 부산물 같은 거임. 땅이 크고 인구가 많으니 자연스레 생겨난 것들이지 본인들의 창의력이나 노력에 의해 생겨난 것들이 아니라는 뜻. 예를 들어 세계 3대 요리로 프렌치와 중식이 꼽히는데 프렌치? 대단한 기술과 노력이 들어가며 인류 식문화의 한 획을 그었음. 중식? 땅이 넓어 식재료 다양하고 수많은 민족들이 있다보니 자연스럽게 많은 음식이 생겨났고 그걸로 3대 요리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음. 막말로 중국이 프랑스만한 크기와 인구를 가졌다면 3대 요리가 될 수 있었을까? 딱 이런 관점으로 생각하면 됨. 세계 인구의 1/7이 중국인이니 당연히 '뭔가'도 많겠지. 그것의 퀄리티는 둘째치고. 근데 그 많은 무언가로도 문화가 이렇게 개씹망인 거 보면 답 나옴. 걍 과거부터 문화강국인 적이 없음
창작의 자유는 없는데
내수시장만 크니
외국인은 도저히 눈뜨고 봐줄 수 없는 급조된 저급 양산형 문화상품이 많음
일본도 내수 큰데 문화나 제품 퀄리티가 세계 최상위권이죠
그냥 국가와 국민 성향인거임
@@Agingg 내수가 문제가 아니라 결국은 정부 제약이 문제인거지 뭐
@@Agingg 중국 내수는 일본의 열배인데 뭔소리?
일본이 내수만 믿고 수출이나 세계화를 등한시하니 기우는 건데.
중국내수시장은 크지만 중국인구중 태반이 월평균급여 오십만원도 안된다는사실
@@kmch7286선족이들만 헛소리 하는 줄 알았는데 국뽕이도 헛소리 모드 켰네 제발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중국문화가 인기없는게 아니라. 공산당이선택한 문화들이 인기없는거... 중국작품도 비교적 자유롭던 90년대작품이나 중국풍 가득한 대한, 홍콩작품들은 휼륭한것들이 많죠...
조선족임? 중국은 그냥 다 쓰레기일 뿐임. 뭔 개솔. 언어와 문자 자체부터가 쓰레기임.
맞습니다. 북한 드라마나 영화를
안 보는 이유와 똑 같은거죠.
재밌는 건 홍위병이 다 부숨
중국 영화는 오락이 아니라 당의 사상 선전물로서 활용하니 아무리 국내 규모가 커도 다른 나라에서 선전물을 누가 보고 싶겠음 ㅋ
제도갖아니라인종자체가 저급이락중공아니라도 못함베키는수준 타이완이 잘해?홍콩은? 날르다킅남
그건 사실 미국도 마찬가지이긴 함
헐리우드 영화 공식 이라는 것도 있음
그 중 하나가 항상 성조기가 등장한다는 것 등등
그래도 짜임새 있게 잘 만들어야 보는거지
@@euijinkim6729미국이 그런 영화만 만드는줄 아나? 미국 신랄하게 비판하는 영화들도 많아. 중국은 그런거 만드는 순간 인체의 신비전행임
@@euijinkim6729돌았구나 그럼 막장드라마는???
저주받은 언어
저주받은 시민의식
저주받은 위생관념
저주받은 중화사상
저주받은 중국문화
언어 자체가 너무듣기싫어요.
중국 정부의 규제가 가장 큰 이유지 90년대까지는 성룡 영화등 한국 영화보다 엄청났다
말하는게 존나 시끄러움 표독함
언어 자체 문제는 없음. 대만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화교인 많이 만나 봤는데, 굉장히 소프트하고 거칠다는 느낌이 안듦. 중국인 문화 자체에 문제가 있기에 경박한 느낌이 드는 말투가 드는거임.
@@mockingladmockery3860인정 오히려 억양으로보면 광둥어가 더 경박할수도있는데 홍콩사람들은 외국에서 봐도 크게 거부감 안듬..
인기없는 이유는 수백가지지만 첫번째는 그 경박한 언어일것이다
생긴 것도 전혀 호감이 안생김.....
딩동댕~~!!!!!
중국 노래를 들어보면 알듯
과거 홍콩영화 최전성기일 때
우리나라에서 홍콩영화를 들여올 때
코믹한 느낌의 영화는 홍콩어 버전을 들여오고
진지한 분위기의 영화는 북경어 버전을 들여오곤 했어요.
다시 말해 그때 중국어(북경어)가 우리 귀에 나쁘게 들리지 않았다는 소리죠.
같은 중국어인데 왜 그때는좋게 들리던게 지금은 나쁘게 들리게 됐을까요?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나라의 이미지가 나빠지니 그 나라의 언어도 이상하게 들리게 된거라고 보는게 더 타당할 겁니다.
@@MartyMcfly1885중국어 시끄러워서 중국영화 안봄 걍 유명한영화만 봤지만 중국어 시끄러워 몰입이 안되고 몇몇 대사적은 영화를 좋아함
1. 시끄러운 언어
2. 툭하면 표절
3. 답없는 실력
4. 답없는 책임감
그래도 우주정거장. 달착륙선 다 만들었는데요 대한 민국은 왜 못 만드는지
@@기선김-b4s 훠훠훠 동무 시쥔핑 개셰뀌 해보셰요
@@기선김-b4s 중국인은 중국에서 유투브 못보게하는데 꾸역꾸역 보시네요?
@@기선김-b4s 러시아 기술 돈 주고 사면 인도도 만듬 한국에 기생하는 ㅂㅋㅂㄹ 선족아
@@darioos
ㅋㅋㅋ ..... 인터넷에서 댓글로 싸움질하는 인간들을 보면
죄다 조선족 아니면 기독교인들임
둘 다 쓰레기들....
예전에 미국 버클리음대에 유학중인 중국인이 했던말이다...아무리 좋은 노래를 만들어도...중국어로 노래를하면 이상해진다...ㅋㅋ
@@Nothing-v3m 중국인이 했던말이 아니라 본인생각을 말한거죠.
@@user-bm1ur5pw3f 근데 누가 말했건간에 중국어가 경박하고 듣기싫은건 사실이잖아😢
@@mau6931 중국노래가 얼마나 듣기좋은데…한국가수들 중국노래 번역해서 잘하던대요.한국에도 노래잘하는 가수엄청 많구요
@@user-bm1ur5pw3f 중국노래가 문제가 아니라 중국어가 문제라구요 글이 이해가 안가시나봐요 진짜 중국인이신가..?
@@user-bm1ur5pw3f 개인 의견 말하는 사람은 중국인이 아닌건가요? 중국은 개인 의견은 발설할수 없고 국가적인 단위의 의견만 수용되는 나라인가봐요
중공이 영화로 도덕을 가르친다고?
근데 왜 중국인은 그지경인거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공산당식 도덕이기 때문
그나마 가르쳐서 그 정도인 듯 ㅋㅋ
문화혁명때 지식인이 다 죽어 버림. 문화혁명이 끝나고 아이들을 가르칠 교사들이 부족해짐. 그 부족한 상황에서 자란 세대들이 지금의 40~60대들임.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음. 그리고 그걸 보고 자란 애들이 지금의 20~30대들임. 그래서 개판됨. 중국도 알고 있어서 예절교육 엄청함. 근데.. 잘 되지 않음,.. 하지만..지금 자라나는 세대들은..제대로 교육 받고 있는 세대들인데.. 세뇌교육 받고 있으니., 더 똘똘한,, ㅂㅅ이 됨. 중화사상에 찌들어 있음.
@@oooo6883중국은 가르쳐서 되는게 아님 어기면 처벌받는다는 도덕적 강제가 아님 국가의 강제로 이뤄지는거기때문에
중화사상 때문에 자폐적인 성향이 강하고 정서발달도 자유세계 사람들만큼 발달하지도 않은 이런 사람들이 만드는 컨텐츠에 자유 세계 사람들이 매력을 느끼기란 쉽지 않음. 개방적이고 자유분방하면서 정서도 다채롭게 발달해있는 자유세계 사람들을 만족시키려면 최소 평균적인 역치값을 맞춰주거나 아니면 아예 역치 이상을 가서 압도하는 수준까지 가거나 해야 사람들이 만족함.
이게 정답!
아무리 한류가 인기 있어도
중국어 배우고 중국 으로 가는 사람이 더 많을걸
G2 를 무시하노
@@나무늘보-j1c ㅋㅋㅋ 그래. 그렇게 생각하고 그 속에 갖혀 살아라. 그래야 중궈지 ㅋㅋㅋ
김거니 방송은 재밋어서 미디어가 도배를 하는구나? ㅎㅎㅎㅎ 단순해서 행복하겟다. ㅎㅎㅎㅎ
@@achfactory 쎄쎼^^
공산당의 무오류성을 포기하지 않는 한 자유로운 창작은 불가능하죠.
신도 오류가 있는데 공산당이 무오류라니 개가 웃을 노릇이죠.
국민당은 무오류이고, 중국🇹🇼 행정원은 무오류입니다.
@@Republic_of_China_No.1 taiwan no.1
@@엄태원-k3j 대만은 중국🇹🇼을 구성하는 35개 성, 1개 특별행정구, 2개 지방, 18개 직할시 중 10번째 성인 대만성일 뿐입니다.
@@Republic_of_China_No.1 국민당 지지자십니까? 좋습니다. 어쨌든 중국 공산당을 없애야 합니다.
@@Republic_of_China_No.1 장개석 총통이 대륙을 차지했어야 했다!
스스로 무너지는 중국을 보면 참 마음이 안정됩니다
Do Koreans like to dream so much?😂
@@wangli-m6k 왕서방 오셨네
@@wangli-m6k중국인 너도 길에 똥싸냐?🤣
@@wangli-m6k 천안문
@@컁도미닉 중국이 무너지면 세계가 무너진다.바로 너…래일 무너질수도 있단다.
미디어는 온갖 한국 카피에 중공 최고 연발,
제품은 불량품, 음식은 더러움, 시장은 무법지대,
오만하고 아무데나 똥싸지름. 환경오염 심각함.
이유가 더 필요할까
오늘도 신비로운 듕국 듕국 듕국
공식적인 자리에서 진행자가 저렇게 생구라를 까도 될 정도로 자유로운 나라 중국을 응원합니다. 절대 밖으로 기어 나와 세상을 더럽히지 않기를 바랍니다
중국어때문이죠 소리도 크고 상당히 듣기불편함
세계에서 가장듣기 싫은언어임
누군가 그러던데 그 중국 특유의 발음이 매우 에너지소모가 많은 발음이라고 하는데 중국인들이 돼지고기를 많이 먹어서 그나마 그 소리를 낼수 있다는 이야기도 함 칼로리 소모가 많으니 고기 먹지 않으면 제대로된 발음불가 ㅋㅋㅋ
중국은 절대 보편적인 사람들, 보편적인 나라가 아닌
이상한 나라이기 때문에
보편적인 영화가 나올 수가 없음.
전세계 어느 나라가
수박과 고기를 실컷 먹는다고
부국, 선진국이라 생각하나..
더구나 자기들 보다 수치적으로 3배 이상은 수입이 많은 국민들이 있는 나라에게.
쟤들은 본인들 수준에 맞는 영화를 잘 보고 사는 거라 봄.
댓글 왜 삭제하지. 한번 더 씀.
권위주의 제국주의 국가인 중국 문화에 열광하면. 그건 정말 인류에게 미래가 없는거지.
유툽에서 삭제하기도 해요 ai가
공산 독재체제.
ㄹㅇ 개무섭다 ㅋㅋㅋ
중국 노래 들어보면 왜 그런지 알거임ㅋㅋㅋ
문화는 인간의 발자취면서 삶 그 자체입니다.
있는 것을 없다고 할 수 없으며 동시에 없는 것을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문화는 자연과 같아서 멈추면 썩고 냄새나며 고집만 부립니다. 하지만 바람, 물 처럼 흐르면서 서로 만나기도 하고 헤어지기도 하여 여러 지역과 교류하며 어울려 지냅니다.
문화는 그 속에 내 것도 있지만 너의 것도 있습니다.
세상에 좋은 것만 다 가질 수 없어요. 남의 것을 빼앗고 약탈하며 필요할 때마다 손바닥 뒤짚듯 하여 남들과 갈등과 분란만 일으킨다면 어찌 문화가 잉태되어 자랄 수 있겠습니까.
남의 것만 탐내지 말고 자신의 것을 소중히 간직했다면 이토록 괴로울 일이 없었을텐데.
그래도 반성은 안 할겁니다.
중국문화는 이거 3가지로 정리가됩니다 경박하다 천박하다 촌스럽다 ㅇㅇ 정확하게 이게인기없는이유임
홍콩문화도 대세였지만 중국공산당때문에 망해버림
네... 홍콩문화 다 망가뜨림
일당 독재 국가
중국 공산당 문화이기 때문
언제나 남에게 피해주고 무조건 우기고 억지부리고 사회적/문화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기 힘듬
올바른 가치관으로 존중하고 인정하며 이해 하는 상식적인 사람들 이였다면 문화적으로 상당히 매력 있음
@@춘원이광수-y9s"반지성주의"의 표본 그 자체
@@춘원이광수-y9s 저렴하고 이성적인 독재국가 제발 가시길
날카로운 비판 입니다. 한때 일때문에 중국에서 생활해보고 많은 중국 친구들과 깊은 이야기도 해봤지만 15여년 전의 중국인이 지금보다 더욱더 자유로웠습니다.
중국과는 단교가 답이다
인류는 인류만 교류해야지
동물농장 구더기들과는 교류하지
않는게 답이다
문화대혁명 때 중국문화는 다 없어진거 아닌가?
대혁명은 니미 대말살이제
천안문 사태때 중국인들이 싹다 죽었지 지금 있는 중놈들은 무서워서 못나오고 숨어 있던 중놈들이지
댓글 가정교육시간에 니미가 공사판가서 다리 벌리느라 안시켰나? 말뽄새하곤
@@타카아키-x7p 맞는말 했는데 왜 발작함? 혹시 한국말 할줄아는 중국인임?ㅋㅋㅋ
@@YoungRoyal44 문화대혁명때 유무형 문화제 싸그리 불태워버린게 맞는말이라는데 개소리야 ㅋㅋㅋ 그리고 그렇게 대단한 중국문화 들이댄게 게임이야?ㅋㅋㅋ 서유기 오공 또 뭐있는데 사무라이는 니네짱꼴라꺼 아닌데 왜 슬쩍 붙이는거냐 ??
중국의 정통 문화는 생각보다 놀라운것도 많죠. 허나 그건 어디까지 잠깐 놀라는 수준인것이지 대중화가 되는건 아닌것이죠.. 한국에는 맛있는 빵도 많고 비싸고 고급진 베이커리가 있죠.
허나 결국 가장 많이 팔리는건 초코파이라는것이죠. 비유를 하자면 그런겁니다. 중국의 대중문화는 음악이든 영화든 일반 문화든 느낌이 딱 하나 입니다.
꾸부정한 할배를 연상시킨다는것이죠.. 공산당 영화가 아니라도 중국 정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음악이나 현대 산업일지라도. 이런 꾸부정한 늙은이를 연상시키니..
전혀 매력이 없는겁니다. 혹은 미련한 당나귀를 연상시키죠.. 중국의 문화산업이 이부분을 넘어서지 못합니다. 그러니 결국 할수 있는건 남의것을 모방하는겁니다..
죽어라 모방을 합니다. 헌데 거기에도 결국 미련한 당나귀나 꾸부정한 할배의 색갈이 같이 들어 갑니다. ㅋㅋ 그러니 그나라에서만 소비 될뿐 다른나라에서 볼땐
엄청 구리죠..
중국인들의 속내와 근성을 잘 몰랐을때는 홍콩도 그렇고 한때는 좋아한적도 있었죠 그런데 중국의 검은 속내을 알고 있는데 누가 좋아 하겠음 음식도 좋아하는 사람이 만든게 더 맛이 있듯이 마루탕인가 한번도 안먹어봄 냄새부터 싫음
ㄹㅇㅋㅋ 저도 중국음식은 딱 탕수육까지임 , 마라탕, 탕후루 이딴건 줘도 안먹음 ㅋㅋ
성조어인 북경어가 시끄럽고 듣기 싫은 것도 한몫하는듯.
반면 예전 홍콩영화 광동어는 같은 성조언어였지만 정감있고 리듬감?이 좋아 거부감이 전혀 없었음.
예전 천장지구, 얼혈남아 같은 영화들을 광동어에서 보통어로 모두 재더빙하고 삽입곡들도 보통어로 바꿔서 재녹음한 버젼을 봤는데 전혀 오리지날 버젼의 광동어의 느낌이나 리듬과 다르다는걸 중국어 전혀 모름에도 알수 있었음.
최근에 나온건 모두 보통어 재더빙 버젼이라 일부러 십수년전 광동어 오리지날 버젼 영화cd를 구매함.
공산국가중에서 세계 대중문화에 성공한 국가는 없었다
이 한가지만으로도 공산주의 사상은 인간의 본성과는 안맞는
상상속의 이론이란 거다
모두 똑같이 일하고 똑같이 먹고 똑같은 재산을 갖고
이게 사람들 본성과 맞을수도 있을까
그리고 모두 평등해야 되는데 중국이나 북한을 보더라도 모든 부는 공산당이 차지 한다
청나라나 혁명을 일으켜 세운 공산인민국가나 뭐가 다른가
단지 상류층이 왕족에서 공산당으로 바꾼것 뿐
불평등은 청나라때나 지금의 중공이나 똑같다
제 생각과 비슷하네요.
1980~90년대 홍콩영화를 보고 자란 세대 입장에선..
중국대륙의 언어인 북경어는 매력도가 확 떨어집니다.
그 언어로 노래조차 별로거든요.
반면에, 홍콩말은..좀 간지가 있습니다. 노래로 불러도 따라부르고 싶을만큼..특유의 매력이 있습니다.
근데 대만(자유중국) 러브코미디는 종종 먹히긴 하던데
@@user-tu9yj8vt4j대만이랑 중국이랑 똑같다는 소리냐? 여기가 한국인 걸 다행으로 생각하셈
@@user-tu9yj8vt4j같은 보통화라도 북경어와 중화민국 국어는 많이 달라짐
대만 사투리화 되면서 얼 발음이 덜해지고, 조용조용해져서 볼만해진것
중국만의 문화가 없기 때문입니다.
맞는말씀. 쟤네 전통이라는것도 원래는 우리것들을 지네꺼라고 우긴것들.
중국의 문화?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홍위병같은 우수한 문화를 두고 없다고?
사과하세요.
@@freedomsavior 중공문화 말고요^^
왜요? 변발과 전족이 있자나요 ㅋㅋㅋ 선족이들아 많이 하고다녀라!
중국만의 문화는 있음. 중국공산당만의, 중국공산당이 원하는 중국 문화가 없는거지.
공산당이 존재하는한 창의력이 절재되니 창의적인 작품은 물건너감😂
한 문장으로.. "매력이 없으니까요"
화려한 것이 멋진 것과 동의어 가 아님.
화려한 것이 지나치면 굉장히 볼품없어짐. 황금으로 무작정 도배를 한다고 최고의 인테리어가 되는게 아님. 굉장히 촌스러워 지는거지.
중국의 것을 볼때 마다 느끼는게 굉장히 화려하게 치장을 했는데 품격이 하나도 안느껴짐.
그냥 큰 북한이라고 생각하면 됨...
영상아주 맘에들어요~~대놓코 까기보단 분석이 우선인영상 너무 맘에들어요~😊
조만간 5호16국 시대처럼 여러개의 나라로 쪼개질 겁니다.
你想得美!日,韩会再次成为中国的附庸国,你们的后代都会学中文,因为这是历史必然
갠적으로는 중국의 오랜 전통문화는 존중받야야 한다고 생각은 하는데, 지나치게 중화사상으로 접근하려는 저들의 안아무인적 태도 혹은 당의 선동때문에
그들 문화가 인정을 못받는거 아닌가 생각듦. 모든지 대화가 아닌 싸움식이나 강제로 주입하려는 호전적 사회체제다보니, 사람이 불편하니 문화도 관심이 없어짐
예를들어 어떤....가수로 비유하자면
나름 예전에 꽤 인기많았던 원로가수가 있는데
그 원로가수가 요즘에도 걸핏하면 큰소리로 떠들면서
마 내가 레전드인데 왜 존경 안하냐!! 젊은것들은 버릇이 없다 하면서 술주정 부리는 느낌
그 오래된 전통문화가 제대로 보존되어있지않는 것도 크다고 봅니다. 문화대혁명이 10년동안이나 진행되면서 중국의 오래된 문화재와 유적들 모조리 파괴하고 불태우고 그 지식인, 문화인마저 중국의 공산당을 방해하는 존재들로 낙인찍고 조리돌림하면서 고문시키고 추방시키고 심지어 죽이기까지 했던 그 행적들땜에 현재 중국에 제대로 남아있는 문화가 거의 없어요. 그러니 중국애들이 그저 좋다싶으면 남의 나라 문화를 자기들꺼라고 우기고있는거예요.
오래된거 문화 대혁명때 전부 없어졌는데요??
그런 문화없다. 문혁때 전부 부정했다.
주걸륜 노래는 한번도 들어본적이 없는데 가수인가?😮😮😮
대만인을. 왜?!!ㅋ이영상 중공놈들 보라고 만든거죠??!!
@@쎄인트후니짱 들어본적 없는데 이름은 어떻게 알죠.
@@user-bm1ur5pw3f 유튜브 보고 알았네요 배우인거 같던데 가수인줄은 몰랐어요
@@쎄인트후니짱 배우도 해요??????? 난 가수인 줄로만 알았음.. 가수 아님???!!!
정확한 통계와 팩트를 가지고 만드는 이런영상 너무 좋아합니다 감사합니다❤
공산당 일당이 통제하는 국가의 문화가 인기가 있을 거라는 질문 자체가 성립되는가?
자유와 다양성을 추구하는 문화의 기본을 알고 있다면 이러한 질문을 제기조차 하지 않을 겁니다.
헨리 생각하면 진짜 부들부들
인간이 저렴한데 문화인들 제대로일까
문화대혁명을 해서 가장 세련된 문화를 가진게 중국
중국은 삼국지나 해라 ㅋㅋ
우리나라도 인기를 얻기시작한건 2010년대 중후반이였죠 그때는 일부 아는 사람만 아는 정도에 그쳤죠 그러나 코로나 터지고 우리나라의 훌륭한 코로나 대처로 좋은 이미지가 생겨났고 당시 집에 갇혀 있던 사람들에게 우리나라 드라마 영화가 노래가 엄청나게 인기를 얻어 지금이 되었습니다.
'삼체'같은 SF영화 보면 중국도 글로벌 흥행 가능성이 없는게 아닌데, 도대체 영화에 왜 글케 국뽕을 쳐 넣는건지 ㅠㅠ 유랑지구 같은것도 원작이나 아이디어 좋은데 그노무 국뽕 집어넣었다가 글로벌은 개쳐망함..
일단 언어가 거부감이 드는게 가장 크다....
어떻게 먹고 사는가, 하는 경제생활 개념에 따라 그 나라의 문화 시장이 달라짐을 사회학과 경제학 등 관련 학문은 정의합니다. 일본의 거대 자동차 회사인 도요타가 좀 더 고급 품질을 개발하려 할 때 연구진들이 가늠 자체를 못하자 팀을 꾸려서 1년간 해외로 내보내 최고급 상류층 생활을 하도록 지원했고, 이후 수많은 문제점을 찾아내 1989년에 탄생한 차종이 한때 고품질의 대명사였던 렉서스입니다. 말을 조금만 바꿔서 '어떻게 생각하며 살아가는가'하는 관점으로 중국을 들여다 볼 수도 있습니다. 공산국가임에도 무산계급의 투쟁을 다룬 마르크스와 레닌 관련 서적이 모두 금서입니다. 반대로 중국 공산당은 반드시 옳다, 하는 세뇌 속에서 살아갑니다. 정부부터 그들 인민을 속이고 있다는 뜻입니다. 고교진학율이 기껏 40퍼센트였다가 가파른 경제발전에 못 미치는 교육투자가 불평등으로 국제사화에서 구설수를 타자 80퍼센트로 끌어올렸으나, 공산당원과 기득권층이 아닌 그 절반은 허접한 기술교육 위주의 직업학교나 다름없습니다. 농어촌의 교육환경과 사회 인프라는 아직도 우리나라의 1970년대에 머물기도 합니다. 학교만 덜렁 있을 뿐 제대로 올곧게 가르칠 교사와 자질은 턱없이 뒤쳐지거나 아예 숫자 자체가 부족해서 학생들의 탐구열을 채워주지 못해 진학과 졸업율을 더더욱 떨어집니다. 대학교조차 전공과목을 빼면 교양강좌보다 사상교육이 더 많습니다. 요즘은 유치원부터 군사놀이와 시진핑의 사상교육이라는 시사상을 가르칩니다. 쉽게 말해 저질교육이요, 저질 졸업장입니다. 억압과 통제로 돌아가는 사회일수록 그 욕구불만에 의한 피해의식이 자기만 옳고 자기만 위하는 단선적인 사고방식의 이기심을 부풀립니다. 상대성을 키운 연합사고와 전체의 통찰을 통한 문제접근은커녕 직장에서 일머리부터 떨어집니다. 그들 기업들마다 하나같이 유학파를 반기는 이유입니다. 돈벌이로 계급을 나누어 아랫사람에게 큰소리로 하대를 할수록 자신의 권위와 명예가 높아진다며 봉건시대나 다름없는, 사기꾼이 아니라 속은 피해자가 어리석은 잘못이라는 어긋난 윤리의식이, 어떻게든 살아남는 자가 승자라는 삐딱한 국민성이, 14억의 거짓말이면 어느 나라의 진실이든 쉽사리 덮어버릴 수 있다는, 우리에게 벌어지는 동북공정과 문화찬탈을 낳습니다. 중국인 두 사람만 모이면 장사 이야기를 한다는 시쳇말이 있습니다. 짧디짧은 왕조의 흥망성쇠 속에서 쉽고 빠르게 꾸릴 짐보따리로 재물을, 그 상업을 밝혀서 오늘날 이웃 국가인 동남아시아의 경제권을 과거의 피난민이었던 화교들이 움켜쥐고 있듯, 자기에게 이익인 인간관계만 챙기는 꽌시로 돌아가는, 체면치레를 위한 허풍과 자기과시가 당연지사라서 속임수와 물질만능은 역사에 이르러 그들의 생존본능이자 유전기억이기도 합니다. 어느 누구보다 중국인을 속이는 민족은 바로 한족이고, 그 나라는 그들이 자랑스레 우쭐대는 중화인민공화국입니다. 결국 중국 문화는 욕구불만과 피해의식에 의한 자기방어기제로 열등감만 찌들어 계속 문화찬탈을 일삼으며 거짓말만 나불거릴 수밖에 없습니다. 되짚어 한류가 자칫 한풀 꺾이기라도 하면 조공을 받던 봉건시대 황제의 꿈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시진핑의 지랄발광은 더 거침없을 터라 섬찟합니다. 가파른 인구감소와 출산율 저하로 아프리카 등 해외에서 근로자들을 들여오자는 설문조사에 85퍼센트를 웃돌게 반대하는 이유가 '단일민족인 한족 여성을 외국인들로부터 보호해야 한다'하는 기가막히고 어이없는 중화주의와 시사상의 우국화가 중국의 실체입니다. 그 자체로 역사왜곡과 소수민족 말살정책이 깔려 있으니, 세계와 소통하고 교감할 수 없는 민낯만 드러낼 뿐입니다.
시끄러움 뭘해도 시끄러움
수천년간 이웃한 대국으로 중국의 문화가 어마어마한 영향을 끼쳤는데 근현대 들어서 미국문화를 필두로 서양문화에 다 대체당했고
고정댓글처럼 탕후루,마라탕같은 먹거리로 한철 밖에 힘을 못쓰는 경우까지 내려온건 특기할만 함
그렇다고 중국풍 문화가 인기없냐면 과거 홍콩영화계가 그랬듯 자유스럽게 창작활동이 보장되어야 선택될텐데
지금 중국문화는 공산당의 감시하에 검열을 거친 작품 또는 출품되어도 검열에 의해 삭제되는 조치가 단행되니까 세계는 커녕
동아시아로도 뻗질 못한다고 생각함
중국이 왜 인기가 없어??? 전세계적으로 중국산 대유행한 거 몰라? 우한괴질 이라고 아주 전세계에 선풍적으로 퍼진 우한괴질. 자매품 사스, 조류독감도 애용해주세요.
상당히 설득력 있는 영상입니다.
중국 문화는 인기가 없는게 아닙니다.
그냥 남아있는 문화가 없는거죠.
중국의 인기 있을 법한 문화는 다 태웠거든요, 중국이
언어가 제일 문제가 크다 시끄럽고 듣기.싫은 언어 중국 관광객 한국 와서 시끄럽게 떠들던데.누가 저들의 문화를.좋아하겠냐 ㅋ
일단 저주받은 언어가 원인이지 싶음
언어부터 저주 받아서...
쒸뚱쭝뚱꽝탕펑
말해뭐해 '중국'이니까
중국은 문화를 버렸기에 인기를 가질 자격이 없어요
그 문화가 동이족의 문화여서 때려부순것
@@liberaldemocracy9768 이거나 그거나 암튼 중국 과거 문화였지 아닌가요 ?ㅋㅋㅋㅋ 그렇게 말하면 빨리 56개 민족 갈라서야 답이죠 각자의 자기들 문화를 지키면서 사는게 훨신 좋은 삶이 될수 있어요 중국 공산당은 근본도 없는 중화민족을 앞세워 소수 민족들의 문화을 무시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본을 버리면 그들은 아무것도 아니게 됩니다 물론 개인이 우선이겠지만 말이죠
응 중국게임이 한국게임 보다 더 잘 나가~^^;;
@@HS-gm7se ㅋㅋㅋㅋㅋㅋㅋ 것 봐요 그만큼 소재가 없으니까 요새 나온 서유기 게임을 들고 반박을 하는거죠 ㅋㅋㅋㅋㅋ 아시는것 같은데 그리고 게임이 재미있어서 하는거지 중국이 좋아서 하는걸까요? 단지 게임만 재미있어서 하는거지 어디서 만들어 건 상관 안해요 사람들은 ~
@@liberaldemocracy9768 그게 그것 아닌가 동이족도 중국이 아니였나? ㅋㅋㅋㅋ 팩트는 중국은 문화대혁명, 대약진 운동, 톈안먼사건까지 얼마나 죄가 많나요 그런데도 중국이 좋다고 하는 사람들은 이해가 안되네요
주걸륜이 누군데?
한국에서는 대만영화 말할수없는비밀로 유명하긴 했었죠 08년도에는 저런 거드름 떨만 하긴 했었죠 지금이야 개듣보지만
중국의 문화는 없다 문혁 때 마오가 모두 없앴다
싼티나고 천박한대다 억지스러우니 그렇지… 언어 자체도 듣기에는 공해수준이고 연기는 과장되고 스토리는 개연성 없고 중뽕이니 인기가 있을리가 있나
중국문화는 소수민족 문화만 살아 있다
억압하니 되니
참 좋은 분석입니다.
한국이나 일본이 전세계에서 아주 특이한 경우지. 억지로 중국도 인기 얻어야 한다는 것 자체가 한국을 의식한 열등감이지..
일본도 인기 연예인은 없죠
홍콩스타만 헐리웃 진출했고
한국이 진짜 진짜 특이한 나라임
@@soohyun-tv9es일본은 옛날에 있었던걸로암
버블경제때
90년대 홍콩 영화 유행할 때도 촌스럽다고 싫어하는 사람들 많았음 주로 미 영팝 영화 일본 애니 파들
예체능에서는 돌연변이가 나올 수가 있음. 그 사회, 그 기반에서 나올 수가 없는 아웃풋이 가끔 튀어나올 때가 있는데 사회적 문화적으로 인재를 길러낼 수가 없다면 그런 걸 기다려야겠지. 근데 언제 출현하는지 알 수가 없음.
중공 공산당의 체제선전도구인 영화를 누가 보나? 다 내수용이지.
설명이 참 좋아요 선생님~~
한국도 성인이 성인물을 볼 수 없다는건 공통점이네요
"와 너희들도 주걸륜 노래를 들어?" 친구가 말하길 "주걸륜은 한국에서 인기가 매우 많다" ~~~~~ 뿜었다
중국이 보편적인 이야기를 만들기 어려운 이유는 사고구조나 정서가 보편적이지 않기 때문임. 소재는 부차적이라고 생각함. 중화사상 때문에 이미 보편성이 없고 많이 다른데 거기에 인권의식도 부족하고 무엇이 옳고 그린지에 대한 도덕관도 자유세계와 좀 다름. 이것은 중국에서 물과 공기와 같은 것이라 반성되지 않음. 의식적인 게 아니라 무의식의 영역인 거지. 그게 고대로 만드는 사람의 정신에서 작품으로 옮겨가 투영되는데 중국 작품을 볼 때 자유세계 사람들은, 인간사 어느정도는 비슷한 점이 있으니 잘 보다가도 결국 어긋나는 지점, 그 중국식 사고구조와 정서와 마주치게 되는 때가 오는데 거기서 확 깨면서 이해와 공감이 안 되는 거임.
중국현대 문화자체가 한국 마이너카피임. ㅋㅋ
어느나라나 차이나 타운이 있듯 중국인규모가 늘어나 잠식당할지 모른다는 두려움도 있는듯해요.
그래서 인지 그쪽 문화자체를 아예 소비하고싶지 않른 거부감이.
게다가 공용문화가 아니라 자국문화 강요식 중국자부심, 중화사상이 극도의 거부감이 들더군요.
말소리가 계속 듣기 불편해서
중국인 리스너는 그렇구나
중국에 대한 모든 혐오나 편견 다 빼면 공산당이 제일 문제지 중국이 자본이 안되는 것도 아니고 그 많은 인구 중에 창의적인 사람이 없어서 못 만드는 거겠어? 제한 당하니까 못 펼치는거지 그정도로 만들어도 내수가 워낙 튼튼하기도 하고.. 공산당 다음은 중국인들이 해외에서 보여주는 꼴이 너무 민폐니까 저 사람들 문화는 들여다 보고 싶지도 않다하는 반감 때문이고..
나는 베이징의 천안문을 사랑해
중국은 일단 타국의 문화 존중부터 시작해야 함. 타국의 중국에 대한 혐오를 넘어서지 않는 이상 중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발전하기란 힘듦
이 질문에 답하는 순간 프레임에 빠지는 거다. 잘 생각하고 답하길.
반문하면 답나옴. 중국문화가 왜 인가가 있어야하나?
이 시간에도 일하셨네요~
잘보고 듣고 있습니다^^
생각이 제한되는데 제대로된 영화가 나올리가 ㅡㅡ
식문화 빼고는 ㅋㅋ
문화적으로 대중성을 못잡는건 복합적인 이유지만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중국이란 국가의 이미지가 제일 큼
과거엔 좋은 작품들이 많았고 우리나라 국민들이 중국에 대해 그렇게 비관적인 이미지가 아니었음
근데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온갖 국제적인 민폐에 공산당색깔이 두드러지기 시작했고 그 피해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어떻게 그들의 문화를 호감있게 받아들일까
영화산업에서는 온갖 정의로운척 과거부터 예를 중시했던 표현한 작품은 ㅈㄴ 내면서 정작 그와 정 반대되는 행태를 하는데 좋아할리가 ㅋㅋ
댓글보는데... 조선족 2세들이 좀 있는 것 같다... 😊
근데 문화강국이라 하기에는 이번년도
드라마, 영화(영화는 애초에 인기 없었음)엄청 부진 했는데 그리고 케이팝도 비티에스 블핑 이후 메가급 애둘 안나옴 그나마 뉴진스이긴한데… 그리고 게임산업도… 옆나라들이 대단해서
세계에서 인기있는 문화는 미국 할리우드 한국한류 일본 만화입니다..프랑스 문화 인기있어요?없음..독일 문화 인기 있어요?없음...전세계문화가 인기 없는것이 보편적입니다..중국이 없는것도 당연한거고 러시아문화도 인기 없는것도 당연함...그게 현실이지...
근데 그렇다고 프랑스나 독일,러시아 이런 나라 사람들이 왜 자기네들 문화가 세계에 안 먹히냐며 부들부들 대고 그러지는 않잖아요. 오직 중국놈들만 저리 부들부들대며 자기네들 문화가 이토록 우수하다는 국뽕이나 한 동이째 들이부으며 남의 나라 문화를 자꾸 탐내고 지꺼라고 우기고......그게 틀려먹은 것이죠.
@@대막리지-연개소문 프랑스나 독일,러시아등 나라들도 자기네 문화가 세계에 선전하고 있어요..우리가 유럽에 넘 멀고 관심이 없어서 모르는것 뿐입니다..중국이 가깝고 맨날 중국만 주목하니까 부들댄다고 하죠...어느나라나 다 국뽕합니다..프랑스나 독일,러시아,일본도 다 국뽕해요...우리가 관심없어서 주목안해서 그렇지 ..그냥 중국에 신경끄면 모릅니다...우리가 너무 중국에만 주목해서 그럼...중국단어만 나와도 리뷰수거 몇만 몇십만 넘으니까...프랑스나 독일,러시아나오면 클릭도 안함...
독일 맥주 프랑스 빵 (...) 유명한 것 보면 쟤들도 나름 문화 홍보 하는 거 아닌가
@@bloody_heil 음식으로 말하면 중화요리보다 이름있는거 있음???우리나라도 짜장면 하면 다 알아주고 세계 어느곳에 가나 차이나 타운에서 음식거리는 유명함..그것은 문화로 보면 중국은 세계에서 제일 잘하는 민족임...
문화가 미디어 컨텐츠가 다가 아닌데 왜 그것만 문화라 생각함..?? 프랑스는 하이패션-고급주류-파인다이닝 요리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고 그 외 프랑스어의 영향력, 관광지로서의 매력, 예술영화에서의 영향력, 미술이나 문학에서의 위치 등 소프트파워가 중국과 비교할건 아닌데요? 독일 역시 마찬가지구요.
진짜 중국이 신기한게 여러가지 문화유산들,개쩌는 신화,삼국지,초한지 등 여러 개쩌는 실제사례들,무림 등등 소재가 넘쳐나는데 그것들을 제대로 활용을 못함.
언어가 문제라고 할수있는데 그렇다기엔 홍콩영화들도 언어가 듣기는 썩 좋지는 않지만 그래도 개쩌는 스토리로 커버해나갔는데 중국은 그것들을 아예 못하지.
중국문화는 왜 인기가 없을까? (탕후루, 마라탕에 번화가를 점령당하며)
그리고 애초에 요즘은 게임이 영화 음악 앞지른지 언제인데 영화 음악 타령인지 모르겠음. 원신 > K-POP 전체 1년 매출인데
@@GrayBear-n7b 그래서 원신하는 외국인이 중국가고 싶어하고 중국 음식을 먹고 싶어할까? 매출액이 크면 그게 더 우수한 문화인가? 그럼 원신이 테일러 스위프트보다 인기가 많은건가? 드래곤볼 보다 문화적으로 더 큰 영향력이 있나? 영화, 드라마, 음악이 주는 영향력이 대부분 2030 남자들한테만 영향을 주는 원신보다는 더 클거 같은데? 언제까지 매출액 타령할건지 모르겠음
@@TheTruthYouWannaKnow 그냥 니가 아는 방향으로만 해석하니까 그렇지 ㅋㅋㅋ 원신을 하고나서 중국을 가고 싶어 하는게 아니라 원신을 하는 애들은 원신 서브 창작을 즐기는데 그 사람의 수로 치면 K-POP 흥한다고 한국 오는 사람보다 훨씬 많지. 그리고 문화를 얼마나 즐기냐를 따지는데 우수한 문화가 어쩌고 하는 것부터 네 수준이 보인다. 국수주의적으로 밖에 해석을 할줄 몰라 ㅋㅋ
@@GrayBear-n7b 문화를 얼마나 즐기는지가 그 문화의 영향력인데? 니가 서양식 복장을 하고 피자와 스파게티를 먹고 청바지를 입고 팝송을 듣고...ㅋㅋㅋㅋ 너는 단지 미소녀 그저그런 게임에 빠져 돈 쓰는 주제에 그게 중국문화라면서 떠 받들고 있는거지ㅋㅋㅋ 서브창작?ㅋㅋㅋ 그런 걸로 중국이미지가 개선될 수 있을까? 원신 때문에 사람들이 중국인에 대한 이미지를 쿨하게 느낄 수 있을까? 원신이 어떤 우수한 중국문화를 보여주는게 있나? ㅋㅋㅋㅋ 방구석에서 겜만 하는 겜 ㅍ인이라 그런지 수준이 처참하네?ㅋㅋㅋㅋ
@@GrayBear-n7b 원신의 문화적 베이스는 일본의 오타쿠 문화아님? 결국 뭘 해도 일본 승이네 ㅋ 아 물론 우리가 중국에게 진건 맞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떻게 중국까지 사랑하겠어...
삼국지(분열된 중국)만 사랑하는거지
일단은 중국어 발음이 고
음과 저음이 현저하게 차
이가 시끄럽고 잡소리가
들리기 때문에 듣기가 거
부함...
공산당이 문제임 솔직히 국민당이 됐으면 꽤 흥했을거임,전세계 차이나 타운만 봐도 상당히 퍼져있으니까
창작을 할 수 있는 사고가 불가하니 어릴적부터 자라오면서 새로운 걸 찾을 수없지.. 점차 베끼는 수준밖에 안되는거고... 진핑이가 계속 정치해야된다. 그래야 장개벌레로 남을 수 있는거다
중국에 문화라는게 있긴하나?! 개가 웃겠다
중국문화라기 보다는 영화와 대중 가요에서 인기가 없다고 봐야할것 같다. 문화컨텐츠에는 수만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는 게임산업같이 중국이 잘하는것도 있습니다.
다른 컨텐츠들도 똑같이 중화사상, 당의검열에 영향을 받지만 그걸 뚫고 잘 나가기도 합니다.
제 짧은 소견에는 이런것들은 부차적인 이유라 생각이 듭니다.
중국의 영화, 가요가 세계인에게 인기가 없는 이유는 규모가있는 엔터테인먼트 회사가 없기때문입니다. 소규모 엔터회사라면 자국시장에 인기를 얻는것 만으로 큰돈이 벌리는데 위험한 글로벌시장에 투자를 할필요가 없죠.... 하지만 이런 소규모회사가 자국시장을 상대로 돈을 벌면서 규모를 키워간다면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중국시장이 작게느껴진다면? 그때는 중국에서도 세계인이 공감하는 영화, 가요를 만들거라 생각합니다
와ᆢ 분석 제대로이네요ᆢ 이런게 진정한 유투브 입니다ᆢ
한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 이미지임.
자신보다 못사는 나라의 문화는 자신도 모르게 무시하게 될 수 밖에 없음.
우리나라도 개도국 시절에는 김치 냄새만 나도 인상 찡그리는 외국인들 많았지.
그동안 김치맛이 변한 것도 아닐 텐데, 지금은 외국인들이 김치 잘만 먹는다.
결국 중국 문화가 유행하려면 일단 중국이 선진국이 되어야 하고...
국가 이미지도 좀 깨끗해져야 함.
그게 선행되지 않는다면 거부감때문에 아무도 중국 문화를 거들떠보지 않을 거다.
태국 베트남 음식이 한국 음식보다 더 대중적인거 아시죠?
인기가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중국과 중국어임.
일단 중국인이 뭘 하든 흥미와 재미가 없어짐. 설사 좋은 콘텐츠라 하더라도 중국말로 씨부리면 그 순간 4류 코메디가 됨.
全世界学习中文的外国人加起来有两个韩国人口,韩流只是劣质色情版本的美国文化的复刻,如同日本av一样,一阵高潮后就索然无味,没有底蕴的国家终究是世界的边缘。
중국어는 그냥 듣기가 싫음. 베트남어도 걍 듣기가 싫음. 성조때문인것 같은데 이건 어쩔수가 없어. 그냥 거슬림. 나같은 사람도 있는거임
탕후루 마라탕 ㅈㄴ 유행했지 않나 음식도 문환데 ㅇㄹㄴ
풉
맞는 말이긴해
여자들한테만ㅋㅋ 여자들은 기본적으로 친중임
중국은 본인들이 엄청난 문화 강국이라 생각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긴 역사 속에 수많은 이민족들이 섞이고 섞여 만들어낸 시간의 부산물 같은 거임. 땅이 크고 인구가 많으니 자연스레 생겨난 것들이지 본인들의 창의력이나 노력에 의해 생겨난 것들이 아니라는 뜻. 예를 들어 세계 3대 요리로 프렌치와 중식이 꼽히는데 프렌치? 대단한 기술과 노력이 들어가며 인류 식문화의 한 획을 그었음. 중식? 땅이 넓어 식재료 다양하고 수많은 민족들이 있다보니 자연스럽게 많은 음식이 생겨났고 그걸로 3대 요리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음. 막말로 중국이 프랑스만한 크기와 인구를 가졌다면 3대 요리가 될 수 있었을까? 딱 이런 관점으로 생각하면 됨. 세계 인구의 1/7이 중국인이니 당연히 '뭔가'도 많겠지. 그것의 퀄리티는 둘째치고. 근데 그 많은 무언가로도 문화가 이렇게 개씹망인 거 보면 답 나옴. 걍 과거부터 문화강국인 적이 없음
중국에 문화가 있다고??
문화대혁명 참 대단했지.. ㅋㅋ
자기네 나라가 뭐든 세계최고라 착각에 빠진 나라다.몰상식한행동을 당연한듯 해데는 국민성을 가진나라임ㅉ
일단 언어부터 좋같음
쒱생빵쓰쉔 챙칭총 하오야~
우월한 것은 매력적으로 여겨지며 인기있고, 열등한 것은 싸구려로 여겨지며 시장에서 버림받는 것 ----------> " 자연의 법칙 "
중국문화는 인기가 없는게 아니라 '그냥 없어요'
본인들 손으로 박살냈거든요
그 와중에 복원한다고 해서 복원한것도 하다 말아서 기형이 됬어요
그저 제2의 5호16국시대와 아편전쟁 기원합니다
곧 그리됩니다..
我只希望日韩合并哈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