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티안 29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과 라오스의 미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9

  • @andreashin6549
    @andreashin6549 Час назад +1

    구독합니다

  • @gracekim8387
    @gracekim8387 2 часа назад +3

    유튜버님 !! 세계를 보는 눈이 대단하십니다. 한마디로 현명하세오.

  • @김주인-g8p
    @김주인-g8p 2 часа назад +1

  • @HmRyu-iz5fe
    @HmRyu-iz5fe 50 минут назад

    잘봤습니다:) 여행외의 라오스의 다른 주제도 신선하게 다가오네요. 이런 케이스가 없으려면 정말 자주국가로서 외교력이 있는 나라가 반드시 되어야합니다. 내 나라가 내 나라가 아니게 되면 슬프죠.
    항상 건강 잘챙기시고요.

  • @STS-410
    @STS-410 49 минут назад

    옳은 이야기 입니다. 친중으로 잘사는 나라는 없어요.

  • @걷다-l60I
    @걷다-l60I Час назад

    여기저기 여행을 하는저로서는 걱정이많이되네요
    60대중반 혼자 여행을 합니다
    이런 나라를 가지않을수는 없고요
    방법이 없나요
    좋은 방안이 있으면 부탁 합니다

  • @edennext3560
    @edennext3560 44 минуты назад

    라오스의 수출품의 대부분은 광물입니다. 농산물과 목재는 과거의 일이구요
    그 광물이 중국이 개발한 광산들이죠. 그중 단연 1위의 단일 품목은 금입니다
    라오스는 광물이 풍부한 국가이고 제가 살고 있는 지역에도 광산이 있어요
    그리고 달러대비 환율의 문제는 공산품 수입으로 인한 문제가 아니라 중앙은행에서 돈풀기해서 그런거구요(돈찍기)
    그 이유는 라오스는 세금이 아주 적은 국가이기 때문에 세금을 대체할 수단으로 돈을 찍어서 사용하죠
    그로 인해 인플레가 오는것이고 서민들은 그 이유를 모르죠
    관세와 세금 그리고 인플레는 한몸이라는 견해가 학자들 사이에도 대체로 동의하는 부분이기도 하구요
    단편적으로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란거죠. 중국이 없었다면 저렴한 공산품을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그 공산품 조차도 관세와 물류시스템 미비로 현지에서는 매우 비싸게 거래되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