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묘목 분뜨기 이식하기 활착율 95%를 넘는 포대공법 귀농귀촌하시는 분들께는 가장 효율적인 나무이식방법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소나무이식하기-이식하여 1년간 95%이상 활착성공율을 보인 포대공법 분뜨기
    조경현장에서는 녹화마대 보자기공법으로 작업을 합니다.
    활착율은 그리 높지 못합니다.
    묘목이 죽고나면 식생환경이 좋지않다고 불평불만만 늘어놓기 일쑤입니다.
    사실상 고사의 원인은 죽은나무를 뽑아서 뿌리를 털어보면 90%이상 고사원인을 알수 있습니다.
    고사의 원인은 대부분 보자기를 싸면서 뿌리에 흙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단단히 채워지지 않았기 때문이였습니다.
    그런 불량시공을 줄일수 있는 방법은 바로 포대공법입니다.
    흙을 포대안에 꽈꽉 단단히 채워주고 목대를 묶어주기만 하면 대부분 뿌리에 흙이 완전히 차게 되니까 당연히 활착율은 높게 되는 것입니다.
    조경현장에서는 감독이나 발주자의 눈치를 보느라 할수 없는 공법입니다.
    좀 질이 낮아 보일수 있을테니까요.
    하지만 귀농귀촌하시는 분들이나 유지관리현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수 있을거라 생각하기에 이렇게 공유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14

  • @천년세월-u2b
    @천년세월-u2b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지극히 일리 있는 주장이십니다.
    모든 식물들은 나름대로 공생하는 균과 같이 살아가는데 이걸 무시하고 파 옮기니까 나무가 비실댈수밖에 없거든요.
    한국의 소나무가 보기 좋아서 외국에 갖다 심었는데 좀 처럼 자라지 않고 비실대서 혹시나 하고 살던곳 흙을 좀 퍼다가
    섞어주니까 그제서야 조금씩 기운을 차리더라는 사레도 있더라구요

  • @늑대와함께춤을-j2y
    @늑대와함께춤을-j2y 3 года назад +1

    제게꼭필요한정보 주셔서감사드립니다

  • @박훈-x8c
    @박훈-x8c 4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일리있는 말씀이라 공감하고 갑니다.

  • @술취한피아노
    @술취한피아노 4 года назад +2

    여쭤봅니다 분떠올때 분에다가 끈을 묶잖아요 묶어논채 심었는데 문제가 생길까요?

    • @조경과구들장-c7t
      @조경과구들장-c7t  4 года назад

      방금 답변드린것 같은데 다른영상이였나 보네요.
      감사합니다

  • @이중재-v9o
    @이중재-v9o 4 года назад +2

    소나무 6~7점 분이 깨진 상태에 바로 마대에 흙을 넣고 마무리 하면 위험 할까요?

    • @조경과구들장-c7t
      @조경과구들장-c7t  4 года назад +1

      목대가 놀지 않게 조심히 흙을 붙여서 녹화마대로 분을 다시 만드는게 좋을것 같아요.
      포대공법은 어린묘목에 쓰는게 좋아요.

  • @krlee69
    @krlee69 4 года назад +3

    영상 잘봤습니다.
    집앞에 작은 정원을 만들려고 하는데 어린 소나무 이식은 계절에 상관 없나요? 몇월쯤 해야 하나요?
    처음이라서 살짝 여쭈어 봅니다~~

    • @조경과구들장-c7t
      @조경과구들장-c7t  4 года назад +4


      모든나무는 년중 이식이 가능합니다.
      나무의 활착율을 높이기 위하여 정해놓은 식재부적기를 피해서 옮기면 좋겠습니다
      한겨울 추운날과 삼복더위가 식재부적기에 해당합니다.
      지금은 이식해도 되는 시기입니다.
      감사합니다

  • @윤임동
    @윤임동 4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포대 공법으로 심을 경우 심을 때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지요?

    • @조경과구들장-c7t
      @조경과구들장-c7t  4 года назад

      포대공법으로 심더라도 물을 주는게 활착에 도움이 됩니다.
      도저히 물을 줄수 없는 환경이라면 홁을 덥고 꼭꼭밟아서 땅과 묘목이 일체가 되게 해주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