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가 인간도 못 따라하는 유일한 동물인 이유 (뇌보다 빠른 행동ㄷㄷ)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68

  • @외몽골칸국3시간후
    @외몽골칸국3시간후 3 месяца назад +8

    진화에 방향이 있는건 아니지만 확실히 지능이 높은 생물들은 다 나중에 등장한 족보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듯. 문어, 개미, 벌, 돌고래, 고래, 바다표범, 코끼리, 영장류 모두 각각 연체동물, 절지동물, 척삭동물 끝부분에 있음.

  • @고슴도치-b1k
    @고슴도치-b1k 3 месяца назад +9

    까마귀 개들이랑도 같이 놀던데요
    신기했어요 ㅎㅎ

  • @-kokohasewokoko-
    @-kokohasewokoko- 3 месяца назад +28

    문어는 강아지 처럼 냄새를 맡아서 사람을 기억하는것도 아닐텐데 만났던 사람을 기억한다는게 되게 신기하네요

    • @DarlingBug
      @DarlingBug 3 месяца назад +4

      헉, 나보다 머리가 더 좋다는..
      난 한두번 만난 사람은 거의 기억 못하는디.. 본적이 있는 사람은 없다고 하고, 없는 사람은 있다고 우기고.. 아.. 세상에 쉬운게 하나없네..

    • @SamuelSmith1221
      @SamuelSmith1221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문어는 눈이 엄청 발달헸죠..

    • @RottenWater_Immune
      @RottenWater_Immune 3 месяца назад +2

      ​@@DarlingBug머리가 좋다는 건 기준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것 같네요.
      저는 그림쟁이라서 그런지 시각적 기억은 매우 좋아서
      몇 년 전에 우연히 스쳐간 사람도 그 얼굴을 잘 기억하는 일도 많은데
      사람 이름은 가까운 지인인데도 자주 헷갈리고 생각도 안 날때가 많아서 난감하기도 합니다.
      숫자 기억도 못하는 편이고요 ㅎㅎ

  • @써머셋
    @써머셋 3 месяца назад +12

    한라산 등반중 쉬다가 가나초코바 잠시 옆에 놔뒀는데 까마귀가 갑자기
    훔쳐서 날아가서 부리로 비닐껍질을 사람처럼 뜯어서 내용물먹는걸보고 머리가 좋다라고 느꼈음

    • @Volkanovski1987
      @Volkanovski1987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댓글을 작성하시는 수준을 보니
      님보다 까마귀가 더 머리 좋은 것은
      맞네요 ㅋㅋ

    • @주마초
      @주마초 Месяц назад

      ​​@@Volkanovski1987 이해 하는데 한참걸린거보니 까마귀 보다 딸리는건 님인듯

  • @나른하게살고싶다
    @나른하게살고싶다 3 месяца назад +23

    문어가 개정도 지능이라니 …못 먹겠다. ㅜ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래도 먹어야지. 낭비하지 않고 잔인하게 사육 가공하지 않으면 충분히 도리를 한 것이라 생각함.

    • @davidkim1956
      @davidkim1956 3 месяца назад

      문어식용방지법도 입법해야겠네

  • @3월의라이온
    @3월의라이온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문어가 색맹이 아니라고 생각하는게..주변에 따라 몸 색깔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키는데 어떻게 색맹이냐~라고 생각한다면 너무 1차원적인걸까요 - _ -

  • @carlyounsh
    @carlyounsh 3 месяца назад +9

    개인적으론 역시 문어가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하네요.
    인류가 사라질 정도의 재앙이면 우선 가장 위험한 곳이 지상일 테니까요

  • @juokhan6
    @juokhan6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하얀색을 띄는 세포는 사람들의 흰피부와도 연관 있나요?
    코끼리 같은 동물의 내장도 사람처럼 뇌와 협력하고 감정을 만드나요?

  • @wildwoodstop6398
    @wildwoodstop639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6:45 문어가 팔이 있다는걸 첨 알았네요

  • @버드나무-p4b
    @버드나무-p4b 3 месяца назад +4

    문어 삶을 때 눈쳐다보지 못할듯 😢

  • @시안스쿨-x6p
    @시안스쿨-x6p 3 месяца назад +13

    배댓한번해보고싶당 😂 ㅎㅎ

  • @iangreso4254
    @iangreso4254 3 месяца назад

    여기다가 질문해도 되나요? 물질파에 관한 것입니다. 야구공을 빨리 던질때 물질파를 관측하기 힘든것은 야구공의 질량이 커서라고 교과서에 나오는데 그러면 야구공을 플랑크 차수만큼 아주 느리게 던지면 (파장이 적외선정도가 나오게) 이것은 야구공의 운동이 적외선처럼 관측된다는 것인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이주제로 동영상 만들어 주세요^^

  • @HowieHa
    @HowieHa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나의 문어 선생님...

  • @폴락년
    @폴락년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는 인간인데.iq43이거든요.흥미롭네요

  • @mnm-d3f
    @mnm-d3f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공룡이랑 영장류가 같이있는 그림 가능한가요?
    쥐형태의 포유류정도가 고작이였을텐데

  • @정의-g6f
    @정의-g6f 3 месяца назад

    동물들에겐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없겠죠.. 인간만이 그런가..좌뇌 우뇌

  • @hwanaya87
    @hwanaya87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직접 겪은 동물 중에 똑똑한 동물: 까마귀, 문어, 까치

  • @jungmunkim6011
    @jungmunkim6011 3 месяца назад

    문어는 피부의 색깔과 모양만 바꾸는거지 질감자체를 변화시키진 않는거 아닌가요?
    바위의 질감처럼 보이게끔 모양과 색을 변화시키는거지 바위처럼 딱딱해지는게 아니잖아요

    • @jinachoi3698
      @jinachoi3698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나의 문어선생님 다큐에서 봤는데 질감을 완벽하게 바꾸진 않지만 질감의 느낌을 굉장히 흡사하게 표현하더라구요.

  • @윤씨형님
    @윤씨형님 3 месяца назад


    보구
    가내유...^^

  • @유햄-y7w
    @유햄-y7w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썸네일 비빔대왕인줄

  • @어린이-d8m
    @어린이-d8m 3 месяца назад

    냥냥펀치

  • @김종식-h8y
    @김종식-h8y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오모나 1등

  • @김재선-u1h
    @김재선-u1h 3 месяца назад

    뉴런이 있는대가 맛있는건가???.. 문어 맛있자나

  • @언덕위의제임수
    @언덕위의제임수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래도 원숭이 아니겠음??

  • @mello49
    @mello49 3 месяца назад +36

    배경음악 뭐에요..? 중간중간 띵~띵~거리는거 너무 별로인듯..피시나 주변에서 뭐울린거같아서

    • @-kokohasewokoko-
      @-kokohasewokoko- 3 месяца назад +9

      저는 오히려 약간 신비로운 느낌 들어서 좋네요

    • @csyoo3976
      @csyoo3976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신비로워서 좋았어요

    • @아라아리-x5x
      @아라아리-x5x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저도 너무 거슬려요

    • @user-or4fr7qw4p
      @user-or4fr7qw4p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울리는게 시도때도없음

    • @eunsunman
      @eunsunman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띵진자거슬리긴하네요..

  • @부르니부름
    @부르니부름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코끼리는 손이 없잖아요 목소리도 그렇고

    • @babyd211
      @babyd211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코끼리는 코가손이래요~~~

    • @부르니부름
      @부르니부름 3 месяца назад

      @@babyd211 뭐 원숭이도 손이 있고 발에도 손이 달렸지만

    • @jhshin9413
      @jhshin9413 3 месяца назад

      코끼리는 치매가 없습니다

  • @RabbitFootFoot
    @RabbitFootFoot 3 месяца назад

    문어 수명만 길었어도 키웠을텐데

  • @goja3771
    @goja3771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인류는 지구 생명체중 뇌 밀도에 비해 가장 멍청한거 아닐까 란 생각이 들때가 있음
    평범하게 천재적이거나 공부좀 하는 사람들이 이상한거긴 하지만 사람들이 은근히 안 똑똑한거 보면 뭔가 놀라운 생명체 같기도 해

    • @ES-hg4wh
      @ES-hg4wh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같은 인간이 보기에 멍청해보이는거지 충분히 다른 동물에 비해 똑똑한건 맞다

    • @kevin123S2
      @kevin123S2 3 месяца назад +1

      ​@@ES-hg4wh 근데 인간이 많아지면서 표본이 많아져서 그렇지. 인간 사이에도 지능의 차이가 심하긴함

  • @paiishi5417
    @paiishi5417 3 месяца назад

    250원 짜리 에기 2개면
    문어 많이 잡음 ㅋㅋ
    인간한테 문어는 그저 가성비 갑 두족류

  • @whattff
    @whattff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공룡시대때는 아예 인류가 없었을텐데 무슨...

    • @yougood7765
      @yougood7765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인류가 아니라 인류의 조상인 영장류라고 나오네요 ^^..

  • @lets7991
    @lets7991 3 месяца назад +5

    배경이 흰색이라 자기전에 누워서보면 너무 눈부심..ㅠㅠ

    • @Maseemaro
      @Maseemaro 3 месяца назад +3

      밝기를 줄이거나 대비를 줄이셈

    • @pogue5577
      @pogue5577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배경이 하얗긴하네여😂 침대에 작은 조명키고 보세영 눈도 덜 나빠져요ㅎㅎ

    • @dddddfftyyyvv
      @dddddfftyyyvv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눈 나빠짐 불키고봐요

    • @mkk-n8s
      @mkk-n8s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건 누워서 소리만 켜두고 자장가로 듣는 채널입니다

  • @gpknkee
    @gpknkee 2 месяца назад

    문어는 머리도 좋고 능력도 대단한데 안타깝게도 맛있네요. 먹을 수 밖에 없다는...

  • @달의영혼-q8b
    @달의영혼-q8b 3 месяца назад +3

    교수님 공룡시대때는 영장류가 단 1도 존재하지 않았는데 공룡시대에 무슨 영장류는 밤에만 돌아다녔다는것인지요? 재미도 좋지만 팩트에 근거해서 설명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qwefeza8654
      @qwefeza8654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영장류의 원시조상이 백악기 말기쯤부터 살았으니까 틀린말은 아닙니다
      물론 흔히들 생각하는 영장류=원숭이 정도의 수준은 아니었지만요
      (당시에는 소수종이었고 신체능력도 약했으니 대낮에 당당하게 다니기도 어려웠겠죠)

    • @林成勳-t7h
      @林成勳-t7h 3 месяца назад

      다큐도 아니고, 강의 시간도 아니고, 엔터테인먼트라는 점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엔터기 때문에 하나하나 세세하게 설명할 수가 없지요.

  • @인혁-v6b
    @인혁-v6b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교수님 밥 잘 비비실거같아요

  • @kj9260
    @kj9260 3 месяца назад

    인간의 지능에 대해 들을때마다 매번 궁금한게 있습니다
    인간이 코끼리 돌고래 까마귀 그 어떤 동물보다 똑똑하다고 하는데 기준이 뭔가요?
    그 동물들이 인간의 손을 가지고 있었어도 인간보다 멍청한게 확실한가요?
    그보다 지능이 뭔가요 뇌의 다양한 기능들
    기억력 인지력 창의력 분석력 순발력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예지력 공포에대한 반응 환경변화에대한 적응력 뭐 수없이 많은 뇌의 기능들을 숫자로 객관적인 값을 산출한 후에 평균으로 나눈것입니까?

    • @kevin123S2
      @kevin123S2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객관적인 지표라...
      가장 큰차이는 지식의 대물림의 차이인것 같습니다.
      지능 자체는 똑똑한 동물도 많지만
      사람과 가장 큰 차이는 지식을 전수해줄 언어와 그 언어를 기록한 글이
      가장 큰 차이라고 생각 합니다 (지식이 오래 오래 기록되어 지니까요 )
      우리또한 지식을 기록하면서 폭팔적으로 문명이 커졌으니까요 .

    • @LOL-y5j
      @LOL-y5j 3 месяца назад

      딱 봐도 인간보다 멍청하잖아요 ㅋㅋ

    • @kj9260
      @kj9260 3 месяца назад

      @@kevin123S2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아무리 지능이 떨어지는 인간이라도 손이 있어서 글을 남기고 지식을 되물림할수 있기에 부족한 지능을 메꿀수 있다 라면 이해하겠는데
      "인간은 그 어떤 동물보다 지능이 우월하다"
      라는 말이 지나가던 아저씨가 한다면 그러려니 하겠는데 관련분야 전문가가 얘기한다면 왜 그런 결론이 도출됐는지가 이해가 안돼서요
      그럼 마찬가지로 "인간은 그 어떤 동물보다 신체능력이 뛰어나다 인간은 도구를 신체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 라는말도 맞는말 같아서요

    • @kj9260
      @kj9260 3 месяца назад

      @@kevin123S2 저도 동의합니다 그러므로 지능 자체는 인간보다 똑똑한 동물도 있으나 인간은 손이 있어 글을남겨 지식을 되물림 할수있다 라고 한다면 이해하겠지만 동네 아무개가 하는말이 아닌 그 분야의 전문가가 인간은 그 어떤 동물보다 지능이 뛰어나다 라고 한다면 오해할 여지가 너무많아보입니다. 마찬가지로
      " 인간은 그 어떤 동물보다 신체능력이 뛰어나다 " ( 인간은 도구를 사용해 그 어떤 동물보다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와 마찬가지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