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하나의 임대물에 중간에 임차인이 바뀌어서 설명하신대로 전년도 임대명세 불러오기로 임대내역 2개 만들어서 전,현 임차인 정보와 월세, 월세 기간만 수정했는데, 간주임대료 계산창에서 영상처럼 임대주택1로 통일되지 않고 임대주택1 임대주택2 로만 뜨네요. 수정방법이 있을까요? 그냥 이대로 제출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혹시 2주택자인 경우 A주택 (단독명의) B주택(공동명의) 일 경우, 기본정보 입력에서 A주택(단독)에 대한 임대소득을 등록하였습니다. -> 문제는 B주택(공동명의)를 등록할려고 하니 기본정보입력에서 "새로작성하기" 를 클릭하면 기존에 임대소득을 등록한 A주택(단독)의 정보가 다~ 지워집니다. B주택(공동명의)을 공동으로 지정하고 임대소득을 등록할려면 어떠한 방법으로 해야하나요? ->추가로 B주택은 작년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시어 공동명의로 상속주택으로 취득하였으며, 신고도움자료에 국내주택보유내역에는 정보가 나오질 않습니다. (상속주택 보유년수 :1년, 상속주택은 5년까지 무주택인정)
구독좋아요, 알림설정 완료입니다. 그런데 궁금한게 있는데요. 과세기간(24.01.01~24.12.31)중 계약기간이 갱신 연장되어 재계약을 했지만 임차인 정보와 월세 및 보증금 내역은 하나도 변함이 없는 경우도 임대기간을 따로 나누어서 입력해야 되나요? 하나도 바뀐게 없어서 그냥 24년도 과세기간을 그대로 좋고 총 월세수입만 적었거덩요. 그래도 입력완료는 잘돼서요.
그런 상황이라면 제가 세무사가 아니라 정확히는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나누어 입력하지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저도 그런 상황이라면 그렇게 하거든요. 몇년째 하고 있지만 사실 크게 문제가 되었던 적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5월 종소세 근거 자료로 자발적으로 신고하는거니까요~ 세무사에 물어보고 한 적도 있는데 항목 하나하나 엄청 따지면서 하지는 않는 느낌이었습니다.
국세청에 물어보니 701103은 장기임대라고하던데요,,,
확인좀701102로하라고 하던데요
그렇군요~ 국세청 말이 맞을 것입니다.~^^
저도 전문 세무사가 아니다보니 정확성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저도 공부하면서 하는 것이고 그것을 공유해드리는 것인데 이리
알려주시면 지식이 모이며 더 정확해지니까요~^^
감사드립니다~
몇번을 시도하다 잘 안되어서 본 동영상 보고 잘 신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헐 그런데 아래 댓글 보니 코드가 틀렸네요....
덕분에 신고 잘 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친절해서 저 신고 완성 했어요, 국세청 전화 해도 상세한 질문이 어려워서 힘들었는데 다행히 이 영상을 만났네요^^ 좋아요 구독하고 갑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고 감사한 일이네요~^^
정말 자세하게 제가 필요한 부분을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세입자가 바뀌었을때)
앞으로 돌아가서 하는방법을
못 찿아서 얼마나 씨름했는지요~~감사감사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정말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1월달 신고 기간만 되면
머리가 지근지근 ~~
몇번을 시도 하다 이영상 보고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간주 임대료 자동계산에서 기준시가를 입력해야 하나요?
입력을 안했더니 기준시가는 0보다 커어 한다는 팝업이 뜨고 뒤로 넘어가질 안내요?
부탁 좀 드려요~
소형 주택 여부 적용을 확인해야할 때 그래요. 공시지가 알리미 가셔서 확인 후 그 금액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후속타로 2천만원 이하 분리과세도 다뤄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하나의 임대물에 중간에 임차인이 바뀌어서 설명하신대로 전년도 임대명세 불러오기로 임대내역 2개 만들어서 전,현 임차인 정보와 월세, 월세 기간만 수정했는데, 간주임대료 계산창에서 영상처럼 임대주택1로 통일되지 않고 임대주택1 임대주택2 로만 뜨네요. 수정방법이 있을까요? 그냥 이대로 제출해도 될까요?
저도 그렇게 나오네요.
안녕하세요!~ 혹시 2주택자인 경우 A주택 (단독명의) B주택(공동명의) 일 경우, 기본정보 입력에서 A주택(단독)에 대한 임대소득을 등록하였습니다.
-> 문제는 B주택(공동명의)를 등록할려고 하니 기본정보입력에서 "새로작성하기" 를 클릭하면 기존에 임대소득을 등록한 A주택(단독)의 정보가 다~ 지워집니다.
B주택(공동명의)을 공동으로 지정하고 임대소득을 등록할려면 어떠한 방법으로 해야하나요?
->추가로 B주택은 작년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시어 공동명의로 상속주택으로 취득하였으며, 신고도움자료에 국내주택보유내역에는 정보가 나오질 않습니다.
(상속주택 보유년수 :1년, 상속주택은 5년까지 무주택인정)
구독좋아요, 알림설정 완료입니다. 그런데 궁금한게 있는데요. 과세기간(24.01.01~24.12.31)중 계약기간이 갱신 연장되어 재계약을 했지만 임차인 정보와 월세 및 보증금 내역은 하나도 변함이 없는 경우도 임대기간을 따로 나누어서 입력해야 되나요? 하나도 바뀐게 없어서 그냥 24년도 과세기간을 그대로 좋고 총 월세수입만 적었거덩요. 그래도 입력완료는 잘돼서요.
그런 상황이라면 제가 세무사가 아니라 정확히는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나누어 입력하지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저도 그런 상황이라면 그렇게 하거든요.
몇년째 하고 있지만 사실 크게 문제가 되었던 적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5월 종소세 근거 자료로 자발적으로 신고하는거니까요~
세무사에 물어보고 한 적도 있는데 항목 하나하나 엄청 따지면서 하지는 않는 느낌이었습니다.
굉장히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잘 따라가고 있는데 제 경우에는 전년도 임대명세가 불러와지지 않네요ㅠ. 무엇이 문제일까요?
그건 126으로 전화하셔서 확인해 달라고 하거나 그냥 수기로 다 입력하거나 해야할 것 같습니다.
등록 임대사업자는 아니며 동영상 보고 따라하다 보니까 기본정보 입력화면에서 주민번호 옆 확인 버튼을 누르니까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소가 나오고 임대하고 있는 빌라의 주소는 안나오는데 어떻게 그 빌라에 대해 신고를 하죠?
제발 저도 방법좀알려주세요
임대하고 있는 물건지 주소는 수입금액 검토표에서 입력하는 것입니다~
부부공동명의 경우 두사람 다 신고해야 하나요?
두사람 다 신고한다면 전세금액을 1/2로 적나요?
공동명의의 경우 공동명의자도 입력하여 지분 비율에 맞춰 신고하여야 합니다.
사업자는 아니고 개인인데 주민번호치고 들어가면 공동에 체크는 안되던데요.
혼자만 등록 되던데... 부부공동명의...
사업장현황신고를 어찌해야하는지 모르겠어요
다입력하였는데 수입금액 매출명세에 최종 0원이 뜨는게 맞나요??ㅠㅠ
전세로 보증금만 받았습니다ㅠㅠ
보증금 합계액이 3억 이하인 경우 0이 나올 수 있는데 아니라면 간주임대료 자동계산 적용을 안 하신 것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