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에는 안 나왔는데 참고하세요! [60프레임 기본으로 나오게한뒤 프레임 보간 2배 시키는것을 추천해요] [CPU 내장 그래픽으로는 안 굴리는게 좋습니다] [설정을 모두 한뒤에는 다시 시작하기 해주세요]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저지연 모드(Low Latency Mode) 꺼주세요] [Intel Arc GPU와 다른 브랜드의 GPU를 같이 쓰면 문제 생길 수 있습니다] OBS에서 송출 가능한 세팅은 링크 참고! ruclips.net/user/liveIu3MwTk7xdY?si=JM5uU9fPU5m1QHAP *준비물* 윈도우 11 보조용 그래픽 카드(엔비디아 1000번대 이상 그래픽 카드) LSFG(Lossless Scaling Frame Generator) - store.steampowered.com/app/993090/Lossless_Scaling/ 1. 컴퓨터에 보조 그래픽 카드 설치 후 모니터 화면을 보조 그래픽 카드에 연결 2. LSFG 프로그램에서 선호하는 gpu를 설치한 보조 그래픽카드로 설정 3. 윈도우 설정→시스템→디스플레이→그래픽에서 [고급 그래픽설정]을 열어서 [고성능 GPU 기본값]을 주 그래픽카드로 설정 3.1. Nvidia 제어판을 키고 Surround, PhysX 구성에서 주 그래픽 카드로 설정 4. 게임 실행후 lsfg에서 업스케일링 작동
fhd 540hz 모니터 돌리려고 하는데.... 오버워치만 합니다. 예산 부족으로 lsfg로 부족한 프레임 보강해보려하는데 괜찮을까요? dlss보다는 지연시간이 적다하니.... 혹시 가도 괜찮다면, am4 메인보드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 지금 b550m wifi 쓰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pvp fps 에서는 그리 추천하지 않아요. 조준점 hud가 흔들려보일수가 있거든요. 다만 540hz에서 보간해서 쓰는 환경에서는 차이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270프레임에서 보간 시키면 흔들림이 안보일 가능성도 있기는 합니다. 그리고 테크유튜버는 아니라 부품 추천쪽에서는 그렇게 잘 아는 바가 없스빈다... 그렇지만 이미 쓰시는 b550m은 듀얼 그래픽으로 쓰일수 있는걸로 알고있으니 사용 가능할것 같네요.
프레임 보간을 썼을때 기본보다 레이턴시가 늘기는 합니다. 하지만 DLSS3을 이용한 프레임 보간보다는 레이턴시가 덜 늘어난다는 얘기도 있더라고요. bbs.ruliweb.com/pc/board/300006/read/2318540 아티팩트는 프레임 2배까지는 조금 신경 쓰이는 정도인데 그 이상은 UI들이 꽤 많이 흔들려보입니다.
메인보드의 제원에 PCIe 4.0 x 16 , PCIe 4.0 x 2 이렇게 되어있는데요, 메인은 16레인을 사용하고, 보조는 2레인으로 써야하는상황인데, 이렇게 되면 메인보드를 새로 사야 하는건가요? 4k 권장에 보조 슬롯이 PCIe 4.0 x 4 이렇게 되어 있어서요. 모니터는 4K 240Hz환경이고, 글카는 4080 Super 사용중이에요
영상에는 안 나왔는데 참고하세요!
[60프레임 기본으로 나오게한뒤 프레임 보간 2배 시키는것을 추천해요]
[CPU 내장 그래픽으로는 안 굴리는게 좋습니다]
[설정을 모두 한뒤에는 다시 시작하기 해주세요]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저지연 모드(Low Latency Mode) 꺼주세요]
[Intel Arc GPU와 다른 브랜드의 GPU를 같이 쓰면 문제 생길 수 있습니다]
OBS에서 송출 가능한 세팅은 링크 참고!
ruclips.net/user/liveIu3MwTk7xdY?si=JM5uU9fPU5m1QHAP
*준비물*
윈도우 11
보조용 그래픽 카드(엔비디아 1000번대 이상 그래픽 카드)
LSFG(Lossless Scaling Frame Generator) - store.steampowered.com/app/993090/Lossless_Scaling/
1. 컴퓨터에 보조 그래픽 카드 설치 후 모니터 화면을 보조 그래픽 카드에 연결
2. LSFG 프로그램에서 선호하는 gpu를 설치한 보조 그래픽카드로 설정
3. 윈도우 설정→시스템→디스플레이→그래픽에서 [고급 그래픽설정]을 열어서 [고성능 GPU 기본값]을 주 그래픽카드로 설정
3.1. Nvidia 제어판을 키고 Surround, PhysX 구성에서 주 그래픽 카드로 설정
4. 게임 실행후 lsfg에서 업스케일링 작동
오늘도 주무시는 교주님
우와 이런영상이있네요 구독하고갈께요
진짜 신기하네요
이런영상이 있다니
아니 환율 계산이 이상한데?
원화로 계산하면 실제 환율 대비 10~20%가 비싸지네 ㅋㅋㅋ
저게 맞나???
fps만 안 한 다면 좋은 선택지 인 것 같습니다
fhd 540hz 모니터 돌리려고 하는데....
오버워치만 합니다.
예산 부족으로 lsfg로 부족한 프레임 보강해보려하는데 괜찮을까요?
dlss보다는 지연시간이 적다하니....
혹시 가도 괜찮다면,
am4 메인보드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
지금 b550m wifi 쓰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pvp fps 에서는 그리 추천하지 않아요.
조준점 hud가 흔들려보일수가 있거든요.
다만 540hz에서 보간해서 쓰는 환경에서는 차이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270프레임에서 보간 시키면 흔들림이 안보일 가능성도 있기는 합니다.
그리고 테크유튜버는 아니라 부품 추천쪽에서는 그렇게 잘 아는 바가 없스빈다...
그렇지만 이미 쓰시는 b550m은 듀얼 그래픽으로 쓰일수 있는걸로 알고있으니 사용 가능할것 같네요.
@@Suhnion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드립니다.
현재 5700x3d에 3060ti를 쓰고 있는데 보조 그래픽카드로 추천하나만 해주실 수 있을까요?
@@prom2776 @prom2776 4060 이나 3070을 중고로 사서 메인으로 바꾸고 3060ti를 보조로 굴리면 좋을것 같스빈다
@Suhnion 감사합니다!!!
멀티 프레임 제네레이션이 보면 인풋렉도 늘고 화질도 열화됩니다. 4K 쓴다면 의미없는 기능인 듯...
맞습니다 보조 그래픽카드도 고성능 그래픽카드여야하구요.
따라서 4K에서는 송출렌더링과 서브작업용 그래픽카드로 쓰는 것이 아니라면 장착하지 않는 걸 권장합니다. 강제하진 않아요.
멀티 프레임 제네레이션이 2까지는 나쁘지 않은데 4까지 늘어나면 빠르게 화면을 움직이면 왜곡이 심하더라고요!
그래도 RTX50 없이도 이게 되네 라는 느낌이라 나쁘지는 않습니다
4k OLED 쓰고있고 4080s에 rx6600으로해봤는데 신세계입니다.
엘든링 인풋렉 확 감소했어요.
2번째 보조 그래픽 카드도 pci 16레인 사용해야하나요?
4x4 3x4면 충분함
대박인것 같은데.. 근데 '왜 보조그래픽카드에 모니터를 연결하는가' 인데요.. 그 부분이 이해가 안 감.
주그래픽으로 처리한 후 lsfg화면을 보조그래픽으로 출력하기위함!
듀얼 그래픽시 레이턴시와 아티팩트는 좀 덜할까요?
프레임 보간을 썼을때 기본보다 레이턴시가 늘기는 합니다. 하지만 DLSS3을 이용한 프레임 보간보다는 레이턴시가 덜 늘어난다는 얘기도 있더라고요. bbs.ruliweb.com/pc/board/300006/read/2318540
아티팩트는 프레임 2배까지는 조금 신경 쓰이는 정도인데 그 이상은 UI들이 꽤 많이 흔들려보입니다.
@@Suhnion 답변 감사합니다. 듀얼 그래픽 설정시 보조 그래픽카드가 레이턴시를 잡아줄 줄 알았는데 그건 아닌가 보군요.
그래픽카드 2개설치는 어떻게 하는거예요? 메인보드에 글카포트 2개있어야 하나요?
그래서 2개달면 파워 용량도 높아야하져?
메인보드를 보면 PCIe 두개 이상인것이 있스빈다. 찾아보고 두 그래픽을 낄만큼 공간이 나는지 확인하고 구매해보시면 됡것 같네요
물론 파워도 많이 높은걸 써야합니다
3060 12gb 인데, 1660super 같이 끼면. 시도해 볼 수 있을까요?
gtx 1000번대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메인보드의 제원에 PCIe 4.0 x 16 , PCIe 4.0 x 2 이렇게 되어있는데요, 메인은 16레인을 사용하고, 보조는 2레인으로 써야하는상황인데, 이렇게 되면 메인보드를 새로 사야 하는건가요? 4k 권장에 보조 슬롯이 PCIe 4.0 x 4 이렇게 되어 있어서요. 모니터는 4K 240Hz환경이고, 글카는 4080 Super 사용중이에요
4K의 경우 두 슬롯이 4.0 x4 인게 추천되빈다. 그 이하는 그다지 추천되지 않네요.
엔당 암당 섞어도 되나요?
가능하며 오히려 권장된다고 하네요
lsfg가 암당으로 더 잘 작동한다고 합니다
dlss4에 lsfg 듀얼그래픽 합치면 900프레임 가능하지않나요 4k600프레임이라던가
LSFG가 최대 20배 프레임도 되긴 해서 써봤는데 프레임이 찰흙같이 되고 지연시간도 엄청나더라고요
윈도우 10은 안되는거였군..
호환이 잘 안되서 어렵다고 하네요
조회수 599 ㄹㅈㄷ
해보고 싶은데 본체에 보조글카 장착할자리가 없습니다....ㅜㅜ
;(
윈도우10에선 안되겠죠?
아무래도 윈 11로 한거라 관련 정보는 아는게 없지만 호환성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