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외벽(옹벽) 수직철근 이음에 관하여 설명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철근이음기준에 있어서 벽체철근이음길이기준을 따르는데 지하외벽은 보 철근이음길이기준을 따라야하지 않는지요? 왜냐하면 벽체는 위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부담하지만 지하외벽은 측면하중 즉 토압을 부담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한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 여기에 문의드립니다.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를 사용하면 철근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으며, 골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1층 또는 2층의 주택을 계획할 때, 내력벽 또는 슬라브에 일반 콘크리트 대신 UHPC를 사용하고 철근을 없애거나 줄인다면 자재비, 공사기간을 줄이면서도 안전한 구조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봤습니다. 또한 중단열 일체타설에 더해 외벽 두께를 얇게하고 UHPC로 일체타설한다면 타설 한 번에 좋은 마감 퀄리티를 얻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일반 콘크리트보다 훨씬 비싼 UHPC를 쓰더라도 더욱 효율적인 건축이 가능한지 검토 부탁드립니다.
@user.722같은 업종 맞으신가요..? 저도 같은 업종입니다만, 감리 잘못이라면서 갑자기 구조기술사 문제라니 이해가 안되네요. 구조데이터 입력에 문제가 있던건 잘못이지만 입력에 문제가 있다고 무너지는건 또 말도 안되는겁니다. 그리고 같은 업종이 맞으시면 철근 한두개 빼먹는게 돈이 안되는건 아실텐데요..;;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다음편도 기대됩니다~~
자료 감사합니다
매번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신 부분들 업계 사람들이라면 다 하고 싶은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
구조 관련 영상들도 초보 엔지니어로서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지하외벽(옹벽) 수직철근 이음에 관하여 설명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철근이음기준에 있어서 벽체철근이음길이기준을 따르는데 지하외벽은 보 철근이음길이기준을 따라야하지 않는지요? 왜냐하면 벽체는 위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부담하지만 지하외벽은 측면하중 즉 토압을 부담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한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 여기에 문의드립니다.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를 사용하면 철근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으며, 골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1층 또는 2층의 주택을 계획할 때, 내력벽 또는 슬라브에 일반 콘크리트 대신 UHPC를 사용하고 철근을 없애거나 줄인다면 자재비, 공사기간을 줄이면서도 안전한 구조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봤습니다.
또한 중단열 일체타설에 더해 외벽 두께를 얇게하고 UHPC로 일체타설한다면 타설 한 번에 좋은 마감 퀄리티를 얻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일반 콘크리트보다 훨씬 비싼 UHPC를 쓰더라도 더욱 효율적인 건축이 가능한지 검토 부탁드립니다.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
소규모 건축물의 경우 콘크리트 벽이나 슬라브의 두께는 강도로 결정되지 않아 UHPC의 효용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성확보를 위해 오히려 철근도 더 많이 필요할 수도 있고요.
UHPC에 관한 내용을 한 번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structural-engineer 어르신들은 말 같지도 않은 소리 하지말라고 끝냈는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다리겠습니다.
동의합니다. 공학적인 개념이나 지식이 필요한 보고서나 언론글 들에 대해서는 자극적인 내용을 이용하여 언론사의 실적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전문가의 식견등을 참조하여 보고서나 언론글들을 집필해야 합니다.
@user.722같은 업종 맞으신가요..? 저도 같은 업종입니다만, 감리 잘못이라면서 갑자기 구조기술사 문제라니 이해가 안되네요.
구조데이터 입력에 문제가 있던건 잘못이지만 입력에 문제가 있다고 무너지는건 또 말도 안되는겁니다.
그리고 같은 업종이 맞으시면 철근 한두개 빼먹는게 돈이 안되는건 아실텐데요..;;
첫째로 제일 잘못한건 당연히 관련자들이지만 두번째로 잘못하는건 기레기들... 뭐든지 적정값의 문제인데, 기둥보든 벽식이든 무량판이든 기둥 사이즈랑 경간 보춤 슬래브 두께 어느하나라도 비상식적으로 설계되거나 시공되면 당연히 그거의 문제인데 꼭 뭐가 문제다 하는게 조회수 빨아 먹기 좋으니 맨날 그지랄.. 최근에 제로콜라가 발암물질이라고 호들갑 떨던게 생각나네요. 그렇게 따지면 김치도 발암물질임...
동감합니다 리얼 그 쓰레기 같은 기사에 그대로 믿는 국민들이 너무 많으니 답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