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문화 개선”…퓨전 한복 없애나 | 뉴스A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7 май 2024
  • “한복 문화 개선”…퓨전 한복 없애나
    정부가 국적불명, 퓨전 한복 재정비에 나설 걸로 보입니다. 경복궁 같은 궁궐 일대 대여점에서 빌려주는 한복들이 너무 제멋대로라서 전통 한복의 고유성을 해친다는 이유에섭니다. 현장에선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습니다. 김지윤 기자입니다.
    ○ 기사 보기
    www.ichannela.com/news/main/n...
    ▶채널A뉴스 구독
    ruclips.net/user/tvchanews?sub...
    [채널A 뉴스·시사 프로그램|유튜브 라이브 방송시간]
    〈평일〉
    08시 00분 라디오쇼 정치시그널 (유튜브 라이브)
    08시 50분 김진의 돌직구 쇼
    10시 20분 김진의 더라방 (유튜브 라이브)
    12시 00분 뉴스A 라이브
    15시 50분 강력한 4팀
    17시 20분 뉴스TOP10
    19시 00분 뉴스A
    〈주말〉
    12시 00분 토요랭킹쇼·뉴스A 라이브
    17시 40분 뉴스TOP10
    19시 00분 뉴스A
    #한복 #경복궁 #채널A뉴스
    ▷ 홈페이지 www.ichannela.com/news/main/ne...
    ▷ 페이스북 / channelanews
    ▷ 카카오스토리 story.kakao.com/ch/channelanews

Комментарии • 650

  • @sangfe0809
    @sangfe0809 18 дней назад +285

    전통 한복 고집하다가 아무도 한복에 관심이 없어지면 그건 누가 책임지나요? 퓨전한복이 많다고 무조건 통제할게 아니라 전통한복의 인식을 더 높이는 방향으로 가야된다고 생각합니다

    • @i-wanna-go-home
      @i-wanna-go-home 10 дней назад +45

      ㄹㅇ 규제할 시간에 차라리 전통한복사업을 확대하거나 홍보를 늘려야지 하나하나 규제하다보면 오히려 망함

    • @jjk2769
      @jjk2769 10 дней назад +1

      한복업체들은 그런거 알빠노임.
      지들꺼 팔아먹기나 바쁘지ㅋㅋ. 그러다 또 다같이 죽는거임

    • @user-yk8od5dx8c
      @user-yk8od5dx8c 8 дней назад +4

      본질이 그게 아님 원래 전통한복 살리기 위해서 한복 입으면 혜택 주던거임 근데 전통한복을 안입고 퓨전한복을 입어서 문제가 된거임

    • @advance6098
      @advance6098 8 дней назад +15

      ​@@user-yk8od5dx8c그럼 전통하복의 가격과 편의성을 개선해야지,
      왜 잘하고 있는 퓨전한복을 막아.
      이게 도서정가제랑 뭐가다름. 아니 그것보다 어이없네

    • @t34_85
      @t34_85 7 дней назад +1

      중국 한푸 인가 그것때문에 그런거 같은데...
      중국애들이 일부러 한복,한푸 반반 비슷하게 만든옷 입고 한푸이라고 하니까

  • @luceinaltis6608
    @luceinaltis6608 22 дня назад +924

    퓨전한복까진 좋아요... 근데 너무 누가 봐도 재질이나 디자인에서 싸구려 티가 팍팍 나는 게 좀 그래요... 일본 유카타 체험처럼 고급스럽게만 품질 관리 좀 되었으면 합니다

    • @user-hn3dz8ir6d
      @user-hn3dz8ir6d 21 день назад +72

      이미 시중에 고급한복점은 있지만 저기는 관광객들이 가볍게 잠깐 입어보고 체험하는 차원에서 입어보는거라 옷의 질 문제로 대여료가 더 올라가면 부담스러워서 취지랑 달라질텐데..

    • @faa_jin
      @faa_jin 21 день назад +17

      어차피 잠깐 대여하는거라 그건 상관없을 듯 하네요. 이미 프리미엄으로 대여해주는 곳 있으니까요

    • @user-kv7sb7ze6c
      @user-kv7sb7ze6c 21 день назад +5

      커튼원단 같음

    • @gaegulii0
      @gaegulii0 20 дней назад +17

      그러니까요.. 대여비가 좀 더 비싸지더라도 싸구려원단으로 만든 옷은 진짜 아니라고봅니다. 완전 상업적 수단으로만 사용하는것같고, 싸구려에 화려하기만한 한복은 경복궁과 어울리지 않는것같아요.

    • @eofnelkim1508
      @eofnelkim1508 20 дней назад +4

      원가절감에 품질관리가 안된다면 좀 빨아서 다림질좀 잘해서 입혀라. 스팀있잖아 쫌. 2시간에 3만원 처받으면서 그런 옷감관리도 안하니 원..

  • @user-lx8bb2sl7d
    @user-lx8bb2sl7d 20 дней назад +307

    한복 고증이나 전통 지키는 거는 제발 공영방송이나 사극에서부터 잘 지켜주시고, 정말 한국 전통을 지키고 싶으시다면 퓨전이든 개량이든 생활 한복이든 제발 평소에 한복에 관심 좀 가져주시고 많이 입어주세요~
    곤룡포에 갓을 쓰는 등 맞지 않는 복식은 외국인이니깐 모를 수도 있죠. 우리도 외국가서 전통 옷 원하는 거 골라 입어보세요~ 하면 평소 옷 코디하듯이 그냥 예뻐보이는 거 골라 입지 않겠어요?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해오던 한복인데
    (애초에 소재조차 현대적으로 변화한지 오래되었건만..)
    한복입고 일본 머리장식 달고 다니고 파초선 들고 다니고 한 것도 아닌데 전통에 어긋났네 규제를 하겠네 마네~

    • @Hongsi_park
      @Hongsi_park 18 дней назад +3

      공감합니다!

    • @pyapya_purple
      @pyapya_purple 14 дней назад

      개량한복 입으려고 찾아봤는데 너무 비싸서 ... 쉽지 읺더라고요...

    • @JHKim0220
      @JHKim0220 12 дней назад +10

      뭐만 하면 규제 규제ㅋㅋㅋㅋ
      진짜 답없는..

    • @advance6098
      @advance6098 8 дней назад

      ​@@JHKim0220ㄹㅇ 이렇게라도 입는 걸 다행으로 여겨야지

    • @t34_85
      @t34_85 7 дней назад

      중국 한푸 인가 그것때문에 그런거 같은데...
      중국애들이 일부러 한복,한푸 반반 비슷하게 만든옷 입고 한푸이라고 하니까

  • @user-mq2dx4yz9p
    @user-mq2dx4yz9p 20 дней назад +131

    근데 진짜 다른 옷 가져다놓고 한복이라고 우기는 수준만 아니면 괜찮지 않나..? 원래 옷은 시대에 맞춰서 변하는거고 전통 한복은 예쁘긴 한데 관광지에서 입는 용도로는 좀 불편하고... 애초에 고증 다 따지고 전통 다 따지면 끝도 없음. 전통 지키자는 취지는 너무 좋은데 댓글창 분위기가 너무 공격적이다. 꼴보기 싫다는 표현까지 쓸 일인가 싶고...

  • @user-cy2fu4qm4x
    @user-cy2fu4qm4x 22 дня назад +270

    고조선, 삼국시대, 고려 한복도 내놓고, 언론에서 조선 이전 시대 의복도 이슈되는 거랑 같이 설명도 해줬으면 좋겠음... 답답하다.

    • @seoul_louis9584
      @seoul_louis9584 21 день назад +7

      조선의 궁이니 조선시대 한복을 입어야지

    • @user-mf3zf5sk7y
      @user-mf3zf5sk7y 21 день назад +8

      ⁠​⁠​⁠@@seoul_louis9584중국도 구분 안 하고 다 섞어서 대여하던데요 뭐

    • @seoul_louis9584
      @seoul_louis9584 21 день назад

      @@user-mf3zf5sk7y 걔들은 한복도 입음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13 дней назад

      ​@@user-mf3zf5sk7y 걔낸 적어도 시대에 맞는 복식은 지키잖아.

  • @lolcat79
    @lolcat79 21 день назад +143

    솔직히 이게 국가에서 단속할일인가? 솔작히 퓨전이 이쁘고 입고 돌아다니기좋으니깐 개량해 압겟지 앞으로 한국은 피자에 불고기 올리지 마라 핫도그에 치즈빼고

    • @user-xjxjsijsnxjkdo298
      @user-xjxjsijsnxjkdo298 6 дней назад

      윤석열 어떻게든 세금 떼려고 발악하는게
      보임ㅋㅋㅋ

    • @ooo7037
      @ooo7037 6 дней назад +2

      '문화재', '전통유산'에서 '한복'을 입는다는 맥락이 있잖아요. 저사람들 입은 퓨전한복 개못생기고 싸구려티나요.

    • @realkei7
      @realkei7 5 дней назад

      @@ooo7037 전통한복이 더 구리지 솔직히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3 дня назад

      ​뭐가 구려 전통한복 1도 모르면서 다내고있네

  • @SATO2K
    @SATO2K 21 день назад +138

    아니 어이가없네ㅋㅋㅋㅋㅋㅋ 나도 20대지만 젊은 사람들이 한복을 입겠냐? 개량 한복이니까 그나마 입는거지ㅋㅋㅋㅋ; ㅈㄴ 보수적이네

    • @peacepeacef
      @peacepeacef 2 дня назад

      한복대여점에서입을 한복이
      저이상한퓨전?한복이니깐그래
      외국인들도사실 우리나라한복광고에서 그런전통이쁜한복들입고싶은데
      대여점에 저정체불명한복밖에있으니깐
      그냥입는거지뉴스인터뷰보니깐
      외국인이 자기도전통한복입고싶다고그러더라
      저정체불명한복. 퓨전한복에못낌
      전통한복 모던한복(퓨전)
      같이가자
      저이상한한복버리자

  • @jhs5922
    @jhs5922 20 дней назад +80

    범내려왔다 팀부터가 현대의 제해석인데...
    사극같이 전통 그대로를 지켜야하는곳 말고는 옷.음식.생활용품은 사람의 편의에 따라 변하는거
    댓글 달때마다 언급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한복 형태도 조선후기형태.
    심지여 어직 한복을 생활화 하던 개화기때 형태도 아님

  • @PickCulture-91
    @PickCulture-91 21 день назад +66

    개량 기모노 보고 일본 꺼 아니라고 할 인간들 많네 ㅋㅋㅋㅋ

  • @perseus3362
    @perseus3362 22 дня назад +420

    가이드라인은 필요하다고 봄

  • @Amen_HWANWOONG
    @Amen_HWANWOONG 10 дней назад +14

    한국무용 전공입니다. 왠만한 한복이란 한복은 다 입어봤고 개인적으로도 헌복을 좋아해서 생활한복도 많이 입는데 정부 차원에서 퓨전한복 제제하겠다 하는게 우습습니다. 한복을 적극적으로 홍보한 적이 있기는 한가요? 한복의 양식은 전부 지키고 있는데 (저고리, 치마 등) 퓨전이 단지 전통 양식과 다르고 상하의가 원래 용도랑 다르게 섞여 입어 문제라 하면 남자 들이 어우동 한복 입고 여자들이 선비복 입는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문제가 되나요? 이해하기 힘든 조치입니다... 한복에 영어 써둔 것도 아니고 (그것도 좋아서 입는거면 딱히 막아야 한다는 생각은 아닙니다만...) 규격화 되어있지도 않고 그 조선에서도 초중후기 유행따라 다르게 입었던 한복을 전통이 아니란 이유로 규제하는 건 바람직한 생각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 @user-sy7vr8ty6x
    @user-sy7vr8ty6x 21 день назад +101

    원래 문화는 발전하는거다 정부가 이런식으로 발전을 막으면 안된다;;
    이건 문화를 지키는게 아니라 사람들이 문화를 즐기지 못하게 막는거다

    • @advance6098
      @advance6098 8 дней назад +1

      사람이 즐겨야 그게 문화지, ㅈ문가와 꼰대들만 즐기면(그들도 정작 관심x) 그게 학문이지 문화냐?

  • @user-cutecupid
    @user-cutecupid 21 день назад +73

    별걸 다 제지하네 ㅋㅋㅋㅋ 퓨전이라 이쁘니까 입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통한복 대여안된다잔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hr7ep2ue9j
      @user-hr7ep2ue9j 9 дней назад

      문화는 그 시대에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 전통 옷도 중요하고
      개량 옷도 우리 문화의 일환으로
      받아들이고
      전통만을 고집 하기보단
      문화적 지평을 넓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본이나 차이나
      건축, 의상을 보면 지난 과거 전통과는 거리가 먼 거의 창작물에 의한 산물

    • @aasschl
      @aasschl 6 дней назад

      퓨전이라도 지킬껀 지켜야죠 ㅎㅎㅎ 뭐 기모노가 화려해서 이쁜가요? 계량 기모노도 지킬껀 지킵니다...지금 경복궁의 복식을들 보면 한복이라 하기보단 여러나라의 복식들이 섞여 있는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

    • @user-cutecupid
      @user-cutecupid 6 дней назад

      @@aasschl 딱히 그렇게 못느끼겠던데요? 견해차이인가봐여

  • @wujingim297
    @wujingim297 21 день назад +79

    한복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습니다. 20세기 한복 남아있는거 보면 리본 달린 것 레이스 달린것 등등 많은 변화가 있었어요. 한때의 유행일뿐 규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user-lh7ty6ey5f
    @user-lh7ty6ey5f 22 дня назад +123

    필요한 곳에만 전통한복을 입으면 되지 저런 사진찍고 노는데 입는 옷까지 굳이 엄격한 잣대를 대서 젊은 내외국인들 어른스러운 한복 입으려 할까? 그러면 노티나고 사찰옷 같은 개량한복은 좋으냐?

    • @peacepeacef
      @peacepeacef 21 день назад +1

      전통한복이 컨셉마다달라요
      전통한복이 아이한복이랑
      아씨한복 어른한복등에도귀여운버전도
      많던데 박물관에전통한복들
      너무 이쁘던데 조선전통그림에서도

    • @advance6098
      @advance6098 8 дней назад

      ???
      뭐.이쁘니까 좋다는 의미면...
      퓨전은 못생겨서 규재한다는 매우 주관적이고 편협한 시선 아닌가요?

  • @kkuem9051
    @kkuem9051 12 дней назад +15

    제재를 할게아니라 고퀄리티의 전통 한복을 선보여야죠... 경복궁 퓨전 한복문화가 젊은 세대에게 인기 하나도없던 한복의 사랑을 되찾아줬는데, '우리것은~~이래야만해 ' 이것도 좋지만 대중적으로 자유 소비되는 이미지는 보다 자유로울 필요가 있다고생각합니다. 퓨전한복을 전통 디자인으로 다바꾸면 과연 예전처럼 사람들이 사진찍고 입고그럴까요?

  • @user-di4ft5wj1l
    @user-di4ft5wj1l 22 дня назад +106

    퓨전은 퓨전대로 고유의 전통과 병행해야 됩니다

  • @user-tr7qb8he6d
    @user-tr7qb8he6d 21 день назад +49

    저고리 고름말고 브로치를 하던 시대도있었고 12폭치안에 속옷으로 부풀려도있었는데 기준을 뭘로 할건지???

  • @user-rw9fq8jj7p
    @user-rw9fq8jj7p 21 день назад +26

    계량 한복 아니였으면 과연 저렇게 한복을 많이 입기 시작 했을까?
    반짝이가 문제는 아님 옛날에 드라마에서도 금박을 입혔고 나 어릴적에도 한복에 금박 넣었음
    고칠꺼면 왕이 갓을 쓰는걸 막고 양반옷 기생옷 정도만 확실하게 코디 할 수 있도록 외국인들에게 코디를 해주는게 좋을 듯
    아니면 전통 한복도 싸게 대여를 해주던지
    아니면 어차피 코스프레이니 원단을 너무 비싼 전통원단 말고 저렴한 원단을 쓰던지

    • @advance6098
      @advance6098 8 дней назад

      그니까...
      ㅈㄴ비싸고 ㅈㄴ불편한 전통 한복을 개선할 생각을 해야지.

    • @user-rw9fq8jj7p
      @user-rw9fq8jj7p 8 дней назад +1

      @@advance6098 전통 한복이 불편해서 바꾸라는 건 아닙니다
      따지고 보면 전통 한복은 한국인 체형에 잘 맞게 디자인되어 아주 편합니다
      과거와 현재 미래가 이어져 있으니 한복 또한 무조건 전통만 따질게 아니라 지금 유행하는 한복으로 바꾸자는 거지요
      단, 저기서 문제점은 왕이 입는 곤룡포어 갓을 쓰고 돌아다니면 한국인 입장에서는 외국인이 한국 문화를 오해 할 수 있으니 대여점은 확실하게 코디를 해주면 되는 것입니다😊

  • @hwyoon12
    @hwyoon12 8 дней назад +6

    제발 직구규제도 그렇고 쓸데없는짓좀 하지마라 진짜

  • @suhyuk000
    @suhyuk000 21 день назад +88

    저러면...이제 좀만 전통양식다르면 힌복 아니라하겠네..ㅋㅋ
    옛날에 개화기때보면 막 리본달린 한복도 다 조상님들 입었더만
    .ㅉㅉ... 전 별론것 같습니다..
    전통 따지다 한복 중국한테뺏기지않으려나

    • @user-kv7sb7ze6c
      @user-kv7sb7ze6c 21 день назад +1

      지금 저기 대여중인 한복 대부분 중국공장에서 만드는 겁니다..

    • @Dexar215
      @Dexar215 21 день назад +23

      ​@@user-kv7sb7ze6c그게 뭔 상관이에요.. 한복이 맞다는게 중요하지 예전에 입었던 한복인것도 맞는데 양반가 또는 조선 중기 저고리들만 한복이라하는데

    • @user-kv7sb7ze6c
      @user-kv7sb7ze6c 20 дней назад +1

      @@Dexar215 뭔 상관이냐니요. 중국 유투버가 한복 입고 중국의 아름다움을 느껴보라 는 영상을 찍어 올렸던데.. 이러다 다 뺏기는 거예요. 우리나라에서 중국 전통의상 만들지 않잖아요.

    • @thunder5311
      @thunder5311 20 дней назад +9

      @@Dexar215 뭔 상관이냐니 중국옷 갖다가 한복이라 하니까 그렇지
      한복이 아니라니까?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13 дней назад

      리본달린 한복은 첨들어보는디.

  • @user-nq9oc4iu3j
    @user-nq9oc4iu3j 21 день назад +25

    일본도 기모노 축제용으로 편하게 입는거 많아요 워낙 입는게 복잡해서 전통보다 많이 입게 하는게 중요하지

  • @user-nb4si6km9p
    @user-nb4si6km9p 22 дня назад +210

    저러니 한복이 중국 것이라 게거품 물지.

    • @user-kr5tz5uc7s
      @user-kr5tz5uc7s 21 день назад

      중국이랑은 완전 달라서 개거품 무는건 그냥 ㅂㅅ짓 왜 그거랑 연결시킴?

    • @jjk2769
      @jjk2769 10 дней назад

      ㅈ빠는 소리하네 또ㅋㅋ
      그렇게 전통이 좋으면 수트도 옛날 전통수트처럼 한번 입어봐라
      일본도 개량 기모노 나오는데 사상이 언제까지 일본보다 꽉막혀서 살껀지

    • @advance6098
      @advance6098 8 дней назад +2

      무슨;;
      저렇지 않아도 중국은 그짓 할거고,
      오히려 이런 식으로 한복을 널리 알리는 게 문화적으로 훨씬 좋음

  • @user-cy2fu4qm4x
    @user-cy2fu4qm4x 22 дня назад +24

    한복 전공자인데 솔직히 곤룡포 갓은 좀 심함. 근데, 지나가면서 듣는데, 외국인들이 원하는 걸 입는다고. 대여점에는 사람 몰리고 정신도 없는데. 이런 걸 고려하면 이해가 되긴 하는데, 차라리 대여점에서 왜 이렇게 입어야하는지 설명 좀 잘해주는 코스 좀 마련해주면 좋겠음. 정리도 좀 될 거고.

  • @starishandsome
    @starishandsome 21 день назад +123

    근데 원래 의복은 계속변하는거아닌감...신라한복이랑 고려한복이랑 조선한복다르자너 ....
    어디부터가 전통이죠?

    • @KANGKIMPARK
      @KANGKIMPARK 14 дней назад

      일단은 보통 조선한복을 기준으로 하지 않을까요
      신라 고려는 자료도 많지 않을텐데 그거까지 잡으려면 이도저도 안될 것 같아용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13 дней назад

      조선 말기까지 전통이긴 한데.
      그나마 의복의 형태가 글과 그림으로 치수화 되어있는게 조선시대라 조선한복을 주로 전통복으로 하긴하죠.

    • @user-by6xz8eg3u
      @user-by6xz8eg3u 11 дней назад

      일단 현재 한복의 기본 요소가 확립된 여말선초까지가 전통 한복의 범위에 들어가긴 하지만, 형태적 측면에서 안쪽까지 따졌을 때에는 여싱용에 한해 기껏해야 19세기 후반부터 나오기 시작한 학당표 개량한복이 시초입니다.

    • @starishandsome
      @starishandsome 10 дней назад +12

      아니 규제하지말자는거잖아요
      전통좋지
      근데 이런한복도 좋다구
      전통이든뭐든 일단 편하고 힙하고 이뻐야 사람들이 더 입고다니고 문화가 퍼지지않나

    • @KANGKIMPARK
      @KANGKIMPARK 10 дней назад

      @@starishandsome 그래도 기본과 원조를 알아야 뭐든 하지 않을까용.
      발전 좋죠 좋은데, 그러다가 원형을 잃어버리면 그건 결국 또 전통이라 할 수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만
      그 있잖아요 테세우스의 배

  • @user-cz9du7hp5h
    @user-cz9du7hp5h 22 дня назад +183

    이렇게 바뀌다 보면
    한국전통 한복은 중국거라고 할것

    • @Hvee-vk4ni
      @Hvee-vk4ni 21 день назад +3

      이미 그러는데?

    • @user-sp8vu1sp4f
      @user-sp8vu1sp4f 21 день назад

      중국게 맞지.

    • @jiannypop9505
      @jiannypop9505 21 день назад +3

      중국 입장에서야 세상에 중국게 아닌게 없지, 달도 별도 태양도 바다도...
      얼마나 가진게 없으면~~ 불쌍해!

    • @yoxomx0
      @yoxomx0 20 дней назад

      이미 그러고 있죠… 요즘 한복들 보면 그냥 중국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하고 죄다 양산형임

    • @hyen1843
      @hyen1843 20 дней назад

      @@user-sp8vu1sp4f ㅈㄹ하네

  • @holy2mylord
    @holy2mylord 22 дня назад +109

    국적불명의 코스튬같은 모습들.

  • @Jae-Y
    @Jae-Y 21 день назад +26

    흠... 난 여기 다수의 의견과 다르게 한 개인의 의상 선택을 규제하는게 맞나 싶다. 다만, 대여점 쇼윈도에 퓨전한복과 전통한복을 반반씩 디스플레이 한다던가 하는 규제는 찬성함.
    지금의 문제는 상인들이 전통한복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 자체를 배제하는 결과를 야기하는게 가장 크다고 보임. 애초에 직관적으로 전통 한복의 디자인을 고려할 수가 없으니, 자신의 니즈를 소비자 본인조차도 알 수 없다는게 문제 같음.
    솔직히 퓨전한복은 전통한복보다는 화려하지만 수수하거나 단정한 맛이 없음.
    전통한복은 퓨전한복과는 다르게 조금 심심할 수는 있어도, 정갈하고 청순한 느낌을 줌.
    누구는 화려한걸 좋아할 것이고, 또 다른 누군가는 정갈한걸 선호하겠지.
    선택지의 폭을 있는 그대로 모두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지 의상의 디자인 자체를 규제하는 것은 자유주의 원칙에 어긋나지 않을까 싶음.

    • @layery4384
      @layery4384 17 дней назад +1

      반반씩 하도록 규제하는 것도 좀... 그러면 경영 어려운 곳은 걍 접을텐데 이게 한복문화 보존에 도움이 될까요

    • @Jae-Y
      @Jae-Y 17 дней назад +3

      @@layery4384 반반씩 "쇼윈도에" 디스플레이를 하라고 했지 두 상품을 반반씩 보유해야 된다고 한게 아님.
      그리고 님께서 말씀하신 한복문화 보존이 퓨전 한복 문화인지 전통 한복 문화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으나, 후자라면 오히려 강제로 보유하도록 하는게 보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함.
      다만, 각각의 매장에 퓨전한복과 전통한복을 반반씩 보유하도록 강제하는 규정은 제 원댓글에서 밝힌 바와 같이 자유주의에 어긋나는 규제 같아서 개인적으로는 반대함.
      여담으로 문득 님 댓글 읽다가 생각난건데, 퓨전 한복과 전통 한복 각자에 각기 다른 개성이 존재하는만큼, 만약 특정 매장이 퓨전 한복만을 취급해서 자신의 쇼윈도에 디스플레이 할 전통 한복이 단 한벌도 없다면, 자신의 매장이 퓨전 한복 전문 매장임을 정확하게 밝히는 방안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음.
      그리고 제가 원댓에 단 예시는 말 그대로 예시일뿐 사실 "한복 대여점은 자신의 쇼윈도에 디피 된 상품 중 하나는 무조건 전통한복으로 하여야 한다" 정도로 해도 무방하다 봄. 근데 이것도 그냥 제가 얘기하고자 하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대안의 한 방식일 뿐임.
      제가 메인으로 주장하는 바는 "쇼윈도에 반반씩 디피하자"가 아니라, "개인의 의상에 대한 선택을 법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자유주의에 입각한 우리 헌법 아래에서는 옳지 않은 규제로 보임"임.

    • @GirlsPanzer
      @GirlsPanzer 7 дней назад

      직구규제도하려는 나라인데 뭔들 못하겠어요

  • @user-uw7dn7ww2q
    @user-uw7dn7ww2q 22 дня назад +340

    속이 다 시원하네 그 한복 볼때마다 꼴보기 싫어서 보기 싫었는데 완전 국적불명이었어요

    • @user-wu7wy9bp4z
      @user-wu7wy9bp4z 21 день назад +12

      완전 공감…..

    • @gaegulii0
      @gaegulii0 20 дней назад +9

      ㅇㅈ 저걸 한복? 이라기보단 화려한 중국전통의상 느낌이 나서 경복궁에 어울리진 않은느낌

    • @user-jy7bm9zu1u
      @user-jy7bm9zu1u 18 дней назад +4

      이미 드라마 부터 판타지 퓨전에 사랑놀이 사극인데 뭘 굳이 바꿔 외국애들 죄다 그런거 보고 한국으로 와서 입어 보는건데 바꿀 필요 있나

    • @user-ts7uf7cr8o
      @user-ts7uf7cr8o 18 дней назад +3

      저거 다 중국산임

    • @user-rg5pc8yd9r
      @user-rg5pc8yd9r 6 дней назад

      아따 내가 보기 싫은건 싹다 규제해야된당께요~

  • @user-wx5uz2ul1v
    @user-wx5uz2ul1v 21 день назад +19

    과거엔 소재에 제한이 있어서 틀을 벗어나기 힘들 었지만 지금까지 한복을 입었다면 다양한 모습으로 자연스럽게 변했을것...
    다만 전통 한복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있어야함

  • @user-ji4dp8he2u
    @user-ji4dp8he2u 20 дней назад +11

    퓨전 한복 없애는건 너무 극단적 아냐?

    • @aasschl
      @aasschl 6 дней назад

      퓨전 한복을 없애자는게 아니라 지킬껀 지키자 입니다.......

  • @PLLi_ght
    @PLLi_ght 21 день назад +21

    개량한복을 일일이 규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하고, 고궁할인을 검증된 한복만 할인해주면 되지 않을까? 너무 어렵게 갈 필요는 없다고 봄.

    • @advance6098
      @advance6098 8 дней назад +1

      비싼 가격 부담은 누가...?
      국가가? 말로만 하겠지.
      국민이? 장난하냐, 안입고 만다.
      한복대여점이? 이러다 망한다.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3 дня назад

      ​@@advance6098대여점주인가 댓글마다 발악

  • @woosee5526
    @woosee5526 20 дней назад +32

    원래 시대에 따라 용도에 따라 변하는게 옷인데 뭔 규제한다고 난리난리
    퓨전한복은 퓨전대로 나두고
    전통을 따로 홍보할생각을 해야지

  • @leeonj-pr2dv
    @leeonj-pr2dv 22 дня назад +115

    국적 불명 한복 철퇴 너무 다행이다

  • @user-eq5tw1rr1l
    @user-eq5tw1rr1l 22 дня назад +438

    계량한복도 아닙니다 국적불명한복..꼴보기 싫었는데 찬성입니다

    • @user-pn8lp8gq3i
      @user-pn8lp8gq3i 21 день назад +8

      맞아요~~~정말 꼴보기 싫었죠~~한복도 아니었어요.

    • @user-ir5kv7ot5r
      @user-ir5kv7ot5r 21 день назад +6

      개량

    • @bsau7438
      @bsau7438 21 день назад +9

      딱 제가 하고 싶었던말. 저런 국적 불문의 천박한 옷을 한복이라고 입고 고궁에 간다는 자체가 코미디네요. 진작에 관리하고 관리했어야. 아주 잘하는 일입니다.

    • @Moon-qd9nr
      @Moon-qd9nr 21 день назад +11

      누가 무슨 옷을 빌려주든 그건 개인이 알아서 할 일인데, 위법이 아닌 이상 국가가 그걸 왜 통제하려 드나? 중국이 아이돌 춤, 옷, 노래 다 통제하는 거랑 판박이네.

    • @user-cq6ch2ut1w
      @user-cq6ch2ut1w 20 дней назад +2

      한복량을 측정함

  • @user-hz8hm1gl9h
    @user-hz8hm1gl9h 21 день назад +81

    더 우아하고 고급스럽게 아름다운 전통한복도 많습니다.
    촌스럽다는 기존관념을 버리세요

  • @user-gj5if5sw7z
    @user-gj5if5sw7z 20 дней назад +9

    조선 500년 동안 한복의 형태도 많이 바뀌어왔을텐데...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게 전부가 아닐 수 있음. 예쁜 거 입고 싶어하는 건 자유. 현재 계승돠고 있는 전통의 한복을 입고싶은 사람은 그걸 입으면 되고, 퓨전한복을 입고싶은 사람은 그걸 입으면 됨.
    알려주는 것은 좋으나 강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함.

  • @user-lx8bb2sl7d
    @user-lx8bb2sl7d 20 дней назад +5

    개ː량1, 改良
    명사 [질이나 성능, 구조 등을]
    더 낫거나 편리하게 고치는 것. 순화어는 `고침'.
    개량한복이니 당연히 전통한복과 다른 형태와 양식을 보이는 건데..

  • @user-ji3hx8ut7z
    @user-ji3hx8ut7z 21 день назад +5

    이렇게 가볍게 접근할 수 있는 저렴한 퓨전 한복을 없애는게 아니라, 전통 한복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게 우선이라고 봅니다. 한복 체험하러 갔을 때 전통 한복을 다루는 가게 자체가 거의 없었고 있더라도 엄청 비쌌어요. 전통 한복 양식을 따르더라도 조금 저렴한 소재를 써서 가격 부담을 낮추는 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 @fjakdlvm2459
    @fjakdlvm2459 21 день назад +9

    치파오나 기모노는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도 많이 나오고 유명 패션쇼에서도 많이 레퍼런스하는데 왜 한복만 나오지 않나요.. 너무 슬프네요 ㅠㅠ 심지어 우리나라 문화 콘텐츠에서도 사극 말고는 한복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던데 많은 사람들이 한복의 아름다움(?)을 알아 줬으면 좋겠네요 ㅎ

    • @dessanu_consonance
      @dessanu_consonance 12 дней назад +5

      왜 안나오냐면 바로 이런식의 엄근진 고증 매타 때문입니다

  • @user-xq5oj2tt5c
    @user-xq5oj2tt5c 22 дня назад +77

    이건 정말 잘한 일!

  • @ramir880
    @ramir880 20 дней назад +6

    전통은 만들어가는거지 한곳에 머무르는 그런게 아니다. 한복이 언제쩍 옷이냐? 고려때? 조선 전기? 중기? 말기? 대한제국때? 다른 문화도 마찬가지지만 의복은 계속해서 변화해간다. 마땅한 규정도 없으면서 무조건 규제한다고? 정통이라고 할만한건 격식을 차리는 때나 장소에서 입는다거나 기록등으로 차곡차곡남기면 된다. 현재의 복식을 없앨 필요까지는 없는거다.

  • @dayday9249
    @dayday9249 21 день назад +94

    다 떠나서 레이스는 진짜 아님... 연예인들 한복 화보만 보더라도 단아하고 예쁘게 나온 한복들도 많은데, 레이스 달린 문양이나 레이스 저고리는 진짜 너무 별로임

    • @user-mf3zf5sk7y
      @user-mf3zf5sk7y 21 день назад +13

      잘 하면 예뻐요 촌티나게 해서 문제지

    • @user-rw9fq8jj7p
      @user-rw9fq8jj7p 21 день назад +2

      연예인들 한복 엄청 비싸요
      그 가격으로는 대여비가 엄청 비쌈니다

    • @thunder5311
      @thunder5311 20 дней назад +2

      가능은한데 재질 자체가 다릅니다 태가 다름
      태가 나올려면 맞춤으로 해야됨 그러면
      제대로 만들려면 가격이 진짜 높은데 이게 감당 가능할까 싶기도 함

  • @user-dx4bz1fh3t
    @user-dx4bz1fh3t 21 день назад +40

    한복을 어떠게든 즐기는게 좋은거지..한복 관심도 못받던 때가 불과 십여년 전이다.

    • @advance6098
      @advance6098 8 дней назад

      그니까 이렇게 한복을 많이 입은 건
      역사상 지금뿐이었음.
      (원래 한복은 귀족들만의 것이었고, 백성들은 특별할 때만 아주 가끔 입음)

    • @user-dx4bz1fh3t
      @user-dx4bz1fh3t 8 дней назад +2

      @@advance6098제 의견에 동감해주시는건 감사하지만 말씀에 오류가 많네요.한복은 우리나라 전통복식으로 개화기 이전까지도 주요 복식이었습니다.백성,양반,왕족 등으로 신분이 나뉘던 시대엔 모든 사람이 한복을 입었습니다.
      무슨 말씀을 하시려는건지 의도는 잘 알겠습니다.
      6.25부터 10여년 전까지 한복은 주요 행사때만 입던 것이 맞지만 그 때엔 민주주의 평등사회인 만큼,
      귀족,백성이란 말은 맞지 않습니다.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3 дня назад

      ​​@@advance6098귀족은 무슨

  • @tegamisu9721
    @tegamisu9721 21 день назад +10

    맞아요. 요즈음 너무 근본없는건 맞아요. 근본있는 변형,변화는 좋아요.

  • @horang-horang
    @horang-horang 21 день назад +47

    다른곳은 상관없는데 경복궁주변만 규제하는거니까 이건 좋은 선택같음

  • @user-cl3yf8io3i
    @user-cl3yf8io3i 22 дня назад +46

    한복이 저런 분위기가 아닌데 대여 한복은 너무 촌스러웠음

  • @user-he4np3em7s
    @user-he4np3em7s 21 день назад +12

    너무 빡빡하게 굴면 한복 더 안 입음...

  • @user-qt1uj7lj8y
    @user-qt1uj7lj8y 13 дней назад +2

    이쯤에서 정부에서 고려, 삼국시대 옷도 같이 정리해줬으면 좋겠다 일본처럼 전통의복 대놓고 입고 댕기고 싶어ㅠㅠㅠ

  • @user-fg5rs9vw6b
    @user-fg5rs9vw6b 21 день назад +19

    저거 장사하는사람들이 중국인이 많다는데 그래서 그런지 저런 근본없는게 나오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 @sseongrish
    @sseongrish 21 день назад +13

    퓨전한복 너무 보기 싫었다. 싼티 흐르고 천박해보이는 한복을 한복이랍시고 대여하는 거 금지해야 한다고 생각해왔음.

  • @user-ud8dj5ct8e
    @user-ud8dj5ct8e 22 дня назад +29

    퓨전한복...너무 심한것 아닌가? 생각해봐야 한다!
    전통한복도 얼마든지 예쁘다.더 품격있고 고상하면서도 예쁘질수도 있고!

  • @eofnelkim1508
    @eofnelkim1508 20 дней назад +3

    궁내에서 공주들이 입은 한복은 더 화려했으면 했지 덜하지 않을터?? 양반 사대부들이 입는 한복으로 고정관념화 되어있으니 저런 발상이 나오는거다.. 저기 양반대궐 아니고 궁궐이거든? 왕과 왕족들, 그리고 신하는 관복을 입는게 정상이거든

  • @b8f57
    @b8f57 22 дня назад +24

    근본을 찾겠다는게.. 우려할 수준이냐 ?
    🐕 난잡하게 지들 멋대로 만든게
    더 🐕 판이지..

  • @jungjakwon7320
    @jungjakwon7320 22 дня назад +33

    중국산 아닌가 ..

  • @user-yu1cm8du4i
    @user-yu1cm8du4i 8 дней назад +3

    무슨 중국도 아니고 이런걸 규제함; 이런 논리면 개량 한복도 불법이라고 할려나? 전통만 중시하다가 한복 인기 사라지면 그때서야 퓨전 한복 다시 찾을거면서 ㅋㅋㅋ

  • @user-xy2rh3ps4c
    @user-xy2rh3ps4c 20 дней назад +1

    경복궁 근처에 정말 한복 공부하시고 직접 제작하시는 곳에 간적이 있는데 그냥 입히고 벗기고 가 아니라 좋아하는 색 고르라고 하신 뒤에 이 색과 디자인이 어떤 의미가 있고 속치마와 저고리 길이의 변화는 이렇고 고름 묶는 법은 이렇다 정말 세세하게 설명해주셨어요! 머리 땋는 법이랑 댕기 묶는 법까지 알려주셔서 정말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젊은 사장님이셨는데 한복 자료집까지 들고 오셔서 머리부터 꽃신까지 하나하나 일일이 설명해주시는데 눈이 반짝거리셔서 진짜 보기 좋았어요. 아쉬웠던 건 나는 머리 올리는게 더 잘 어울리는데 너무 단호하게 ‘전통식을 온전히 느끼려면 미혼이시니까 하나로 땋는 게 어떠냐’하셔서 머리 못 올린거…?ㅎㅎ 그날 외국인이랑 사진만 10번은 찍은 듯

  • @user-kj8ku4ur2u
    @user-kj8ku4ur2u 21 день назад +6

    한복이 여기저기서 제멋대로인것을 손보는건 당연한일이라고 생각됩니다 각자 취향은타겠지만 한국전통의상문화를 알리는게 핵심이잖아요 개선되어지는건 중요하다고봅니다.

  • @user-vx5jo3bz7w
    @user-vx5jo3bz7w 21 день назад +70

    평소에 전통한복에 얼마나 관심있었다고 이럴때만 우루루 몰려와서 전통이 이렇니 퓨전이 이렇니ㅉ 퓨전한복이 있기에 한복이란 존재가 세계에 알려진겁니다. 거만해하지좀 마세요들

    • @TV-jz1zc
      @TV-jz1zc 17 дней назад +5

      그런 생각을 가지니 중국이 자기네꺼라고 지껄이지~가이드라인은 필요하다~

    • @user-ij9nx7nm8q
      @user-ij9nx7nm8q 8 дней назад +2

      ​@@TV-jz1zc 그런건 박물관에서나 지키면돼요; 오히려 한복은 더 넓은 범위에서 받아들여질 필요가 있습니다

  • @user-cy2fu4qm4x
    @user-cy2fu4qm4x 22 дня назад +13

    금박은 원래 꽤 박는데..?

  • @user-cj5tc5op4t
    @user-cj5tc5op4t 21 день назад +2

    기본적 형식만 지킨다면 나머지는 그냥 뒀으면... 전통 한복은 전통 한복대로 있고, '현대 한복'이라는 재해석과 트랜드도 잘 지켜줬음 좋겠음.

  • @user-eu2id8he6x
    @user-eu2id8he6x 22 дня назад +36

    잘하십니다
    진작에 그랬어야 합니다

  • @user-yi8ri2lr6t
    @user-yi8ri2lr6t 21 день назад +26

    전통이 서서히 죽어가네요
    외국인들 핑계되지말고 우리전통을 상업에 핑계되지말고 우리것은 우리가 지켜야지요
    빤짝하는 유행에 따라가지맙시다~

  • @user-tc9vy4tn6y
    @user-tc9vy4tn6y 21 день назад +7

    진짜 중국애들 한복 지네꺼. 좋은건 다 지네꺼라고 하는거 보면 어이가 없고. 화가 난다. 백해무익한 중국.

  • @honeykkukku
    @honeykkukku 22 дня назад +23

    허리에 리본 달린 치마랑 반팔 곤룡포, 상하의 따로 노는 남자 한복, 곤룡포에 갓 쓰는 거... 외국인들이 이렇게 입는 게 한국 전통 방식이라고 믿을까봐 걱정... 사람들이 그런 것만 찾는데 어쩌라고? 아니지.. 그런 옷들을 애초부터 갖다놓지를 않았으면 되는거임.

    • @Dexar215
      @Dexar215 21 день назад +5

      허리에 리본 달린 한복은 화폭에 있던 사실... 무당이 입던 옷이라 그렇지

  • @Taiwan_no.1552
    @Taiwan_no.1552 6 дней назад +2

    저런식으로 통제해서 한복 못입게 하는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yb6mw8ni1i
    @user-yb6mw8ni1i 21 день назад +12

    흥선대원군 직계 후손들이 이리 많았어?

  • @user-lm8ir8cx4p
    @user-lm8ir8cx4p 20 дней назад +9

    저게 싸고 팔리니까 많이있는거겠지 ㅠ 걍 무조건 없앤다고 답임? 우리나라는 뭐 문제가있으면 해결방법이 무조건 제거. 임 황당... 저건 냅두고 고구려 신라 백제 고려 조선 등의 역사 속 한복을 복원하고 살리고 더 널리 알리는 방법을 찾아야지... 대여장사하는 사람들이 그걸 혼자 할 수 있음? 이러면 한복이 아니다 저러면 한복이 아니다

  • @user-vb2qt2ob2x
    @user-vb2qt2ob2x 21 день назад +24

    한복 대여 하면 다 어우동 만들어 버리는데 한복인가 왕서방복인지? 국적 없는 한복 정리해야 됩니다.

  • @youngforever8920
    @youngforever8920 20 дней назад +11

    ㅅㅂ 별걸 다 제지한다고 하네 공산국가냐 그리고 댓글 보면 흥성대원군들 존나 많노 당장 옆나라들만 봐도 그대로 전통옷 내놓는게 아니라 개량해서 만든거임 한복하면 조선 중말기형태만 알아서 고려나 삼국시대 한복 나오면 중국풍인줄 아는 놈들도 많던데 ㅋㅋ
    한복은 계속 시대에 따라 변하고 저 개량한복들 아니었으면 그걸 대여해서 입고 관광하려는 외국인이나 젊은이들이 늘지 않았겠지 품질 개선만 공감

  • @mya5758
    @mya5758 7 дней назад +2

    근데 사실 이런 식으로 일종의 막아내기를 하다보면 사람들 입장에서는 한복 입기(체험)도 쉽지 않고, 결과적으로 되려 아무도 한복을 안 찾는 그런 일이 생길 수 도 있음.. 솔직히 아이들은 명절에 한 두번이라도 입지만, 어른들은 진짜 몇 년에 한 번 입을까 말까 하잖아... 한복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야 하는데, 이런 식의 제한은 좀 그렇다고 봄.. 소위 말하는 한국풍이 잘 유행하기 어려운 이유도 재해석한 전통에 고증이라는 포장을 쓴 비난을 해대니까...
    여러모로 생각해 볼 문제네요...

  • @YoungsooStellaKim9001
    @YoungsooStellaKim9001 21 день назад +25

    한복의 격을 제대로 찾아야한다 ᆢ이도저도 아닌 국적불문 퓨전 한복 사라져야ᆢ

  • @hira1578
    @hira1578 22 дня назад +8

    메이드인 차이나
    싸구려 짝퉁 한복
    제대로된 한복으로 우리나라 고유멋을 홍보하자

  • @ycryoon
    @ycryoon 21 день назад +3

    퓨전 한복이라 주장 하는 분들은 패션의 변화라고 합니다.
    한국인이 입는 옷은 퓨전 한복이 된다는 논리겠죠.
    그러니 지금 우리가 입고 있는 티셔츠나 청바지도 한국인이 입는 퓨전 한복이 되는 것이겠죠.
    국감에서도 언급됐던 청와대에서 유명 브랜드가 패션쇼를 한 이상한 한복도 한복인데요 뭘..

  • @easymin415
    @easymin415 7 дней назад +2

    금박, 등 뒤의 리본(매듭), 풍성한 치마 전부 조선시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양식인데 본인들이 모르니까 한복아니라는 모습 참 아쉽습니다

  • @user-qd5ee5jb8h
    @user-qd5ee5jb8h 17 дней назад +2

    유행과 시대상의 변화에 따라 옷의 형태는 변화하기 마련이다. 꼭 과거의 형태를 고집할 필요는 없으나 보존할 필요는 있다. 삼국, 고려, 조선시대의 다양한 한복과 현대식 한복이 공존했으면 좋겠다. 누군가는 현대식 한복을 보고 반해 전통한복에 관심을 가질수도 있지 않나? 품질 관리를 규제하고, 기존의 전통형태를 보존하기위한 사업을 할수는 있으나 한복이 어떠한 한가지 형태로만 고정되도록 규제한다면 그건 문제 아닌가? 오히려 한복 복식사가 멈추도록 하는건 아닌지..

  • @si-vf6yj
    @si-vf6yj 20 дней назад +1

    곤륭포에 갓ㅋㅋㅋㅋㅋㅋㅋ문신 관복에 갓도있어요ㅠㅠㅠㅠ경복궁앞길에서 보고 놀랬는데…색상이나 무늬는 좀 퓨전있어도 괜찮을 수 있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지켜줬으면…전통의복인데 규칙은있어야ㅠㅠ

  • @Hyun_31
    @Hyun_31 18 дней назад +8

    옷이라는건 원래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것인데 이걸 정부가 나서서 규제해야 히는걸까?
    정말 우리 문화를 지키고 퍼트리고 싶으면 시대에 맞게 개량하고 변화시켜서 사람들이 찾게 만드는게 맞다
    전통 고집하다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것 보다 누구나 자유롭게 한복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 @gy7236
    @gy7236 20 дней назад +1

    아 진짜 한복이라 할 수 없는 것들을 외국인 관광객들이 입고 고궁에서 사진찍는 거 보면서 안타까웠는데… 그런 정체불명 옷들은 추방되면 좋겠네요

  • @user-kl2eg3ih1w
    @user-kl2eg3ih1w 6 дней назад +1

    고증된 전통한복은 아무도 입지 않는다.

  • @user-ch5ov7jd5x
    @user-ch5ov7jd5x 21 день назад +3

    사진찍을때 잘나오니까X 싸니까O ... 사실 이쁘기로는 프리미엄 한복이라는 대여료 5~6만원대 전통 한복이 예쁘죠. 그런 한복 취급하는 점주조차 관광객들이 부담스러워하니 국적불명 금박 리본 치렁치렁한 싸구려 한복 대여하는거고..... 그리고 솔직히 궁 근처 한복집가면 머리해주시는분들 다 조선족이나 중국인이라 신뢰가 안감. 직원들조차 곤룡포에 갓추천하던데...ㅎㅎ

  • @Jacques-Tim-Louis
    @Jacques-Tim-Louis 21 день назад +27

    그나마 있던 관광객도 이젠 없겠에 ㅋㅋㅋㅋㅋㅋ

  • @user-bk5gk1ht9b
    @user-bk5gk1ht9b 22 дня назад +8

    그럼 우리고 전한 복도 따로 조금씩 배치하시라 협의해서 하면 되진 않을 가요 자율성도 생각 좋다고 하는 외국인도 생각도 시대별 생각도 각자에 디자인도 생각 적절하니 각자에 자율통합으로 가는 것이

  • @whitepcbuilder
    @whitepcbuilder 9 дней назад +1

    요즘에만 존재하는 화려하고 수려한 한복은 괜찮다고 생각해요. 뉴스에 나온 것처럼 왕이 입는 곤룡포에 갓을 쓰는 말도안되는 양식을 개선해가면 맞다고 봅니다. 이건 한복점 생계랑도 그다지 관련없어 보여요.

  • @Justicesecretsocietyhackergrou
    @Justicesecretsocietyhackergrou 21 день назад +3

    내가알기로 전통옷은 불편한다 저렇게 입는게 편하다고 생각하면 상관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저렇게 만들 옷이 편하뿐만아니라 이민 전통 모습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왕 맞이않은 옷을 입다고 뭐라하는것 아니것 같다 왕이 저렇게도 입을 수도 이지 않은가
    저렇게 멋진대 옷을 문화와 전통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너무 법까지 굳이 세우 이유는 없다 더 단양한 하고 편하게 입을수 있는 옷이기때문이다
    판타지 같은 그런 것을 상상하면 입은 사람도 있고 편하게 입는 사람도 있다!
    전통이라는 것은 문화이다 하지만 잘못되 문화은 바른잡고 버리것이 좋다

  • @user-gj1gk7wq6r
    @user-gj1gk7wq6r 21 день назад +1

    기존 한복집은 유지하되 국가에서 운영,관리하는 대여점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기준이 되는 곳이 있고 그곳이 더 저렴하다면 수요가 있을거라고 봅니다

  • @user-xp3qq3my8b
    @user-xp3qq3my8b 22 дня назад +70

    요즘한복이 넘 계량입니다.전통이없어요. 예전 한복이 넘훨씬 고풍이있읍니다.

  • @user-pk3on3jq1j
    @user-pk3on3jq1j 9 дней назад +1

    곤룡포에 갓을 쓰는것 처럼 이상한 조합을 막는건 맞다고 생각함 뒤에다 리본 달아둔것도 마찬가지로 없애는게 좋아보임 물론 이쁘긴 해요.
    예시로 나온 한복 중 금박이 되어 있는 것 처럼 저고리가 화려하게 꾸며져 있거나 안에 속치마를 철사로 하는 것, 치마가 형형색색 화려한, 이런 리디자인은 정말 좋은 것 같음
    진짜 조선시대로 돌아가서 기자님이 입으신 전통 한복만 고집하는 것 보단 기존 실루엣은 되도록 유지하되 색, 자수, 질감 등을 바꾸는게 더 좋다 생각함.
    이걸 계기로 전통한복은 물론 퓨전한복, 생활한복까지 접점이 높아져서 좀 더 한복을 베이스로 한 생활복이 나왔음 좋겠음

  • @sarah68431
    @sarah68431 20 дней назад +1

    옷이나 옷의 유행은 변하는거니까 굳이 라는 생각이듬 오히려 전통그대로 고증하려고만 하면 고립되고 사장될듯
    그냥 한복이라해놓고 일본양식이거나 중국양식인것만 규제하면 되지 않을까

  • @sldbstjs
    @sldbstjs 10 дней назад +1

    개량한복이 뭐 어때서 한복이 좋으면 자주 사주세요 제발요
    몇년에 한번 한복입을까말까면서 한복에 이것저것 말 얹을수록 한복사업은 힘들어집니다.... 안그래도 힘든데....

  • @user-zj4hc7ld2n
    @user-zj4hc7ld2n 20 дней назад +1

    무슨 검증 인증 아주 안달이 났냐?

  • @msdigital7065
    @msdigital7065 17 дней назад +1

    기존 옷을 금지할 것은 아니라고 본다. 전통한복을 안 입는 이유가 경제적 측면이 가장 클 것이므로 경복궁 주변에 한정해 전통 한복에 대해 대여 비용 일부를 국가에서 지원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자.

  • @nickasd1869
    @nickasd1869 20 дней назад +3

    촌스런 금박 복장은 좀 제재하자

  • @ndiary1
    @ndiary1 19 дней назад +1

    결혼식 때 마련한 한복들 장롱에서 자리만 차지하고 ,, 궁궐 한쪽에 탈의실 마련하여 집에서 가져온 한복 갈아 입도록 함도 좋을 듯 합니다 😂

  • @user-ox7pc8ds4v
    @user-ox7pc8ds4v 21 день назад +2

    한복의 기본 구성을 확실히 할 필요는 있다. 한복 같지 않은 옷들이 많기 때문이다.

  • @user-uz5xm5ix4u
    @user-uz5xm5ix4u 9 дней назад

    알리고는 싶은데 보수적이기만 하고.. 답이 없네

  • @jip_bonaejuseyo
    @jip_bonaejuseyo 15 дней назад +1

    솔직히 개인적으로 옛 한복 예쁘다고 생각해본 적 없는데 개량한복은 소장하고 싶을 정도로 예쁘다고 생각함

  • @makrim_0
    @makrim_0 7 дней назад +1

    근데 이미 기본 한복이라는것들도 죄다 이미 퓨전이 되어있는거라 전통까지는 아닌듯요
    조선후기에 복식이라해야하나 바뀐게 꽤 있어서 솔직히 말하면 퓨전한복도 한복의 발전사에 속할수있다는거죠

  • @achukuhuku
    @achukuhuku 20 дней назад +1

    퓨전한복을 없애라는 건 극단적인 듯 예전에 외국인한테 김치 강제로 먹이면서 한류를 알리겠다고 한 때랑 뭐가 다른지?

  • @ttolive2854
    @ttolive2854 7 дней назад +1

    명불허전 규제민국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