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자들] 물 저장 탱크가 필요 없는 온수기 / YTN 사이언스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기존의 온수기는 물을 저장할 탱크가 필요하고,
물을 데우는 시간도 오래 걸리는데,
기술자가 개발한 온수기는 특별하다?
유리관에 신소재 물질을 코팅하면 전류가 흘러
물을 빠르게 데울 수 있다고 하는데,
이 유리 히터 온수기에는 어떤 기술이 있는지 알아본다.
#YTN사이언스 #과학기술 #온수기 #히팅기술 #유리히터온수기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science.ytn.co...
======================================
업체 정보 확인하기 ▶ bit.ly/3sU1qPW
======================================
정보가필요합니다
이회사 홈폐이지 안열려요
업체정보 안 열리는데 어떻게 확인하지?~
라온이즈 순간온수기 검색 하세요
이래서 돈받고 광고아닌척 광고기사내는 것들은 꼭 망하더군..😢😢
특허가 어쩌고 저쩌고 ㅈㄹ할때부터 알아봤다!! 샤워가능한 제품은 전기설치 10kw 해야된단다,,,말이냐 막걸이냐!!
대형빌딩 시설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마치 혁신적인 제품처럼 사기치는 놈들.!
현직 정수기 18년차 기사입니다. 모든 정수기들 이거 적용하면 대박인듯합니다.또는 농가주택들 농막들 펜션들.. 이거 순간온수기 달면 대박일듯합니다. 상용화가 기대됩니다.
이거 이미 몇년전에 티비나와서 상용된거아닌가요. 직수정수기에 다 이런 기술 들어가있는거임. 이미
@@이영진-r6t 일단 제가 알기론 현재 직수 정수기는 파이프 외부에 열선을 감은 방식을 사용한다고 알고있음... 국산제품중에 석영관 쓴거도 본적이 없네요.... 고급이래봐야 구리관이나 알루미늄관에 열선감아 씁니다
@@不文律 로열티 때문이라면 그냥 석영관에 열선감은 구형히터라도 쓰겠죠... 그냥 석영관 비싸서 안쓰는거임... 구리나 알루미늄으로 쓰고 1년마다 교체해주는게 더 쌉니다 지금... 그래서 매년 교체해주는게 생겼죠
냉수도 만들어야되는데 페티어소자 안쓰나요?
개인렌탈정수기 18년하셨나보네요 ㅋㅋㅋ
중국조심합시다. 우리나라가
좋은특허만받아도. 그때부터공작합니다.
중국도 이미 면상 발열체 특허 많아요. 실용성이 없으니까 안만드는 거지요
같은건 아닌데 이미 10년전 내열 유리관위에 열선 감아서 하는 온수기 있었습니다.
삼성도 미국꺼 많이 베껴서 카피켓 이란 별명도 있잖아. 중국 좀 베끼게 냅둬. 어차피 니가 조심한다고 뭐할건데? ㅎㅎ
하하하 무섭네 이런데도 공작질을 하네 중국 민주당 이 두글자 단어엔 어김없이 ㅋㅋ
@Oumuamua O 전형적인 중국인 댓글이네 ㅋㅋㅋㅋ
온수기에 탱크가 있는 이유는 순간가열식으로는 순간적으로 너무나 많은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탱크식 온수기는 소형의 경우 1500w, 대형의 경우 2500w가 일반적이고 이정도의 순간소비전력은 일반 가정용 전선이나 멀티탭전선 구성 또 여타 장치들과 동시 사용했을때 여유가 있는 수준이지만 순간가열식의 경우 최소4~6kw 이상급을 사용해야 겨우 일반적인 사용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정도입니다. 이정도 소비전력은 일반적으로 가정용 콘센트에 시공되는 2.5sq 전선의 최대사용전류에 겨우 부합하거나 그것을 넘는 수준입니다. 수많은 온수기 업체들이 괜히 탱크방식을 쓰는게 아닙니다. 순간가열식은 현실에 잘 맞지 않기 때문이죠.
전압 ,와트, 소비전력 , KC인증 여부 만 확인하면 끝날문제
홈피들어가보니 주방 샤워용도는 4sq이상 전선추천이네요;;
@@lazuil아.... 차단기 겁나 떨어지겠네요.... 무리 무리 ..
업체의 제품설명에 샤워할 수준의 40도씨로 물을 데우는데는 10KW/h 의 전력을 사용하네요. 유속에 대한 데이터는 나와있지 않습니다만, 일반가정에서 쓰기에는 어렵겠네요.
신소재 개발 온수기 발명품 정말 좋군요. 대박 나세요.
투명도와 굴절률만 확복되면 자동차 앞유리에 적용하면 좋겠네요.. 자동차 앞유리에 약간의 전류를 흘려서 김서링 방지, 눈오는날 앞유리 어는거도 방지, 와이퍼 어는것도 방지
뒷유리에도 적용해도 될듯 하고 아주 좋습니다... 자동차 유리에 적용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세요
진짜 엄청난 신소재 개발이네요. 연구를 위한 노력이 엿보이입니다.
가정집 보일러로 개발
하면 돈벌겠다
좋아요
저 사이즈와 배관의 사이즈로 물의 양으로
계산해보면 리터당 많은 물이 끓여지지 않아
뜨거운 온도의 물을 지속적으로 빼내기는
어려울 것이고 영상 고온 800도의
수순 가열 전기몀 전시요금 부담이
많을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제 기억이 맞다면 5년 전 기술일겁니다
창업프로그램에 소개 됐었는데....
2~3등인가?
3초 걸리는걸로 알고 있는데 탱크를 없애고 관을 길게 했다면 효과 있을겁니다
전기요금이 관건인데 그거야 실험해보면 될거고ㅋㅋ
영상에서 설명을 했는데도 이해못하나?뇌피셜 오지네
댓글 보아하니 평상시 인간성이 걸러먹은것
같네.. 논리는 없고 영상이 다 말한다?
이거 개발한 작자이거나 관련자? ㅋㅋ
농사용 전기나 산업용전기 정도 ? ㅋ
@@화엄신장아수라왕 인간성은 니가 글러 먹었지 넌 무슨팩트로 남이 개발한 기술을 폄하 하냐?그저 너의 뇌피셜로 니맘대로 찌꺼린말에 동의 안해주니 부들거리는 루저 일뿐이지
병신인증 하지말고 영상이나 다시봐라 설명을 해도 못알아 먹을머리면 밥먹고 하품할때만 쓰길바래
@@꼰대시절 그리고 넌 인간성 매너가 전혀
없는 놈 같아서 그만 차단 해야겠다
별 논리적인 요소도 없고 댓글조 보아하니
논쟁이 될만한 주제도 없고 ㅋㅋ
그럼 내 글에 반박할만한 내용을 좀
올려보던지
전기요금 배관 길이의 열에 의한 효율성과
실용성 부분도
너딴 빙딱은 많고 많다라는 것 쯤은 알고 있지 ㅋ
우와 ~ 진짜 인류가 필요한 물건을 개발 하셨읍니다,
훌륭하십니다,
100점입니다, 수고하셨읍니다
와 진짜 혁신적이다 ㄷㄷㄷㄷ 진짜 미쳤다
철물점 하는데요 제품 구입하고 십은데요 전화번호. 알려 주세요
특허기반 모든 공정 중국개입 조심하셔서 하루 빨리 시장에서 볼 수 있는 제품으로 개발 부탁드려욥...물론 중공 합작 공동 투자 이런짓 하지마시고...코리아 단일 상품으로..므흣....뭐 착각은 개인의 자유지만.!^)
전도선 코팅용액 빼고 10년전부터 있는 기술이라 투자할사람 있을련지...10년전에 이미 내열유리관에 열선 감아서 물 덥히는 온수기 있었고 지금은 단지 코팅용액으로 바꼇을뿐인데 과연 이것도 온수기 혁신으라고 불릴만 할까요?
@@아릿다움-m2n sk..너 짜장이구나
@@SS0007771 ㅡㅡ말이 맞아요. 석영관 파이프 발열체로는 특허가 나지 않았을거고 저 코팅액은 중국회사건 한국회사건 레시피가 달라서 특허를 낼 수 있죠. 제가 알기로도 10여년전에 이미 중국에서 면상발열체 특허가 있었죠. 먄상발열체란 석영관이나 석영유리나 세라믹 표면등에 1,000도 가까운 온도로 고열로 증착코팅하여 발열을 하게 하는 기술인데, 쉽게 말하면 LED만들때 웨이퍼에 갈륨 비소같은걸 증착하면 빛과 열이 나오는 것과 비슷한데 저것은 빛은 나오지 않고 열만 나오는 탄소체 저항같은 물질이겠죠. 아무리 생각해봐도 상업성이 없어서 투자 받기는 힘들겁니다. 상업성이란 가격경쟁력이나 또 효율등을 모두 교려해보아야 하는데 일단 가격경쟁력이 없어요. 게다가 내구성도 없고 고장이 나지 않게 만드는 기술이 더 중요하죠. 내구성이 없으니 고장은 충분히 예상되고..
@@arikim-tv6577 ㅋㅋㅋ 엔간하면 댓글 안달라다가..딱봐도 벌써 생산 설비가 1대 있는디 뭔 투자를 왜(돈놀이하는 사람들한테 자선사업?) 받을까요??? 내가해도 저걸로 돈금방벌면 확장식으로 기계 개선하면서 한대.두대..세대...직원뽑고...내구성만 있으면 대박갔구먼...에효....아무쪼록 곡해마시고 Hap a nice day sir~~
@@petrickjung2047 투자없이 본인자본만으로 설비를 늘리는게 그렇게쉽지않습니다. 제대로 판매를 시작하려면 유통망부터 물량도 충분히 공급되야하는데 생산설비 두세대로 찍어내는것도 부담이고 홍보,전시 같은건 그냥 몇천만원내로 어떻게한다쳐도 AS담당 인원부터 설치 하청업체를 받아야하는데.. 그게 다 돈이거든요 작은 부품들은 작은설비와인력으로 판매해서 늘려갈수있겠지만 영상속 저건 보일러를 팔아야할거같은데요..본인자본으로 충당이될까요..?
개발비용도 크지만 판매비용도 엄청나요 대부분 신규 제품들을 흑자분기점까지 몇분기를 끌고가는이유가 그래서이구요 들어간돈 회수까지는 시간이필요하니까 투자를 받아서 그걸로 밀어부치는거죠
대단한 개발입니다.
코팅 내구성이 좋다면 더 할 나위 없겠네요.
난방기구로도 개발하면 좋을듯요
축하합니다.
진짜요. 난방용 으로도 충분히 가능 할거같네요.
캬 ~~ 멋집니다. 저런 기술 보급이 빨리 됐으면 합니다. 히터파이프가 사용되는 물은 일반인들은 수입세척을 안하니 오래되면 오염되는 물을 마시고 있는거죠 ㅠㅠ
대단한 발명입니다 축하드립니다
시제품이 빨리 나왔으면 좋겠어요
에너지도 절약하고 깨끗한 물도 사용하고
개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놀랍네요 물탱크가 필요없다니 얼릉 보급되길 바랍니다 기술 선진국이 되는데 연구진의 노력이 훌륭하다
필리핀 가정집 가면 이런제품
많은데....
우리나라는 겨울 때문에
보일러 사용으로 이런 제품을
되게 신기하게 보드라고....
온수기 뿐만이 아니라 난방기술에도 빨리 적용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기대 합니다.
전기로 물을 데우고 뜨거운 물을 온돌에 돌리느니
온돌에 전기 열선을 깔고 전기를 직접 입력하는 게 에너지 효율도 더 좋고 더 편리함
에너지 효율과 비용을 생각하면 난방용수는 기존의 보일러가 낫다
@@drmphy 전자파 때문에 열선보다는 물을 데워서 난방하는 것이 좋을 것 같고요.
탄소배출의 환경문제가 커지는 만큼 기존의 경유난방이나 가스난방보다는 전기 난방기기의 필요성이 생기지 않을까? 합니다.
@@유령물고기 전자파 걱정을 안 하려면 직류 전기 발열체로 쓰면 되는데요. 가정용(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바꿔 열선 가열. 그럼 전자파 없죠.
일부 전기매트에 적용되었구요.
@@drmphy 온돌에 전기 열선을 바로 깔아 .. 전자파와 지릿찌릿한 감전 일어나는 샤례가 많지만 잘 알려지지 않고 업체에서는 자기네들만 쓰는 이상한 검침기기로 아무 이상 없다고 함. 마치 전기장판.. 그래서 온수난방을 선호하는것임 .
근데 이거 2년전 껀데 요즘 상용화 됬는지 아닌지 모르겟음 .
이 기술로 소외계층이 사용하는 연탄보일러를 전기 보일러로 대체하는 인류의 발명품이길 기대해 봅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일단 매우 매력적인 기술이네요
상용화 기대됩니다
현재 사용가능한 제품입니까? 정말 굿 입니다.
최고내요 하루 빨리 양산됬으면 좋겠네요
구매하고 싶어요!
오.. 에너지 절약 가능! 깨끗하고 공간도 많이 필요하지 않아 좋네요. 막대 할로겐 램프 유리관 같이 생겼는데 유리관이 열에 무척 강한가봐요~ 충격에도 금이 가거나 깨지지 않아야 겠어요. 우리나라 훌륭한 기술 세계 곳곳에 많이 상용화되면 좋겠습니다!
온수탱크용 온수기랑 비교하지 말고, 전기순간온수기랑 비교해야죠. 뜨거운 물 콸콸 나온다고 표현하고 있는데 물의 열량은 그것은 물이 지나가는 속도와 양에 비례하는 것 아닌가요? 전기순간온수기는 동파이프에 히터를 붙여 놓은 것이지만 열효율적 측면에서 저 방식이 특별히 낫다고 볼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같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더 높은 열량을 낸다면 그것으로도 의미가 있겠으나 그런 소재가 있었다면 이미 누진세로 걱정하는 가정용 난로에서 적용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에 열효율은 동일하다고 보입니다.
차라리 석영관에 코팅하는 비용으로 일반 PTC 소재나 탄소섬유를 석영관에 칭칭 감는 것이 엄청 싸게 들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런 히터들의 재료비는 중국에서 1,000원미만으로 들어 오니까 석영관에 감아 써도 2,000원미만으로 동일 기능을 갖는 파이프를 손쉽고 안전하게 만들 수 있잖아요? 반대로 그런 식으로 증착 코팅을 하려면 엄청난 전기가 들어가는 전기로에 수시간 가열 증착을 할텐데 전기세가 만만치 않고, 접촉단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또 파이프 양단에 별도의 접촉단자용 코팅을 하고 거기에 또 금속단자를 감아서 석영관이 꺠지지 않게 부착해야 하지 않습니까?
일이 엄청 많은거죠. 2,000원 미만으로 만들 것을 그런식으로 제작하면 한개의 단가가 1만원에 육박할 수도 있어요. 거기다가 석영관과 금속 단자간에 밀착이 보장되지 않아서 조금만 사용하면 부식되기 시작해 접점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밀착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죠. 또 PTC같은 것은 세락믹 밀봉으로 열선이 외부와 완전히 단절되어 있어 안전하지만 석영관 자체 코팅은 발열체가 오픈된 구조로 감전 사고나 누전사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그리고 아랫글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석영관이 잘 온도차에 의해 잘 깨진다는 것입니다. 내구성이 얼마나 뛰어난 지 모르겠지만 일반 석영관 히터들도 켜진 상태에서 찬물이 튀기면 깨집니다. 직접 석영관을 특별히 강도높게 제작하는 기술이 없다면 그문제는 해결할 수 없을 겁니다.
박근혜대통령도 그걸 보고 신기하다 생각하고 상을 줬나 모르겠지만 면상 발열체 코팅은 중국에서도 이미 오래전에 특허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단지 증착 코팅 때문에 고열의 전기로의 열에 쉽게 깨지지 않는 석영관에 코팅했을 뿐이잖아요? 아래 댓글에서도 저마다 신기하다 생각하고 많은 칭찬들이 있지만 모두 과학적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 단순히 온수통이 필요없다는 말에만 현혹된 것 뿐이죠. 온수통 없는 전기순간온수기에 비해 무엇이 더 좋은지 설명이 필요합니다. 가격이 싸다던가 내구성이 더 뛰어나다던가 전기세가 덜 나온다던가 대체 기존 히터들에 대비해 장점이 뭔지 단 한가지도 생각이 나질 않네요.
기술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쉽게 현혹될 수 있는 아이템입니다. 그리고 온수기 기술에 응용된다고 들고 나온 것 부터가 틀렸습니다. 온수기나 보일러로는 매우 부적합하고 시장성도 없습니다. 팬 히터로도 사용해서는 안되는 이유가 먼지등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도 커서 역시 용도에 맞지 않죠. 아래 댓글에는 차량용 유리 어쩌고 하시는 분도 계시지만 차량같은 큰 유리를 석영유리로 만들어 고열 증착 코팅할 사업가는 없겠죠? 역시 과학을 무시하면 그런 허무맹랑한 용도를 주장하기도 하죠. 이것을 사업화 하려면 대박날 진짜 용도는 따로 있는데 여기다는 말하지 않을래요.
글 읽기 전에 혹! 하다가
읽고 나서 헉. 하게 되었습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ㅎㅎ
근데 엔지니어신가요?
자기네는 순간 온수기라면서 탱크용 온수기와 비교하는게 웃기긴 하네요 전기 순간 온수기랑 비교해야지 에너지 효율에 대한 이야기도 없고 보니 그냥 광고
카라반용 보일러를 만들어 주시면 좋겠다. 부피가 작아서...
이동중 충격에 깨지지만 않으면..
예전부터 써왔던것과 별 다를바없는 방식입니다 사실... 써모블럭이라고 커피머신에도 많이들어가요 일반 보일러에비해 온도편차가 있는게 가장 큰 단점이며 가열에 드는 시간이 적다는게 가장 큰 장점이지만.. 유량에 따른 온도변화에 취약하죠... 금속을 썻냐 유리를 썻냐 그정도의 차이입니다 사실상
그래도 훨씬 위생적으로 보이네요. 해당 영상만 봐서 그런진 모르겠지만.
그게 차이죠 ㅋ
내부 코팅 한건 다른 기술일수 있으나 석영유리관은 흔히보는 선풍기 난로에 많이 쓰는 재질이죠.
굳이 저걸 써야하는 이유가 없는데요.
유리면 뜨거운물 찬물 왔다갔다하면서 온도가 급격히 차가워지고 뜨거워지면 파손 위험 있습니다.
네 맞습니다~ 조금 아쉬운것은 그게 차이긴 한데..보일러가 보이는곳에 두진 않으니 커버를 씌우면 깨끗한 내부는 보이지 않을거고.. 전도율도 금속이 훨씬 높죠 ㅜㅜ 보통 동관을 쓰는 이유도 열전도율 때문이고요.. cpu 수냉쿨러도 cpu와 접촉하는 부위는 구리인거를 생각하시면 될것 겉습니다 :)
전기용 순간온수 시스템도 이미 있는데, 물론 그것보단 효율이 좋겠지만 1kw 당 나오는 열량도 어차피 다 한도가 있어서 그래봤자에요. 아마 일반적으로 가정집에서 쓰는 보일러 만큼 효율을 내려면 아마 10kw 이상 전기가 필요할걸요? 그럴려면 집안 배선부터 다 바꿔야 하는데 특수용으로는 모르겠지만 가정집은 한계가 있을거에요
저 제품의 장점은 좀더 청결한 물을 먹는게 아닐까싶어요 돈 절약 보다는 ,
탱크용 온수기는 아무래도 녹, 그리고 탱크 안에 곤충부터 작은 동물 사체 그런게 들어가서 오염될 여지가 있지요 가정집서 탱크 비파괴 검사를 할수도 없고
미국이랑 중국서는 물맛이 이상해서 공용 물탱크 체크하다 죽은 시신 발견도 함 , 단독주택이 주거형태 대세인 외국서는 저거 유용할 듯 싶어요 한국은 아파트 천국이라 애매
자동차 앞 뒤 유리에다가 적용하면 좋겠네. 전기를 얼마나 먹느냐가 관건일텐데. 수백도 온도가 필요하진 않고 수십도 선에서 서리제거만 몇 분내로 하면 될테니.
우와 똑똑하시네요
비용적으로 많이 들어서 현실 적용이 힘들어 보임... 서리 방지 대책품이 있다보니..ㅜㅜ
저기 전기로 안에 자동차 유리를 넣을수도 없거니와 넣다고 쳐도 증착을 위해 온도를 올리면 변형되거나 깨져 버리죠. 그렇다고 전체를 석영유리로 하기엔....
않돼는게 어디있나요?
연구해서 만들면 되는거지!
@@OTL-x4f 영상에서 이미 800도까지 발열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말은 800도 이상, 즉 적어도 1,000도 이상에서 증착해야만이 800도까지 견디는 발열체 제작이 가능함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죠. 님이 지적하신 액체분사식으로는 에어로졸 형태로 뿌린 후에 증착하려면 즉 차가운 상태에서 뿌렸다가 1,000도 가까운 고열로 구운다는 뜻이되는데요, 그렇게 되면 고른 발열을 위한 균일도가 나오질 않습니다. 때문에 증기증착은 맞는 것으로 보이는데, 먼저 석영관을 가열한 후 특정 구간에서 저 액체를 고열로 증기를 발생시켜 그으름 입히듯이 증착시킨다고 보여집니다. 때문에 자동차 유리 자체를 넣을 수도 없겠지만 석영유리로 만든다고 해서 고비용때문에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제품 상용화가 되었는지 궁금하네요! 후속 보도 하면 대박날텐데 ...
지금보고 처음 앎
이런게 있는줄도 모름
기대되는 기술이네요. 다만 저 코팅액이 물에 녹아서 배출되지 않는지 그렇게 된다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떤지 그런 안정성 검사가 관건이 아닐까 싶네요. 샤워하면서 흡입도 하게 될텐데 말이죠. 코팅 수명도 궁금하구요.
히터는 외부에 위치되어있고 유리관 자체를 수로로 이용하니 직접적으로 닿지는 않는건데요
전도체코팅은 밖에.... 유리 안에 물 드가는...
대단하네요.
집도 집인데 물 대량으로 데우는 사우나나 목욕탕 이런데는 절감 효과
엄청날듯 하네요.
고온을 내는 신물질 도체... 다양한 용도로 수요가 많을 듯합니다.
특히 식품회사, 제약회사같이 수질을 변형시키지 않는 목적의 순간가열기로 많이 사용되겠네요.
이리 좋은 기술의 제품을 다방면에 많이 활용해 져야 ......
가스비는 저렴하고 효율이 좋음.
전기는 일단 화력발전소도 효율이 40%가 안되고 송전중에 10% 날아가고..
전기로 인한 예열 효율이 좋아도..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효율이 낮기 때문에..
저 방식이 효율을 장점으로 내세우기는 애매하다..
1) 가스 -> 물 가열,
2) 가스 -> 전기발전 -> 전기 -> 물가열
두 과정 효율을 비교해야함. 일단 간편해서 협소한 공간에는 효과가 있을 것 같음.
기자나 방송국 피디들도 공부 좀 하고 제작했으면 좋겠네요. 나름 똑똑한 사람들일텐데, 아니면 알고도 저런 영상을 만드는지…
아니 진짜 말도 안된다 생각될정도로 대단한데
원룸에서도 수압이 너무 쌔니까 온수기가 못 버텨서 수압 낮춰야 따뜻한물이 나왔는데
빨리 상용화되면 좋겠다 생각될 정도다.
정말 좋은 기술 입니다
세계 최초는 아니라 생각되며 이미 1997~1999년도 국내에서 개발되어 상용화 되었던 것으로 당시에 대전 포천 군산 등에서 개발 상품화 되어 군산 업체는 현재도 온수기 온풍 등 사용 중 입니다
가정에 보일러로 개발하면 좋을듯합니다.
난방용 보일러로 상요화되면 작고 고효율에 대박 나것네요~
빨리 시제품 만나고 싶어집니다
대한민국 제품 최고네요~^^
상용화는 언제 될까요?
전기 많이 먹을것 같은데... 온수탱크를 쓰는 이유는 열량을 그나마 덜 먹게 하려는겐데
Q = G C dT Hr 이니까 1리터로 봤을경우 관을 통과하는 시간 10초 그리고 온수온도를 50도 냉수입구온도를 30도로 생각했을때 8,372W
온수탱크의 경우 탱크 용량 1리터 대략 1분의 시간동안 가열한다고 볼때 1,395W
왜 1분이라고 하냐면 뭐 더 길게봐도 되지만 온수탱크는 일정온도까지 온도를 올리는 시간에 대한 제약이 온수를 안모으는쪽보단 없다고 봐야하니까.
또 냉수입구온도가 일정치않아서 겨울철 여름철 내보내는 온수의 온도도 전혀 일정치않음....
온수탱크의 경우 온도스위치등을 통해 온수탱크 내부의 온수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서 온수의 온도가 어느정도 사용까지는 일정하다고 봐야함
결론...... 저 유리관히터를 쓰더라도 온수탱크를 쓰는게 낫다...
천재적인 발명품이네요 👍👍👍
동남아 쪽은 이미 물탱크가 없는 전기 순간온수기들을 사용한지 오래되었는데 집마다 설치되어있구요. 아마 겨울이 없어서 만들기 더 수월했겠죠 이렇게 뜨거운 온도까지는 필요가 없으니까요. 어서 개발되길 기대해봅니다.
순간온수기는 저런거 아니라도 많았음. 애초에 소비전력이 너무 세서 심하면 벽 콘센트도 녹이는수준들. 그래서 저 계열들은 가스식을 많이 쓰지
와 이거 대단하네 보일러계의 노벨상인데?
노벨상은 아무나 받나
그러게 저런분이 빋아야지
이러한 기술 모티비 프로그램에 소개 된지 몇 년 된거 같은데...아직 상용화가 안되서 의아 했는데 같은 기술인지 궁굼하네요.
소재가 니크롬선 따위의 금속성에서 유리에 코팅된 전도체를 사용하는 차이 말고는 순간가열식이 가지는 특성은 비슷할것 같네요.
즉. 대기전력은 없지만 순간 온수를 만들기 위해 매우 높은 소모전류가 필요합니다.
기술이 없어 탱크식 쓰는거 아니에요.
다만 물이 금속과 닿아서 생기는 이온화 부식 같은게 없어 위생적일거 같네요
최고입니다 좋은 상품 많이 만들어주시길
대단한 성과입니다
국가로부터 애로사항 해결되면 좋겠네요
부디 사업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사실 유리관 히타 오래전부터 나와서 쓰고 있는데 충격에 약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파손 심하고 여러 업체들이 생겼다 없어지고 해서 형태나 모양에따라 구입해서 난방 .발열히타등등 현장에 사용했다가 문제생긴적 많아 지금도 애을먹고있음 높은 온도에서 조금의 흔들림이 이나 충격에 파손됨.
엄~청 유창하진 않은 언변능력에서 느껴지는 신뢰감..!
노력과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반가운 소식이네요 널리 홍보가 되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 하였으면 하네요....구입방법과 어디에서 주문을 ?
특허낸지는 오래된걸로 아는데 신제품 인거 같네요
일반가정에서 사용 하게 되연 전기세 감당이 될까요 이지난방 이나 순간 온수기 외 사용처는 많은데 흠.
내구도가 참 궁금해 지네요. 수도는 사용환경에 따라 재질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집니다.
내구도 관련 필드 테스트 결과가 궁금하네요.
와.. 저건 ㄹㅇ 히트상품이네.. 보일러에 적용하면 전기장판 쓸 전기세로 뜨끈한 온돌방 지지는거 쌉가능 아님?
전기장판 소비전력끽해야 200w 저제품은 3kw~10kw 제품다양.. 전기세걱정은 하셔야해요
가벼워서 캠핑카 적용에도 대박 이겠네요~^^
빠른 상용화기대합니다~^^
음. . .
그럼 곧 중국에서 짝퉁을 만들어서
2분의 1 가격으로 시장에 내어 놓겠군요.
설계도가 이미 중국으로 넘어갔을 수도 있으니
단속을 잘 하세요.
자기 기술 보안 유지하는건 사람의 본능 입니다ㅋㅋ "중국 조심하라" = "화장실가서 똥싸라" 다들 자기 궁뎅이 쪽팔려서 밖에서 안싸잖아요 ㅋㅋ
중국이 아니고 중공 또는 중공국 입니다
언제 상용화. 되나요?
홈페이지에서 사양서보니, 일단 사양서에 KW/h라는 단위부터 잘못되었네요...
그래도 공돌이가 아닌 사람에게 설명하려면 그럴 수 있겠다 싶어, kW/h를 kW라고 생각하고 넘어가려는데...
만약 사양서가 잘못되지 않았다면...
샤워기용 WH - 100의 경우, 정격 전력이 10kW...
대략 4인 가족 기준으로 1인당 하루에 샤워 15분씩, 아침저녁 두번 한다고 가정하면, 하루 온수기 사용 시간 2시간...
10kW x 2h/일 = 20kWh/일
20kWh/일 x 30일/달 = 한달에 600kWh!!!
일반 4인 가족 한달 평균 사용 전력이 400kWh 정도이니, 이 제품을 사용하면 1,000kWh 사용하게 된다는...헉...
만약 계산이 맞다면, 전기 요금 걱정은 나중에 하더라도...
이 제품 달기 전에 집 계통도부터 살펴, 현재 깔려 있는 전선 굵기나 차단기 사양부터 확인하고 바꿔야 될 듯하네요...
...
사양서에 값을 잘못 기입했길 바랍니다...
이런 업체가 잘 되어야하고 많이 생겨야 우리나라가 발전할텐데
탱크형 보일러말고 순간온수기랑 에너지 효율 비교해보면 비슷한효율 나옵니다.. 이거 히터 10년전에 본거같은데.. 엔지니어 눈은 못속이지..
에너지 절감만한다고 소비전력은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고 어디서 절감한다는건지...업체 돈 먹고 홍보하는 동영상임~~^^
호주에서 플러머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준희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가스 순간 온수기하고 구조적으로도 비슷한데 전기를 사용하는것 뿐... 물이 크게 들어가는 아파트나 하우스 등에 쓰려면 전기가 많이 들텐데 전기세 싼 한국에서나 가능하겠네요 :)
@@8321hide 한국 전가세 않싸요..누진제 있어 비쌉니다..😀 순간온수기 할려면 최소 8kw소비전력 입니다. 일반가정에 전기용량이 한국 3kw입니다. 그래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도 못할겁니다. 석영관히터 별 기술 아닙니다. 제가 5년동안 전기보일러 개발하면서 석영관 히터도 테스트 해 봤어요...^^ 30%에너지 절감은 사기에요..^^
@@ecofrugal875 호주는 분기당 한번씩 전기세를 냅니다. 전기에 대해 잘은 모르지만 예전에 겨울 3개월동안에 한국돈 100만원 조금 넘게 낸적도 있습니다^^ 한국네 살때는 그렇게 내본적이 없네요 ㅎㅎ 제 경험에 의한 단순 비교입니다^^
@@8321hide 하우스는 어차피 실내온도 조절용 보일러 떼는거니까면 물을 뎁히는게 중요하니 순간온수는 그다지 무의미 하고
집이면 도시가스 온수기가 더 경쟁력 있을텐데 가스는 원래 순간온수기능도 되고
대박 존경합니다
전직원들 건강챙기시고 극초대박나시면 국민들의해 많은 행복한 고민하세요
대한민국인의 천재성이
세계는 놀란다.
에디슨보다 더좋은 발명품
대박 !!!♡♡♡♡♡♡♡
이런분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축하합니다..
질문은, 최대순간사용전력은 얼마나?
사용전기료에 대한 ....
영상에 그 답변은 없지만 기존대비 30-40절약이라 하네용
@@kksg9012
저탕식 온수기의 경우 일정량의 물을
일정온도로 뎁혀 유지하는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 제품은 탱크 없이 순간온수를 만들기때문에 절감 된다는 뜻인듯합니다.
순수 온수 생성 에너지는 같을 것 같습니다.
또한 내구성에서 반영구적으로 유리하고 위생적이다라는 장점을
가진 듯합니다.
요즘 온수탱크 ...스텐입니다 스텐 탱크에 스텐 히터인데 그에 상응하는 샘플을 예제로 해주셔야지요...너무 극적인 표현을 하려고 애쓰면 반감부터 생깁니다 2년이 다되가는데 네이버 검색하니 쇼핑몰에도 검색이 안되네요... 가격이 엄청 비싼건지 왜 안뜨나요?
듣고보니 스탠 ... 맞는듯합니다 .. 검색이 안되는건 제품이던 유통이던 의 문제거나 아니면 대기업이 방해 하고 있다는 거겠죠. 그래도 홈피는 있는데요 .. 전화는 안해봤지만
(주)라온이즈 라고 ...
김경웅님 잘했어요~
멋져요👍👏👏👏
수돗물에서 깨끗한 물만 나오는건 아닐텐데 상수도관의 노후나 기타 이유로 흙물또는 기타 이물질들이 유리벽에 눌러붙거나 또는 지하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녹물(황토물,석회질, 철분...) 로 인해서 유리내부가 더렵혀 지고 소위 때가 낄텐데 유리관이 파손되는 경우가 생기지 않겠는지요? 오히려 사후 관리비용이 더많이 덜듯
와우 대박!!!!!!
시판되고 있나요 어디서 살수있나요
라온닉스(주) www.raonics.com
문제는 전기세 일듯합니다. 어쨌든 열을 가열하는 전기가 가장 비싸니까요. 전기세에 관한 내용이 없어 아쉽네요. 저렴했다면 분명 나왔을것인데 말이죠.
2015년 특허 보이는데 아직 상용화 안되었나요?
근데 저렇게 데우면 유리관 안에 물이 끓으면 하얀 미네랄이 점점 낄텐데...(가습기에 끼는 그 하얀 미네랄)
그게 쌓이다 쌓이면 관 막히고 열효율 떨어질텐데...
질문.
고온과 고열에 코팅은 얼마나 버티는지?
유리관의 여러군데 연결 부위에서 물이 새지않고 얼마나 버티는지?
@오메가3 겨울철 영하 십몇도 이하로 떨어진 날씨에서 급가열 하면 유리관이 버틸수가 있을까요?
만약 혹한으로 온수기 내부가 얼고, 물까지 얼어 버리면 동파 가능성은?
안녕하세요
정말로 대박입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좋은일만 있으시기를 바랍니다
정말로 고생하셨습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힘내세요
뉴스도 이미 2년 전인데 상용화가 안되었나요?
2년전 방송같은데 아직 보급안된거보니 생산단가문제나 전기용량문제가 해결이 안된듯.
근데 궁금한게 500도를 올리려면 전기를 몇킬로와트를 사용해야 가능한건지 궁금하네요
네 그래요
그 발열관을 더 많게 하고 물이 흐르는 것을 더 얉게 한다면
전기가 더 덜들겠죠.
물을 통째로 데우는건 가스로 물 데우는 식입니다.
언제 살수있나요?
라온이즈 라는 업체군요 전기보일러 2,3,5kw 급 보일러네요. 가정용으로 사용이 가능할까 걱정이네요 일반가정집은 3kw 정도인데..
와... 대박이네...
이거 사용 가능한 곳이 어마어마 할거 같은데
비데 부터 시작해서 온수기, 정수기 등 물이 들어가는 곳은 대부분 이거 쓰면 되겠다
가정에서 순간 가열하기 위한 대전력 10kw 정도를 제어하려면 마그네트로는 소음이나 수명에 문제가 있고 SSR을 사용해야 할듯 그리고 순간가열이 뭐가 어렵나... 가정에서 10kw를 넣어주려면 따로 굵은 배선 해야되니 설치를 못하는 것이지. 가스를 데워주는게 나을듯...
유리관이 깨졌을때 안에 액체가 흘러나오는데 샤워중에 먹거나 해서 문제가 안되는지도...
자율주행이 사고시 문제로 난관에 봉착한 것과 같습니다. 고장날때 치명적이면 안되죠.
할렐루야 축복합니다...개발자님
개독교 재수 없다. 특히 신 천 지..
임광달평 - 말한대로 될 지어다
@@HappyManKR 네 이웃을 사랑하라
우와 ~호기심이 최고입니다 👍
이 제품의 상용화가 어려운 이유.
1. 기존 히터방식에 비해 가격대비 기대수명이 큰 차이가 없다.
2.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난방,온수를 대체할 수 없다.
3. 시장이 협소하며 시 장 경쟁자들과 상대할 특별할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는다.(온수기만 사용하여 온수를 사용하는 세대의 경우 온수 품질을 따질 여력이 없다.)
4. 결국 전기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이며 전환효율은 히터와 같다.
5. 아주 특수한 실험적 환경의 순수 가열 등의 제한된 수요만 존재하며 시중보급은 어렵다.
온수기는 일반 식당에서 자주 사용합니다 특히 식기세척기 가격적인 부분에 메리트가 없다는게 슬프네요
뭔가 사짜 느낌이.....저도 이런 저런 효율이 좋고 획기 적이란 제품들을 써 봤지만 결국은 반대 급부가 더 큰 제품들 이었어요.. 근데 과연 이 제품은 어떠 할런지....
6퍼 더 좋은 히터구만. 반영구라는게 믿을수 있는지가 중요하지. 보통 히터수명이 5년에서 10년인데 가격이 중요할듯
온수기 회사 전화 번호 를 알아야열락 하지요
@@박원규-v5t 회사명 라오닉스 입니다
미사용시 설치 장소에 따라 동파에 취약! 집안이 물바다 될수도... 결국 내구성이 문제, 유리가 수압 10키로를 버텨야 하는데... 유리와 배관 접합부위 누수 많을듯, 소모전력도 1.5~2.5kw 나올텐데 과연 안전할까. 수압에따른 수온변화만 제어하고 내구성 안전성만 잡으면 대성할듯.
감사합니다
50평정도설치할려면얼마나될까요
정말좋은제품같습니다.구입해서사용하고싶네요.
오 세계 최초...
대단하십니다...
기술 유출 조심...
이것 별거아닙니다..ㅎㅎ 전기히터는 다 마찬가지입니다...1kw에 발생하는 열량은 860kcal입니다. 코팅했다고 200%올라가는 것 절때 아닙니다. 이동영사에 몇키로왓트 사용하는지 밝히지 않았어요..
일년전 뉴스인데 제품은 언제 나오는건지 연합뉴스 약판것 같은데요~~
소량의 전기로 대량의 전기를 만들어 낼 발전기를 제작하면 좋을 듯..
금속히터는 스테인레스(SUS304,SUS316L등) 재질이라 최소 몇 개월은 사용해야 부식이 이루어 지는데 (염분에서 부식이 더 일어남) 과장이 심하군요?
또한 에너지 절약도 10~20%차이는 나지 않는데
순간가열방식은 온도가 일정하지 않고 조금씩 온도차를 느낄수 있고 저장탱크식은 에너지 효율은 떨어지지만 일정한 온도의 물을 쓸수 있는게 이미 알려진 사실입니다.
끝 까지 잘 해나가시길..죽쒀서 개 주지 말고요.
대한민국 화이팅!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유지보스도 중요~~승승장구 하길 기원합니다~~~
정말 좋은 제품을 고안하여 축하드립니다. 설치비, 전기료 등 초기비용과 유지보수비는 어떻게 되나요?
판매가격과 판매처좀알고 싶네요
이번에 보일러 12년이 돼서 70만원 들여서 친환경용이라고 비싸게 바꾸었어요.... 근데 저 제품을 사용한다면 획기적인 보일러 기술이 되면서 가격도 엄청 다운 될거 같아요~~ 상용화 된다면 우리나라 에너지 절약 부분 대상을 드리겠습니다.. 투표가 필요 하다면 한표 확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