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을 이루는 입자들에게 질량을 부여한다? 힉스 입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9 дек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43

  • @SemoScience
    @SemoScience  2 дня назад +33

    힉스 장은 물질을 이루는 '기본 입자'들이 질량을 얻는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 하지만 힉스 장이 모든 질량의 원인인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쿼크 간의 강한 상호작용도 질량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재밌는 점은, 광자(빛 입자)는 힉스 장과 상호작용하지 않습니다. 힉스 장과의 상호작용이 없기 때문에 광자는 질량이 없고, 이로 인해 빛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풀영상의 간략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더 자세하고 흥미로운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영상 링크의 풀영상을 시청해주세요 :)

  • @yj6964
    @yj6964 2 дня назад +49

    자기 이름 되게 좋아하네..

    • @lemonbot7755
      @lemonbot7755 2 дня назад

      김 입자
      이 입자

    • @METAVILLAIN
      @METAVILLAIN День назад +1

      세 입자

    • @testiermal9445
      @testiermal9445 День назад

      해외에서는 보통 이름붙임

    • @bromineguy
      @bromineguy 23 часа назад

      철수 입자

    • @브레멘음악대
      @브레멘음악대 14 часов назад

      만약 내 이름이 철수인데 내가 ㅅㅂ 개쩌는 입자 발명하면 꼴랑 철수입자가 아니고 킹갓제너럴갓철수님 입자라고 이름 지을거임 ㅇㅇ

  • @abno9938
    @abno9938 2 дня назад +20

    사실 힉스입자를 설명하는듯한 현상을 발견한것 뿐이고 힉스메커니즘은 애초에 질량의 기원을 상상하기 위해 만든 가설이기 때문에 당연히 우리가 아는 질량에 딱 들어맞을수밖에 없음...

    • @brians2192
      @brians2192 19 часов назад +3

      힉스입자의 발견으로 가설이 입증된거니 반증되기전까지는 그게 맞는 이론이겠죠

  • @MissTerry709
    @MissTerry709 2 дня назад +22

    아 몰라 내가 아는 질량의 영향은 밥먹장

  • @서울77
    @서울77 День назад +2

    저 이론에 따르면 질량은 스스로 존재하는것이 아니라 힙즈장과의 마찰력 크기를 의미하는건가요?

  • @하르하르-r7p
    @하르하르-r7p 2 дня назад +3

    오우 재밌는 가설이네요

  • @hanryang_seo
    @hanryang_seo 6 часов назад

    크 과학 졸라 재밌네

  • @ychj2189
    @ychj2189 6 часов назад

    그럼 중력은 뭐임? 물질이 힉스장을 통과 하면서 얻는 저항이 질량이고 그때 발생하는 파장이 중력이라고 할 수 있는 거임? 물리 어려워...

  • @최약록
    @최약록 День назад +2

    영상 너무 재밌네요 구독했습니다..

    • @SemoScience
      @SemoScience  День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 @최약록
      @최약록 День назад +1

      @ 비문학 풀때 과학지문에서 본내용들이 은근 있어서 더 재밌네요 꼭 다볼게요

  • @seungkim4139
    @seungkim4139 15 часов назад

    와우~ 대단하다.

  • @hoha9934
    @hoha9934 2 дня назад +2

    우와 요즘 즐겨 보고 있습니다. 평소 과학을 좋아했는데 정말 재밌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롱폼도 자주 올려 주세요 ㅎㅎ)

    • @SemoScience
      @SemoScience  День назад +1

      재밌게 봐주셨다니 뿌듯하네요🙂 현재 양자 컴퓨터 관련 롱폼 제작 중이니 곧 뵙도록 하겠습니다👍

  • @blackjoy315
    @blackjoy315 20 часов назад

    근데 속도가 광속에 가까워지면 질량이 는다고 들었는데, 그러면 질량 자체가 원래 상대적인거 아니었던건가..

  • @휴먼-k4s
    @휴먼-k4s 6 часов назад

    엘 프사이 콩그루..

  • @chanseoklee366
    @chanseoklee366 День назад

    드디어 기나 마나의 존재가 증명되기 시작한 건가, 그냥 웹소설 중독자 견해였습니다.

  • @jwc2710
    @jwc2710 День назад +2

    입자물리연구소 썬이라고 읽었던거 같은데 쎄른이 맞나요?😮

    • @SemoScience
      @SemoScience  День назад +1

      말씀하신대로 영어로는 '선, 썬' 이라고 많이 하고 국가에 따라서는 '세른' 이라고 발음하기도 합니다. 저는 지인 중 이 분야에서 일하시는 분이 '세른' 이라고 불러서 저도 그렇게 입에 붙었네요. 원어인 프랑스어 발음을 굳이 한글로 표기하자면 '세흐느' 에 가깝다고 합니다😁

    • @jwc2710
      @jwc2710 День назад +2

      @@SemoScience 그렇군요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제 지인도 예전에 CERN에서 연구했었는데 '썬' 이라고 발음했던게 기억나서 여쭤봤어요🙂

  • @Lostark-kalatus
    @Lostark-kalatus 14 часов назад

    그래서 이게 관성질량인가요 중력질량인가요

  • @띠용-f8e
    @띠용-f8e 19 часов назад

    일반인에게는 CERN에서 입자를 고속으로 충돌시켜 힉스 입자를 발견했습니다. = 저는 어제 KERN에서 입자를 고속으로 충돌시켜 물질에 실체와 마찰을 부여하는 야스입자를 발견했습니다.
    같은 말인듯 ㅋㅋ
    배경지식 없으면 신념의 영역인데 학자들이 그렇다면 그런줄 믿어야지 뭐

  • @pcj1433
    @pcj1433 2 дня назад +2

    ? ㄷㄷ😢😢

  • @aLminSHIN
    @aLminSHIN 2 дня назад +5

    엘 프사이 콩그루

    • @Lion-e1i
      @Lion-e1i 2 дня назад

      실패했다..Cern에게 붙잡혔어

    • @neverDaum
      @neverDaum 19 часов назад

      그러니까 브라운관 TV랑 전자레인지로도 힉스입자 관측이 가능하다는거죠?

  • @앙금가래떡-w2d
    @앙금가래떡-w2d 2 дня назад +2

    천천히 얘기하셔도 뭔 내용인지 모르겠네요

  • @Umujuneo
    @Umujuneo 2 дня назад +3

    ㅓ? 어떻게 광속으로 부딪침?

    • @hk-cj3uh
      @hk-cj3uh 2 дня назад +4

      정확히는 빛에 엄청 가까운 속도입니다. 약 99.999999% 정도의 속도죠

    • @SemoScience
      @SemoScience  2 дня назад +1

      일반적으로 입자들은 이렇게 빠르게 움직일 수 없습니다. 하지만 CERN의 강입자 가속기, LHC는 전자기력을 이용해 입자들을 광속에 가깝게, 대략 99.999999%의 속도로 가속할 수 있습니다. 저도 영상으로만 봤는데, 실제로 한번 보고 싶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

    • @4nfji4ii
      @4nfji4ii 2 дня назад +1

      전기세 많이 나오겠네

    • @mungmung2ya
      @mungmung2ya 2 дня назад +1

      전기세 ㅋㅋㅋ

  • @Lowlight486
    @Lowlight486 21 час наза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 @CHJJ-c5x
    @CHJJ-c5x 2 дня назад

    흠.. 에테르 개념이 확장된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