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특집] 수소 에너지 전환 코드네임 'H' (2024.09.19/울산MBC)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실시간 스트리밍 안내]
울산MBC 뉴스 라이브 시간 안내
뉴스투데이 (월 - 금) 07 : 20 ~ 07:45
뉴스데스크 (월~목) 20:20 ~ 20:35
(금) 20:10~20:20
(토~일) 20:25 ~ 20:35
▶ 뉴스투데이의 정보게시판은
www.usmbc.co.k...
를 통해 다시 열람이 가능합니다.
*** 편성표에 의해 시간이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울산 #울산MBC #울산소식 #울산뉴스
국내에서 잉여전기로 수소를 생산하고 그 수소를 이용해서 다시 전기를 생산하는 경우, Roundtrip efficiency가 너무 낮습니다. 100의 전기를 넣었을 때 수소 전환과 저장 등에 거의 75 이상의 전기를 날려버리고 25미만의 전기만 얻을 수 있습니다. 100을 저장했다가 25만 꺼내 쓸 수 있다면 저장 매체로 의구심이 갑니다. 국내 잉여전기를 저장할 때는 수소보다 나은 방식을 찾아야 한다고 봅니다. 배터리는 85% 정도의 효율을 보이지만 너무 비싸고, 양수발전은 입지가 제한적이지요. 플라이휠배터리같은 고효율 단기 저장 장치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겁니다. 물론, 해외에서 재생에너지를 수입할 때는 수소나 암모니아 형태 이외에는 답은 없을 듯 합니다.
간단하게 수전해 효율 만 검색해봐도 수전해 장치에서 수소 생성 효율은 60~70%, 어떤 기사에서는 80% 기술도 있다고 하던데요. 수소 전환과 저장 등에 75 이상의 전기를 날려버린다는 건 어떤 자료를 근거로 보신 건가요?
잘못 아신것 같은데.. 수전해 효율을.. 잘못된 정보를 공유하는것도 정말 큰 잘못입니다 sdh8988l 님.. 쪼금만 더 공부해보세요
@@actio97 수소로 전기를 저장하고 그 수소를 이용하여 다시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은 여러부분에서 에너지 변환 과정을 거처야 하고 그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합니다.
일단, 전기 --> 수소 변환에서 변환 효율은 60% 정도(수전해 방식)입니다. 물론, 어떤 연구소에서 더 높은 효율을 개발했다고 하는 기사가 종종 있지만, 그건 대량 생산 기술에 이르지 못한 연구소의 기술이지, 대량 생산에서 쓸 수 있는 기술은 아직 아닙니다. 그 다음은 수소 저장에서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건 저장 기간과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어떤 특정한 값을 대입하기는 어렵습니다. 그 다음은 수소 --> 전기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현재 가장 효율이 높은 수소 --> 전기 변환 방식은 수소 연료전지 방식인데, 이 방식의 변환 효율은 40% 정도입니다. 어디서 보면, 수소 연료전지의 효율이 70,80% 라고 얘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건 전기 효율에 열효율을 더한 값으로 순수 전기 효율은 40% 가량입니다. 그럼 이제 전체 Round-Trip Efficiency(전기 --> 수소 --> 전기 효율)를 계산해 봅시다. 0.6 x 0.4 = 0.24 즉, 24% 가 되는 겁니다. 저장에서 손실되는 양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이런 값이 나옵니다. 물론, 수전해 기술이 더 발잔하고 수소 연료전지의 기술이 더 발전한다면, 효율이 더 높아지겠지만, 단 시간에 크게 높아지기는 어렵습니다.
@@actio97 그리고 다른 사람이 제시하는 정보가 잘못되었다고 말씀하신다면, 맞다고 생각하시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은 토론 방식이라고 봅니다. 그냥 '니가 틀렸음. 더 공부하셈' 이라고만 하면, 토론이 진행될 수 없죠.
@@sDH8988L 수소에너지 기계공학 석사입니다.
글을 보니 아주 많이 알아보신 듯 하네요 ㅎㅎ
잉여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매체에 대해 수소에 대한 회의감을 가지신 것에 공감을 표하는 바입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탈탄소화를 이룩하려면 화석연료를 대체해야하는 것에는 동의하실 거라 믿습니다.
에너지 매체로 중요한 지표가 '효율' 뿐만 아니라 '수송' 과 '저장' 이 있겠죠?
다음을 보고 판단해봅시다 ㅎㅎ
효율을 보니 주로 고분자전해질막(PEM)을 사용하는 연료전지나 수전해를 알아보셨네요.
수소사회로 진입하려면 고체산화물을 전해질로하는 전지(SOEC나 SOFC 같은)의 상용화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SOEC 같은 경우는 수소 생산 효율이 90%에 가깝고요.
SOFC 같은 경우 열병합발전을 병행할 경우 효율이 90%이상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님이 좋아하는 곱하기를 해도 81%의 효율을 가지네요? 꺄륵!!!!!!!
그리고 수소는 수송에서 유리합니다.
수소의 질량당 에너지밀도가 우수해서 배터리보다 100배 가량 높습니다.
하지만 연료전지 시스템이 좀 무거워서, 상용차 급에서 부터 효율이 더 높아지죠.
또한 수소는 운반하기에도 훨씬 가벼워서 많은 양을 한꺼번에 운송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수소는 저장에서도 괜찮은 성능을 보이는데요.
배터리는 시간이 지나면 방전되는 방면, 수소는 거의 줄지 않습니다.
안전성에서도 배터리의 화재와 가솔린 등의 화재에 비해 안전합니다.
아직까지 수소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수소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하고, 다른 에너지 저장 매체가 생각나시면 추천해주세요 ㅎㅎ
코드네임 철 한자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