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해주신 것과 관련하여 자료를 찾아보니 타코마 브리지의 붕괴원인으로 공탄성 플러터(Aeroelastic flutter) 현상으로 보고 있네요. 이를 지적한 유서프 빌라 교수와 로버트 스캔란 교수의 논문에는 '넓게 보면 공진의 정의와 완전히 어긋나지 않는다'라고 적혀있습니다. 하지만 붕괴의 원인을 공진이라 하는 것이 적합한 설명은 아닌 것 같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드리며, 영상에서 해당 내용은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초고층건물은 위험합니다 고층건물 상위권 순위보면 우리나라나 대만 중국 사우디 두바이등 신흥국이나 산유국등 경제가 급성장한 졸부라 과시용으로 짓는 경향이 큽니다 안전성 우선시 하는 선진국들은 초고층건물 안짓습니다 미국 유럽 일본등은 고층건물 올리는것 보다는 안전한 건물 짓는걸 우선으로 하죠
5:04 에 유체를 담아놓은 실험장치 밑에 흔들리는 실험교구의 이름을 알려주실수있으실까요??? (실험을 위해 구입할 생각입니다) 구체적인 이름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꼭 저게 아니어도 비슷한 기능을 한다면 그걸로 알려주세욥..!!!!! 대충 찾아보니까 Shake table이라고 하네요.... 정말 귀찮으시겠지만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경남교육청에서 고교학점제 대비 '생활과 과학' 교과목의 수업 도움 영상을 만들고 있는 교사 입니다. 생활과 과학 교과목의 '초고층 건물' 소단원에서 해당 영상을 출처를 정확하게 밝히고 삽입해도 될까요? 제작된 영상은 비상업적 용도로 경남교육청에 공개 영상으로 삽입되게 됩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현재 고층건물을 안전하게 중량을 늘리며 설계는 가능하지만 현실고증이 문제입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힘든것이 타설부분입니다 2.4키로미터나 되는 높은 건물에 지상에서 콘크리트를 수급받아 적재적소에 고층까지 펌프를 이용해 올려야하니까요 중간중간 끊어치거나 건물의 조립식비율을 늘리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독일에서 또 어떤 힘있는 기계를 발명할지 모르죠 높이 1키로미터마다 건물자체에 레미콘회사를 가동시켜야되지 않나 싶습니다ㅎㅎ
실제 초고층 건축물의 진동을 설명하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F=ma로 단순화하여 설명한 것입니다. 건물에 같은 힘 F가 작용했을 때 추에 의한 질량 m이 커지게 되면 가속도 a가 작아지기 때문에 속도의 변화가 적고 건물의 고층부의 흔들림도 줄어들게 되는 것을 이야기한 것입니다.
TMD는 Turned Mass Damper가 아니라 Tuned Mass Damper입니다
표기와 발음이 잘못되었네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많은 영상을 보면서 단점을 느낄수가 없다😊 단하나의 단점도 없이 즐거운 시청시간을 만들어주시네^^ 중개사 공법강사님이 셨으면 공법도 참잘했을 거같은데😂 화이팅요!
어줍잖은 과학유튭보다 확실히 정부서 만든게 좋긴하넹
감사합니다
공진 배우고 갑니다
듣기 편한 목소리입니다
너무 유익하네요~ 잘봤습니다❤
완전 유익
잘보고 갑니다^^
유익!
영상 완성도도 높고 내용도 알차고 좋네요
4:32 왜 질량이 커지는 걸까요?
질량은 항상 일정해야 하지 않을까요?
같은 건물의 질량이 커진다기보다 '질량이 큰 건물일수록'으로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유익하네요!
초고층 건물의 진동주기를 구하는 공식이나 탄성계수를 대입하여 계산해 볼 수 있는 논문 또는 사이트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출처 또는 근거가 궁금합니다~
진동주기가 긴 것과 붕괴 위험이 큰 것이 어떤 관련이 있죠?
바람의 주기는 기~~~인데 주기가 똑같이 길면 공진이 발생할겁니다. 결국 공진에 의해 건물이 미쳐날뛰는 것이죠
@@Bumsquad_ 결국 이 상황에서 진동주기가 긴것은 붕괴위험과 상관이 없나요?
아니면 이 상황에서는 붕괴위험과 상관이 있나요?
또한 와류의 진동수랑 건물의 진동수는 항상 같나요??
왜 고도가 높아질수록 바람이 속도가 커지는 것일까요ㅠ?
지표 부근의 마찰이 존재하는 고도 1km 이내에서 부는 바람을 지상풍이라고 합니다. 마찰로 인해 바람의 속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고도가 높아질 수록 마찰에 의한 영향이 줄어들면서 바람의 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국가 기관의 유튜브는 참 지루하기만 할 뿐인데,
쉽고 또 유익한데
이처럼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니 아쉽네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0^
초고층건물은 탱크보다 단단할까요?
난항상궁금한게 저 무서운 고층에 누가 어떻게 작업해서 집을 지었을까
액체를 이용한 댐퍼는 관성을 이용한 것인가요?
네 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타코마브릿지는 공진에 의한게 아니라는게 정설인데... 잘못된 상식 또 이렇게 퍼지네요 ㅠㅠ
말씀해주신 것과 관련하여 자료를 찾아보니 타코마 브리지의 붕괴원인으로 공탄성 플러터(Aeroelastic flutter) 현상으로 보고 있네요.
이를 지적한 유서프 빌라 교수와 로버트 스캔란 교수의 논문에는 '넓게 보면 공진의 정의와 완전히 어긋나지 않는다'라고 적혀있습니다.
하지만 붕괴의 원인을 공진이라 하는 것이 적합한 설명은 아닌 것 같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드리며, 영상에서 해당 내용은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KoreaScienceTechnology 추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인가요? 아니면 추에 정지 관성이 작용해서 반대로 가는것 처럼 보이는건가요?
사실 초고층건물은 위험합니다
고층건물 상위권 순위보면 우리나라나 대만 중국 사우디 두바이등 신흥국이나 산유국등 경제가 급성장한 졸부라 과시용으로 짓는 경향이 큽니다 안전성 우선시 하는 선진국들은 초고층건물 안짓습니다 미국 유럽 일본등은 고층건물 올리는것 보다는 안전한 건물 짓는걸 우선으로 하죠
님 말이 맞는 듯
5:04 에 유체를 담아놓은 실험장치 밑에 흔들리는 실험교구의 이름을 알려주실수있으실까요??? (실험을 위해 구입할 생각입니다)
구체적인 이름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꼭 저게 아니어도 비슷한 기능을 한다면 그걸로 알려주세욥..!!!!! 대충 찾아보니까 Shake table이라고 하네요.... 정말 귀찮으시겠지만 부탁드립니다~^^)
초속 20km 이 땅 지구가 날아 가는데 느끼는지 ?
안녕하세요. 경남교육청에서 고교학점제 대비 '생활과 과학' 교과목의 수업 도움 영상을 만들고 있는 교사 입니다. 생활과 과학 교과목의 '초고층 건물' 소단원에서 해당 영상을 출처를 정확하게 밝히고 삽입해도 될까요? 제작된 영상은 비상업적 용도로 경남교육청에 공개 영상으로 삽입되게 됩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네 잘 활용하셔서 교육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0^
전봇대같은 원형 기둥중에 가장 단단한 기둥이 대한민국어디에있을가요? 탱크보다단단한기둥이요
높이 2400m짜리 두바이 시티 타워는 과연 인간의 기술력으로 지을수 있는 부분입니까?
은
현재 고층건물을 안전하게 중량을 늘리며 설계는 가능하지만 현실고증이 문제입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힘든것이 타설부분입니다
2.4키로미터나 되는 높은 건물에 지상에서 콘크리트를 수급받아 적재적소에 고층까지 펌프를 이용해 올려야하니까요
중간중간 끊어치거나 건물의 조립식비율을 늘리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독일에서 또 어떤 힘있는 기계를 발명할지 모르죠
높이 1키로미터마다 건물자체에 레미콘회사를 가동시켜야되지 않나 싶습니다ㅎㅎ
그러면 만약에 같은 높이라면 맨 위를 뾰족하게 하는 것과 건물내부에 추를 다는 것중 어느 것이 가장 안정성이 높을까요?
타이완 빌딩 사례만 봐도 알수있음
잠실은 지반이 열악하여 건물의 하중 부담이 심할수록 불리함 그래서 건물을 뽀족하게 해야했고 성남공항 으로 부터 시계 를 확보해 줘야 하는 이유도 있음...
그리고 추를 두면 용적률이 그만큼 나올수 없으니 여러모로 이점보다 실이 더 많음
자연재난 앞에서 건물이 안전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교만한거죠. 높이 쌓으면 무너진다는건 유치원생도 아는 사실입니다.
추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건 어떤 원리로 그렇게 되는건가요
추의 무게가 무겁다보니 관성의 법칙에 의해서 건물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__^
3:40
바람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 면적을 줄이는게 비행기에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궁금해요ㅜ
혹시 건물이 높아질수록 가늘게 디자인 한다는 부분에서 왜 힘이 속력 제곱에 비례하고 면적이 줄어야한다는 결과가 나왔는지 공식으로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유체역학의 기본적인 계산입니다
구독자가 왜이리 적죠.내용은 좋은데..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0^
설계 잘하믄 뭐하노.. 기본적인 양생 기간에 배합 비율도 지들 꼴리는대로 처 섞어서 모래성 만들고 무너지는데..
혹시 답변해 주실 지 잘 모르겠지만 타이베이 101 타워의 추가 흔들리는 것과 F = ma의 공식이 어떤식으로 해서 성립되는 지 이해를 못하겠어요ㅠㅠㅠㅠㅠ
추의 무게가 상당하지만 건물 전체의 무게로 본다면 0.5%를 차지한다 하신 말씀도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ㅠㅠ
실제 초고층 건축물의 진동을 설명하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F=ma로 단순화하여 설명한 것입니다. 건물에 같은 힘 F가 작용했을 때 추에 의한 질량 m이 커지게 되면 가속도 a가 작아지기 때문에 속도의 변화가 적고 건물의 고층부의 흔들림도 줄어들게 되는 것을 이야기한 것입니다.
@@김다인-b3e 이 부분은 초고층 건물에 저렇게 무거운 추가 달려있으면 무너지는 것은 아닌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있어서 언급한 내용입니다.
셀트리온? 뭐죠...무료라던데...사기아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