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방법으로 뺄셈을 이용해도 됩니다. 1. 숫자를 일의 자리와 나머지로 분리합니다. 2. 일의 자리수에 2를 곱합니다. 3. 그 결과를 일의 자리를 분리한 나머지에서 뺍니다. 4. 새로운 숫자가 7의 배수인지 확인합니다. 5. 만약 새로운 숫자가 여전히 크다면,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6. 결과가 0이거나 7의 알려진 배수가 나오면, 원래 숫자는 7의 배수입니다. 예를들어 203을 보면 1. 203의 마지막 자리수를 제외한 숫자: 20 2. 마지막 자리수(3)에 2를 곱한 값: 6 3. 두 숫자의 차이 계산: 20 - 6 = 14 4. 14는 7의 배수이므로, 203도 7의 배수입니다.
음이 아닌 정수 a, b, n에 대해서 주어진 수를 10a+b로 두고 a+5b = 7n이 성립할 때 10a + 50b = 70n이므로 10a + b = 10a + 50b - 49b = 70n - 49b = 7(10n - 7b) 여서 7의 배수가 되는 건가요? 신기하네요.
지나가던 갓 20살 드디어 뭔가 증명 할 수 있을꺼 같은 영상이 나와 도전해봄당 어떤 수 p를 10으로 나누고 나머지를 표시해 봅시다. 수식으로 정리하면 p= q×10 + r 꼴로 쓸 수 있고 이게 7574= 757×10 +4 처럼 일의자리와 따로 구분한 상황이죠. 영상에 나온대로 r×5를 하고 q와 더하면 q+5r 다시 정리해보면 p= (q+5r) ×10 - 49r 이때 q+5r (위의 숫자로 치면 757+5×4)이 7로 나뉘어 진다면 (q+5r)×10또한 7로 나뉘어지고 49r또한 7로 나뉘어 짐으로 p는 7의 배수 입니다. 이때p는 양의 정수이며 q와 r또한 양의 정수입니당 끝!
비슷한 방법으로 뺄셈을 이용해도 됩니다.
1. 숫자를 일의 자리와 나머지로 분리합니다.
2. 일의 자리수에 2를 곱합니다.
3. 그 결과를 일의 자리를 분리한 나머지에서 뺍니다.
4. 새로운 숫자가 7의 배수인지 확인합니다.
5. 만약 새로운 숫자가 여전히 크다면,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6. 결과가 0이거나 7의 알려진 배수가 나오면, 원래 숫자는 7의 배수입니다.
예를들어 203을 보면
1. 203의 마지막 자리수를 제외한 숫자: 20
2. 마지막 자리수(3)에 2를 곱한 값: 6
3. 두 숫자의 차이 계산: 20 - 6 = 14
4. 14는 7의 배수이므로, 203도 7의 배수입니다.
어림이 더 쉽지 않나요?
여기서 결과가 0이 되면 그수는 21로 나눌수 있습니다
스펜스의 방법이네요. 자릿수를 줄여서 특정 수로 나누어떨어지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다른 수에 대한 식도 기억해두면 꽤나 괜찮긴 합니다. 13의 배수 같은 거도 어떤 자연수가 10a+b로 이루어져 있다면 a+4b가 13으로 나누어떨어지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폐위머야
너무 큰 수는 먼저 1001이 7의 배수임을 활용합니다ㅎㅎ
지능이 대체 어떻게 되어버린거
@@hdi-cilg9869배수판별은 더하기랑도 연관이 있자나. 1001을 7개 빼면 7574가 567이 되고 560+7이니까 판별하기가 수월하지
@@hdi-cilg9869너야 말로 지능이ㅋㅋ
지능이 너무 높아서 어떻게 된거 아니냐고 올려쳐준거 아님???
ㄷㄷㄷ 개꿀팁
쉽죠?.. 라고 하는데서 제 인연의 바운더리를 다시 느껴봅니다.
가끔 차 뒷자리보고 소수인지 생각해보는데 개꿀팁이네요
음이 아닌 정수 a, b, n에 대해서 주어진 수를 10a+b로 두고 a+5b = 7n이 성립할 때 10a + 50b = 70n이므로 10a + b = 10a + 50b - 49b = 70n - 49b = 7(10n - 7b) 여서 7의 배수가 되는 건가요? 신기하네요.
스펜서!!!!!!!!!
11의 배수: 홀수번째 자리의 숫자의 합과 짝수번째 자리의 숫자의 합의 차이가 11의 배수
이런 방법도 좋지만 수의 본질을 아는 게 더 중요하다 그니까 난 이 방법 써야징
7은 숫자 abc에서 (10a+b)×3+c가 7로 나누어떨어지면 7의 배수이고 숫자 abcd라면 (100a+10b+c)×3+d가 7로 나누어떨어지면 7의 배수입니다! 일의 자릿수를 빤 나머지 자릿수에 3을 곱하고 일의자릿수를 더하고 7로 나누는거죠! 나누어떨어지면 7의 배수입니다
3자리 교대 가감후 2+
마지막 자리를 2배한다음에 앞에 숫자에서 빼는 방법도 있더라고요
A + 5B 랑 A - 2B 랑 7B 만큼 차이나니 가능한듯
오호 그렇군요
ㅇㅇ이게 더 빠름
n=10a+b 7배수면
5n=50a+5b도 7배수고
7배수 49a 뺀 (a+5b)도 7배수
약간 더 쉽게 하면
7배수 21a에서 20a+2b 뺀 a-2b도 7배수
와 씨 나만 그동안 이거 몰랐음? 2랑 5는 느낌상 알고는 있었는데 딴애들은 몰랐네... 그동안 나눗셈은 감으로만 했었는데 이런
2는 마지막 자리가 짝수와 0!
0! = 1
@@No_Eul ㅋㅋㅋ
다른 방법이 여러가지인데 제가 아는 건 백의 자리 이상의 수들을 2배하고 뒤의 두 자리 수와 더하는 걸 반복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4053 =40×2+53=133=1×2+33=35
이므로 4053은 7의 배수
그리고 4053=7×579
7배수 판정법 현우진쌤이 뉴런에서 알러줬는뎅... ㅋㅋㅋㅋ
뉴런 확통에 나오노?
@@케이트-s3n 놀랍게도 수1 수열이었던걸로 기억함
@@황선우-r8n 나때 뉴런에는 그 딴 거 없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2025 뉴런 수1임?
@@케이트-s3n 맞음 근데 어차피 2024재탕한거라 2024버전이라 봐도 무방
대신 이 방법의 단점은 나머지를 알 수 없다는 거임
10a+b. a+5b=7n. 70n=10a+50b
70n-49b =10a +b=7(10n-7b)이런느낌인가 a b n다 음수가 아닐때
4자리 이상은 95보다는 1001도 7의 배수니까 이거 쓰는게 더 편하던데
3자리씩 끊어서 더하고빼고 반복하는것도 가능
맨날 학원에서 몰라고 돤다고 넘어가는데 ㄴㅇㅅ
사실 그냥 7로 나누는게 더 쉬워보인다
7의배수 누렁에서 현우진씨가 알려줌 ㅋㅋ
수1뉴런 수열파트 아시는구나
1001=7×11×13 이라 13의 배수 판별법까지는 개 껌
괴랄한 소수 3개가 종합 선물세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쩌네
지나가던 갓 20살
드디어 뭔가 증명 할 수 있을꺼 같은 영상이 나와 도전해봄당
어떤 수 p를 10으로 나누고 나머지를 표시해 봅시다.
수식으로 정리하면
p= q×10 + r 꼴로 쓸 수 있고 이게
7574= 757×10 +4 처럼 일의자리와 따로 구분한 상황이죠.
영상에 나온대로 r×5를 하고 q와 더하면
q+5r
다시 정리해보면
p= (q+5r) ×10 - 49r
이때 q+5r (위의 숫자로 치면 757+5×4)이 7로 나뉘어 진다면
(q+5r)×10또한 7로 나뉘어지고
49r또한 7로 나뉘어 짐으로
p는 7의 배수 입니다.
이때p는 양의 정수이며
q와 r또한 양의 정수입니당
끝!
수정) q와r은 0도 가능합니다.
신기방기 ㅋㅅㅋ
나뉘어지다 : 이중피동
@@맏다오호 나누어지다로 바꿔야 하겠군여 수학채널에서 국어로 지적받을 줄은 미처 생각 못했네여 감사함당
정승제가 알려줬던 기억이
3자리 교대 가감도 되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a,b가 정수이고
10a+b가 7의 배수일때
3a+b도 7의 배수입니다
이에 5를 곱한 15a+5b 또한 7의 배수입니다
그러므로 a+5b 또한 7의 배수임을 이용한 것 같네요
why?
정수론 관점이구나
오홍
ㅋ
12345689의 배수가 아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