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 130억짜리 집의 유일한 단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TV러셀 출연신청 및 광고제안]
    ✉️공식 이메일 : official.tvrs@gmail.com
    ✉️인스타그램DM : han.gl/OIzAH
    TV러셀의 컨텐츠는 여러분의 소중한 경험으로 만들어집니다.
    감사합니다.
    출연자에 대한 악플과 인신공격 비방성 댓글은 무조건 삭제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1,8 тыс.

  • @Enlightenment.1st
    @Enlightenment.1st Год назад +12726

    무조건 기둥식이 좋음. 울나라 아파트 층간소음의 근본적 원인이 벽식구조여서임.

    • @부산의향기
      @부산의향기 Год назад +280

      제가 건축과인데 이유를 알수있을까요? 전 리모델링 장점말곧 몰라서

    • @unfuhahaha
      @unfuhahaha Год назад +1635

      ​@@부산의향기기둥식이라 함은, 기둥과 기둥을 잇는 대들보가 있다는 얘기이고, 그 말인즉슨 곧 윗층의 바닥과 아랫층의 천장이 분리되어 있고 그 사이에 들보가 있다는 말임.
      반면에 주거용 아파트 대부분의 구조는 윗층의 바닥이 곧 아랫층의 천장인 형태이고, 이 구조는 소음과 진동이 다이렉트로 전달됨. 앤드플러서 그 소음과 진동이 기동이 아니라 내력벽을 타고 사방으로 전달됨. 그러니 윗층만이 아니라 윗층의 옆집 소음과 진동까지 전달됨. 계단식이 아니라 복도식이면 더욱 대환장파티가 벌어짐.

    • @호루루기
      @호루루기 Год назад

      ​@@unfuhahahaㅂㅅ이네 기둥식 구조에 거너를 쓰는 이유가 층간소음 때문이냐 기둥과 기둥사이에 벽체식처럼 월이 없으니 슬라브를 깔수가 없으니 설치하는거고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하는 목적이지 층간소음 이지랄

    • @jhlee261
      @jhlee261 Год назад +422

      ​@@부산의향기건축과 아닌것 같은데?

    • @jhlee261
      @jhlee261 Год назад +272

      ​​​@@unfuhahaha 정답 라멘조와 벽식 구조의 설명 잘 하셨네요.

  • @bihukim3617
    @bihukim3617 Год назад +9617

    층간소음은 간단하다. 바닥을 두껍게 하면 되는데 건설사는 절대로 안한다. 철근도 빼먹는 놈들인데...국토부가 소음기준 올리면 되는데...그놈들이 그놈들이라..

    • @DrifterNHS
      @DrifterNHS Год назад +524

      바닥두께가 두껍다고 끝나는거 아님. 공진특성도 달라질거고 기본적으로 실내 공간은 소리가 울릴 수 있는 넓은 공간이기 때문에 마감재에 흡음재 방진재를 추가하는게 맞음.

    • @innijo6026
      @innijo6026 Год назад +538

      테스트 결과로도 바닥을 더 두껍게 하면 층간소음 확 줄어드는걸로 나왔었죠.
      건축법적 기준이 높아졌음 하네요

    • @한숨두숨-c9g
      @한숨두숨-c9g Год назад +282

      이명박이 법을 바꾸서 그래요

    • @sunjong0649
      @sunjong0649 Год назад +93

      바닥을 일정 간격 두고 두겹으로 해야 돼는데 그렇게 안합니다. 원래는 10년 전 부터 그렇게 하게 법으로 돼어 있는 걸로 압니다. 법을 바꾼적 없다면 제 말이 맞는거고요 두겹 아니면 층간 소음 없에는거 불가능 합니다.

    • @PangPangTerrible
      @PangPangTerrible Год назад +72

      ? 소음기준이랑 슬라브 두께는 이미 법적으로 나와잇음 시공사 감리가 제대로 안하는거 뿐임

  • @붕어빵-u7w
    @붕어빵-u7w Год назад +938

    130억을 투자해서 집을 사도 층간소음이나 신경써야하는 대한민국의 현실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8

      땅값이 대부분이지 건축비는얼마안함 ;;

    • @qIIIllIldj3h
      @qIIIllIldj3h Год назад +53

      ​@@grx1988얼마안하고 나발이고, 돈을 그렇게 많이 받아먹으면서 철근빼먹고

    • @qIIIllIldj3h
      @qIIIllIldj3h Год назад +26

      ​@@grx1988방음재 안넣어서 층간소음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qIIIllIldj3h 건축비가 정상적으로 만들 수 있는 단가가 아니라구요 ;;;글읽기도 안되는 수준이라니

    • @qIIIllIldj3h
      @qIIIllIldj3h Год назад

      @@grx1988 니가 고졸이라 말을 못하는듯.

  • @JW-7
    @JW-7 Год назад +2528

    지은 지 50년 다 되가는 삼익아파트 서식중인데 천장이 진짜 낮음에도 불구하고 층간소음이 없음. 못 박으려면 드릴 없인 못 못박음. 바닥이건 벽이건 무식하게 두껍고 단단함. 사실 벽식구조도 제대로 두껍고 단단하게 지으면 층간소음 없음. 층간소음은 철근 빼먹고 바닥 얇게 해서 짓는 게 가장 큰 원인임.

    • @Yanghougaetghje
      @Yanghougaetghje Год назад +9

      금천구 삼익아파트?

    • @strikelucky5253
      @strikelucky5253 Год назад +122

      벽이 무식하게 두꺼운 이유는 전에 전쟁대비 격납고 비슷한 개념으로 지어서 그래

    • @SAI-n4o9d
      @SAI-n4o9d Год назад +30

      @@strikelucky5253전혀 모르고 있었다…🤯

    • @게임개발자-u3m
      @게임개발자-u3m Год назад +117

      저도 두세달전 센텀삼익 이사왔는데 아파트 첨살아보는데 층간소음이 뭔지도 몰겠네요 ㅋㅋ 다리무너지고 삼풍무너지던 시기에 지어진 42년된 아파트라 그런지 겁나 튼튼해요

    • @JW-7
      @JW-7 Год назад +77

      @@게임개발자-u3m 42년 전이면..;;; 전두환 대통령 시절 아닌가요? 삼풍은 김영삼 대통령 때 무너진.. 그러고보니 삼익 우방 청구 다 튼튼한 아파드들을 짓던 회사인데 셋 다 망했다는...

  • @솔솔-v6m
    @솔솔-v6m Год назад +181

    신기한게 기준을 강화해서 아파트 지으면 층간소음 없는 거 다 아는데 아무도 바꾸려하지 않음. 국회의원 뽑을때 관련법 강화하는 사람 찍어주겠다고 하면 되는데.
    한표 한표의 힘을 믿고 미리 포기하지 않기

    • @somang2020
      @somang202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우리나라는 항상 건설사들이 지지하는 자가 대통령이 됨.

    • @Ooppessie
      @Ooppessi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우리나라 국회의원은 공익을 위해 존재하지 않음. 개개인의 이익을 위해 존재할 뿐

    • @솔솔-v6m
      @솔솔-v6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Ooppessie 그래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일하게 만들어야 함. 수단방법 가리지 않고 부자되는건 부끄럽게. 정직하고 근면하고 약자를 보호하기위해 노력하는게 존경받는 일이 되도록

  • @sdkang2520
    @sdkang2520 Год назад +3575

    기둥식 구조는 내진에 좋고 수명도 오래갑니다.
    건설회사는 기둥식 구조가 공사비가 비싸기 때문에 절대로기둥식으로 안합니다.
    단점은 : 공간활용도는 떨어집니다.(기둥때문에 못쓰는공간이 생깁니다.)

    • @junbeompark8459
      @junbeompark8459 Год назад +31

      절대x 사업성o 주상복합은 99%기둥식입니다.

    • @junbeompark8459
      @junbeompark8459 Год назад +53

      기둥 뒤 deadspace가 있어 죽는 공간이 생기는 것이지 경간이 훨씬 길기때문에 공간활용은 좋다고 해야함

    • @kwan7979
      @kwan7979 Год назад +57

      반대에요 벽식구조가 내진에 훨씬 유리해서, 기둥식구조도 코어(보통 엘레베이터실)같은 경우는 벽식구조로 설계하고 해당 벽체가 지진에 저항하는 구조입니다. 벽식구조가 물량이 더 많이 나올뿐더러 기간도 더 오래 걸립니다 같은높이 같은 면적이면 돈도 벽식구조가 더 많이 들어요 다만 아파트는 세대단위로 돈을 받으니까 층고에서 이득인 벽식구조를 사용합니다

    • @야라구해
      @야라구해 Год назад +4

      알못이 아는척하누ㅋㅋㅋ

    • @げんじ-w2y
      @げんじ-w2y Год назад +7

      기둥식이 내진에 좋아요?

  • @justinrah3085
    @justinrah3085 Год назад +1234

    바닥을 두껍게 안짓는 건설사와 그걸 용인해주고있는 국토부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13

      건축비 오르면 집값오른다고 지럴 할거면서 ㅋㅋ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8

      @@user-ur6hs7dt2c 현실은 그 몇백도 안내고싶어하는 인간들 천지 입니다;;;; 그리고 정상적인 품질 나오려면 단가 30프로정도는 더 올라야해요

    • @ahrtjd
      @ahrtjd Год назад

      ​@@grx1988이미 방음처리 한돈 받고 있잖아 안해서 문제지ㅋㅋㅋ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3

      @@ahrtjd 방음재기본 30t는 깔려요 돈들어가는만큼 품질 나오는거지

    • @김마리우스
      @김마리우스 Год назад +13

      ​@@grx1988뻥좀 치지 마라 가구당 200만원 이면 된다고 하는데 뭔

  • @daejipark
    @daejipark Год назад +4164

    기둥이 튼튼하게 받치기 때문에 안전성에도 훨씬 비교가 안될만큼 튼튼합니다.

    • @이우영-j3v
      @이우영-j3v Год назад +33

      이번 순살아파트 전부 기둥식구조입니다
      그만큼 기둥을 빼먹기 쉽습니다

    • @형이-w7s
      @형이-w7s Год назад +234

      ​@@이우영-j3v정상적으로지엇을때 기준이지 뭔 다빼먹은걸말하냐

    • @qyeniic
      @qyeniic Год назад +86

      ​@@이우영-j3v벽식도 빼먹으면 자빠집니다 ㅋㅋ

    • @wtf_is_this_handle_thing
      @wtf_is_this_handle_thing Год назад +18

      어차피 다 구조계산 하고 짓는거라 안전하게 지으면 다 안전하고 날림으로 지으면 다 무너집니다

    • @수덕-p1j
      @수덕-p1j Год назад +3

      ​@@이우영-j3v알고말하는거임? 기둥식 아파트?

  • @s_______z
    @s_______z Год назад +1252

    기둥이 저렇게 건물을 받치고 있으면 리모델링할 때 벽 그냥 다 허물고 아예 다르게 구조변경할 수가 있어서 좋음
    벽식은 벽이 건물을 받치고 있는거라 벽 허물면 큰일남ㅋㅋㅋ

    • @롤러코스터-n3u
      @롤러코스터-n3u Год назад +87

      이렇게 설명했어야 했는데 여자분이. 설명이 이해가 확 됨.

    • @magingga
      @magingga Год назад +10

      ​@@롤러코스터-n3u아 그말씀이 이 말씀이었군요

    • @nagama7104
      @nagama7104 Год назад +1

      ​@@user-ur6hs7dt2c하루 자가지고는 알수가 없죠 최소한 일주일은 자봐야죠

    • @himom908
      @himom908 Год назад +1

      애들이 생활을 안하니까

    • @BLACKROSE-gt1cx
      @BLACKROSE-gt1cx Год назад

      ​@@user-ur6hs7dt2c 토끼라서 ?

  • @rayra1074
    @rayra1074 Год назад +498

    필리핀 콘도 살때 층간소음 겪은 적이 한번도 없다.
    우리나라 건설업계는 분명 문제가 있다.

    • @마쉬나-g8v
      @마쉬나-g8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난 필리핀 콘도살때 태풍때 천장 무너진적 있었는데..

    • @박에녹-s4i
      @박에녹-s4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마쉬나-g8v 저도요 ㅋㅋ..

  • @난다정
    @난다정 Год назад +325

    미국은 유명한 멘션은 기둥식이라 100년 넘은 멋진 아파트들도 많죠. 기둥식은 허물지 않고 고쳐쓰면 되는데 한국은 벽식이라 다부수고 새로 지어야 함. 부동산하면 건축도 약간 알긴 알아야 하는데...

    • @brownsuny
      @brownsuny Год назад +2

      기둥구조면은 유행에 따라 벽 다 허물고 리모델링이 가능하겠군요!

    • @꼰미남-z3r
      @꼰미남-z3r Год назад +34

      ㅇㅇ 우리나라는 싸다고 벽식으로 지어놓고 30년마다 때려부시고 짓고 반복하는데.... 어느게 진짜 싼지 몰라 ㅋㅋㅋ 재건축하다하다 안되는 그 시점에 걸리면 그 집주인은 D지는 거임 ㅋㅋㅋㅋ.. 인구감소도 오는데 유력하게는 20년 후부터는 엥간한 서울지역도 재건축이 안될 거라고 봄...

    • @bca749
      @bca749 Год назад +10

      30년 된 아파트를 구리고 낡았다고 폄하하는 문화가 크다고 봅니다. 실제로 해외? 흔히 유럽들의 국가와 한국에서의 부동산은 개념이 많이 다르거든요. 콘크리트의 수명은 외국에서 흔히 보여지듯 상당히 길지만 건물에는 그게 다가 아니죠. 내외부에 들어간 설비들의 수명은 그보다 한참 못합니다. 고친다고 낡고 오래된 집에는 비싼돈 내서 안들어가요. 그러니까 부수고 다시 짓는 겁니다. 돈이 되니까.

    • @rudiments77
      @rudiments77 Год назад +5

      빨리 부수고 빨리 올려야 또 빨리 부수고 또 빨리 올리고... 건설사의 큰 그림...

    • @user-mf7hh5ch7y
      @user-mf7hh5ch7y Год назад

      ​@@꼰미남-z3r 강남,서초 부근은 인구반토막이 나도 살아남을수밖에 없음 ㅎㅎ
      영원하라~ 강남,서초여 !!!!

  • @user_applejuice
    @user_applejuice Год назад +284

    유현준 건축가가 쓴 공간의 미래라는 책에서 읽던게 생각나네요. 짧게 기억나는데, 기둥 건축물이 좋은게 층간 소음 뿐만이 아니라 이 건축물로 새로운 공사시에 환경 친화적이라고 했었어요. 벽 건물은 벽으로 막혀있어서 건물의 구조를 바꾸기가 힘들고 낡은 건물들을 새로운 공간으로 활용하기 힘들다고 했고요. 벽건물들은 먼 훗날 활용이 쉽지가 않아 웬만하면 부수고 건물을 다시 짓는 수 밖에 없다고 해요. 그에 비해 기둥 건축물들은 이리저리 구조를 바꿀 수 있다고 합니다. 뻐대가 기둥인지라 낡은 건물을 탈바꿈 하기가 쉬워서 세워진 건물을 허물고 다시 짓는 것보다 있는 건물을 수정해서 탈바꿈 하는 것에 들어가는 재료들 소비를 훨씬 덜 하니 환경적으로도 좋다구요. 기둥 건축물들의 예로는 맨하탄 소호 지역이나 요즘 핫한 성수동인데, 기둥식 건축물의 공간 변형 가능으로인해 옛 공장들을 지금의 문화의 장소들로 리모델링을 할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며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에 대하여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저랑은 전혀 관련 없는 분야인데 책에서 봤던 내용을 이렇게 유튭에서 보니 반갑네용

    • @ahrtjd
      @ahrtjd Год назад

      ​@@user-ur6hs7dt2c관련 영상들 한번 둘러보고 오세요 법 때문에 방음재를 스티로폼 5cm도 안되는걸로 까는 아파트들이 많아서 그런거지 방음재 좋은것들 깔면 층간소음 확 줄어듭니다

    • @션미스터-v6k
      @션미스터-v6k Год назад

      유현준이 무식한 애다..하버드ㅡ도시개발업자들 교수한테 수학해.. 편식만 아는 자다..이런자가 나라 망가 뜨리는거다.

    • @밍수르-g9m
      @밍수르-g9m Год назад +6

      와 책에서 본 걸 이렇게
      상세히 기억하시다니 부러워요

    • @오즈-m6e
      @오즈-m6e Год назад +1

      @@user-ur6hs7dt2c호텔 층간소음 심하던데요ㅠ

  • @박경민-t8f
    @박경민-t8f Год назад +148

    원래 층간소음 무조건 윗집 문제라고할수도 없은 법이 바뀌면서 시공사들이 편법쓰면서 층간소음이 너무 심해짐.. 솔직히 걷기만해도 쿵쿵 울리는게 아파트 현실인데 집값운 몇십배 올리면서 자재는 개싸구려쓰니까...

  • @김현호-y8v
    @김현호-y8v Год назад +101

    건축 일하는 사람입니다 기둥은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건축 목적으로 만든 것이고 층간 소음은 바닥 벽 방음소재 설치하면 90% 이상 잡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기둥식이라해서 층간 소음 관계는 크지 않습니다
    구조적으로 방음자제 사용하고 안하고 차이 자제부터 시공까지 비싸다보니 생략 한 것

    • @참새새낑
      @참새새낑 Год назад +3

      @@user-ur6hs7dt2c들리는 호텔 많음

    • @sckim9735
      @sckim9735 Год назад

      ​@@user-ur6hs7dt2c호텔은 집에서에 비해 사람들이 비교적 조용히 쓰죠^^

  • @에일라거-k8i
    @에일라거-k8i Год назад +366

    일반 아파트들은 실내구조에 있는 벽들이 하중을 받치고 있어서 리모델링할때도 쉽게 트는 공사를 못합니다
    주복들이나 타워형 아파트들은 기둥식이라서 나중에 공간분리 리모델링할때 좋아요
    거실이 너무 넓으니깐 방을 하나 더 만드는 구조로도 할수가 있고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5

      싸게 만들기위해 저위치에 기둥이 존재하는거죠 다 돈문제 ;;

    • @LHhhhhhhhh
      @LHhhhhhhhh Год назад +41

      @@grx1988기둥용 철골 h빔이 비용 더 들어가는데 알고나 말해라 ㅋㅋㅋ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4

      @@LHhhhhhhhh 내가 벽식구조랑 비교하는 말인줄아니? 아는게 없는거 같으니 설명 안함

    • @LHhhhhhhhh
      @LHhhhhhhhh Год назад

      @@grx1988 벽식구조 기둥식구조 비교하는 댓글에 달아놓고 아닌척 오지노 ㅋㅋㅋ 멍청한거 티내죠?

    • @Oops2585
      @Oops2585 Год назад +5

      @@grx1988 오.... 돈좀 들이면... 기둥없는 건물 지을 수 있는거냐????

  • @kspcad
    @kspcad Год назад +136

    층간 흡읍제만 넣어도 층간 소음 없는데,
    이 나라 건축법 진짜 이해가 안된다.
    건설사 카르텔이 있는 것 같음.

    • @aabaaxsdag
      @aabaaxsdag Год назад +3

      층간차음제 시공시작한지가 언젠데 ㅋㅋㅋㅋ거의 대부분의 아파트 바닥에 층간차음제 다 시공돼있습니다. 층간차음재 시공해도 층간소음 있어요 외국 아파트나 콘도, 맨션가보시면 기절하시겠네

    • @grx1988
      @grx198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본인이 모른다고 마무말 지어내서 사실인냥 카르텔 거리고있네;;

  • @런빌
    @런빌 Год назад +908

    벽식보다 기둥식이 층간소음에 제일 좋습니다ㅋ

    • @부산의향기
      @부산의향기 Год назад +6

      제가 건축과인데ㅠ이유를 알수있을까요?

    • @Ham-kl5od
      @Ham-kl5od Год назад +27

      ​@@부산의향기지나가던 전자공인데 아마도 벽식은 벽과 각층들이 꽉 들어차있어서 소음과 진동이 바로 전달되고
      기둥식은 층간사이가 좀더 비어서 소음과 진동이 덜 전달될것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 @nain9258
      @nain9258 Год назад +25

      @@부산의향기 모멘트 하중전달을 배우셨으니 그걸로 이해하면 빠릅니다. 슬라브, 보, 기둥으로 하중이 전달되니 진동도 그렇게 전달됩니다. 전달되는 단면적이 한정적이죠~그에 반면 벽식조는 슬라브 전체 소음과 하중이 내력벽에 전달되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칸막이벽 전체가 구조벽체이니 상대적으로 진동과 소음이 많이 전달되는 구조자체가 소음과 진동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물론 공간도 영향을 주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여기에 있습니다~

    • @tjddnr1331
      @tjddnr1331 Год назад +9

      기둥식 집에 살고 있는데 발망치에는 답없습니다..

    • @PVICOSTan
      @PVICOSTan Год назад +10

      ​@@부산의향기 전기전공도 알고있는 내용을 왜 건축전공이 모르노

  • @꼰미남-z3r
    @꼰미남-z3r Год назад +152

    기둥식은 관리만 잘하면 몇백년도 그냥 쓸수가 있고 배관교체나 내부공간배치 변경 쌉가능... 미래예언하나 하자면 울나라 벽식으로 지은 아파트들 재건축할 연한오면 다 골로 간다.. 지금부터라도 아파트는 기둥식으로 지어야함..

    • @jmw03jan
      @jmw03jan Год назад +2

      근데궁금한데 오피스텔말고 기둥식으로지은 아파트가 있긴해요?

    • @jmw03jan
      @jmw03jan Год назад +4

      아파트에 기둥식이 있긴해요?
      지하주차장쪽말고 세대쪽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 @jaeunha5
      @jaeunha5 Год назад +3

      @@jmw03jan80년대 보면 많음

    • @jmw03jan
      @jmw03jan Год назад +1

      @@jaeunha5 아 구십년대 이후건물들만보다보니몰랐네요
      영상처럼 집안에 기둥이 있는건가요?

    • @jaeunha5
      @jaeunha5 Год назад

      @@jmw03jan 왕궁멘션 찾아보세요

  • @user-yv5zm8en7p
    @user-yv5zm8en7p Год назад +160

    기둥 튼실한거 보니 짱짱하게 잘 지었네

  • @몽카작
    @몽카작 Год назад +53

    무조건 기둥식이 좋은건. 내부공간을 강당과 같이 넓게 뽑을 수 있고, 층간소음이 적고, 실내 구획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다.

  • @gomtank3357
    @gomtank3357 Год назад +7

    기둥식 상가 사용중인데 층간 소음 안 없어집니다.
    조금 효과가 있을 뿐이죠

  • @ROC_PLY
    @ROC_PLY Год назад +16

    바닥을 두껍게 만드는 법개정을 해야함. 그냥 떼먹을라고 그짓거리 하는건데 주민끼리 싸움조장이나 하고

  • @butterflymoment12
    @butterflymoment1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미국 살때 진짜 층간은 지옥이라 항상 탑층만 고집하다 어떤 7층 아파트의 2층에 들어갔는데 정말 단단한 콘크리트로 바닥이 되어있고 윗집서 프라이팬같은거 떨어지는 소리 아니면 하나도 안들리더군요.. 그때 아 정말 단단하게 지으면 안들린다는걸 깨달음..

  • @Mijah-ff8ib
    @Mijah-ff8ib Год назад +22

    미국 캐나다 High-rise condo 를 살았던 1인 입니다. 저렇게 생긴 콘도에서 5군데 살았어요. 단 한번도 층간소음 때문에 신경쓴적 없어요. 확실한건 저게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전 좋았어요.

  • @workoutpa
    @workoutpa Год назад +10

    100억 넘는집에 사는데 층간소음있는건 진짜 이해할수가없네.... 건설회사들 가격만 프리미엄으로 받는거 언제까지하려나...ㅋㅋ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뇌없는 그대 지능수준이 이해불가 땅값이 비싼거지 건축비가 비싼줄아네 ;;;

  • @벨크라넬-d4w
    @벨크라넬-d4w Год назад +33

    예술의전당을 건축하신 고 김석철님의 건축물 중에 가든테라스라고 EBS 유튜브도 존재하는 유명한 건축물이 있는데 층간소음이 거의 없다고 했음. 개같이 지어서 그렇지, 제대로 한 층 한 층 지으면 아이들이 뛰면서 걷는 층간 소음은 거의 없다고 봐야함.

    • @grx1988
      @grx198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똑바로 지으면 건축비 올라가는데 소비자는 싼거만 원하는데요? ;;;

    • @wrongitstea
      @wrongitste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grx1988 뭔 개소리여 이리 저리 이사다니면서 수년째 층간소음에서 못벗어 났는데 층간 소음 없다고 하면 나같으면 웃돈 주고도 들어가겠다

    • @grx1988
      @grx198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wrongitstea 말만 그렇게하지 실제 소비자 대다수는 싼거만 찾아요 조합원 한번 못햐보신듯?ㅋㅋ

  • @north7star
    @north7star Год назад +9

    벽식구조도 벽식구조인데 바닥 방음
    제데로 안하는거도 큼
    바닥만 제데로 공사하면벽식이여도
    소음 많이 줄일 수 있음

  • @Tanghuru888
    @Tanghuru888 Год назад +61

    층고가 지금보다 50cm만 더 높아도 기둥구조가 아니라도 층간소음 굉장히 완화 될 거라고 생각함.

    • @bca749
      @bca749 Год назад +13

      50cm씩 20층 짓는다고 생각하면?
      20 x 50cm 1,000cm
      1,000cm 는 ? 자그마치 10m
      10m면 몇개층? 3개층~
      3개층에 양쪽 호수 달면 6세대
      1세대에 3억씩만 쳐도 얼마? 18억~
      넌 왜 라인당 18억 손해 보고 사업해?
      층고 낮추면 더 들어갈테고 동에 라인 하나만 있는 것도 아니며 동이 하나만 있는 것도 아니니까 대충 3개 라인에 5개 동?
      18억 x 3라인 x 5개동
      270억 손해를 왜 감수하겠어? 이게 층고제한을 층간소음 완화용 규제에 넣지 못하는, 않는 이유야.
      그럼 이 얻지못하는 수익은 어디로 가?
      입주하는 사람들한테 가~ 집은 집대로 비싸게 사는거야.
      싸게 좋은 물건을 얻고자 하는 심리는 정상인데 한국에서 좋은 게 비싼 건 용납을 못하더라고.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bca749 무슨 말도 안되는 논리인지 고도제한 있는곳은 극히 일부분임 ;;; 있다고 해도건폐 늘려서 다 지어짐 무식아

    • @몽순아빠
      @몽순아빠 Год назад +4

      층간소음은 내력벽을 통하여 전달되기때문에 층고를 조금더 높인다하여 완화되지않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층간소음때문에 윗층을 찾아갔는데 윗층에는 노부부 두분이 조용히 살고계셨고 딱히 층간소음의 요인이 없다면 층간소음은 윗층의 옆집 또는 그 이상의 상부층에서 발생했다고 보시면됩니다.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3

      @@몽순아빠 그50센치가 완충재같은걸로 바닥두께가 되면 소음 덜하겠죠 현실성 없지만;;;;

  • @살기힘들다-p5j
    @살기힘들다-p5j Год назад +17

    옜날보다 층간소음이 심해진 이유가 첫째는 벽식구조가 보편화 되서 층간소음이 여기저기 울림 두번째는 장판을 까는 인테리어에서 어느 순간 강화마루나 타일 대리석 을 까는 인테리어때문에 그렇고 세번째는 벽식구조에 바닥두께가 얇아졌음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자기들 피해보는것에 예민해지다 보니까 예전에는 넘어가던 소리도 지금은 다 트집잡음

    • @ing0441
      @ing0441 Год назад +1

      동의함

    • @Tanghuru888
      @Tanghuru888 Год назад

      핵심은 건설사와 법 문제죠... 사람들이 예민해 지면, 집도 거기에 맞춰서 더 소음처리를 잘 하도록 설계/시공이 되어야 하는데... 평당 1-3천이 넘어가는 아파트들 꼴이...ㅋㅋㅋ

    • @비참새
      @비참새 Год назад

      예전에 넘어가는 소리 기준이 어딨음?
      윗집 개념없는 사람 만나면 말도 안통하고 답 없음

  • @도현길
    @도현길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건설사가
    층간소음 신경안쓰는건.
    통신사가
    보이스피싱 신경 안쓰는거랑
    같은 맥락.

  • @삐약-x6g
    @삐약-x6g Год назад +9

    그냥 기둥식이라는 설명 자체가 기둥식 아파트 마케팅에 사용된 정확치 않은 용어임
    기둥으로 하중을 지탱라는 구조가 라멘식 무량판 두가진데 라멘식이 우리가 말하는 기둥+보 구조로 안정적이고 튼튼함, 보를타고 기둥으로 진동이 분산되어 층간소음 이점 있음.
    기둥식도 무량판은 보 설치비용을 줄이고 공기를 단축하기위한 보급형임(물론 정교하게만 지으면 문제 전혀 없음).
    여기보면 무량판이 소음이나 지진에 강하다 하시는데 소음은 보가 없어 벽식이랑 딱히 차이 없거나 미미하다는 분위기, 지진에 강하다는건...ㅋㅋ
    일본에선 무량판 금기라는것과 실제로도 거의 없는걸로 설명 되죵?ㅋ

  • @Retis1
    @Retis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00억 넘게 주고 들어가는 곳도 층간 소음이 있으면 어디서 살아야할까 ㅋㅋ

  • @hakbxjwkshn2213
    @hakbxjwkshn2213 Год назад +74

    기둥식이 층간소음 막음. 바보들;; 상가 헬스장 밑에층에서 쿵쾅된다고 왜 안하겄냐.
    기둥식이 비용과 공간때문에 안하는거. 벽식도 아파트는 싼거로 처발라서 층간소음 더 날거.

    • @Vancouver-d1r
      @Vancouver-d1r Год назад +15

      말하는 수준은 본인이 바보인데? ㅋㅋ 아니면 귀화 하셨나

    • @hakbxjwkshn2213
      @hakbxjwkshn2213 Год назад

      @@Vancouver-d1r 뭐래 이 ㅈ선족은ㅠ

    • @숏도리-h5r
      @숏도리-h5r Год назад +1

      @@Vancouver-d1r 아..죄송해요..제 아들인데..이제 초딩 4년입니다 ㅠㅠ

    • @piribuisaman2673
      @piribuisaman2673 Год назад +1

      이 사람은 한국말부터 배우고 와야할듯

    • @DiGIMon74
      @DiGIMon74 Год назад +3

      기둥식이라고 층간소음이 조금 좋다는거지 근본적인 충격음은 못막음;; 헬스장은 애초에 주택 위에 짓지도 않고 바닥에 엄청난 진동, 흡음처리가 되어있으니 괜찬은거임. 그게 두께가 몇인줄암? ㅋㅋㅋㅋㅋ 일반 주택도 그렇게 하면 층간소음 1도 없음.

  • @안녕-q1o8v
    @안녕-q1o8v Год назад +20

    저 3 층짜리 주택 사는데
    삼촌이 건설사 하셔서 지어주셨는데
    층간소음 1 도 없음 ..
    진짜 아파트 부실함

    • @grx1988
      @grx198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건 다른이유때문임 ㅎㅎ

  • @김성백-p9f
    @김성백-p9f Год назад +116

    기둥식이 더 좋아요.수명도 길고.장점이 더 많아요

    • @내맘대로산다-v8o
      @내맘대로산다-v8o Год назад +1

      공간이 협소하고 땅값이 비싼 우리나라엔 벽식이 좋습니다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14

      벽식이 경제적이라...싼건축비를 원하는 소비자가 많기에 ~^^

    • @Allallall788
      @Allallall788 Год назад +1

      기둥식은 대형평수 아니면 힘듦 기둥이 거실한편에 방 한편에 자리잡고 있다 생각하면…

    • @w.h7780
      @w.h7780 Год назад +2

      @@내맘대로산다-v8o 가격이 같으면 기둥식이 낫지않겠냐? 요즘 건설업체들보면 철근도 빼먹는데 벽식이라고 제대로 짓겠냐?

    • @DiGIMon74
      @DiGIMon74 Год назад

      ​@@w.h7780같은 가격인데 너 좁은집이면 뭐가 더 좋겠음? ㅋㅋㄱ 기둥식은 작은 평수에선 완전 최악의 방식임

  • @tehonoh3942
    @tehonoh3942 Год назад +15

    벽식 구조에서 기둥식 구조를 처음 시도한 인물은 르 코르뷔지에로 스위스의 전설적인 건축가입니다. 건물의 표면 뒤쪽으로 기둥을 위치시킴으로서 자유로운 파사드와 얇은 외벽, 연속적인 수평창을 가능하게 한 디자인입니다. 이 시도 이전에는 외벽이 건물의 하중을 버텨야 했기때문에 외벽이 두껍고 창문을 작게 만들수밖에 없었습니다. 창문이 클수록 건물의 하중을 담당하는 벽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물러난 기둥이 이 하중을 대신함으로써 창을 마치 화가의 캔버스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것입니다. 창문을 연속적으로 수평으로 연결시킨 파노라마창을 사용할수 있게된것도 이때문이죠.

  • @dr.3844
    @dr.3844 Год назад +5

    기둥식 구조 5년 살았는데 층간 소음은 정도 차이일 뿐 발생함.

  • @bukhansan9483
    @bukhansan9483 Год назад +1

    초고층은 H빕과 데크 플로이트와 콘트리트로 지어지게 됍니다. 일반 아파트는 내리벽 옹벽으로 지어지고요,초고층 아파트는 대형 슬라이딩 창문설치가 불가하고 작은 프로젝트 창문설치만 가능한것이 단점.

  • @김상연-i9h
    @김상연-i9h Год назад +4

    국가가 만든 층간소음을 국민들이 서로 느끼며 사는거지. 국민이 서로 싸우게 만든거지.

  • @현철-e6e
    @현철-e6e Год назад +11

    층간소음 간단하다. 국토부 장관이 맘 먹으면 바로 시정된다.

  • @100hobby
    @100hobby Год назад +57

    기둥 구조는 교과서입니다. 기둥 구조로 하는 게 맞는 겁니다.

  • @ghn-zf9vk
    @ghn-zf9vk Год назад +3

    층간소음의 문제는 건물의 문제도 있지만 층간소음의 원인인 인간들의 청각이 문제가 있어서 그런겁니다.
    아랫집 소음이 발생하면 본인집에너 쿵쿵거리는 소리가 들릿텐데 자기발소리를 못들고 밤듯은 시간에 어른발소리 증말짜증나게 합니다 애들도 아니고 어른의 발뒷꿈치소리 귀청소좀 하시길.

  • @loultv6370
    @loultv6370 4 месяца назад

    층간소음은 공구리를 칠때 잘못 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공구리가 덜 들어가는 경우) 감독하는 분들이 잘해야 됩니다.

  • @문죄인-z7k
    @문죄인-z7k Год назад +4

    기둥식구조는 층간소음 덜한데 시공사가 돈이많이들고 공기늘어나서 안하는거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건축단가가 구데기인데 참 바라는거도 많네요 ㅋㅋ

  • @halfkiwi
    @halfkiw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싱가폴 아파트도 층간소음 없슴.. 바닥을 두껍게 지으면 되는데 비싸서 그렇지

  • @bang_guy
    @bang_guy Год назад +12

    기둥식의 장점 층간소음 및 지진에 강하다.

  • @bigshow1023
    @bigshow1023 Год назад

    상가건물들이 대부분 기둥식으로함
    그래야 안에 들어갈 상가 크기를 마음대로 변경가능하고 들어갔을때 넓은 느낌을 줌

  • @pangpanglove2296
    @pangpanglove2296 Год назад +5

    130억에 층간 소음 스트레스 받으며 왜 사나

    • @user-pg8yueh7v
      @user-pg8yueh7v Год назад

      니까짓게 알필요 없잖아 평생 살수도 없을 인간이ㅋㅋㅋ베베 꼬여가지고 ㅉㅉ

    • @IllIIllIlIIIlI
      @IllIIllIlIIIlI Год назад +1

      자재를 많이 아껴서 지음 ㅋㅋㅋ

    • @gh12si13
      @gh12si13 Год назад +1

      영상 끝까지 봐라. 기둥식이라 미관상 안 좋은 게 단점이라는 거고, 시그니엘이 층간 소음이 있고 저 갤포인지 아포인지는 거의 없다는 거임

  • @koreangenius9739
    @koreangenius9739 Год назад

    아랫집 천정과 윗집 바닥을 하나로 하지 말고 분리형으로 시공하고 층간 공간에 배관, 전선을 시공하면 층간 소음이 없어요.

  • @hee8107
    @hee8107 Год назад +6

    저돈이면 튼튼하고 이쁜 하이엔드 주택을 짓는게 소원이다 ㅠ

  • @TV-og3he
    @TV-og3he Год назад

    개인적으로 다좋은데 집이 크면 개인적으로 기둥식 구조물을 붙박이장? 같은거 주문제작으로 파티션 같이 벽체처럼 직각으로 막아버리고 쓸거 같아요
    그럼 기둥식 구조로 이점은 챙기고 벽처럼 막아서 쓰면 각이 지다보니 결국 공간 손실은 조금 있겠지만 공간분리시 이질감은 덜 할듯

  • @케이-v8z
    @케이-v8z Год назад +15

    여기 살아봤는데 1년도 못살고 나왔습니다. 잘 알아보시고 구매 하시길..

    • @nono-fr8gl
      @nono-fr8gl Год назад

      혹시 저 기둥 외에 치명적인 단점이 더 있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ㅠㅠ

    • @케이-v8z
      @케이-v8z Год назад +7

      @@nono-fr8gl 기둥이 문제가 아니라 주변환경이 그지 같아요

  • @arang94
    @arang94 Год назад +1

    기둥식이 좋은점이 건물수명이 길고, 벽에서 벽거리가 멀면 슬라브에 크랙가는 경우가 생기는데 기둥이 있으면 그것을 방지해줍니다. 지진이나도 기둥근처가 안전합니다

  • @할수있어-g8z
    @할수있어-g8z Год назад +45

    집 소개시켜주는 사람 : 층간소음 감추기
    현재 살고이른 사람 : 층간소음 밝히기

    • @enkjng815
      @enkjng815 Год назад +4

      집 소음있다는 내용은 시그니엘 거주자 사례를 예시로 삽입한 부분...

  • @piribuisaman2673
    @piribuisaman2673 Год назад +8

    하이앤드 아파트에 층간소음이 있는건 그냥 건설사들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땅값이 하이엔드지 건축단가는 아님;;;

  • @치맥이간다
    @치맥이간다 Год назад

    뭔가 둘러대기 급급한것 같다... 기둥이 있어서 층간소음 적다고 할 때 갑자기 층고 높다고 하니까... 뭔가 설득력이 떨어졌어요 ㄷ, 그래서 의문이 가서 댓글 눌러보니까 설명들을 많이 해주셔서 배우고갑니다!

  • @dychung30022
    @dychung30022 Год назад +1

    층간소음은 층간 시멘트 패널이 얇아서 그런겁니다. 건설사들 이익 극대화는 거주자의 피해로 고스란히..
    사람들이 층간소음 당연한 걸로 알고있네.. 얼마나 층간소음이 보편적이면..

  • @QWER-wv5kn
    @QWER-wv5kn Год назад +17

    와.. 저런 아파트들도 층간소음.... ㄷㄷ 오히려 90년대이전에 아파트들이 저아파트들보다 층간소음 적을듯 ㅋㅋㅋㅋㅋㅋ

    • @가즈아-n5j
      @가즈아-n5j Год назад

      그건아녀 80년대 아파트가 무슨 콘크리트 두께 1미터쯤 되는줄아냐

    • @Ajskdlsksne
      @Ajskdlsksne Год назад

      70년대

    • @울랄라-s6e
      @울랄라-s6e Год назад

      90년대 이전 아팟들이 당시 얇아도 강도가 나오게 하는 기술이 부족해서 두꺼움.

    • @나까무라지누스케
      @나까무라지누스케 Год назад +1

      ​​@@울랄라-s6e굵다보니 주파수가 낮아서
      생활소음에 묻이는게 있어요

  • @ghostcatwow
    @ghostcatwow Год назад +17

    시그니엘 층간소음 지린다ㅋ

  • @니니tv-p9u
    @니니tv-p9u Год назад +2

    기둥으로 내력벽을 없애고 파티션 조적으로 공간구분을 하면 옆집부부 연례행사하는 소리가 다들린단다ㅋㅋㅋ

  • @stanley6993
    @stanley6993 Год назад +7

    공법이 바뀌면서 공기는 짧아지고 시공비도 줄게됐지만 소음진동이 타고 퍼지는 건 못 막음.. 오히려 옛날 부모님이랑 살던 오래된 아파트가 층간소음 거의 못 느끼고 살았었음.. 진심..

  • @rnlrnlrnlr
    @rnlrnlrnlr Год назад +1

    기둥에 철근과 콘트리트는 잘 들어갔나요??

  • @parkparkhane-o3x
    @parkparkhane-o3x Год назад +3

    기둥식에 사는딩 진짜 윗집이든 옆집이든 소리 하나도 안들림. 너무 조용해서 뻘줌할 정도😂

  • @Jasonhappy73
    @Jasonhappy73 Год назад

    기둥식이라도 공간활용면은 괜찮을지 몰라도 층간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 시키지는 못합니다.

  • @SUNUP248
    @SUNUP248 Год назад +6

    시그니엘에도 층간소음 분쟁이 있을 정도면, 이나라 건축업계는 답이 없네요. 다들 아파트 포기하고 주택으로 갑시다.

    • @Kukukkkkk
      @Kukukkkkk Год назад +2

      우리나라에서 아파트를 주거공간으로 보냐 ㅋㅋㅋㅋ 금융상품임 아파트는

  • @pinkpong6217
    @pinkpong6217 Год назад +2

    오해들 있으신데요. 구조 안전성 측면에서는 벽식이 더 유리합니다(기본적으로 무량판인 아파트 세대 내부 기준). 횡력 저항 성능과 하중 분산 효과가 더 큽니다. 구조설계 현업 종사자임.

  • @superdriftify
    @superdriftify Год назад +6

    아파트 천고가 3미터가 넘네. 넘 좋다~

  • @Humanity-o6x
    @Humanity-o6x Год назад +3

    미친가격에 살고 있는데 층간소음 있으면 개빡치겠다

  • @1lijliilllii1il
    @1lijliilllii1i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층간소음 이슈에는 층의 두께도 중요하지만 층의 높이가 매우매우 중요하다 한층당 높이 3미터만 되도 윗층 진동이나 소음이 멀게 느껴져서 별로 불편하지 않음

  • @달러킹-x7r
    @달러킹-x7r Год назад +8

    기둥식 구조가 당연히 좋지! 시공단가가 비싸서 그렇지! 요즘 아파트 벽식, 무량장판은 시공비가 싸니깐 그렇게 짖는거고.. 나도 돈있으면 무조건 저런구조로 된집에 산다!

  • @바코드-f5z
    @바코드-f5z Год назад +3

    이웃에게 귀마개 선물을 추천 합니다

  • @정수-j7i9r
    @정수-j7i9r Год назад

    기둥에 액자나 그림같은거 못질안하고 붙이는식으로해서 붙이면 진짜 예쁘겠다ㅠㅠ 꾸미면 너무 예쁠듯ㅠㅠ

  • @qp1261
    @qp1261 Год назад +4

    기둥이 없으면 건물이 무너지죠 ...

  • @kurumi8039
    @kurumi803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둥식은 수선변경이 용이하여 100년도 쓸 수 있습니다. 재건축이 막힐 미래에는 감가가 덜 된다는 거죠.

  • @대한민국-y8p
    @대한민국-y8p Год назад +5

    층고보소 와 가격은 더 미쳤네

  • @현윤-t6i
    @현윤-t6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둥식의 층고는 약 3미터 벽식은 약 2.9미터 그래서 기둥식은 냉난방 가격이 더 들어 간다
    물론 기둥식의 경우 인테리어가 용이한 장점은 있다

  • @drbds0880
    @drbds0880 Год назад +6

    진짜 심각하네...100억대 아파트도 층간소음...ㄱ쓰레기 건설

  • @Fidelio20
    @Fidelio2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층간소음 다 벽타고 들어오는거라 기둥식이 압도적으로 덜함
    두께 문제보다 이게 더 중요

  • @alvinism426
    @alvinism426 Год назад +5

    철근만 안빼먹으면 무조건 기둥식이 좋다.
    층간소음 원인이 벽식구조 때문이다.
    국토부와 국회가 벽식 구조 짓지 못하게 법을 만들어야한다. 돈 먹고 있어서 힘들테지만 국민세금을 먹고사니 제발 국민도 생각해줘라.
    갑자기 위아래집끼리 칼부림 나는일 없도록...

  • @김정은-o2y
    @김정은-o2y Год назад

    기둥식 구조 기본중에 기본인데 최대장점 층간소음이 현저히 줄어듭니다
    옛날아파트가 기둥식인데 기둥만 쭉올라가는게 아니고 상부에 버틸수있는 층이 또있습니다. 벽식구조에 가벽타고 내려오는 소음따윈 없습니다

  • @지은이-w4q
    @지은이-w4q Год назад +14

    아이고 퍽이나 건설사에서 입주자들 층간소음이랑 인테리어 생각해서 저렇게 지었겠다
    그냥 초고층이니까 기둥 박은 거지
    기적의 해석이네ㅋ

  • @Joeycamping
    @Joeycamping Год назад

    내가 못배워서 그러는데 층간 소음은 충간 콘크리트를 충분이 두껍게하고 방음제를 써야되는걸로 아는데 기둥? 호텔 층고가 낮아도 소음 없는건 아낌없는 자제사용이죠

  • @꿀생강차
    @꿀생강차 Год назад +5

    기둥식이 층간소음도 좋고 튼튼하다고 하더라구요 그만큼 비싸고 공간이 안나오긴하지만
    결국 건설사가 싸게 빨리짓고 그럴싸하게 팔아먹고 빨리 노후화 오게해서 재건축으로 또 팔아먹으려면 벽식이 최고 👍

  • @peterpeter77560
    @peterpeter77560 Год назад

    무조건 기둥식구조 아파트를 구입해야 할것 같고요 최대장점은 층간소음이 거의없어서 좋은것 같아요.

  • @분뇨의역류
    @분뇨의역류 Год назад +4

    기둥식은 무량판 입니다. 장점은 천정을 높일 수 있고
    비용절감과 내부구조 변경이 용이합니다.단점은 순살자이에서 보다시피 철근시공이 불량하면 와르르 합니다.
    그러므로 벽식이나 기둥식 구조보다 완전체는 기둥보식
    입니다.

    • @bca749
      @bca749 Год назад +2

      기둥식은 벽식과 달리 무조건적으로 보를 필요로 합니다.
      기둥식 = 무량판으로 보면 안됩니다. 무량판 구조 역시 보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바닥의 슬래브가 두꺼운 것입니다.

    • @분뇨의역류
      @분뇨의역류 Год назад +2

      @@bca749 지금 영상은 무량판입니다.
      그리고 순살자이에서 처럼 무조건적으로 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애초에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 편의성을 위해 보를 없앴는데
      왜 넣겠어요.그리고 기둥식은 무량판이고
      님이 말하는 건 기둥보식입니다.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어느구조든 빼먹으면 다 부실함

  • @sgl7168
    @sgl716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라멘식, 벽식, 무량판 구조가 있는데 라멘식이 가장 튼튼함. 대신 층 사이 간격이 지나치게 두꺼워져서 공간효율이 안좋음. 공사비도 많이들고요. 벽식이 일반적인 아파트구조. 비용과 효율이 가장 좋습니다. 무량판은 기둥박고 대들보 없이 그대로 판을 엎은 구조. 효율과 비용측면에선 좋은데 안전상 위험이 크기때문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 @youarealien7431
    @youarealien7431 Год назад +16

    가격뿐아니라 24시간 에어컨과 난방기 틀어야함

    • @user-mg6wq1up4y
      @user-mg6wq1up4y Год назад +4

      꼭 안 살아본 놈들이..

    • @뱁새-m5k
      @뱁새-m5k Год назад +14

      저런곳 사는사람이 전기세랑 가스비 걱정하겟노 ㅋㅋ 람보르기니 타면서 기름값 걱정하는것과 비슷

    • @youarealien7431
      @youarealien7431 Год назад

      @@user-mg6wq1up4y ㅋㅋㅋ 안살아보셨군요
      유리하고 시멘하고 틀립니다

    • @baekbal_haenam
      @baekbal_haenam Год назад +1

      돈없는 티 내노

    • @youarealien7431
      @youarealien7431 Год назад

      @@baekbal_haenam 일베는 댓글달지 마렴

  • @nostelgia1293
    @nostelgia129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렇게 고층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올리려면 기둥식 말곤 답 없음 그리고 기둥근처에
    데드스페이스 때문에 공간 손해라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님 기둥덕에 내부공간 배치를 반듯하게 할 수 있어서 실평수도 더 넓게 나옴

  • @너와나의시간-w5d
    @너와나의시간-w5d Год назад +14

    130억짜리에 단점이 있는거부터 말이 안되지ㅋㅋㅋ

    • @rudykim89
      @rudykim89 Год назад +4

      130억을 누가 정하나. 수요와 공급이 정하지. 건축비가 130억이 아니자나?

    • @뇌피셜을팩트인냥
      @뇌피셜을팩트인냥 Год назад

      130억짜리에 단점은 가격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건축비는 얼마안함 ;;;

    • @user-pg8yueh7v
      @user-pg8yueh7v Год назад

      단점이 없는게 어딨냐 드ㅇ신아 ㅉㅉ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rudykim89 저런무뇌아들은 땅값 생각도 못해요

  • @치킨마요덮밥
    @치킨마요덮밥 Год назад

    현재 무량판 구조가 설계대로는 층간소음이 거의 없어야 맞습니다. 그런데 시공을 개판으로 해서 그러는거에요.

  • @일름보
    @일름보 Год назад +9

    기둥이 우리집만하뉴

  • @알쓰-o9o
    @알쓰-o9o Год назад

    층간소음에 대해 예전에 어디서 봤는데 상가는 층간소음이 없는데 왜 아파트는 충간소음 문제가 있는가
    건설당시 시공비문제로

  • @연방의하얀사신
    @연방의하얀사신 Год назад +5

    벽식구조는 씨발 법으로 금지해야 한다.

  • @onekyulo
    @onekyulo Год назад

    주택용 건물은 기둥식을 보기 힘든데 하나 확실한건 예전에 지어진 기둥식은 안 좋음.
    근래 지어진 기둥식은 튼튼하고 좋은데 90년대 이전에 지어진 건물은 시공사가 재료를 아꼈나 처짐이 눈에 보이는 경우가 너무 많음

  • @Alven0821
    @Alven0821 Год назад +11

    우리나라 층간소음은 사실 거의 없는 수준이죠... 외국엔 나무로 집을 지어서 걷는 소리에 끼익끼익 거리는 나무소리까지 다들림

    • @Rita-gj2mx
      @Rita-gj2mx Год назад +5

      그래도 그러려니 하고 살더라구요~ 한국사람들이 층간소음에 제일 예민한것 같아요

  • @미끌리
    @미끌리 Год назад

    기둥식이라도 층간소음 정도의 차이지 납니다
    호텔 한번씩 자보면 층간 소음 무시할 정도로
    조용한 이유가 바닥을 불리형 구조로 윗층
    아랫층 바닥 사이를 살짝 공간을 두어서 윗집
    층간소음 콘크리트 타고 소리 전달을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구조가 많은 걸로 알고 있어요
    바닥도 두껍고 바닥 안에 층간소음 자제도
    많이 들어간다더군요 그래서 건물도 튼튼하고
    그대신 시공비는 생각보다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더군요

  • @장베리-j8g
    @장베리-j8g Год назад +3

    건설사 입니다 물론 하청중에
    더먹을려고 안전감시단 까지 속이고
    자재 빼먹는경우 있습니다.
    하지만 층간소음은 근본적인 문제
    입니다 재개발사업 조합들왈: "애초에
    이가격에 해달라 "
    시공사왈:" 오케이 알겠다 이러이러한
    도면이 완성 되었고 조합총회로 검토후에 보완할걸 알려달라"
    그후 조합원들간의 분쟁으로
    조합총회로 재개발비용 대출받은
    걸 몇프로 혹은 그이상 까먹죠?
    우여곡절끝에 공사 들어가고
    해마다 자재비는 오르고 화물운송
    인권비가 오릅니다 그거에대한 추가
    비용은 조합이 부담한다고 분명이
    총회를 통해서도 알고있으면서도
    말바꾸기가 태반입니다 거의 80%
    이상이 그럽니다 자재비가 너무
    비싸니 원래 하던거 보다 다른걸로
    하자 해서 이것저것 빼는경우 허다
    합니다 딱 집어서 말하자면 우리나라 재개발 이 집중 되었던
    일산 파주 인천 송도 김포 수유 미아리 지구 층간소음 어마어마 할거라 봅니다.
    제가 아는 층간소음 상식상 싼자재 마감할경우 아랫집 소리도 위로 올라 옵니다.

  • @dwlee08
    @dwlee0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상복합이 기둥식은 아니지만 외벽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되어있고 내부를 만들어 놓은 형태라 층간소음에는 확실히 좋음

  • @jeasangkim7557
    @jeasangkim7557 Год назад +4

    개소리를 아름답게 포장했네 ㅋ

  • @--ee6dm
    @--ee6dm Год назад

    층간 소음은, 층간마다 20CM씩 빈공간 띄우고 거기다 배관 같은거 배치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