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외국어로서한국어 발음교육론 이지현 교수님 강의 중에 참고 영상으로 보게 되었어요. 쉽게 이해가 쏘옥 됩니다.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맛 명사 + 이 조사맛이[마시](연음, 연음화)
왕 도움 많이 됐어요 감사합니당
#받침 #끝소리 #끝소리_규칙 #받침소리 #음끝 #음끝규 #불파음 #불파음화 #파열음 #파열음화 #평파열음 #평파열음화 #대표음 #종성 #종성_규칙
멋 → [먿](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맛 → [맏](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맛 명사 + 없다 형용사맛없다(합성형용사)[맏없다](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맏업다](받침, 겹받침, 끝소리, ㅅ 탈락, 단순화)[맏업따](ㄷ 경음화, 된소리)[마덥따](연음화, 연음, 절음)
맛 명사 + 있다 형용사맛있다(합성형용사)[맏있다](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맏읻다](받침, 쌍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맏읻따](ㄷ 경음화, 된소리)[마딛따](연음, 연음화, 절음)
맛 명사 + 있다 형용사맛있다(합성형용사)[맛읻다](받침, 쌍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맛읻다](ㅅ 유지)[맛읻따](ㄷ 경음화, 된소리)[마싣따](연음화, 연음)
#연음 #연음화 #연음현상 #연음_법칙 #어근 #합성어 #조사 #명사 #합성형용사 #어간 #형용사 #절음 #절음화 #절음_법칙 #대표음화 #형태소 #문법_형태소 #형식_형태소 #실질_형태소
맛 명사멋 명사
이 조사가 조사
없 어간있 어간
ㅅ → [ㄷ](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맛 is pronounced as [맏]
음절의 끝소리 규칙
올 ㅋ
맛있겠다= 마시께따
없다 형용사있다 형용사
외국어로서한국어 발음교육론 이지현 교수님 강의 중에 참고 영상으로 보게 되었어요. 쉽게 이해가 쏘옥 됩니다.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맛 명사 + 이 조사
맛이
[마시](연음, 연음화)
왕 도움 많이 됐어요 감사합니당
#받침 #끝소리 #끝소리_규칙 #받침소리 #음끝 #음끝규 #불파음 #불파음화 #파열음 #파열음화 #평파열음 #평파열음화 #대표음 #종성 #종성_규칙
멋 → [먿](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맛 → [맏](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맛 명사 + 없다 형용사
맛없다(합성형용사)
[맏없다](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맏업다](받침, 겹받침, 끝소리, ㅅ 탈락, 단순화)
[맏업따](ㄷ 경음화, 된소리)
[마덥따](연음화, 연음, 절음)
맛 명사 + 있다 형용사
맛있다(합성형용사)
[맏있다](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맏읻다](받침, 쌍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맏읻따](ㄷ 경음화, 된소리)
[마딛따](연음, 연음화, 절음)
맛 명사 + 있다 형용사
맛있다(합성형용사)
[맛읻다](받침, 쌍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맛읻다](ㅅ 유지)
[맛읻따](ㄷ 경음화, 된소리)
[마싣따](연음화, 연음)
#연음 #연음화 #연음현상 #연음_법칙 #어근 #합성어 #조사 #명사 #합성형용사 #어간 #형용사 #절음 #절음화 #절음_법칙 #대표음화 #형태소 #문법_형태소 #형식_형태소 #실질_형태소
맛 명사
멋 명사
이 조사
가 조사
없 어간
있 어간
ㅅ → [ㄷ](받침, 홑받침, 끝소리, 음끝, 불파음화)
맛 is pronounced as [맏]
음절의 끝소리 규칙
올 ㅋ
맛있겠다= 마시께따
없다 형용사
있다 형용사